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호안블럭, 다공성콘크리트, 실규모, 소류력, 수리안정성
Revetment block, Porous concrete, Real scale test, Bed shear stress, Hydraulic stability

1. 서 론

최근 수십년간의 산업화 및 도시로의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국내 하천은 하천 본연의 역할을 잃고 인간 중심의 개발을 위 한 치수와 이수의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많은 하천, 특히 도심하천의 경우 주변 지역의 개발 효율성이 우선 적으로 고려되어 직강화와 복개공사를 통한 오수 및 하수의 배출구로만 활용됨으로써 지구 온난화 등 기후 특성의 변화 로 인해 집중호우, 홍수 등으로 인한 제방, 댐 붕괴 등 인명 및 재산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Kim et al., 2015; Jang et al., 2007).

이에 따라서 하천 제방 등의 제외 비탈면의 붕괴 및 침식방 지를 위하여 식생, 돌채움 및 쌓기, 콘크리트블록, 사석 등 여 러 재료와 공법을 이용하여 비탈 덮기를 통한 제방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Rhee et al., 2007). 이중 특히 콘크리트블록공 의 경우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고 유지관리가 불필요하 여 주요한 호안공법으로 많은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 만 이러한 콘크리트호안블록의 주재료를 이루는 콘크리트는 건설 사업의 필수재료로 구조물의 주요한 건설재료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비친환경적인 재료이면서, 생산 및 철거과정에서 자연훼손이 동반되고 건설폐기물이 발 생하며 주변 동식물의 서식 및 생육 기반을 훼손하는 등의 단 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주변환경과의 조화 및 공생 등 친환경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콘크리트에 잔골재를 사용하지 않고 불연속 입도의 굵은 골재를 사용한 다공성콘크리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다공성콘크리트는 내부에 형성된 다량의 연속공극과 넓은 비표면적으로 투수, 생물의 서식공간 제공 및 수질정화 특성 등의 우수한 친환경적 기능들을 가지고 있어 호안블록, 포장 용, 수질정화 및 식생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반면 표준배합설계의 부족, 강도와 내구성의 저하, 재료분리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Chio et al., 2005; Song et al., 2012; Malhotra et al., 1976; Park et al., 2010).

한편, 국내 하천설계기준에 의하면 호안은 제방 또는 하안 을 유수에 의한 파괴와 침식으로부터 직접호보하기 위해 제 방 앞비탈면에 설치하는 구조물로 정의하고 있으며, 호안 설 계시 이론적 계산에만 의하여 호안을 직접 설계하는 것은 현 재의 국내 기술수준으로는 어려우며 이론의 한계를 감안하여 경험과 이론의 양면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하천설계기준 및 하천공사설계실무요령에서 제 시하고 있는 기준을 살펴보면 공법별 비탈높이, 최소비탈경 사 등 최소한의 기준만을 제시하고 있거나, 평떼 및 돌붙임 등 호안종류에 대한 경험값의 소류력만을 간단히 제시하고 있 다. 따라서 명확하고 구제적인 선정 기준이 아닌 설계자의 경 험 및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호안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반콘크리트 및 다공성콘크리트 호안 블록의 적용에 있어 홍수해의 방지를 위해 가장 중요한 특성 인 소류력에 대한 기준해서는 블록의 조도계수, 한계소류력 등의 수리특성의 검토가 필수적이나, 이러한 특성은 블록의 형상, 하천제원, 시공방법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 로 같이 적용하기가 불가능하다(Kim et al., 2007).

따라서 이와 같은 수리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 및 실증 방법으로는 수리모형실험과 현장실험 그리고 실규모실험이 있다. 수리모형실험은 실험의 목적에 대한 단순화 및 축소를 통하여 원인과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물리적 환 경의 제어가 거의 완벽하여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고, 다 양한 조건에 대하여 실험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어 현재까 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실제 현장의 변수를 지 나치게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현장실험에 의한 방법은 현장의 수많은 변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거나 통제하 기가 매우 어렵고, 정밀한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험변 수의 통제와 실험의 재현성이 어려워 원인과 결과에 대한 명 확한 분석이 어렵다.

반면에 실규모의 실험을 이용한 방법은 실제 하천과 매우 유사한 환경에서 실험조건을 재현하여 수리모형실험과 현장 실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제 모형의 적용, 정확한 측정값, 변수의 통제가 가능하다는 장점(Lee et al., 2012)이 있으나 비용과 실험여건 등 현실적인 사정으로 인하 여 그간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콘크리트로 호안블록을 제조 하고 소류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제하천와 동일한 규모의 실증실험시설에 호안블록을 설치하여 유입량을 조절함으로 써 다공성콘크리트 호안블록의 소류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 실험 개요

2.1 실험 재료

2.1.1 시멘트

이 실험에서 사용한 시멘트는 국내 S사의 밀도 3.15 g/cm3, 분말도 3,318 cm2/g의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였다.

2.1.2 굵은골재

이 실험에서 사용한 굵은골재는 화강암질 부순돌을 사용하 였으며, 골재의 물리적 성질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coarse aggregate

Aggregate Grading Density (g/cm3) Water absorption ratio Unit volume weight(t/m3)
Coarse aggregate 5~13 mm 2.81 0.8 1.690
Pumice 5~8 mm 1.04 16.1 0.392

2.1.3 혼화제

혼화제로는 시멘트 분리작용과 미세공기 연행으로 단위 수 량저감, 워커빌리티(Workability)및 내동해성을 개선시키는 국내 S사 제품의 고성능 AE감수제를 사용하였으며, 그 특성 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Properties of chemical admixture

Appearance Density(g/cm3) pH value

Dark brown liquid 1.08±0.3 6±1

2.2 배합 및 제조

2.2.1 시험체 배합 및 제작

실규모의 수리특성 시험을 위한 다공성콘크리트는 기존의 선행연구결과(Kim et al., 2015) 및 제조설비를 고려하여 목표 공극률 10%, 골재입도 5~13 mm의 배합으로 결정하였으며, 팬믹서를 이용하여 일괄혼합방식으로 총 3분간 혼합하여 제 작한 후 8시간의 증기양생 후 28일간의 기건양생을 실시하였 다. 사용된 배합표는 Table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Table 3

Mixing design of porous concrete

Porosity (%) W/C (%) Unit volume weight(kg/m3)

C1) W2) Coarse aggregate Ad.5)

CS3) P4)

10 25 526 131 1521 63 2.11

*1) C : Cement,

2) W : Water,

3) CS : Crushed Stone,

4) P : Pumice,

5) Ad. : Admixture

다공성 콘크리트시험체의 크기(B×L×T)는 1.0×1.0×0.15 m 와 0.5×1.0×0.15 m의 2 type으로 제조하였으며, 0.5×1.0×0.15 m 시험체는 1.0×1.0×0.15 m 시험제를 절단하여 제작하였다. 제조된 1.0×1.0×0.15 m 시험체의 중량은 약 0.2 ton이다. 다음 Fig. 1에 시험체 규격 및 실물모형을 나타내었다.

Fig. 1

Porous concrete revetment block

JKSMI-20-122_F1.jpg

2.2.2 시험체 설치

소류력 평가를 위한 실험 부지는 경상북도 안동시내 한국 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의 급경사수로 구간으로 하였으며, 대상 수로의 폭은 3.0 m, 높이는 2.0 m, 제방경사는 1:2, 종단구배는 약 1.43%(1/70)이며 Fig. 23에 대상수로의 전경 및 제원을 나타내었다.

Fig. 2

Real scale experiment channel

JKSMI-20-122_F2.jpg
Fig. 3

Installation of porous concrete revetment block

JKSMI-20-122_F3.jpg

시험체 설치는 해당 수로 저면에 조성된 폭 1.5 m, 연장 10.0 m의 인공 Pond 내에 설치하되, 하부에 모래로 구성된 230~370 mm의 기반층을 콤펙타를 이용하여 2층으로 다짐을 실시하 여 포설한 뒤 블록 내의 식생공으로 하천수가 유입되어 기반 층이 유실됨으로써 블록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를 포설한 뒤 블록을 설치하였다. 블록은 실험수로의 폭이 1.5 m인 것을 고려하여 1.0×1.0× 0.15 m 크기의 블록 10 개와 0.5×1.0×0.15 m 크기의 블록 10개, 총 20개의 블록으로 구성하여 설치하였다. 시험체 블록간의 연결은 사슬 또는 케이 블을 이용하지 않고 기하학적 형상에 의한 인터록킹(interlock) 방식으로 맞물리도록 하였으며, 블록 상면의 복토 및 식재는 실시하지 않았다.

2.3 실험방법

2.3.1 공극률 시험 방법

공극률시험은 일본콘크리트공학협회의 에코콘크리트연구 위원회가 포러스콘크리트의 공극률 시험방법으로 제안한 용 적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JCI, 1995). 공극률은 식 (1)에 의 하여 계산하였다.

(1)
A % = 1 W 2 W 1 / V × 100

A :

Porosity of concrete

W1 :

Submerged weight of concrete

W2 :

Air-dried weight of concrete

V :

Volume of concrete

2.3.2 압축강도 시험 방법

압축강도 시험은 제조된 1.0×1.0×0.15 m 크기의 다공성호 안블록을 100×100×100 mm 사이즈로 절단하여 KS F 2405 콘 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및 SPS-KCIC0001-0703 콘크리 트 호안 및 옹벽 블록기준에 준하여 1,000 kN 유압식 강도시 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3.3 소류력 평가

수리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소류력 시험은 관련 국내기준 이 전무하여 ASTM D 7276-08 및 7277-08에 준하여 실시하였 으며 유입유량을 조절하여 저유속에서 부터 고유속에 따른 총 7회의 Case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경을 Fig. 4에 나타내었다.

Fig. 4

Experimental flow and measurement of velocity

JKSMI-20-122_F4.jpg

실험은 각 Case에 대하여 일정한 유량을 방류하여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관찰한 후 총 4시간 동안의 블록 침하 및 유실, 기반층의 상태를 관찰하여 파괴 정도를 판단하였다.

블록 안정성의 한계지점에서의 수리조건은 호안블록 성능 을 나타내는 수리한계조건을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안정성 한계조건에서의 전단력과 유속은 특정 호안블록의 설계기준 으로 사용된다(Arcement et al., 1984;Armanini et al., 2005). 호안시험 기준은 이와 같은 수리동력학적 작용력에 대한 호 안블록의 저항력을 결정하는 것이다. 호안블록의 안정성 한 계조건은 사석, 개비온 또는 유사 이동 이론과 유사한 시초운 동(incipient motion) 기준에 바탕을 두고 있다. 블록의 초기거 동을 관측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안정성 한계조건을 개별 호 안 블록의 움직임을 근거로 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한계조 건은 블록과 하부의 토층 사이의 상호작용에 근거하여 결정 되어야 한다. 실험자는 블록이 하부 토층에 대해서 움직이는 지를 주의 깊게 체크하여야 한다.

실험자가 안정성 한계 조건을 결정하는 것은 다소 주관적 인 면이 있는데 한계조건은 블록과 하부의 토층 사이에서 토 층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달려있다.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한계조건에 도달하였다 고 할 수 있다(Lee et al., 2012).

  • 블록이 연직 방향으로 이동하였거나 블록자체가 움직인 경우

  • 토목 섬유 아래의 토층이 유실되어 공극이 발생한 경우

  • 하부 토층이 크게 유실된 경우

따라서, 위와 같이 블록 및 기반층과 부직포의 유실 여부를 관찰하여 파괴가 확연할 때 최종 파괴라 판단하였다.

3. 시험결과 및 분석

3.1 공극률 및 압축강도 시험 결과

제조된 다공성콘크리트블록을 100×100×100 mm 사이즈 로 절단한 뒤 총 35회의 압축강도 및 실측공극률시험을 실시 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 Fig. 5와 같다.

Fig. 5

Relationship between void ratio

JKSMI-20-122_F5.jpg

이를 고찰하여 보면 압축강도 16.6~23.2 MPa의 범위가 나 타났으며 평균 19.5 MPa로 측정되었다. 실측공극률은 8.1~ 11.9% 범위를 나타내 평균 약 10.1%의 공극률을 나타내었다. 목표공극률을 10%로 설정한 것과 비교하면 실측공극률과 목표공극률이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콘크 리트공업협동조합연합회의 콘크리트 호안 및 옹벽 블록의 기준을 보면 다공성 블록의 경우 압축강도를 시료의 크기에 따라 13~16 MPa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16.6~23.2 MPa 의 범위 강도는 호안블록으로 적용하기 적절한 것으로 판단 하였다.

3.2 소류력 시험 결과

다공성콘크리트 호안블록의 소류력 시험결과를 Fig. 6~8, Fig. 10, 12, 13 및 Table 4에 나타내었다. Fig. 7, 9, 11

Fig. 6

Hydraulic experiment of Case 1

JKSMI-20-122_F6.jpg
Fig. 7

Hydraulic experiment of Case 2

JKSMI-20-122_F7.jpg
Fig. 8

Hydraulic experiment of Case 3

JKSMI-20-122_F8.jpg
Table 4

Hydraulic stability experiment results

Test condition Total discharge (m3/s) Depth of flow(m) Local current velocity of flow(m/s) Mean velocity of flow (m/s) Mannings n Bed share stress (N/m2)


H1 H2 H3 H4 V1 V2 V3

Case 1 0.598 0.104 0.104 0.129 0.105 2.281 2.287 2.393 2.321 0.011 13.597
Case 2 1.194 0.172 0.162 0.197 0.146 2.818 2.580 2.807 2.735 0.012 19.383
Case 3 2.086 0.225 0.210 0.239 0.226 3.439 3.306 3.350 3.365 0.012 26.910
Case 4 2.871 0.252 0.255 0.324 0.270 3.779 3.802 3.668 3.750 0.012 31.326
Case 5 3.259 0.287 0.285 0.323 0.286 3.860 3.886 3.747 3.831 0.013 36.974
Case 6 4.534 0.348 0.339 0.387 0.361 3.898 3.861 3.869 3.876 0.014 41.427
Case 7 5.916 0.437 0.396 0.454 0.439 4.257 4.303 4.177 4.246 0.014 47.204
Fig. 9

Objective function versus mannings n

JKSMI-20-122_F9.jpg
Fig. 10

Hydraulic experiment of Case 4

JKSMI-20-122_F10.jpg
Fig. 11

Bed share stress and Mean velocity according to test case

JKSMI-20-122_F11.jpg
Fig. 12

Hydraulic experiment of Case 5

JKSMI-20-122_F12.jpg
Fig. 13

Hydraulic experiment of Case 6

JKSMI-20-122_F13.jpg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실험 Case 1의 유입 유량은 유입수조 의 수위를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 0.598 m3/s 으로 측정되었으며 유속은 좌안에서는 2.281 m/s, 중앙에서는 2.287 m/s, 우안에서 는 2.393 m/s가 측정되어 측정위치에 따라 유속이 0.006~0.112 m/s 가량 차이를 보였다. 실험 Case 2의 유입 유량은 유입수조 의 수위를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 1.194 m3/s 으로 측정되었으며 유속은 좌안에서는 2.818 m/s, 중앙에서는 2.580 m/s, 우안에서 는 2.807 m/s가 측정되어 측정위치에 따라 유속이 0.011~0.238 m/s 가량 차이를 보였다. 실험 Case 3의 유입 유량은 유입수조 의 수위를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 2.086 m3/s 으로 측정되었으 며 유속은 좌안에서는 3.439 m/s, 중앙에서는 3.306 m/s, 우안 에서는 3.350 m/s가 측정되어 측정위치에 따라 유속이 0.089~ 0.133 m/s 가량 차이를 보였다. 실험 Case 4의 유입 유량은 유 입수조의 수위를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 2.871 m3/s 으로 측정 되었으며 유속은 좌안에서는 3.779 m/s, 중앙에서는 3.802 m/s, 우안에서는 3.668 m/s가 측정되어 측정위치에 따라 유속 이 0.023~0.134 m/s 가량 차이를 보였다. 실험 Case 5의 유입 유량은 유입수조의 수위를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 3.259 m3/s 으로 측정되었으며 유속은 좌안에서는 3.860 m/s, 중앙에서 는 3.886 m/s, 우안에서는 3.747 m/s가 측정되어 측정위치에 따라 유속이 0.026~0.139 m/s 가량 차이를 보였다. 실험 Case 6의 유입 유량은 유입수조의 수위를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 4.534 m3/s 으로 측정되었으며 유속은 좌안에서는 3.898 m/s, 중앙에서는 3.861 m/s, 우안에서는 3.869 m/s가 측정되어 측정 위치에 따라 유속이 0.029~0.037 m/s 가량 차이를 보였다. 실 험 Case 7의 유입 유량은 유입수조의 수위를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 5.916 m3/s 으로 측정되었으며 유속은 좌안에서는 4.257 m/s, 중앙에서는 4.303 m/s, 우안에서는 4.177 m/s가 측정되어 측정위치에 따라 유속이 0.046~0.126 m/s 가량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이 유량 및 유속의 측정결과를 살펴보면, 유입수조 에서 측정된 유량과 블록에서의 유속 및 수심을 고려한 유량 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는 다공성콘크리트 호안블록 사이 로 흐르는 유량으로 인해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심의 경우 Fig. 3을 참고하여 보면 H1~H4 위치의 경우 측정위치에 따라 H2에서 수심이 미미하게 감소하고, H3 에서 수심의 다소 증가하며 H4지점에서 수심이 다소 감소하 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블록의 접촉전 위치인 H1에서보 다 블록의 시점위치인 H2에서 블록간의 사이 간격으로 인하 여 수심의 미미하게 감소하였고, 설치구간 10m에서 유수가 흐름에 따라 블록 상면의 요철모양으로 인해 와류가 발생하 여 블록의 종점위치인 H3위치에서는 유속이 감소하면서 수 위가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을 위해서는 시공된 호안이 하 천에서 발생하는 소류력 이상의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소류력이란 물과 접촉하는 윤변에서 흐름에 의해 발생 하는 힘, 즉 사면에서 발생하는 전단응력을 뜻한다.

따라서 소류력은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 확보에 가장 중요 한 평가 기준이 되며, ASTM 에 의하면 호안의 소류력은 다음 식 (2)에 의해 계산한다(ASTM, 2008).

(2)
T o = γ y S f

τo :

bed shear stress(N/m2)

γ :

unit weight of water(N/m3)

y :

depth of flow measured perpendicular to the bed(m)

Sf :

slope of energy grade line as defined by Eq. (3)

(3)
S fi = [ n V i K u ] 1 y 4 / 3

Sfi :

slope of energy grade line at station i(m/m)

n :

manning`s resistance coefficient

Vi :

velocity at station i(m/s)

Ku :

units conversion coefficient, equal to 1.0 for SI Units

(4)
h 2 = h 1 + 1 2 g v 1 + v 2 v 1 v 2 L 2 S f 1 S f 2

h 1, h2 :

upstream and downstream water surface elevations at stations 1 and 2(m)

v 1, v2 :

upstream and downstream velocity at stations 1 and 2 (m/s)

L :

slope length between stations 1 and 2(m)

S f1, Sf2 :

upstream and downstream energy grade slopes at stations 1 and 2 as defined by Eq. (3)

식 (2)와 같이 소류력은 물의 단위중량(9,810 N/m2)과 하상 에서의 연직방향 수심 그리고 마찰경사의 곱으로 계산된다. 마 찰경사 계산식 (3)은 2개 이상의 측점에서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계산되며, 임의의 조도계수를 가정하여 식 (3)과 (4)의 반 복계산을 통하여 식 (5)와 같이 목적함수(objective function, ξ) 가 최소가 되는 값으로 조도계수를 결정한다.

식 (2) ~ (5)를 이용하여 각 실험 Case 별로 목적함수가 최소 가 되는 조도계수를 산정하여 다음 Fig. 9에 나타내었다.

(5)
ξ = i = i 1 i n abs h pred h obs

i 1 :

beginning station for analysis

in :

ending station for analysis

hpred :

predicted water surface elevation at station i (m)

hobs :

observed water surface elevation at station i (m)

각 실험 Case 1~7까지의 결과에서 조도계수(n)는 0.011~ 0.014가 측정되었다. 기존 연구된 실규모 실험을 통한 식생호 안블록(Lee et al., 2012)의 조도계수는 0.020~0.022가 측정되 었다고 보고되었고, 식생매트(Lee et al., 2012; Rhartia et al., 2002; Kim et al., 2011)의 경우 0.014~0.018 사이의 값이 측정 되었다고 보고된 결과와 비교하여 보면 다소 낮은 조도계수 가 측정되었다. 이는 본 실험의 경우 Case 1~7번까지 실험을 수행한 결과 블록 및 기반층의 손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기 존의 연구결과는 소류력 실험 중 기반층의 유실에 따른 블록 및 매트의 변형이 발생하였고, 블록의 형상의 차이로 인하여 조도계수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각 실험 Case 별로 선정된 최적의 조도계수를 바탕으로 한 소류력 산정결과를 다음 Fig. 11에 나타내었다. 이를 고찰하 여보면 최대소류력은 실험 Case 7에서 유속 4.246 m/s에 대하 여 47.204 N/m2 이 발생하였으나 각 Case에 따른 실험에서 다 공성콘크리트 블록 및 기반층의 유실 및 손실은 관찰되지 않 았다. 본래 목적인 한계소류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블록의 파괴가 발생할 때 까지 실험을 지속하여야 하나, 블록을 설치 한 실규모 실험수로의 규모상 한계유속이 약 4.5 m/s로 제한 되어 있어 더이상의 실험이 불가능하였다.

블록의 중량 및 형상, 조성방법이 차이가 있지만 기존 실규 모 실험을 통한 호안블록의 소류력 결과값의 경우 최대 약 60 N/m2 정도로 측정된바 있고, 식생매트의 경우 최대 약 50 N/m2 로 측정된바가 있다(Lee et al., 2012). 또한 국내하천설계기준 (2009)의 호안편을 살펴보면 ‘호안의 설치위치와 연장은 하 도 내의 수리현상, 세굴, 퇴적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정하고, 소류력 또는 유속에 따라 공법을 선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 론적 계산에 의해서만 호안을 직접 설계하는 것은 현재의 기 술수준으로는 어려우며 이론의 한계를 감안하여 경험과 이론 의 양면에서 고려하여 설계한다.’라고만 제시하고 있으며, 하 천공사설계실무요령(2009)에는 호안의 설치기준에서 하도 의 분류별 수리특성에 대해서만 제시하고 있다. 제시된 하도 별 수리특성을 Table 5에 나타내었다. 이를 고찰하여 보면 본 실험에서 도출된 소류력(47.204 N/m2 )은 준완류부에서의 소 류력 범위에 해당하며, 준급류부 및 급류부에서의 설치는 불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 블록과 부직포, 기반층의 손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은 것을 생각하여보면 50 N/m2 이상의 소류력에서 충분히 저항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으며, 추후 환경조건을 조정하여 블록의 한계소류력 의 측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able 5

Hydraulic characteristics by Stream channel classification

Stream channel Velocity of flow (m/s) River slope Bed share stress (N/m2)

Fast stream 3.0 or more 1/200 or more 67 or more
Semi-fast stream 2.0 ~ 3.0 1/200 ~ 1/1000 50 ~ 67
Semi-slow stream 1.0 ~ 2.0 1/1000 ~ /2000 30 ~ 50
Slow stream 0 ~ 1.0 0 ~ 1/2000 0 ~ 33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콘크리트 호안블록의 수리안정성 평 가를 위하여 다공성콘크리트 호안블록을 제조하고, 이를 실 규모의 인공하천수로에 설치하여 유속에 따른 소류력을 평가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다공성콘크리트 호안블록의 공극률 및 압축강도 특성 평 가 결과, 실측공극률은 8.1~11.9% 범위를 나타내 평균 약 10.1%의 공극률을 나타내었다. 목표공극률을 10%로 설정 한 것과 비교하면 실측공극률과 목표공극률이 거의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의 경우 16.6~23.2 MPa 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평균 19.5 MPa로 측정되었다. 이는 다공성호안블록의 압축강도 기준인 13~16 MPa 이상을 만 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 다공성콘크리트 호안블록의 수리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실 규모의 인공하천수로에서 유량 및 유속에 따른 7가지 실험 조건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유입수조의 위어에서 측정한 유량과 해당 블록설치구간에서의 수심과 수위를 측정하여 계산한 유량과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블록의 설치 구간에서 블록간 사이로 흐르는 유량에 기인한 것으로 판 단된다.

  • 3) 또한, 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속도 증가하였으며, 위치에 따 른 유속의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심의 경우 블록 종점부에서 블록의 형상으로 인한 와류발생으 로 유속이 감소하면서 수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종점부를 지난 후에는 다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4) ASTM D 7276-08 기준에 따라 조도계수를 산정한 결과 각 실험조건에 따라 약 0.011~0.014의 값이 측정되었으며, 기 존 발표된 연구결과의 경우 호안블록의 조도계수는 0.020~ 0.022, 식생매트의 경우 0.014~0.018 사이의 값이 측정되었 음을 고려하여 보면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 연구결 과가 블록 및 식생매트의 손상과 블록의 형상 차이로 인해 조도계수값이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 5) 각 실험조건에 따른 소류력을 산정한 결과, 발생 유속 2.321~4.246 m/s에 대하여 소류력은 13.597~47.204 N/m2 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의 한계소류력은 47.204 N/m2으로, 하천설계실무요령에서 제시된 하도별 수리특 성과 비교하여 보면 완류부 또는 준완류부의 소류력 범위 에 해당되어, 준급류부 또는 급류부의 발생소류력 보다는 낮은 값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실험결과, 블록 및 기반 층의 유실이나 손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기존 선행연 구를 참고하여 볼때 그 이상의 소류력에도 저항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추정하여 볼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실험조건 등을 조정하여 실질적인 한계소류력 측정을 위한 실험을 다시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 물관리연구사업인 자연과 인간이 공 존하는 생태하천 조성기술개발 연구단(GREEN RIVER)(12 기술혁신CO2)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 되었습니다.

References

1 
(1984), Guide for Selecting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s for Natural Channels and Flood Plain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23-39.
2 
(2005), Direct Measurements of Vegetation Resistance in Prototype Scale,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43(5), 481-487.
3 
(2006), Standard Guide fo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est Data for Articulating Concrete Block (ACB) Revetment Systems in Open Channel Flow, D 7276-06, ASTM International USA
4 
(2008), Standard Test Method for Performance Testing of Articulating Concrete Block(ACB) Revetment Systems for Hydraulic Stability in Open Channel Flow, D7277-08, ASTM International USA
5 
(2002), A technical and economic evaluation of geosynthetic rolled erosion control products in highway drainage channels, Geosynthetics International, 9(2), 125-148.
6 
(2005), Development of Porous Concrete Blocks and Their Applicability Experiment for the Environment Favorable Consolidation of Rivers and Channels, 185-188.
7 
(2012), Concrete Blocks for Retaining Wall and Revetment, 1-14.
8 
(2007), A Study on the Hydraulic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of Close-to-Nature River Revetment with Vegetation, 1-4.
9 
(2011),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plift Capacity of Anchor Pin for Fixing the Vegetation Mat, 2011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319-324.
10 
(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Technique for Revetment for Nature-Friendly River Improvemen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0(12), 1007-1014.
11 
(2015), Comparison of Critical Tractive Forces for Application of Soil Improvement Material to Bank Revetment Work,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31(2), 65-73.
12 
(2012), Development of River Management Techniques for Harmonizing Nature with the Human, 188
13 
(2012), A Real Scale Experimental Study for Evaluation of Permissible Shear Stresses on Vegetation Ma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3(12), 6151-6158.
14 
(1976), No-Fines Concrete It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Journal of ACI, 73(11), 628-644.
15 
(2009), River Construction Design Standard, MOLIT Korea
16 
(2009), Standard River Design, MOLIT Korea
17 
(2010), A Study on the seawater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permeable concrete using recycled aggregate,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54, 658-665.
18 
(2007),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New Vegetation Revetment Techniques Considering Safety against Flood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0(2), 125-134.
19 
(2012), Study on a Kind of Eco-concrete Retaining Wall's Block With Water Purification Function, Procedia Engineering, 28, 182-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