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강모래와 강자갈의 고갈로 인해 현재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대부분의 골재는 석산으로부터 채취하고 있는 상황이나, 건설 용 골재 생산을 위한 석산 개발은
주위의 환경과 밀접한 연관 성이 있어 제한을 받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과거 1970~80 년대부터 급격한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 조물의 건설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때부터 건설된 콘 크리트 구조물은 노후화되어 폐기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설폐 기물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의 증 가는 최종 매립장의 증설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으로 작용 하고 있으며, 기존 매립지는 포화상태가 되어 신규 매립지를 부설하기
위해서는 매립지 선정에 있어 사회적인 문제가 발 생하는 상황까지 도달하였다(Kim et al., 2013; Kim et al., 1996; Choi et al., 2007).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서 건설폐기물에서 생산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확대가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Lee et al., 2009; Jang et al., 2003; Shim, 2010; Kim et al., 2011; Kim et al., 2013; Lee et al., 2014).
Evangelista et al.(2007)과 Cabral et al.(2010)은 순환잔골재 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기본 물성을 연구하였으며, Corinaldesi (2010), Huda and Alam(2014), Yang and Jeong(2016) 및 Rahal(2007)은 굵은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본 물성 을 연구하였다. Younis and Pilakoutas(2013), Xiao and Zhang (2005) 및 Belen et al.(2011)은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응력-변 형률 곡선을 모델링하고자 하였다. 또한, Gayarre et al.(2014) 은 양생조건이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을 연구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순환골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부족과 심도 있는 연구결과의 한계로서 도로용, 성토 및 복토 등의 비구조용 콘크리트에
순환골재의 사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표준시방서(KCI, 2009) 와 KS F 2573(2011)에서는 27 MPa 이하의 설계압축강도 조 건에서 구조용 콘크리트의 순환골재 함유량을 총용적량의 30% 이하로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Jang et al.(2003)은 압축강도 25 MPa 이하의 순환골재 콘크 리트의 강도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Choi et al. (2011)은 순환골재 내부의 미세균열 발생형태 및 흡수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Chung et al.(2006)은 압축강도 43 MPa 이하 의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전단 및 부착강도 특성을 연구하였 다. Song et al.(2009)은 순환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 의 휨거동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Lee et al.(2005)은 고로슬래 그를 사용한 순환골재콘크리트의 강도 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Jeon et al.(2009)은 부순골재와 순환골재를 혼합한 골재 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물성을 평가한 바 있다. 이와 같이 대다 수의 기존연구(Kim et al., 1996; Sim et al., 2006; Choi et al., 2005; Kim et al., 1993; Lee et al., 2005)는 콘크리트표준시방 서(KCI, 2009)를 만족시키는 고품질의 순환골재를 사용한 압 축강도 40 MPa 이하의 콘크리트 재료 특성에 대한 연구가 주 로 수행되었다. 반면에, 순환골재를
사용한 압축강도 40 MPa 이상의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며, 이 에 따라 순환골재의 사용 확대를 위해 압축강도 40 MPa
이상 의 순환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굵은순환골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의 사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압축강도 30~65 MPa 수준의 굵은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탄성계수, 인 장강도 및 파괴계수 등의 기본적인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 코드에서의 탄성계 수 및
파괴계수 예측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결과는 현행 콘크리트표준시방서에서 제한하고 있는 순환골재 용적 사용량을 초과하는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와 구조물 적용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3. 실험결과 및 분석
3.1 압축강도
Table 3에 7일 압축강도와 28일 압축강도, 탄성계수, 쪼갬 인장강도 및 파괴계수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배합의 측 정항목마다 3개 시편의 실험결과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압축강도실험은 직경 100 mm이고 높이가 200 mm인 실린 더 공시체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Fig. 3과 Fig. 4에 7일 압 축강도 측정결과와 28일 압축강도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3
Comparison of 7-day compressive strength
Fig. 4
Comparison of 28-day compressive strength
굵은순환골재의 치환율에 따른 7일 압축강도 실험결과를 Fig 3(a)에 나타내었다. A시리즈(w/c=0.53)의 경우, 기본 배 합(치환율=0%)의 7일 압축강도는 30.7 MPa이고,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7일
압축강도는 각각 30.3, 30.0, 29.6 및 27.9 MPa이다. B시리즈(w/c=0.46)의 경우, 기본 배합의 7일 압축강도는 39.3 MPa이고,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7일 압축강도는 각각
38.9, 38.6, 38.1 및 36.8 MPa이다. 또한 C시리즈(w/c=0.36)의 경우, 기본 배합의 7일 압축강도는 52.0 MPa이고,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7일 압축강도는 각각
51.0, 48.7, 47.3 및 45.7 MPa이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순환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 록 콘크리트 7일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치환율 이 50%일 때까지 7일 압축강도 감소율은 미미하다. 물-시멘 트 비가 0.53, 0.46 및 0.36일 때, 각 기본배합의 7일 압축강도
에 대해 순환골재 치환율이 100%일 때의 7일 압축강도는 각 각 9.1, 6.4 및 12.1% 감소하였다.
물-시멘트 비(w/c)에 따른 7일 압축강도 실험결과를 Fig. 3(b)에 나타내었다. w/c=0.36일 때의 7일 압축강도에 비해 w/c=0.46일 때의 7일 압축강도는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각각 23.7, 20.7, 19.5 및 19.6% 감소하였다.
또한, w/c=0.36일 때의 7일 압축강도에 비해 w/c=0.53일 때 의 7일 압축강도는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각각 40.6, 38.4, 37.4 및 38.9% 감소하였다.
실험결과는 물-시멘트 비의 증가에 따른 7일 압축강도 감 소율은 순환골재 치환율이 30%일 때 23.7 및 40.6%로서 가장 크게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굵은순환골재의 치환율에 따른 28일 압축강도 실험결과를 Fig. 4(a)에 나타내었다. 굵은순환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 록 28일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A시리즈(w/c =0.53)의 경우, 기본 배합(A0)의 28일 압축강도는 36.4 MPa 이고,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28일
압축 강도는 각각 35.4, 34.8, 34.2 및 33.9 MPa이다. B시리즈(w/c =0.46)의 경우, 기본 배합의 28일 압축강도는 49.3 MPa이고,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28일 압축강도는
각각 47.0, 45.5, 44.0 및 42.2 MPa이다. 또한 C시리즈(w/c =0.36)의 경우, 기본 배합의 28일 압축강도는 64.0 MPa이고,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28일 압축강도는
각각 60.4, 55.3, 54.1 및 51.9 MPa이다. 물-시멘트 비가 0.53, 0.46 및 0.36일 때, 각 기본배합의 28일 압축강도에
대해 순환 골재 치환율이 100%일 때의 28일 압축강도는 각각 6.9, 14.4 및 18.9% 감소하였다.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순환골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낸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파괴 특성과 연관성이 있다.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 사이의 계면 파괴 특성뿐만 아니라 골재의 파괴 특성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골재의 흡수율은 천연골재의 흡수율 보다 훨씬 크다. 이 는 순환골재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모르타르 성분 때문이 다. 또한,
순환골재는 골재 처리과정에서 파쇄 및 마쇄 과정을 거치므로 공정 특성상 일부 골재는 미세 손상을 받을 가능성 을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모르타르
성분의 순환골재 콘크 리트의 계면파괴에 대한 불리한 영향과 순환골재의 미세한 손상 가능성이 압축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물-시멘트 비(w/c)에 따른 28일 압축강도 실험결과를 Fig. 4(b)에 나타내었다. w/c=0.36일 때의 28일 압축강도에 비해 w/c=0.46일 때의 28일 압축강도는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각각 22.2, 17.7, 18.7 및 18.8% 감소하였다.
또한, w/c=0.36일 때의 7일 압축강도에 비해 w/c=0.53일 때 의 28일 압축강도는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각각 41.4, 37.1, 36.8 및 38.9% 감소하였다.
실험결과는 물-시멘트 비의 증가에 따른 28일 압축강도 감 소율은 순환골재 치환율이 30%일 때 22.2 및 41.4%로서 가장 크게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물-시멘트 비의 증가에 따 른 7일 압축강도 감소율은 순환골재 치환율이 30%일 때 가장 크게 감소한 것과 상응하는 결과이다.
3.2 탄성계수
압축강도 실험 시에 탄성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두 개의 원형 치구를 공시체 중앙 100 mm 구간에 설치하였다. 원형 치 구 사이에 실린더 공시체
원주방향으로 120° 간격으로 3개의 LVDT를 설치하였으며, 하중재하 시에 변위를 측정하였다 (Fig. 5). 하중재하는 2000 kN 용량의 만능시험기(UTM)를 사 용하여 변위제어 방식으로 하중을 재하하였으며, 0.025 mm/s 의 변위제어속도를
사용하였다.
Fig. 5
Instrumentation for measurement of elastic modulus
압축강도 실험에서 측정한 하중과 변위를 이용하여 압축강 도-변형률 곡선을 측정하였으며, 대표적으로 순환골재 치환 율이 50%인 A50, B50 및
C50 배합의 압축응력-변형률 관계 곡선을 Fig. 6에 나타내었다. 압축응력-변형률 곡선에서 변형 률이 0.00005인 점과 최대 하중의 40%에 해당하는 점의 선분 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탄성계수를
산정하였다.
Fig. 6
Compressive stress-strain curves
여기서,
f
2: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40%에 해당하는 압축응력
f
1:
변형률=0.00005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압축응력
є
2: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40%에 해당하는 압축변형률
배합별 탄성계수 측정결과를 Fig. 7에 나타내었다. 굵은순 환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탄성계수는 감소한다. A시리 즈(w/c=0.53)의 경우, 기본 배합(A0)의 탄성계수는 23841 MPa이고, 순환골재 치환율 증가에 따라 A30, A50, A70 및 A100 배합의
탄성계수는 각각 0.6, 4.1, 10.0 및 10.2% 감소하 였다. B시리즈(w/c=0.46)의 경우, 기본 배합(B0)의 탄성계수 는 26833 MPa이고, 순환골재 치환율 증가에 따라 B30, B50, B70 및 B100 배합의
탄성계수는 각각 5.6, 9.8, 10.5 및 12.4% 감소하였다. 또한 C시리즈(w/c=0.36)의 경우, 기본 배합(C0) 의 탄성계수는 27374 MPa이고, 순환골재 치환율 증가에 따라 C30, C50, C70 및 C100 배합의
탄성계수는 각각 5.3, 5.8, 6.0 및 10.1% 감소하였다.
Fig. 7
Comparison of elastic modulus
현행 콘크리트표준시방서(KCI, 2009)에서는 굵은순환골 재 최대치환율을 30%로 제한하고 있으며, 배합 시리즈 별로 치환율이 30%일 때의 탄성계수 감소율은 각각 0.6%(A30 배
합), 5.6%(B30 배합) 및 5.3%(C30 배합) 감소하였다.
또한, 순환골재 치환율이 70%일 때의 탄성계수 감소율은 각각 10.0%(A70 배합), 10.5%(B70 배합) 및 6.0%(C70 배합) 감소하였으며,
순환골재 치환율이 100%일 때의 탄성계수 감 소율은 각각 10.2%(A100 배합), 12.4%(B100 배합) 및 10.1% (C100 배합)
감소하였다. 실험결과는 순환골재를 70% 이상 으로 치환할 때, 탄성계수는 10% 이상 감소할 수도 있음을 나 타낸다.
물-시멘트 비(w/c)에 따른 탄성계수 실험결과를 Fig. 7(b) 에 나타내었다. w/c=0.36일 때의 탄성계수에 비해 w/c=0.46 일 때의 탄성계수는 순환골재 치환율 별로 각각 2.3%(B30 배 합), 6.2%(B50 배합), 6.7%(B70 배합) 및 4.4%(B100
배합) 감 소하였다. 또한, w/c=0.36일 때의 탄성계수에 비해 w/c=0.53 일 때의 탄성계수는 순환골재 치환율 별로 각각 8.6%(C30 배 합), 11.4%(C50 배합), 16.7%(C70 배합) 및 13.0%(C100
배합) 감소하였다. 물-시멘트 비가 0.53일 때의 탄성계수 감소율은 전반적으로 10%를 초과한다.
탄성계수는 콘크리트 부재의 휨강성과 축강성 등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부재의 처짐 또는 변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다. 따라서, 물-시멘트 비가
0.50 이내인 배합이 처짐 또는 변 형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현재 설계코드에서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이용한 탄성계 수 산정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fck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A는 계수, B는 지수이다.
콘크리트구조기준(KCI, 2012)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이용한 탄성계수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ACI 318-11(ACI, 2011)과 AASHTO LRFD 설계기준(AASHTO, 2014)에서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이용한 탄성계수 예측 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또한, fib Model Code 2010(fib, 2010)에서의 탄성계수 산정 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Eco=21500(MPa)이다.
Fig. 8에 이 연구에서의 탄성계수 측정결과와 콘크리트구 조기준, ACI 318-11 및 fib Model Code 2010의 탄성계수 예측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문헌분석(Chung et al., 2006; Jeon et al., 2009; Kim et al., 1996; Sim et al., 2006; Choi et al., 2005; Kim et al., 1993; Kim et al., 1996)을 통해 국내연 구에서 168개의 굵은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측정값 을 획득하였으며, 획득한 실험결과를 같이 나타내었다.
Fig. 8
Elastic modulus versus compressive strength
설계코드 식에 의한 탄성계수 예측값은 전반적으로 측정결 과를 과다평가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구조기준(KCI, 2012) 에 의한 예측값은 측정결과를 더욱 과다평가하고 있다.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예측식은 순환골재 콘크리 트의 압축강도 한 개만을 종속변수로 사용하는 방법과 순환 골재 치환률 및 압축강도를 두 개의
종속변수로 함께 사용하 는 방법으로 대별된다. 실험결과는 순환골재의 치환률이 증 가할수록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감소하고, 또한 탄성계수도 감소한다.
순환골재 치환률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서로 독립관계가 아니므로 이러한 두 개의 변수를 종속변수로 사 용하여 콘크리트 탄성계수를 예측하는 것은 다소
한계가 있 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만 을 탄성계수의 종속변수로 이용하여 탄성계수를 예측하고자 하였다(Yang and Jeong 2016).
측정결과의 분석을 토대로 식 (6)의 탄성계수 예측식을 제 안하였다. 제안식은 식 (2)에서 A=7300, B=1/3일 때의 예측식 이다.
Fig. 9에 이 연구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연구자의 탄성계수 측정결과와 함께 설계코드 제안식에 의한 탄성계수 예측결과 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의
제안식에 의한 탄성 계수 예측결과는 설계코드 식에 의한 예측결과보다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더욱 합리적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 한,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다수의 연구는 압축강도 20~ 40 MPa 범주의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탄성계수에 대해 수행 되었으며, 이 연구에서는 압축강도
30~65 MPa 범주의 탄성 계수 측정값을 제시하여 순환골재 적용의 확대 가능성을 제 시하였다.
Fig. 9
Predictions of elastic modulus using proposed equation
3.3 쪼갬인장강도
지름이 100 mm이고 높이가 200 mm인 원주형 시편을 이용 하여 쪼갬인장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쪼갬인장강도 시험결 과를 Fig. 10에 나타내었다.
Fig. 10
Comparison of split tensile strength
순환골재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처럼 쪼갬인장강도 역시 감소한다. A, B, C 시리즈 별로 기본 배합 의 쪼갬인장강도에 대해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일때의 쪼갬 인장강도는 각각 2.8, 2.5 및 2.1%, 치환율이 50% 일때의 쪼갬 인장강도는 각각 5.6, 7.5 및 6.4%,
치환율이 70% 일때의 쪼갬 인장강도는 각각 8.3, 12.5 및 10.6% 감소한다. 또한 순환골재 치환율이 100% 일때의 쪼갬인장강도는 각각
11.1, 17.5 및 17.0% 감소한다.
이 연구에서의 실험결과는 콘크리트표준시방서(KCI, 2009) 에서 제한하고 있는 30% 이내의 순환골재 치환율 범위에서 쪼갬인장강도의 감소율은 3% 이하로써 감소량이 미미한 것 을 나타낸다. 반면에, 순환골재
치환율이 100%일 때 모든 배 합 시리즈의 쪼갬인장강도 감소율은 10%를 초과한다.
물-시멘트 비(w/c)에 따른 쪼갬인장강도 실험결과를 Fig. 10(b)에 나타내었다. w/c=0.36일 때의 쪼갬인장강도에 비해 w/c=0.46일 때의 쪼갬인장강도는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각각 15.2, 15.9, 16.7 및 15.4% 감소하였다.
또한, w/c=0.36일 때의 쪼갬인장강도에 비해 w/c=0.53일 때 의 쪼갬인장강도는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각각 23.9, 22.7, 21.4 및 23.1% 감소하였다.
따라서, 실험결과는 순환골재 치환율 수준이 다를지라도 물-시멘트 비의 증가에 따른 쪼갬인장강도 감소율은 서로 비 슷한 것을 경향을 나타낸다.
3.4 파괴계수
단면크기가 100×100 mm이고 길이가 400 mm의 프리즘 형 상 시편의 4점하중재하실험을 통하여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파괴계수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만능재료시험기(UTM)을 사 용하여 변위제어방식으로 하중을 재하하였으며, 0.025 mm/s 의 변위제어속도를 사용하였다(Fig. 11). 측정파괴계수 실험 결과를 Fig. 12에 나타내었고, 단면의 파괴형상을 Fig. 13에 나 타내었다.
Fig. 11
Test for modulus of rupture
Fig. 12
Comparison of modulus of rupture
Fig. 13
Cross-section after test for modulus of rupture
순환골재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파괴계수는 감소한다. A, B, C 시리즈 별로 기본 배합의 파괴계수에 대해 순환골재 치환율이 30%일 때의 파괴계수는
각각 3.6, 1.5 및 1.4%, 치환 율이 50%일 때의 쪼갬인장강도는 각각 7.3, 3.0 및 5.7%, 치환 율이 70%일 때의 쪼갬인장강도는
각각 9.1, 6.1 및 8.6% 감소 한다. 또한 순환골재 치환율이 100%일 때의 쪼갬인장강도는 각각 14.5, 10.6 및 12.9% 감소한다.
물-시멘트 비에 따른 파괴계수 실험결과를 Fig 12(b)에 나 타내었다. w/c=0.36일 때의 파괴계수에 비해 w/c=0.46일 때 의 파괴계수는 순환골재 치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각 각 5.8, 3.0, 3.1 및 3.3% 감소하였다. 또한,
w/c=0.36일 때의 파괴계수에 비해 w/c=0.53일 때의 파괴계수는 순환골재 치 환율이 30, 50, 70 및 100%일 때 각각 23.2, 22.7, 21.9 및 23.0% 감소하였다.
실험결과는 물-시멘트 비가 증가할수록 파괴계 수가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w/c=0.36일 때의 파괴계 수에 대한 w/c=0.53일 때의 파괴계수 감소율은 앞 절에서 살 펴본 쪼갬인장강도 감소율과 유사한 값을 나타낸다.
콘크리트구조기준(KCI, 2012)과 ACI318-11(ACI, 2011)은 콘크리트 부재의 균열모멘트 산정을 위한 콘크리트의 파괴계 수(fr)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fck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이다.
기존 연구결과분석(Chung et al., 2006; Jeon et al., 2009; Kim et al., 1996; Choi et al., 2005; Lee et al., 1999; Lee et al., 2005)을 통하여 104개의 파괴계수 실험결과를 획득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파괴계수 측정결과 뿐만 아니라 문헌분석을 통한 파괴계수 실험결과와 식 (7)에 의한 예측결과를 비교하 여 Fig. 14에 나타내었다. 콘크리트구조기준에 의한 예측결과 는 압축강도 40 MPa 이상의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를 과소평가하고 있다.
Fig. 14
Modulus of rupture versus compressive strength
기존의 굵은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특성에 대한 연 구가 주로 압축강도 20~40 MPa 범주에서 수행된 바와 같이, 굵은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파괴계수에 대한 연구도 주로 압축강도 20~40 MPa 범주에서 수행되었다. 반면에, 이 연구에서는 압축강도 30~65 MPa 범주에서의 파괴계수
측정 값을 나타내어 순환골재 적용의 확대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