권성준
(Seung-Jun Kwon)
1
강석표
(Suk-Pyo Kang)
2*
©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 알칼리화성화 슬래그 시멘트, 레드머드, 강도특성, 기공특성
Key words
Alkali-Activated Slag-Red Mud Cement, Alkali-Activated Slag Cement, Red Mud, Strength, Porosity
1. 서 론
최근 건설 산업에서는 환경문제가 무엇보다 중요한 사안으 로 대두됨에 따라 새로운 대체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시멘트 콘크리트 산업에서는 환경문제와
함께 부족자원의 고 갈대책도 중요한 문제점으로 존재하고 있다. 더불어 포틀랜 트시멘트를 제조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며 시멘트 제조시 CO2가스가 발생되어 환경에 대한 주요 원인으로 지적 되고 있다(Pacheco et al., 2014).
이에 건설산업에서 주요 탄소발생원인 포틀랜트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플라이애 시나 철강산업의 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등과
같은 산업폐기물 을 이용하는 순환자원 재활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플 라이애시 또는
고로슬래그미분말을 이용한 알칼리활성화 시 멘트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Moon, 2003; Kim and Hahm, 2015).
알칼리활성화 시멘트는 높은 초기 강도발현과 화학저항성 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콘크리트 및 시멘트 관련 연구자 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주로 고가 의 자극제를 사용하여 경화 메카니즘 규명 및 강도발현 특성 에 중점을 두고 연구들이 수행되어지고 있다(Kim and Jun, 2015; Kim et al., 2015). 이는 알칼리활성화 시멘트가 건설산 업현장에 실제로 활용되는데 가장 큰 장애요소이기도 하다. 이러한 고가의 자극제에 의한 경제적인 단점을 해결하기
위 하여 자극제로서 활용가능한 산업부산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레드머드는 보오크사이트 원광석에서 생산되는 알루 미나의 선광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질 부산물을 말한다. 레 드머드는 자체적으로 pH 11이상의
매우 높은 알칼리성 무기 질 폐기물로서, 원상태에서 주변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레드머드에 10~ 15%
함유되어져 있는 Na2O는 슬래그나 알루미노 규산염 광 물이 해리되어 축중합을 통해 안정한 수화물을 생성하기 위한 자극제나 촉진제로서 액상 규산나트륨(Sodium Silicate)
대신 활 용 가능하거나 지연제로서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대신 활용 가능하여 각종 건설자재로서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Pontikes and Anglopoulos, 2013; Daniel et al., 2011).
본 논문에서의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는 알칼리활성화 시멘트 연구의 일환으로서 시멘트 조성에서 알 칼리자극제, 고로슬래그와 레드머드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포 틀랜트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클링커 프리 시멘트(Clinker Free Cement)를 의미한다. 유사한 시멘트계 재료로서 알칼리활성
화 슬래그시멘트, 알칼리활성화 슬래그-플라이애시시멘트, 알칼리활성화 슬래그-포졸란시멘트 등이 있다. 알칼리활성 화 슬래그-레드머드시멘트는 레드머드를
액상 규산나트륨 또 는 가성소다와 같은 고로슬래그미분말의 자극제로서 활용하 고자 하는 것으로서 2000년 초반 중국에서 처음으로 발표되 었다(Pan et al., 2002; Pan et al., 2003).
기존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시멘트의 자극제로서 주로 쓰이고 있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NaOH)과 규산나트 륨 수용액(Na2SiO3)이 우수한 성능이 검증된 자극제로서 평 가되고 있다. 그러나 액상의 형태를 가지는 활성화제를 사용 하게 될 경우 강알칼리성으로 인한 취급상의 위험성과
경제 적인 단점으로 인하여 현장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국내에서 도 자극제로서 고가의 액상 자극제 대신 활용 가능한 산업부 산물을 레드머드와 함께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지 기도 하였다(Kang, 2012).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포틀랜트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 고 고분자 유기화합물인 재유화형 분말 폴리머를 혼입한 알 칼리활성화 슬래그시멘트에 레드머드의
대체율을 달리하여 강도특성, 기공특성 등을 기존 포틀랜트시멘트와 비교 평가 함으로서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시멘트의 활용용도 를 확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실험 계획 및 방법
2.1 실험계획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시멘트의 활용용도를 확대 하고자 폴리머를 혼입한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 트 모르타르의 강도특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실험 계획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
Type of binder
|
Replacement ratio of red mud(%)
|
Polymer/Binder(%)
|
Mix design
|
Test items
|
Portland cement(C)
|
|
|
|
|
|
|
|
|
|
-
Porosity
-
SEM, XRD
-
Compressive strength (7, 28days)
-
Bending strength(7, 28days)
|
AAS cement(NC)
|
|
|
|
|
결합재로서 보통 포틀랜트시멘트(C)와 알칼리활성화 슬래 그시멘트(NC)를 사용하여 W/B 60%, P/B 10%, B:S=1:2.5의 모르타르 배합에서
레드머드를 결합재에 대하여 0, 5, 10, 15% 대체하여 레드머드 대체율에 따른 알칼리활성화 슬래그- 레드머드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평가항목으로서는 압축강도(7일, 28일)와 휨강도(7일, 28 일)를 측정하였으며 기공률(Porosity)과 수화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EM과 XRD를
측정하였다.
2.2 사용재료
2.2.1 결합재
본 논문에서 사용한 보통 포틀랜트시멘트와 알칼리활성화 슬래그시멘트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플라이애시 및 고로슬래 그미분말과 비교하여 Table 2에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사 용한 결합재 중 보통 포틀랜트시멘트는 시중에서 판매되어지 고 있는 국내 S사의 보통 포틀랜트시멘트를 사용하였다.
Table 2
Phys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binder
Type of binder
|
Specific surface area(cm2/g)
|
Density (g/cm3)
|
Ig. loss
|
Chemical composition(%)
|
|
SiO2 |
Al2O3 |
Fe2O3 |
CaO
|
MgO
|
SO3 |
|
Portland cement
|
3,144
|
3.15
|
1.32
|
21.7
|
5.7
|
3.2
|
63.1
|
2.8
|
2.2
|
AAS Cement1) |
4,058
|
2.83
|
1.39
|
21.2
|
8.8
|
0.4
|
46.6
|
2.4
|
11.5
|
Fly ash2) |
4,012
|
2.13
|
2.50
|
49.5
|
31.9
|
5.9
|
2.9
|
0.9
|
0.5
|
Blast furnace slag2) |
4,254
|
2.91
|
0.23
|
33.6
|
14.5
|
0.7
|
43.5
|
5.2
|
1.4
|
또한 알칼리활성화 슬래그시멘트는 국내 C사에서 시제품 으로 제조되어진 고로슬래그미분말을 기반으로 하는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시멘트를 사용하였다. 알칼리활성화
슬래그시 멘트의 화학조성은 SiO2 21.2%, Al2O3 8.8%, CaO 46.6%, SO3 11.5%로서 고로슬래그미분말과 비교하여 SiO2와 Al2O3의 조 성비율이 낮지만 SO3의 조성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특성으로서 비표면적 4,058 cm2/g, 밀도 2.83 g/cm3은 고로슬래그미분말과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2.2.2 잔골재
본 논문에서 사용한 골재는 Table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 골재의 경우 밀도 2.58 g/m3, 조립율 2.70, 흡수율 1.46%, 최대 치수 5 mm의 금강산 강모래를 사용하였다.
Table 3
Type
|
Max. size (mm)
|
Density (g/cm3)
|
Fineness Modulus (F.M)
|
Absorption ration(%)
|
|
Sand
|
5
|
2.58
|
2.70
|
1.46
|
2.2.3 폴리머
본 논문에서 사용된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는 재유화형 분 말수지로서 에틸렌 초산비닐(EVA)를 사용하였으며 분말특 성은 흰색분말로서 겉보기비중은 475±50
g/L, 입도는 Max. 2% 400 μm이다. 본 논문에 사용한 EVA계 재유화형 분말수 지의 특성을 Table 4에 나타내었다.
Table 4
Type
|
Appearance
|
Apparent density(g/L)
|
Distribution
|
pH
|
|
EVA
|
White fine powder
|
475±50
|
Max. 2%>400 μm
|
9.1
|
2.2.4 레드머드
레드머드(Red mud)는 보오크사이트 원광석으로부터 수산 화알루미늄(Al(OH)3) 및 산화알루미늄(Al2O3)을 제조하는 공 정에서 발생되는 산업부산물이다. 국내의 경우 레드머드는 Bayer Process를 통하여 Al2O3 1톤을 생산하면 함수율 40~ 60%의 슬러지상태로 대략 2톤이 발생되며, 발생량은 국내 발 생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K사에서만 연간 약 20만톤이
Photo 1의 (a) 및 (b)와 같이 슬러지 상태로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레드머드는 함수율 40~60%의 상태로 배출 되고 있는 슬러지를 함수율 10%내외로 건조
및 분쇄시켜 Photo 1의 (c)와 같은 적색의 미분말 상태로 사용하였다.
Table 5는 국내 레드머드 발생량이 가장 많은 K사에서 2014년 분기별로 야적되고 있는 슬러지 상태의 레드머드를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로서 발생시점에
따른 레드 머드의 화학조성 및 물리적 성질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 단된다. 화학조성의 경우 대부분 SiO2, Al2O3, Fe2O3가 약 80% 를 차지하고 있으며, 레드머드가 황토색으로 나타나게 하는 Fe2O3는 21.6~23.6%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레드머드가 강알카리성의 성질을 가지게 되고 건설재료로서 활용시 백화 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Na2O는 9.0~10.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특성의 경우 밀도는 2.0 g/cm3로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레드머드의 건설자원으로 활용하는데 장애요소 중 하나인 함수율은 50.2~50.6%로서 거의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Properties of dumped red mud by sampling times
Sampling time
|
Chemical composition(wt.%)
|
Density (g/cm3)
|
Moisture content ratio(%)
|
|
SiO2 |
Al2O3 |
Fe2O3 |
CaO
|
MgO
|
SO3 |
Na2O
|
K2O
|
|
March, 2014
|
38.8
|
19.0
|
21.6
|
2.7
|
0.2
|
0.0
|
10.5
|
0.4
|
2.0
|
50.6
|
July, 2014
|
37.8
|
15.0
|
23.6
|
3.4
|
0.2
|
0.0
|
9.0
|
0.4
|
2.0
|
50.3
|
September, 2014
|
38.7
|
15.4
|
22.7
|
4.0
|
0.2
|
0.0
|
10.4
|
0.4
|
2.0
|
50.5
|
December, 2014
|
39.1
|
15.1
|
23.4
|
3.4
|
0.2
|
0.0
|
10.2
|
0.4
|
2.0
|
50.2
|
Average
|
38.8
|
16.1
|
22.8
|
3.4
|
0.2
|
0.0
|
10.0
|
0.4
|
2.0
|
50.4
|
본 논문에서 사용한 레드머드는 함수율 평균 50.4%의 슬러 지 상태에서 건조시켜 Photo 1의 (c)와 같은 건조 레드머드를 사용하였다. 건조 레드머드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6에 나타 낸 바와 같이 함수율 10.2%의 건조분말로서 진밀도는 3.50 g/cm3로서 시멘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보오크사이트 원석으로부터 알루미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수산화나트륨(NaOH)를 추출액으로
사용하기 때문 에 미회수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잔사인 레드머드에 다량 존 재함으로서 pH가 11.0의 강알카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Fig. 1에 나타낸 건조 레드머드의 XRD 분석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부분 알루미나와 산화철이지만 화합물인 Na5Al3CSi3O15도 보여지고 있다. 또한 건조 레드머드의 비표 면적은 23.53 m2/g, 평균입경은 2.75 μm로서 레드머드의 입도 분포를 나타낸 Fig.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멘트, 플라 이애시, 고로슬래그미분말 등의 평균입경 20~30 μm와 비교 하여 약 1/10에 해당되며 마이크로시멘트
평균입경 4~6 μm 보다도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레드머드의 SEM 측정결과를 Photo 2에 나타내었다.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dried red mud
Color
|
Moisture content ratio(%)
|
pH
|
Gravity (g/cm3)
|
Specific surface area (m2/g)
|
Average particle diameter (μm)
|
|
Red
|
10.2
|
11.0
|
3.50
|
23.53
|
2.75
|
Fig. 1
XRD pattern of dried red mud
Fig. 2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dried red mud
Photo 2
SEM image of dried red mud
2.3 실험방법
본 논문에서 압축강도 및 휨강도 시험은 실험계획에 제시 된 모르타르 배합을 KS L ISO 679 ⌈시멘트의 강도시험 방법⌋ 에 준하여 제작한 후 재령 7일과 28일에 측정하였다. 또한 기 공특성 및 수화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체 제작시 페이 스트를 제작한 후 재령
28일에 기공률, XRD, SEM 분석을 실 시하였다.
3. 실험결과 및 분석
3.1 강도특성
레드머드 대체율에 따른 압축강도 측정결과는 Fig. 3에 나 타낸 바와 같이 C 및 NC에 레드머드를 대체할 경우 사용하지 않은 시험체와 비교하여 C의 경우 레드머드 대체율이 증가할 수록 압축강도는 감소하여
대체율 15%에서는 약 35%정도 감 소하였으나 NC의 경우 오히려 대체율 10%까지는 약 20% 정 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3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red mud content
레드머드 대체율에 따른 휨강도 측정결과는 Fig. 4에 나타 낸 바와 같이 C의 경우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휨강도는 감소하 여 대체율 15%에서는 휨강도가 약 50%까지 감소하였다. 그 러나 NC의 경우
레드머드 대체율 10%까지는 대체율이 증가 할수록 휨강도도 약 20%까지 증가하였으나 15%에서는 감소 하여 대체율 0% 수준으로 저하였다.
Fig. 4
Bending strength according to red mud content
C와 NC의 레드머드 대체율에 따른 압축강도 및 휨강도의 발현비율은 Fig.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의 경우 레드머드 대 체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NC의 경우 레드머드 대체율 10%까지는
압축강 도 및 휨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레드머드가 보오크사이트 원광석으로부터 알루미늄을 추출하는 과정에 서 수산화나트륨(NaOH)를
추출액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미 회수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잔사인 레드머드에 다량 존재함으 로서 고로슬래그미분말에 석고 및 석회계 촉진제가 함께 혼 입되어진
NC에 대체될 경우 슬래그의 촉진제 역할을 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대체율 15%에서부터는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Fig. 5
Strength ratio according to red mud content
3.2 기공 특성
결합재 종류별 레드머드 대체율에 따른 기공량의 분포를 Fig. 6에 나타내었다. C의 경우 레드머드 대체율 5%에서부터 1,000 nm이상의 큰 기공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나 NC의 경우
레드머드 대체율 5%까지는 무첨가 와 유사한 기공량 및 공극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15%에서는 1,000 nm이상의 큰 기공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Fig. 6
Distribution of pore volume
이러한 결과는 공극 직경별로 구분하여 기공량을 나타낸 Fig. 7에 더욱 잘 나타나고 있는데 직경 10~10,000 nm의 전체 기공량은 RM 0에서 2.0~2.52 mL/g, RM 5에서 3.3~4.1 mL/g,
RM 15에서 4.9~5.4 mL/g을 나타내고 있어 레드머드 대체율이 높아질수록 기공량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직경 1,000 nm이하의 기공량은
레드머드 대체율에 따라서 큰 영향 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경 1,000 nm이상의 기공량 은 레드머드 대체율에 따라서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결합재 종류에 따라서는 NC보다는 C에서 상대적으 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SRC(Alkali-activated
Slag Red mud Cement) 페이스트의 공극분포는 보통 포틀랜 트시멘트 페이스트와 비교하여 전체 기공량은 적으며, 100 nm이하의 작은
기공량은 많지만 1,000 nm이상의 큰 기공량 은 적은 결과를 나타낸 기존 문헌(Pan et al., 2002)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페이스트와 골재와의 경계에서 생성하는 천이대(Transition Zone)의 기공량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강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직경 50 nm~2 μm의 기공 량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레드머드 혼입시 C와 비교하여 NC 에서 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Pan et al., 2003).
또한 콘크리트 중에는 겔 공극, 모세관 공극 및 기포가 존재 하는데 콘크리트가 물을 흡수하여 동해를 일으킬 정도의 함 수상태로 되면, 겔 공극과 모세관
공극은 물로 충만되지만 기 포는 물로 충만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겔공극 중 의 수분은 동결온도에서 동결되지 않고 과냉각상태에서만 동
결이 가능하므로 콘크리트의 내구성 특히 동해에 대한 저항 성은 전체의 기공량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보다는 직경 10~ 1,000 nm의 모세관 기공량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checo et al., 2014). 따라서 레드머드 혼입시 직 경 10~1,000 nm의 기공량은 큰 변화가 없어 동해에 대한 저 항성은 크게 저하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3.3 XRD 분석
Fig. 8은 결합재 종류별 레드머드 혼입 유무에 따른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레드머드 혼입에 따른 화합물의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의
경우 주로 Ca(OH)2 와 C-S-H 광물상이 주요 피크를 보이고 있다. NC의 경우 C-S-H 광물상과 에트린가이트가 주요 피크를 보이고 있다. 이는 고 로슬래그미분말의
유리질 피막이 알칼리 자극 및 황산염 자 극을 받아 파괴되면서 고로슬래그미분말 내부에서 용출된 이 온이 자극제로 사용한 부산물 석고와 반응하여 에트린가이트
를 생성시키고 고로슬래그미분말 중의 남은 성분은 서서히 C-S-H(Ⅰ)계 겔상의 수화물을 형성함으로서 강도를 발현한 다는 기존 논문(Moon, 2003)에서 제시되어져 있는 알칼리활 성화 시멘트 수화반응 메카니즘 결과와 동일하다. 이때 부산 물 석고는 단순 자극작용 뿐만 아니라 고로슬래그미분말과
반응하는 결합재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NC에서 나타나고 있는 Ca(OH)2는 촉진제로 사용한 소 석회 또는 슬래그에 포함되어져 있는 Ca가 촉진제와 혼합되 는 과정에서 용해되어 수화된 것으로 판단된다(Pan et al., 2002).
Fig. 8
XRD Patterns of the pastes with red mud
3.4 SEM
결합재 종류별 레드머드 혼입에 따른 미세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28일 SEM 측정 결과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NC의 경 우 경화조직은 C와 비교하여 에트린가이트로 보이는 수화생 성물이 주로 보이고 대체적으로 치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 다.
이는 기존 문헌(Pan et al., 2002; Moon, 2003)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 경화체 (ASRC Cement)는 일반적인 포틀랜트시멘트 경화체 중에서 비교적 큰 수화생성물인
AFt 및 Ca(OH)2를 생성시키지 않고 Ca/Si 몰비가 작은 C-S-H를 주로 생성시켜 작은 크기의 비결 정성을 나타내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알칼리활 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 경화체의 형태학적 특성은 강 도발현 및 화학적 저항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으로 판단된다.
Table 7.
SEM image of the pastes with red mud
|
× 200
|
× 1000
|
× 3000
|
|
C+P10
|
|
|
|
C+P10+RM10
|
|
|
|
NC+P10
|
|
|
|
NC+P10+RM10
|
|
|
|
또한 레드머드 혼입에 의하여 수화생성물은 SEM 이미지 상태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레드 머드 혼입 시험체의 수화생성물
사이로 건조레드머드 입도분 포를 나타낸 Fig. 1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1~5 μm의 입자들이 보이고 있다. 이는 레드머드를 혼입하지 않은 시험체에서는 보이지 않고 있어 수화반응에
관여하지 않고 공극내에 충진되어져 있는 레드머드인 것으로 사료된다.
4. 결 론
포틀랜트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고분자 유기화합물 인 재유화형 분말 폴리머를 혼입한 알칼리활성화 슬래그시멘 트에 레드머드의 대체율을 달리하여 강도특성,
기공특성 등 을 기존 포틀랜트시멘트와 비교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 론을 얻었다.
-
1) 레드머드 대체율에 따른 압축강도 및 휨강도는 C의 경우 레드머드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저 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NC의 경우
레드머드 대체율 10%까지는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
2) 레드머드 대체율에 따른 기공특성은 C의 경우 레드머드 대체율 5%에서부터 직경 1,000 nm이상의 큰 기공량이 급 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NC의 경우 레드머 드 대체율 5%까지는 무첨가와 유사한 기공량 및 공극분포 를 나타내고 있지만 대체율 15%부터는 직경 1,000 nm이 상의 큰
기공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 레드머드 첨가에 따른 XRD 분석결과 C의 경우 주로 Ca(OH)2 와 C-S-H 광물상이, NC의 경우 C-S-H 광물상과 에트린가이트가 주요 피크를 보이고 있으며, 레드머드 첨 가에 따른 주요 피크 변화는 보이지
않고 있었다.
-
4) 레드머드 첨가에 따른 SEM 분석결과 NC의 경우 경화조 직은 C와 비교하여 에트린가이트로 보이는 수화생성물이 주로 보이고 대체적으로 치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 원(과제번호 2011-0013853)과 환경부의 환경산업선진화기 술개발사업(과제번호 : 2014000150011)에서
지원받았습니다.
References
(2011), Potential Use of Natural Red Mud as Pozzolan for Portland Cement, Materials
Research, 14(1), 66-66.
(2012), A Study on the Usability of Red Mud as Activator of Alkali-Activated Cementless
Binder,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8(11), 133-140.
(2012), Strength Development of Blended Sodium Alkali-Activated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GGBS) Morta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4(2), 134-145.
(2015), The Strength and Drying Shrinkage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Slag using
Hard-burned MgO,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9(3), 39-47.
(2003), Properties of non-sintered cement and concrete recycled with industrial waste,
61-172.
(2014), Handbook of Alkali-activated cements, Mortars and Concretes, 243-257.
(2002), Hydration Products of Alkali-Activated Slag-Red Mud Cementitious Material,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2, 357-362.
(2003),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the Hardened Alkali-Activated Red Mud-Slag
Cementitious Material,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3, 1437-1441.
(2013), Bauxite residue in cement and cementitious applications : Current status
and a possible way forward,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73, 5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