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선반 스크랩 보강 시멘트 복합체(LSRCCs), 플레인 모르타르, 작업성, 압축 강도, 휨 강도
Lathe scrap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LSRCCs), Plain mortar, Workability,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1. 서 론

건설 산업에서의 콘크리트는 강도 발현성, 성형성 및 경제 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건설 공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구조물이 대형화·고층 화·장대화 됨에 따라 현재까지 콘크리트에 대한 수요가 지속 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Im et al., 1999; Park et al., 2015). 이같이 콘크리트는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건설재료 로 사용되고 있으나, 높은 압축강도와는 달리 낮은 인장강도 와 전단강도 및 휨강도를 가지며 균열에 대한 저항 능력이 작 아, 갑작스런 파괴를 일으키는 취성파괴(brittle failure)의 문 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고강도 콘크리트 일수록 두드러지 게 나타난다(Bae et al., 2014; Kim et al., 2013; Yang, 2010).

이러한 콘크리트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하여 1980년대부터 강섬유 및 유기섬유 등을 보강한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 발히 진행되었으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연성 및 휨인성 등 이 크게 개선되는 결과를 가져왔다(Granju and Balouch, 2005; Mangat and Gurusamy, 1987).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콘크 리트의 취성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콘크리트 체적의 약 1% 정도의 강섬유를 혼입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휨강도, 휨 인성 및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미국을 비 롯한 기술 선진국을 중심으로 우수성을 인정받아 다양한 구 조물에 적용되어 왔다(Kim and Choi, 2006; Kim et al., 2016; Sim and Lee, 1996). 유기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섬유 자체의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는 낮지만 휨거동, 균열에 대한 저항성, 충격 저항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부식의 우려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Jeon and Jeon, 2014; Jeon et al., 2015; Park et al., 2008). 그러나, 이러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나 유 기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제조단가가 고가이므로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Ha et al., 2010).

한편, 강 스크랩(steel scrap)은 강재 생산 및 가공 과정에서 발 생된 부산물로, KS D 2101(2011)에 따라 생철 스크랩, 노폐 스 크랩, 선반 스크랩 및 가공 스크랩으로 분류되는데, 이 중 선반 스크랩(lathe Scrap)은 금속의 선반 및 밀링 작업 시 발생되며, 가 격이 기존의 강섬유보다 훨씬 저렴하고 원재료와 성분이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이를 사용한 선반 스크랩 보강 시멘트 복합체 (lathe scrap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LSRCCs)는 기 존의 강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와 거의 유사한 성능을 유지하 면서 경제성은 대폭 향상될 것으로 예측된다(Bdour and Al-Khalayleh, 2010; Murali et al, 2012; Vijayakumar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제조시 강섬유 대 신에 선반 스크랩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금속 가공 공장으로부터 3종류의 선반 스크랩을 채취하여 폭 2 mm, 길 이 40 mm로 가공한 후 이들을 사용한 선반 스크랩 보강 시멘 트 복합체를 제작하여 이들의 작업성 및 강도 특성을 플레인 모르타르와 비교․평가하고자 한다.

2. 실험 개요

2.1. 사용 재료

LSRCCs를 제작하기 위하여 시멘트는 시중에서 구입한 H 사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고, 잔골재는 경북 안 동에서 생산된 낙동강산 하천사를 이용하였으며, 이들의 물 리적 성질은 Tables 12와 같다. 선반 스크랩 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유동성 조절을 위한 화학 혼화제는 고강도 및 유동 화 콘크리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S사의 폴리카르본산계의 고성능 감수제(Superplasticizer, SP; 비중 : 1.05)를 사용하였 다. LSRCCs에 혼입된 선반 스크랩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림로에 위치한 기계 가공공장 밀집지역에서 3종류의 선반 스크랩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선반 스크랩의 규격은 기존의 연구(Kwon et al., 2015)를 참고하여 폭 2 mm, 길이 40 mm로 절단하여 Fig. 1과 같이 시료를 준비하였으며, 기본 물성은 Table 3와 같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

Specific gravity Setting time (min) Blaine (m2/kg) Compressive strength (MPa)
Initial Final 3 Days 7 Days 28 Days

3.14 250 370 329 34.0 44.1 56.9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fine aggregate

Specimen Density (g/cm3) Absorption (%) Unit mass (kg/m3) Amount of passing 0.08mm sieve (%) Fineness modulus

River snad (Nakdong-river) 2.58 1.47 1,597 2.2 2.43
Fig. 1

Lathe scraps chopped

JKSMI-20-40_F1.jpg
Table 3

Physical properties of lathe scrap

Specimen Width (mm) Length (mm) Density (g/cm3) Tensile strength of parent metal (MPa)

SM45C 2 40 7.58 471
SS440 7.48 520~550
SCM440 7.39 890

2.2. 실험 방법

2.2.1. 공시체 제작

LSRCCs를 제작하기 위하여 Table 4와 같이 물-결합재비 (W/B)는 30% 및 40%로 설정하였고, 선반 스크랩의 혼입율은 시멘트 복합체 체적의 1.5%, 목표 플로값은 210±20 mm로 설 정하였다. LSRCCs의 작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물-결합재 비가 40%인 경우는 유동성이 양호하여 고성능 감수제를 첨가 하지 않았고, 물-결합재비가 30%인 경우는 고성능 감수제 첨 가량을 시멘트 질량의 0.5%로 고정하였으며, KS L 5105(2012) 에 따라 Fig. 2와 같이 플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KS L ISO 679(2011)에 따라 압축 및 휨강도 시험용 각주형 공시체 (40×40×160 mm)를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공시체는 성형 후 24시간 경과하여 몰드를 제거한 후 강도시험 전까지 20±3℃ 의 온도로 습윤양생하였다.

Table 4

Mix proportions of LSRCCs

W/B(%) Specimens Lathe scrap content of total volume (%) Target flow (mm) Unit mass (kg/m3) SP (C×wt. %)

Water Cement Fine aggregate

30 Plain - 210±20 300 990 990 0.5
A (SM45C) 1.5
B (SS400)
C (SCM440)

40 Plain - 210±20 360 900 900 -
A (SM45C) 1.5
B (SS400)
C (SCM440)
Fig. 2

Flow test of LSRCCs

JKSMI-20-40_F2.jpg

2.2.2. 압축강도 시험

선반 스크랩의 종류에 따른 LSRCCs의 압축강도 특성을 평 가하기 위하여 KS L ISO 679에 따라 재령 7일 및 28일 압축강 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2.2.3. 휨강도 시험

선반 스크랩의 종류에 따른 LSRCCs의 휨강도 특성을 평가 하기 위하여 KS L ISO 679에 따라 재령 7일 및 28일 휨강도 시 험을 수행하였다.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LSRCCs의 작업성

Figs. 3~4은 선반 스크랩의 종류에 따른 LSRCCs의 플로값 을 나타낸 것으로, 물-결합재비가 30%인 경우 혼화제의 첨가 량을 시멘트 질량의 0.5%로 고정하였을 때 LSRCCs의 플로 값은 플레인 모르타르보다 다소 저하되나, 목표 플로값을 만 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경우의 작업성은 플레인 모르타르 보다 크게 저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물-결합재비 가 40%인 경우의 LSRCCs의 플로값은 고성능 감수제를 첨가 하지 않아도 목표 플로값을 만족하고, 플레인 모르타르의 플로 값과 거의 유사하여 LSRCCs의 작업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 나, 물-결합재비가 클수록 작업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3

Flow values of LSRCCs(W/B=30%)

JKSMI-20-40_F3.jpg
Fig. 4

Flow values of LSRCCs(W/B=40%)

JKSMI-20-40_F4.jpg

3.2. LSRCCs의 압축강도

Figs. 5~6은 LSRCCs의 재령 7일 및 28일 압축강도를 나타 낸 것으로, LSRCCs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선반 스크랩의 종류에 관계 없이 플레인 모르타르보다 다소 증진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즉, 물-결합재비가 30%인 경우, 선반 스크랩 종 류에 따른 LSRCCs의 압축강도는 A, B, C 각각의 경우 플레인 모르타르의 1.09배, 1.14배, 1.16배로 나타났으며, 물-결합재 비가 40%인 경우, A, B, C 각각의 경우 플레인 모르타르의 1.02배, 1.11배, 1.15배로 나타나, 선반스크랩의 종류가 LSRCCs의 압축강도에 다소 영향을 미치며, 스크랩 모재의 인장강도가 클수록 LSRCCs의 압축강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SRCCs의 압축강도는 물-결합재비가 작을 수록 플레인 모르타르보다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5

Compressive strength of LSRCCs(W/B=30%)

JKSMI-20-40_F5.jpg
Fig. 6

Compressive strength of LSRCCs(W/B=40%)

JKSMI-20-40_F6.jpg

3.3. LSRCCs의 휨강도

Figs. 7~8은 LSRCCs의 재령 7일 및 28일 휨강도를 나타낸 것으로, LSRCCs의 재령 28일 휨강도는 선반 스크랩의 종류 에 관계 없이 플레인 모르타르보다 크게 증진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즉, 물-결합재비가 30%인 경우, 선반 스크랩의 종류 에 따른 LSRCCs의 휨강도는 A, B, C 각각의 경우 플레인 모 르타르의 1.49배, 2.05배, 2.28배로 나타났으며, 물-결합재비 가 40%인 경우, A, B, C 각각의 경우 플레인 모르타르의 1.84 배, 2.31배, 2.55배로 나타나, 선반 스크랩의 종류가 LSRCCs 의 휨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스크랩 모재의 인장강도가 클수록 LSRCCs의 휨강도도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LSRCCs의 휨강도는 압축강도의 경우와는 다르게 물- 결합재비가 클수록 플레인 모르타르보다 크게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Fig. 7

Flexural strength of LSRCCs(W/B=30%)

JKSMI-20-40_F7.jpg
Fig. 8

Flexural strength of LSRCCs(W/B=40%)

JKSMI-20-40_F8.jpg

4. 결 론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제작시 각 강섬유 대체재료로서 선반 스크랩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선반 스크랩 종 류에 따라 LSRCCs를 제작하여 이들의 작업성,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평가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1) LSRCCs의 작업성은 플레인 모르타르보다 다소 저하되 나, 목표 플로값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작업성은 대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결합재비가 클 수록 작업성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 LSRCCs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선반 스크랩의 종류에 관계 없이 플레인 모르타르보다 다소 증진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물-결합재비가 30%인 경우, 선반 스크랩 종류 에 따른 LSRCCs의 압축강도는 A, B, C 각각의 경우 플레 인 모르타르의 1.09배, 1.14배, 1.16배, 물-결합재비가 40% 인 경우, A, B, C 각각의 경우 플레인 모르타르의 1.02배, 1.11배, 1.15배로 나타나, 선반 스크랩의 종류가 LSRCCs 의 압축강도에 다소 영향을 미치며, 스크랩 모재의 인장강 도가 클수록 LSRCCs의 압축강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 3) LSRCCs의 재령 28일 휨강도는 선반 스크랩의 종류에 관 계 없이 플레인 모르타르보다 크게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물-결합재비가 30%인 경우, 선반 스크랩 종류에 따른 LSRCCs의 휨강도는 A, B, C 각각의 경우 플레인 모 르타르의 1.49배, 2.05배, 2.28배, 물-결합재비가 40%인 경 우, A, B, C 각각의 경우 플레인 모르타르의 1.84배, 2.31 배, 2.55배로 나타나, 선반 스크랩의 종류가 LSRCCs의 휨 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스크랩 모재의 인장강도가 클 수록 LSRCCs의 휨강도도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4)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 LSRCCs의 휨강도는 플레인 모르 타르보다 1.49배∼2.55배까지 크게 증가하나,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는 휨강도보다 휨인성 및 연성 개선 목적으 로 활용되므로 추후 이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국토교통부 건설기술연구사업 방호·방폭 연구 단(과제번호 : 13건설연구S02)의 연구지원에 의해 수행되었 습니다.

References

1 
(2014),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Lathe Scrap for Manufacturing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Journal of the Korean of Disaster Information, 10(3), 432-441.
2 
(2010), Innovative application of scrap-tire steel cords in concrete mixes, Jord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4(1), 55-61.
3 
(2005), Corrosion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from the crack,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5, 572-577.
4 
(2010), Experimental Study on Blast Resistance Improvement of RC Panels by FRP Retrofitting,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2(1), 93-102.
5 
(1999), The Experimental Study on Strength Property on concrete using Blast Furnace Slag Aggregat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5(6), 87-94.
6 
(2014), A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Behavior of Bandle Type Polyamide Fiber Reinforced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10(1), 61-70.
7 
(2015), Flex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Organic Fiber Reinforced Concrete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Blast Resistance, Proceedings of Korea Concrete Institute, 27(1), 437-438.
8 
(2013), The Mechanical and Chloride Penetration Properties of Concrete Mixed with Various Fiber,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9(11), 45-52.
9 
(2016), Material Properti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n Flexure of Steel Fiber-Reinforced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8(2), 177-185.
10 
(2006),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Properties of Slurry Infiltrated Fiber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8(5), 703-708.
11 
(2011), Classification standard for iron and steel scraps
12 
(2012), Testing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hydraulic cement mortars
13 
(2006), Methods of testing cements-Determination of strength
14 
(2015), Influence of Measurements Lathe Scrap on the Characteristics of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6(2), 70-76.
15 
(1987), Long-term properties of steel fiber reinforced marine concrete, Materials and Structures, 20, 273-782.
16 
(2010),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fibre reinforced concrete using waste mate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and Applications, 2(2), 278-283.
17 
(2008), Basic Characteristic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Mixing Organic Fiber,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8(1), 87-91.
18 
(2015), Effect of Silica Fume Typ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Journal of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 Institute, 3(3), 220-227.
19 
(1996), Mechanical Properties and Research Trends in Structural Application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8(4), 28-38.
20 
(2012), Impact and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lathe scrap reinforced concrete, International Journal of Structural and Civil Engineering Research, 1(1), 1-6.
21 
(2010), Slump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ybrid Steel-PVA Fiber Reinforced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2(5), 651-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