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
(Jun Lee)
1*
이봉춘
(Bong-Chun Lee)
2
조영근
(Young-Keun Cho)
3
정상화
(Sang-Hwa Jung)
4
©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건설폐기물, 순환골재, 콘크리트, 부착모르타르, 염화물 확산 특성
Key words
Construction Wast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Attached Mortar, Chloride Diffusivity
1. 서 론
최근 건설사업에 있어서 도시의 재개발과 건물의 경제적, 기능적 수명단축 및 노후시설물 증가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 물의 해체 및 철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매년 건설 폐 기물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4년 환경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건설폐기물 중 폐콘크 리트의 경우 국내에서 연간 40,753천톤이 발생하였고, 전체 건설폐기물 중 60.8%로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 러나 국내에서는 폐콘크리트의 수거, 분리 및 순환골재 생산 체계의 미흡한 정립, 장비의 실용화 부족, 재활용처의
한계 등 으로 적은 양만이 재활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정부의 제2차 건 설폐기물 재활용 기본계획 개요에 따르면 순환골재의 실질 재활용률을 2012년도
36%에서 2016년도까지 45%까지 끌어 올릴 계획을 갖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4).
기존 순환골재의 활용처는 대부분 저품질의 도로용 재료로 서 재활용 되고 있었으나, 향후 SOC 투자 감소에 따라 신규 도로포장의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순환골재의 재활 용률도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순환골재의 실질재 활용률 증대 및 고부가가치 방안 창출을 위해서는 콘크리트 용 골재로서의
재활용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순환골재를 콘크리트용 재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이면서 품질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순환골재의 사용은 콘 크리트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은 순환골재에 부착된 다공질의 모르타르와 이로 인한 낮은 밀도가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Montgomery et al., 1996; M. Barra de Oliveira et al., 1996; Poon et al., 2007; Kwan et al., 2012; Xiao et al., 2005; Berndt et al., 2009).
CSIRO의 가이드라인에서는 순환골재를 사용할 경우 낮은 등 급의 콘크리트에 적용할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천연골재의 대체 율을 30%로 권고(CSIRO, 2002)하고 있다. 순환골재의 낮은 대 체률을 권장하는 이유는 순환골재로 제조된 콘크리트에 대한 일 정 수준의 내구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CSIRO, 2002; Poon et al., 2007; Sagoe Crentsil et al., 2001).
또한, 국내의 경우도 KS F 2573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에 서는 순환골재의 사용량을 천연골재의 30%이하로 사용량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순환골재의 생산시스템의 발전 으로 순환골재의 품질은 점차 양호해 지고 있으나 이를 활용 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 특성 등의 내구성에 대
한 실증적인 자료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콘크 리트용 순환 굵은골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수준 에 따라 순환 굵은골재의 혼입률 변화가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순환골재의 사용량 증 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실험계획 및 방법
2.1 실험요인 및 배합
순환 굵은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압축강도 수준과 순환골재의 혼입률을 주요 실험인자로 선정하였다. 콘크리트의 기본
물성으로서 슬럼 프, 공기량, 재령 28일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염화물 확산 특성 분석을 위해서는 염화물 이온 침투깊이 및 염화물 확산 계수를 측정하였다.
실험수준으로서는 설계기준 압축강도를 3수준(21, 35 및 50 MPa)으로 선정하고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 율을 천연 굵은골재 용적대비 0, 50
및 100%로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배합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Factor
|
W/C (%)
|
S/a (%)
|
Unit weight(kg/m3)
|
|
W
|
C
|
G
|
RA
|
S
|
A
|
|
SL21-RA0
|
60
|
47
|
180
|
300
|
947
|
0
|
812
|
-
|
SL21-RA50
|
60
|
47
|
180
|
300
|
474
|
450
|
812
|
-
|
SL21-RA100
|
60
|
47
|
180
|
300
|
0
|
901
|
812
|
-
|
|
SL35-RA0
|
38
|
46
|
183
|
482
|
888
|
0
|
767
|
3.37
|
SL35-RA50
|
38
|
46
|
183
|
482
|
444
|
422
|
767
|
3.37
|
SL35-RA100
|
38
|
46
|
183
|
482
|
0
|
844
|
767
|
3.37
|
|
SL50-RA0
|
28
|
38
|
170
|
607
|
1006
|
0
|
563
|
5.04
|
SL50-RA50
|
28
|
38
|
170
|
607
|
503
|
463
|
563
|
5.04
|
SL50-RA100
|
28
|
38
|
170
|
607
|
0
|
925
|
563
|
5.04
|
2.2 사용재료
2.2.1 시멘트
본 연구에 사용된 시멘트는 밀도 3.14 g/cm3, 분말도 3,459 cm2/g인 국내 A사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시멘트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
Fineness (cm2/g)
|
Density (g/cm3)
|
|
SiO2 |
Al2O3 |
Fe2O3 |
CaO
|
MgO
|
SO3 |
|
21.1
|
6.7
|
2.9
|
61.7
|
3.1
|
0.84
|
3459
|
3.14
|
2.2.2 천연 골재
본 연구에 사용된 천연 굵은골재는 콘크리트 제품 제조용 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Gmax 13 mm, 밀도 2.64 g/cm3, 흡수율 0.8%인 부순골재를 사용하였다. 또한 잔골재는 국내 경기지 역의 강사로서 최대치수 5 mm, 밀도 2.51 g/cm3, 흡수율 1.48% 인 것을 사용하였다.
2.2.3 순환 굵은골재
순환 굵은골재는 국내 H사에서 폐콘크리트를 중간처리하 여 생산되는 것으로서 Gmax 13 mm, 밀도 2.44 g/cm3, 흡수율 3.09%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골재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3에 나타낸 것과 같고, Fig. 1은 본 연구에 사용된 천연 굵은골재와 순환 굵은골재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Table 3
Properties
|
Coarse Aggregate
|
Sand
|
Recycled Aggregate
|
|
Maximum size(mm)
|
13
|
5
|
13
|
Apparent density(g/cm3)
|
2.64
|
2.51
|
2.44
|
Water absorption(%)
|
0.8
|
1.48
|
3.09
|
Fig. 1
Natural and recycled aggregate
2.2.4 혼화제
혼화제는 시멘트 분산작용과 미세 공기의 연행으로 단위수 량 감소, Workability 및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혼화제로서 국 내 D사의 폴리카본산계
고성능 AE감수제를 사용하였으며, 특성은 Table 4에 나타낸 것과 같다.
Table 4
Type
|
PC
|
|
Color
|
dark brown
|
Density(g/cm3)
|
1.21±0.05
|
pH
|
7
|
2.3 시험방법
2.3.1 슬럼프 및 공기량
강도수준별 순환골재 활용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슬럼프 시험은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공기량 시험은 KS F 2421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 크리트의 공기량 시험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Fig. 2는 순환골재 활용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공기량 측정 전경이다.
2.3.2 압축강도
압축강도 시험을 위한 공시체는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 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에 준하여 Φ100×200 mm의 원주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시험편의 압축강도 측정은 제작된 공시체를 재령 28 일까지 수중양생(20±2°C)을 실시한 후 KS F 2405 ⌈콘크리트 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준하여 최대용량 1000 kN의 만능 재료 시험기(Universial Testing Machine: UT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압축강도의 산출은
배합당 5개 시험편의 압축 강도를 측정한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Fig. 3은 압축강도 측 정을 위한 시험편의 양생 및 강도시험 전경을 나타낸 것이다.
Fig. 3
Curing & compressive strength test
2.3.3 염화물 확산계수
강도 수준별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특성을 분석 하기 위하여 전기적 촉진시험법인 NT Build 492 ⌈Chloride migration
coefficient from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s⌋ 에 준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방법은 KS F 2403에 의해 제작된 φ100×200 mm의 공 시체를 50 mm 두께로 절단한 후 Fig.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시 험장치에 거치하고 양극(+)에는 0.3 N의 NaOH 수용액을 음 극(-)에는 10% Nacl 수용액을 채워 전기적 전위차를
가하였 다. 초기 전압을 가한 후 측정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2차 전압 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시험시간을 결정하여 시험을 진행하 였다.
Fig. 4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
시험 종료 후 시험체를 할렬하여 0.1 N의 질산은 용액을 분 무후 발색 정도를 측정하여 염화물 이온의 침투깊이를 산출 하였다. 염화물 확산계수는
시험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의 식 (1)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여기서,
E
=
U
−
2
L
,
$lpha$
=
RTL
zFU
2
·
erf
−
1
1
−
2
C
d
C
o
Dcpd :
비정상 상태에서 구한 전위차 촉진 염소이온 확산계 수(m2/sec)
R :
기체 상수(8.314 J/mol·K), T :절대 온도(K)
F :
패러데이 상수(96,500 J/V·mol), U :전위차(V)
Cd :
비색법에 의한 반응 농도(mol/l)
α :
실험 상수(T=295 K, U=30 V, L=0.05 m 이면, α = 23,600 m-1)
3. 시험 결과 및 고찰
3.1 슬럼프 및 공기량
순환 굵은골재 혼입률 및 강도수준별 콘크리트의 슬럼프와 공기량 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Fig. 5와 같다. 기존의 연구결과 (Whiting et al., 2012; Poon et al., 2007)를 살펴보면 순환골재 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변화는 순환골재의 혼입률이 증가할 수 록 순환골재에 부착되어 있는 구재 모르타르에 따 른 기공률
증가와 표면 거칠기 등으로 인해 순환골재 혼입률 이 증가할수록 슬럼프 값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 고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강도
수준에 관계없이 순 환 굵은골재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순환 굵은골재를 혼입하 지 않은 경우에 비해 슬럼프 값은 동등하거나 오히려 증가하 는 경향을
나타냈다.
Fig. 5
Slump & air content of RA concrete
이러한 결과는 최근 순환골재 생산을 위한 건설폐기물 중 간처리 시설에서는 고품질 순환골재의 생산을 위하여 다단계 의 파쇄공정과 구재 모르타르의 최소화를
위한 마쇄장치들이 도입되는 등 생산설비가 고도화 되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순환골재도 생산공정 단계에 모르타르 제거 및 입형 개선을 위해 회전
마쇄 및 충격파쇄가 동시에 작용하는 품질개선 공 정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고도화 공정에서 생산된 순 환 굵은골재는 Fig.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부순 굵은골재에 비 하여 양호한 입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개선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Kim et al. (2013) 의 연구에서도 순환골재의 사용이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증가 시킨 다는 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에 따른 콘크리트의 공기량 측정 결과 강도 수준(21, 35 및 50 MPa)에 관계없이 치환율이 증가 할수록 공기량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Lee (1999)는 공기량의 증가원인을 순환골재에 부착되어 있는 모르타르에는 잠재공극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량 이 부순골재에 비하여 2%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 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기량 증가 정도가 1% 정도 내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또 다른 연구결과(Lee et al., 2015)에서도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강도 수준에 관계없이 공기량의 증가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순환 굵은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공기량 특성은 과거 단순 파쇄시스템에 의해 생산된 순환 굵 은골재의 품질(밀도, 흡수율, 모르타르
부착량, 입형 등)보다 최근 고도화 시스템이 도입된 생산공정으로 생산된 순환 굵 은골재의 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에 순환골재 적용 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품질저하 정도가 감소된 것으 로 판단된다.
3.2 압축강도
순환 굵은골재의 혼입률 변화에 따른 수준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측정 결과는 Fig. 6과 같다.
Fig. 6
Compressive strength of RA concrete
먼저 순환골재 혼입률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면 압축강도는 순환 굵은골재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순환 굵은골재 치환율
100%에서는 강도수준 에 관계없이 순환골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약 9~ 10% 정도의 압축강도 감소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순환 골재
혼입에 따른 강도 저하 원인은 순환골재 표면에 부착된 구재 모르타르로 인해 결합재와 순환골재 계면사이의 부착력 저하와 순환골재 생산 시 재파쇄에 의해
골재 내부에 발생되 는 미세균열의 증가로 순환골재 자체의 강도저하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강도 수준별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낮 은 강도 영역대인 21 MPa급과 고강도 영역인 50 MPa급에서 도 순환골재 혼입에 따른
강도저하 정도는 유사한 것으로 나 타나 강도수준에 따른 영향은 작은 것으로 판단된다.
3.3 염화물 확산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침투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연속 모세관 공극, 골재-페이스트 전이역의 공극과 골재내부의 미 세균열 등을 통한 염화물의 침투
및 확산에 의한 것으로 알려 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순환골재는 구재 모르타르 및 골재내 부의 발생 균열로 인해 일반 콘크리트에 비하여 내염성능이 저하되어
순환골재 활용량 증대를 위한 제약 요인으로 작용 되고 있다(Jianzhuang Xiao et al., 2013; L. Evangelista et al., 2010; Bae et al.,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의 활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실증자료의 확보를 위해 콘크리트의 강도수준 및 순환 굵은골재의 혼입률에 따른 염화물
확산 특 성을 검토하였다.
Fig. 7 및 8은 요인별에 따른 순환 굵은골재 콘크리트의 염 소이온 침투 깊이 및 염화물 확산계수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 이다.
Fig. 7
Chloride penetration depth of RA concrete
Fig. 8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of RA concrete
이를 고찰하여 보면 모든 강도수준에서 순환 굵은골재의 혼입률이 증가할 수 록 염화물 침투깊이 및 염화물 확산계수 는 증가하여 콘크리트의 내염성능이
저하되는 결과를 나타냈 다. RA50%의 경우 RA0%에 비하여 염화물 침투깊이 및 확산 계수가 각각 111%, 113% 증가하는 것을 나타냈으며
RA 100%에서는 각각 135%, 144%까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RA 50% 이상에서 순환 굵은골재 혼입에 따른 내염성능의 저 하 정도가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콘크 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확산은 기공 및 공극특성과 밀접한 관 계를 갖고 있으며, 순환골재의 경우 표면에
부착된 구재 모르 타르에 의한 기공률 증가, 생산 시 발생되는 순환골재 내부의 망상 및 관통균열의 발생, ITZ(Interfacial Translation
Zone)의 상대적인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9는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염화물 확산계 수와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를 고찰하여 보면 RA0%의 경우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화물
확산계수가 최대 77.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RA50%의 경우는 75.3%, RA100%의 경우는 63.5%까지 감소되어 순환골재 콘크리트
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염화물 확산계수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요인간의 결정계수는 0.98로서 매우 높은 상 관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의 연구결과(L. Zong et al., 2014; Ryu, 2011; Bae et al., 2010)에서도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결 정계수가 본 연구결과가 다소 높긴 하나 이는 사용되는 순환 골재의 품질,
사용량, 기타 재료 및 환경조건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9
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diffusion coefficient of RA concrete (1)
또한 Fig. 10은 일반 골재를 활용한 콘크리트(NAC)와 순환 골재 콘크리트(RAC)의 압축강도와 염화물 확산계수와의 상 관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를 고찰하여
보면 콘크리트의 염 화물 확산 특성은 골재 종류에 관계없이 압축강도 즉 매트릭 스의 밀실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 히 강도가
증가할수록 골재차이에 따른 영향은 감소되어 염 화물 확산계수가 일정 수준으로 수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0
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diffusion coefficient of RA concrete (2)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확산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으로는 공극률, 공극구조, ITZ 등의 내적 요인과 온도, 상대습도, 염화물 이온 농도
등의 외적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 다. 이중 내적 요인은 콘크리트의 자체 특성으로서 순환골재 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는 상기 내적요인에 가장 큰
영향 을 미치는 요인으로 강도 수준 및 순환골재의 혼입률 등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도 수준과 순환골재 혼입에 따른 염 화물 확산계수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 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Fig. 11에 나타낸 것과 같다. 이를 살 펴보면 낮은 강도 영역일 수 록 순환골재에 사용에 따른 염화 물 확산계수의 변동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 21 MPa급에서는
최대 44%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도가 증가할수록 순 환골재 혼입에 따른 영향이 감소되어 일반 콘크리트와 유사 한 수준까지 내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 라서 저강도 영역의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경우는 내염성 확 보를 위한 플라이애시 및 고로슬래그 분말 등과 같은 혼화재
료의 적용이나 배합상의 조정을 통해 콘크리트의 강도를 일 정 수준 향상시킬 경우 순환골재의 활용량 증가에 유효할 것 으로 사료된다.
Fig. 11
Chloride diffusivity of RAC according to main factors
4. 결 론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콘크리트용 순환 굵은골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수준(21, 35, 50 MPa)에 따라 순환 굵은 골재의 혼입률
변화가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특 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1) 순환 굵은골재의 혼입률 변화에 따른 유동성을 검토한 결 과 슬럼프는 순환골재를 혼입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동등 하거나 양호한 유동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 기량은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 거 단순 파쇄시스템에 의해 생산된 순환 굵은 골재의 품질 (모르타르 부착량
및 입형 등)보다 최근 마쇄과정이 도입 된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순환 굵은골재의 품질이 상대 적으로 양호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2) 순환 곩은골재의 혼입률 변화에 따른 압축강도는 순환골 재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감소폭은 강도수준에 따라 약 9~10%
압축강도가 감 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 순환 굵은 골재의 혼입률 변화에 따른 염화물 확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든 강도 수준에서 순환 굵은 골재의 혼입률이 증가함에 따라
염화물 확산계수는 최대 144%까지 증가되어 콘크리트의 내염성이 저하되는 특성 을 나타냈고 특히 RA 50% 이상에서 저하정도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
4) 또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특성에 대한 요인 별 상관성 분석결과 낮은 강도 수준의 콘크리트 일수록 순 환골재 활용에 따른 내염성 저하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 으며, 강도가 증가할수록 순환골재 혼입에 따른 영향은 감 소되어, 고강도 영역에서는 일반 콘크리트와 유사한 염화 물 확산 특성을
발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순환 골재를 콘크리트용 재료로 대량 활용하기 위해서는 저강 도 콘크리트의 경우 내염성 개선을 위한 혼화재료의 적용
또는 배합설계상 조정을 통한 강도의 개선 등이 필요할 것 으로 판단되며, 향후 계속적인 연구수행과 시험결과에 대 한 DB화를 통해 이에 대한 신뢰성
향상 및 검증을 수행할 계획이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4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 아 수행한 연구 과제(2014000150002)입니다. 이에 감사드립 니다.
References
(2010), Astudy on the chloride diffusivity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0(1)
(2012), Hydration heat and chloride migration properties of high durable marine concrete,
Proceeding of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tenance and Inspection
(2009), Properties of sustainable concrete containing fly ash, slag and recycled
concrete aggrega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3(7)
(2002), Guide to the use of recycled concrete and masonry materials, Standards Australia,
HB 155–
(1996), Influence of retained moisture in aggregates from recycling on the properties
of new hardened concrete, Waste Management, 1-3, 16
(2010), Durability performance of concrete mad with fine recycled concrete aggregate,
Journal of Cement & Concrete Composite, 32
(2013), Effect of fly ash on rheology and strength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5(2)
(2014), Basic plan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2012), Influence of the amount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in concrete design and
durability properti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6(1)
(2015), Effect fo the amaount of attached mortar of recycled aggregates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 Institute, 3(2)
(1996), Properties of concrete incorporating recycled concrete aggregates, Institution
of Engineers, 153
(2007), Influence of fly ash as cement replacement on the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19(2)
(2011),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using
fly ash
(2001), Performance of concrete made with commercially produced coarse recycled concrete
aggrega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1(5)
(2012),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made from recycled concrete aggregate, 22nd
Australasian Conference on the Mechanics of Structures and Materials
(2005), T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under uniaxial loading,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35
(2013), Durability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Journal of Advanced Concrete Technology,
11
(2014), Permeability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containing fly ash and clay brick
waste,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