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TDFA, 내구성, 플라이애쉬, 작업성, 탄산화저항성, 염해저항성
TDFA(Tire Derived Fuel Ash), Durability, Fly ash, Workability, Carbonation resistance, Chloride resistance

1. 서 론

콘크리트는 경제적이고 내구적인 건설재료로서 꾸준히 사 용되어 왔다. 그러나 사용기간의 증가에 따른 내구성 문제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재료, 설계, 시공분야에 따라 진행 중이다(Song et al., 2005; Broomfield, 1997). 특히 혼화재료의 사용은 산업 부산물의 재활용 뿐 아니 라 콘크리트의 내구 성능을 개선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혼화재로는 플라이애시(FA: Fly Ash), 고로슬래그 미분말(GGBFS: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실리 카퓸(SF: Silica Fume) 등이 있다. 최근 들어서 왕겨재(RHA: Rice Husk Ash)등 도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혼화재료는 초 기재령 거동의 안정성 및 장기적인 내구성 확보 등에 기여하 고 있다(Ramznianpour et al., 2009; Rukzon et al., 2009).

일반적으로 FA를 혼입한 콘크리트는 유동성의 확보(Kim and Lee, 2014), 장기 염해저항성 증가(Saraswathy et al., 2003), 건조수축의 감소(Yoo et al., 2013) 등의 다양한 공학적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HVFAC(High Volume Fly Ash Concrete)와 같이 50%이상의 치환률을 가지는 대단위 치환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GGBFS 콘크 리트 역시 장기강도의 개선, 황산 저항성의 증가 등의 공학적 장점이 있으며, 공극구조 개선과 흡착을 통하여 염화물 침투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Kwon et al., 2009; Maekawa et al., 2003; Neville, 1995). 최근 들어 개별 난방 및 공장의 에너지 공급을 위해 유연탄과 타이어 조각을 같이 소각하여 열효율 을 높이게 된다. 이때 발생된 재를 TDFA(Tire-Derived Fuel Ash)라고 하는데 국내에서는 건설재료로 시도된 적이 없는 산업부산물이다. 국외에서도 TDFA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 적인데, 고분말을 가지고 있으므로 강도 개선과 염해저항성 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Al-Akhras and Smadi, 2004). 그 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아연의 영향으로 지연현상이 보고되 었으며, 잔골재 치환을 10%이상 TDFA로 할 경우 내구성 지 수를 60이상 확보하지 못하였다(Al-Akhras and Smadi, 2004).

본 연구에서는 2종 FA를 20%치환한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FA를 최대 12%까지 TDFA로 치환하면서 기초적인 공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TDFA를 활용한 건설재료 적용성에 대한 연구이며, 이후 장 기거동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될 예정이다.

2. TDFA 제조

TDFA는 폐타이어 시편(30~50 mm)을 기타 화력발전 생산 재료와 소각하여 나온 부산물이다. 최저 발열량이 약 8,000 kcal/kg 으로써 유연탄(약 6,200 kcal/kg)보다 높은 효율성을 나타낸다. 주연료원으로는 석탄, 목재 칩(WCF: Wood Clip Fuel) 및 타 이어 칩이며 주연료원 투입, 보일러, 집진 및 필터 처리의 과정 을 거치면서 TDFA를 수급할 수 있다. 국내 K사 열병합발전소 의 TDFA 발생 과정 및 TDF의 사진을 Fig. 1에 나타내었다.

Fig. 1.

Process of TDFA generation

JKSMI-20-1_F1.jpg

3. TDFA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평가를 위한 실험계획

3.1. 실험의 개요

본 실험은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을 평가를 주목적으로 한다. 평가항목으로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거동 평가를 위해 공기량, 슬럼프, 응결시간, 플로 우 시험을 실시하였다. 굳은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역학적 성 능 평가를 위해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 시험을 실시하였 다. 내구성 평가를 위해서는 재령 28일 시편에 대하여 촉진염 해, 촉진탄산화, 동결융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Table 1에 본 연 구를 위한 시험항목을 나타내었다.

Table 1

List of test for TDFA-based concrete and mortar

List Examinations Standards

Fresh concrete Performance Air amount KS F 2421
Slump KS F 2402
Setting time KS L 5108
Flow test KS F 5105

Mechanical Performance Compressive strength KS F 2405
Tensile strength KS F 2423
Flexural strength KS F 2408

Durability Performance Accelerated diffusion test Tang's method
Accelerated carbonation test KS F 2584
Freeze/ Thawing test KS F 2456

본 실험을 위해 실린더 공시체는 100 × 200 mm, 휨시험 공 시체는 75 × 75 × 405 mm의 동결융해 몰드로 각각 제작하였 다. 시편들은 24시간 기건 양생 후 탈형 하였고, 이후 수중양 생을 28일간 실시하였다. Fig. 2에서는 공시체의 사진을, Fig. 3에서는 각 시험에 따른 진행 사진을 나타내고 있다.

Fig. 2.

Various concrete specimens with FA and TDFA

JKSMI-20-1_F2.jpg
Fig. 3.

Photos for compressive,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 test

JKSMI-20-1_F3.jpg

3.2. 배합특성

본 실험의 배합은 배합강도 24 MPa로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와 2종 FA를 사용하였다. 물-바인더비(w/b: water to binder)를 0.5로 고정하였으며, FA를 20%치환한 배합에 대 하여 TDFA를 3%씩 중량 치환하여 최대 12%까지 혼입하였 다. 또한 기본적인 OPC(Ordinary Portland Cement) 콘크리트 의 특성을 알기위해 FA가 치환되지 않은 배합을 기본으로 고 려하였다.

Table 2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배합표를, Table 3에서는 잔 골재 및 굵은 골재의 물리적 특성을, Table 4에서는 TDFA의 화학적 조성을 OPC, FA, GGBFS와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한 편 Table 2의 배합에서 FaTb 표시는 FA a%, TDFA b%를 중량 비로 나타낸 것이다. F8T12는 OPC 중 FA를 20% 치환하고 그 20%에 대해서 12%는 TDFA를 혼입한 배합을 의미한다.

Table 2

Mixture proportions

Case w/b W(kg/m3) C(kg/m3) FA(kg/m3) TDFA(kg/m3) S(kg/m3) G(kg/m3) AE(kg/m3)
OPC 0.5 175 350 0 0 876 893 1.23
F20T0 280 70 0 865 882 1.23
F17T3 59.5 10.5 864 881 1.23
F14T6 49.0 21.0 864 880 1.23
F11T9 38.5 31.5 863 879 2.45+SP0.175
F8T12 28.0 42.0 847 863 2.45+SP0.175

[i] S: Sand, G: Gravel, AE: Air Entainer, SP: Super-plasticizer

Table 3

Physical properties of fine and coarse aggregate

Item Gmax (mm) Specific gravity (g/cm3) Absorption (%) F.M.
Types

Fine aggregate - 2.60 1.00 2.70
Coarse aggregate 25 2.62 0.78 6.78

[i] F.M.: Fineness Modulus

TDFA의 분말도가 시멘트보다 크고 비중이 1.95~2.10으로 낮으므로 치환률의 증가에 따라 워커빌리티가 낮아지게 된다 (Jung and Kwon, 2013). 따라서 TDFA 혼입율 6%이상의 배합 에서는 공기연행제제의 혼입량을 늘리고 추가적인 SP제를 혼입해 워커빌리티를 개선하여 배합을 실시하였다. 본 배합 의 목표슬럼프와 공기량은 각각 180 mm와 4 ± 1.0%로 설정하 였다.

Table 4에서 TDFA의 SiO2는 FA의 50%수준이고 GGBFS 와는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CaO는 수산화칼슘을 직접 생성하는 화합물인데, TDFA의 CaO가 OPC에 비해서는 50% 수준이지만 GGBFS의 60%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황이 온이 5배 이상이므로 다량 치환시 에트린자이트의 생성을 통 해 이상 팽창을 보일 우려가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도 알 수 있 듯이 TDFA는 5,000 cm2/g이상의 고분말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로 충진효과를 통한 강도증가 및 공극구조 개선 등을 기대 할 수 있다(Al-Akhras and Smadi, 2004).

Table 4

Chemical compositions for OPC, GGBFS, FA and TDFA

Types SiO2 Al2O3 CaO SO3 Blaine (cm2/g)

OPC 21.96 5.27 63.41 1.96 3,214
FA 55.66 27.76 2.70 0.49 3,621
GGBFS 32.74 13.23 44.14 1.84 4,340
TDFA 27.5 6.49 24.6 5.14 5,200

4. TDFA 콘크리트의 특성 평가

4.1. TDFA를 혼입한 굳지 않는 콘크리트의 특성

4.1.1. 슬럼프 시험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KS F 2402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슬럼프는 TDFA 혼입 율이 증가함에 따라 165 mm(OPC)에서 85 mm(F14T6)로 크 게 감소하였다. 이후 워커빌리트의 확보를 위해 AE제를 2배 로, 고성능 감수제(SP: Super plasticizer)제를 결합재 중량의 0.175%추가하였다. 추가적인 혼화제의 영향으로 TDFA 혼입 율 9%, 12%에서는 각 205 mm, 200 mm로 슬럼프가 개선되어 목표 슬럼프 수준을 만족하였다. TDFA 혼입율 3%대비 6%에 서 약 43%의 급격한 슬럼프의 감소를 보였는데 원인은 미립 분양의 증가로 인한 자유수 감소이다. OPC 보다 F20T0에서 슬럼프가 약 8%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FA의 볼 베어링 효과로 FA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대표적인 공학적 장점중 하나이다(Neville, 1995; RILEM 1998). Fig. 4에서는 슬럼프 실험결과를 도시하였다.

Fig. 4.

Slump in TDFA and FA concrete

JKSMI-20-1_F4.jpg

4.1.2. 공기량 시험

공기량은 동결융해 작용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최 근 들어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Koh et al., 2001). KS F 2421에 따라 압력법으로 공기량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추가 적인 혼화제의 영향으로 TDFA 혼입율 9%, 12%에서 공기량 이 개선되었다. TDFA의 치환율이 증가할 경우 공기량은 급 속하게 감소하는데, 이는 비표면적이 큰 TDFA의 첨가가 연 행공기 공극을 감소시키고 워커빌리티의 감소로 판단된다. Fig. 5에서는 공기량 실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 5.

Air content in TDFA and FA concrete

JKSMI-20-1_F5.jpg

4.1.3. 응결시험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응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KS L 5108에 따라 비카트 침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응결시간은 TDFA의 응결성을 독립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기 존배합이 아닌 표준반죽질기를 측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는 데, Table 5는 표준반죽질기 배합을 나타낸다. TDFA 혼입율 3%까지는 초결 및 종결시간이 FA의 영향으로 OPC 대비 약 18%씩 지연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후 배합에서는 TDFA 혼입율이 증가함에 따라 충진효과가 커져서 초결시간이 단축 되고 있다.

Table 5

Mortar mixture for setting time

Case OPC F20T0 F17T3 F14T6 F11T9 F8T12

W(g) 124.0 155.0 150.0 157.5 157.5 160.0
C(g)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FA(g) 0 100 85 70 55 40
TDFA(g) 0 0 15 30 45 60

초결시간은 변동 폭이 크지만 종결시간에는 큰 차이가 없 었는데, 이는 시멘트 수화에 따른 강도발현은 OPC량이 지배 적이기 때문이다. 초결시간은 혼입된 재료의 흡수율과 밀접 한 관계가 있는데, 비중이 낮은 TDFA 미립분을 많이 포함한 배합에서 초결시간의 단축은 빈번하게 발생한다(Jung and Kwon, 2013; Lee et al., 2011). Fig. 6에서는 응결시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 6.

Setting time of TDFA mortar

JKSMI-20-1_F6.jpg

4.1.4. 플로우 시험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플로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KS L 5105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플로우 시험도 응결시 간 시험과 마찬가지로 TDFA의 흐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멘트 510 g, 표준사 1,250 g, W/C 48.5%의 조건에서 FA와 TDFA의 혼입율을 가감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TDFA 혼입 율이 증가함에 따라 OPC 배합의 기준 지름 대비 234 mm에서 F8T12배합의 190 mm로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앞서 언급한 TDFA 미립분양의 증가로 인한 자유수 감소이다. Fig. 7에서 는 각 배합의 플로우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7.

Flow test results in TDFA mortar

JKSMI-20-1_F7.jpg

4.2.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거동평가

4.2.1. 압축강도 평가

압축강도시험은 KS F 2405에 따라 수행하였는데, 각 공시 체는 목표재령일인 7일, 28일까지 수중양생 후 본 실험을 진 행하였다. 각 배합별로 3회씩 강도측정을 실시해 평균값을 사 용하였으며, Table 6 및 Fig. 8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6

Results of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Age(day) Average compressive strength(MPa)

OPC F20T0 F17T3 F14T6 F11T9 F8T12

7 23.8 18.2 16.7 17.1 18.7 16.8
28 31.2 26.3 27.5 28.4 26.5 26.9
Fig. 8.

Compressive strength of TDFA concrete with TDFA ratio

JKSMI-20-1_F8.jpg

재령과 TDFA 혼입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는 경 향을 나타내었다. 그 중 TDFA 혼입율 6%에서 OPC 대비 약 91%인 28.4 MPa을 나타내었는데, 다른 배합에 비하여 공기 량이 감소하여 콘크리트가 밀실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OPC 를 제외한 재령 28일 시편에서는 압축강도의 큰 차이가 발생 하지 않았다.

4.2.2. 인장강도 및 휨강도

인장강도시험은 KS F 2423에 따라 수행하였는데, 양생기 간 및 조건은 압축강도 시험과 동일하다. Table 7에 인장 및 휨 강도 평가 결과 값을 나타내었고 이를 Fig. 9에 도시하였다. 압 축강도와 마찬가지로 TDFA 혼입율 6%에서 가장 높은 인장 강도가 발현되었으며, 압축강도 발현특성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Table 7

Results of average tensile strength

Age(day) Average tensile strength(MPa)

OPC F20T0 F17T3 F14T6 F11T9 F8T12

7 2.1 1.8 1.6 2.0 1.7 1.9
28 2.6 2.5 2.5 2.8 2.1 2.3
Fig. 9.

Tensile strength of TDFA concrete with TDFA ratio

JKSMI-20-1_F9.jpg

휨강도시험은 KS F 2408의 규정을 참고하여 75 × 75 × 405 mm 빔 공시체의 지간을 300 mm로 설정하여 4점 휨시험을 수행 하였다. 그 중 TDFA 혼입율 12%에서 가장 큰 휨강도가 발현 되었으나 TDFA 혼입율 6%의 휨강도와 비교해 큰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다. Fig. 10에서는 휨강도 시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강도특성에서는 TDFA 혼입율 6~12%수준에서는 모든 강 도값이 FA 20%배합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ig. 10.

Average flexural strength of TDFA concrete with TDFA ratio

JKSMI-20-1_F10.jpg

4.3.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내구특성

4.3.1. 탄산화 시험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탄산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KS F 2584에 따라 재령 28일 시편을 상대습도 60%, 온도 20°C, 이산화탄소 5%의 조건하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기간 은 2주, 4주로 하여 각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탄산화 침투깊 이는 TDFA 혼입율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시편에서 침투깊이 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FA배합을 기본으로 하여 포졸란 반응 에 따른 수산화칼슘의 감소가 원인이다(Kwon and Song 2010; Kobayashi and Uno, 1990). TDFA 혼입율 6%이후 탄산화 깊 이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FA에 의한 수산화칼슘 의 소모량이 감소하고 TDFA의 미립분이 이산화탄소의 유입 을 일부 차단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탄산화 거동에 대해서는 초기재령에서의 OPC에서 생성되는 수산화칼슘량, TDFA 미 립분의 충진에 의한 이산화탄소 확산계수 저감, FA기반 포졸 란 반응으로 소모되는 수산화칼슘량 등으로 매우 복잡한 거 동이 발생하게 되므로 초기재령에서는 명확한 경향을 파악하 기 어려웠다.

Table 8 및 Fig. 11에서는 2주, 4주간의 탄산화 실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12에서는 4주 시험후의 탄산화 깊이를 각 배 합에 따라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Table 8

Results of average carbonation depths

Weeks Average Carbonation depths(mm)

OPC F20T0 F17T3 F14T6 F11T9 F8T12

2 1.84 5.86 7.85 4..47 4.71 4.84
4 4.16 9.16 10.54 7.06 8.62 8.63
Fig. 11.

Carbonation depths of TDFA concrete

JKSMI-20-1_F11.jpg
Fig. 12.

Carbonation depth after 4 weeks under carbonation test

JKSMI-20-1_F12.jpg

4.3.2. 촉진염해 시험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저항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Tang's method에 따라 비정상상태의 염화물 촉진시험을 수행한 뒤, 확산계수를 도출하였다(Tang, 1996). 재령 28일의 원주형 공시체를 50 mm두께로 절단하여 24시간동안 증류수 에 침지시킨 후 음극 셀에 0.5 M NaCl수용액을 양극 셀에 0.3 M NaOH수용액을 채워 30 V의 전압을 8시간동안 인가함으로서 염화물 침투를 촉진시켰다. Fig. 13에서는 확산계수 실험결과 를 나타내고 있다.

Fig. 13.

Diffusion coefficient of TDFA concrete

JKSMI-20-1_F13.jpg

4.3.3. 동결융해 시험

TDFA 혼입한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KS F 2456에 따라 재령 28일 시편에 대하여 수중 급속 동결융해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TDFA 혼입율 6%의 내구성지수가 다른 배합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공 기량이 가장 적게 확보되었고 연행공기량을 위한 AE제의 혼 입량이 매우 적었기 때문이다. 또한 TDFA 혼입율 9%에서도 낮은 내구성 지수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시편의 제조 시 다짐 이 불충분 하였으며, TDFA의 변동성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 Fig. 14에서는 Cycle에 대한 내구성 지수를 나타내었다.

Fig. 14.

Durability factor of TDFA concrete

JKSMI-20-1_F14.jpg

5. 결 론

TDFA를 혼입한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평가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험에서는 TDFA 혼입율 6%이후 에 급격한 워커빌리티의 감소가 있었는데, 비중이 낮은 TDFA의 높은 분말도가 주원인이었다.

  • 2) TDFA 혼입율 6%에서 압축강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 나, 충분한 공기연행을 하지 못하여 150 Cycle이후 60이하 로 내구성 지수가 감소하였다. 공기량을 확보한 TDFA 혼 입율 9~12%수준까지는 준수한 압축강도 증가를 나타내 었다. 또한 초기재령에도 불구하고 염화물 확산계수 및 탄 산화 저항성이 FA 20% 치환 배합보다 우수하게 평가되었 는데, 이는 TDFA를 적절히 혼입시킴으로서 내구성 및 강 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3) TDFA의 사용성은 공기량 및 워커빌리티의 확보만 가능 하면 12%수준까지 사용하는 것은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지만 20%이상 다량 치환할 경우 팽창성과 동결융 해 저항성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TDFA 의 충진효과 이외에도 포졸란 반응에 의한 수화물 여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SEM 또는 XRD의 미세분 석실험을 통한 정량화가 필요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호남권 생태산업단지(EIP) 구축사업을 수행된 것이며 저자는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2004), Properties of Tire Rubber Ash Mortar,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26, 821-826.
2 
(1997),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 Understanding, Investigation and Repair, 1-15.
3 
(2002), Durability Evaluation of Concrete using Fly Ash,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755-760.
4 
(2013), Engineering Properties of Cement Mortar with Pond Ash in South Korea as Construction Materials: from Waste to Concrete, Central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3(3), 522-533.
5 
(2014), A Study on the Concrete Durability by Fly Ash Replacement Rati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10(4), 566-571.
6 
(1990), Mechanism of Carbonation of Concrete, Concrete Library of JSCE, 16(12), 139-151.
7 
(2001), A Compound Deterioration Assessment of Concrete Subjected to Freezing and Thawing and Chloride Attack,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3(4), 397-405.
8 
(2007), Method of test for slump of concrete, 1-12.
9 
(2010),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1-3.
10 
(2015),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strength of concrete, 1-3.
11 
(2011), Standard test method for air content of fresh concrete by the pressure method, 1-7.
12 
(2011), Standard test method for splitting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1-3.
13 
(2013), Standard test method for resistence of cencrete to rapid freezing and thawing, 1-10.
14 
(2015), Standard test method for accelerated carbonation of concrete, 1-4.
15 
(2015), Standard test method for slump flow of fresh cencrete, 1-3.
16 
(2012), Testing method for setting time of hydraulic cement ny vicat needle, 1-6.
17 
(2010), Analysis of Carbonation Behavior in Concrete using Neural Network Algorithm and Carbonation Modeling,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40(1), 119-127.
18 
(2009), Service Life Prediction of Concrete Wharves with Early-Aged Crack: Probabilistic Approach for Chloride Diffusion, Structural Safety, 31(1), 75-83.
19 
(2011), Evaluation for Properties of Domestic Pond Ash Aggregate and Durability Performance in Pond Ash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3(3), 311-320.
20 
(2003), Multi-Scale Modeling of Concrete Performance Integrated Material and Structural Mechanics, Journal of Advanced Concrete Technology, 1(2), 91-126.
21 
(1995), Properties of concrete, 23-58.
22 
(2009), The Effect of Rice Husk Ash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Sustainable Concr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7(2), 83-91.
23 
(2009), Effect of Grinding o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Rice Husk Ash, International Journal of Minerals, Metallurgy and Materials, 16(2), 242-247.
24 
(2003), Electrochemical Studies on the Corrosion Performance of Activated Fly Ash Blended Cements, Materials Engineering, 14(3), 261-284.
25 
(1996), Durability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 Report of RILEM Technical Committee 130-CSL, 28-52.
26 
(2005), A Study on Analytical Technique of Chloride Diffusi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Mixture Design for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Mineral Admix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5(1A), 213-223.
27 
(1996), Electrically Accelerated Methods for Determining Chloride Diffusivity in Concrete-Current Development,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48(176), 173-179.
28 
(1999), Modeling Chloride Diffusion in Concrete: Effect of Fly Ash and Slag,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9(4), 487-495.
29 
(2013), Analysis Technique for Flexural Behavior in RC Beam Considering Autogenous Shrinkage Effect,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47, 560-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