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의철
(Eui-Chul Hwang)
1
김규용
(Gyu-Yong Kim)
2*
최경철
(Gyeong-Cheol Choe)
3
윤민호
(Min-Ho Yoon)
3
이보경
(Bo-Kyeong Lee)
3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콘크리트 변형모델, 열팽창 변형, 응력-변형, 크리프 변형, 과도 변형
Key words
Concrete strain model, Thermal strain, Stress-strain, Creep strain, Transient strain
1. 서 론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일반강도 콘크리트에 비해 결합재 양 이 매우 많고, 콘크리트 내부조직구조가 치밀하며, 화재 시 폭 렬 및 급격한 내력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초 고 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는 실제부재 실험을 실 시하여 내화 성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Kalifa et al., 2000).
그러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부재 실험에는 재하 능력이 큰 실험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관한 연구보고 가 매우 적은 실정이다. 이에 선행
연구들은 축소 모형에 의한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 성능을 해 석 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Anderberg들은 네 가지 변형 구성 요소 모델을 식 (1) 과 같이 제시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가장 이상적인 모델로서 사용되고 있다(Anderberg et al., 1976).
where,
-
εtot : total strain
-
εth : thermal strain
-
εσ : stress-strain
-
εcr : creep strain
-
εtr : transient strain
한편, 이러한 모델은 Anderberg 및 Thelandersson의 이론적 연구와 Lin, Ellingwood 및 Piet의 실험 결과를 적용한
것이며 (Anderberg et al., 1976; Lin et al., 1879), 현 단계에서 사용량 이 증가하고 있는 100MPa 이상의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고온 변형 특성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 할 필요가 있다(Hideki et al., 2007; Yamamoto et al.,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압축 강도 80, 130 및 180MPa의 초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하여 Anderberg의 모델(Anderberg et al., 1976)에서 사용하는 네 가지 변형 특 성을 실험적으로 평 가했다. 또한 이 실험 값을 이용하여 각각의 변형 모델에 적용 할 수 있는 상수를 검토하고,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 조 부재의 변형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2. 실험 계획 및 방법
2.1. 실험계획 및 콘크리트 배합
본 연구의 실험 계획을 Table 1에, 사용 재료의 물리적 특성 을 Table 2에, 콘크리트의 배합을 Table 3에 나타냈다. 실험은 W/B 20.0, 14.5, 12.5%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였고, 가열 시의 하중 재하 조건은 비 재하 및 콘크리트의
최대 압축 응력의 0.25배(0.25 fcu) 및 최대 압축 응력의 0.40배(0.40 fcu) 의 3가지로 설정했다. 목표 가열 온도는 20, 100,
200, 300, 500, 700°C로 설정했다. 평가 항목은 열팽창 변형, 응력-변형, 크리프 변형, 과도 변형 및 전체 변형이며, 측정된 값을
Table 4의 콘크리트 변형 모델과 비교․검토했다.
Table 1
Fck
|
Heating Method (°C/min)
|
Load (Xㆍfcu)
|
Heating temp. (°C)
|
Test item
|
|
80
|
1
|
0
|
20
|
-
Stress-strain
-
Creep strain
-
Thermal strain
-
Transient creep strain
-
Total strain
|
100
|
130
|
0.25
|
200
|
300
|
180
|
0.40
|
500
|
700
|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used material
Material
|
Physical properties
|
Cement
|
OPC (density: 3.15 g/cm3, specific surface area: 3,200 cm2/g)
|
Blast furnace slag powder
|
Density: 2.9 g/cm3, specific surface area: 6,000 cm2/g
|
Silica fume
|
Density: 2.5 g/cm3, specific surface area: 200,000 cm2/g
|
Fly ash
|
Density: 2.2 g/cm3, specific surface area: 3,000 cm2/g
|
Gypsum
|
Density: 2.9 g/cm3, specific surface area: 3,550 cm2/g
|
Coarse agg.
|
Crushed granitic aggregate (size: 13 mm, density: 2.7 g/cm3, absorption: 0.9% )
|
Fine agg.
|
Sea sand (density: 2.65 g/cm3, absorption: 1.0%)
|
Super plasticizer
|
Polycarboxylic-based super plasticizer
|
Table 3
Fck
|
W/B (%)
|
Slump -flow (mm)
|
Air (%)
|
S/a (%)
|
Unit weight(kg/m3)
|
W
|
C
|
BFS
|
FA
|
SF
|
Gy
|
S
|
G
|
80
|
20.0
|
750 ± 100
|
2±1
|
43
|
150
|
525
|
0
|
150
|
75
|
0
|
644
|
870
|
120
|
14.5
|
35
|
150
|
652
|
207
|
0
|
124
|
52
|
448
|
848
|
180
|
12.5
|
35
|
150
|
660
|
240
|
0
|
240
|
60
|
389
|
736
|
Table 4
Thermal strain
|
|
a, b, c, d, e : constant
|
|
Stress strain
|
|
σ : calculated stress (MPa)
|
εσ : measured stress (MPa)
|
σu, T : ultimate stress at current Temp.(T)(MPa)
|
εcl : peak strain at ultimate stress at Temp.
|
n : constant that determines gradient of curve
|
|
Creep strain
|
|
f : creep strain at 180min.
|
g : constant
|
t : time (min.)
|
|
Transient strain
|
|
σ : stress (MPa)
|
σu, 20°C : stress at room Temp.(MPa)
|
k : constant
|
2.2. 시험체의 제작 및 양생방법
고온 변형 특성을 평가한 시험체는「KS F 2403 콘크리트의 강 도 시험용 시험체 제작 방법」에 준하여 ∅100 × 200mm의 원주형 시험체로 제작했다. 시험체의 양생은 콘크리트 재령 24시간에서 탈 형하고 28일 표준 수중 양생을 실시한
후, 온도 20 ± 2°C, 상대 습도 60 ± 5%의 항온 항습실에서 재령 300일까지 기건 양생을 실시했다. 가열 전의 콘크리트 시험체의 함수율은
2.5~3.0% 수준이었다.
2.3. 실험방법
2.1.1. 가열장치 및 방법
본 실험에서 사용한 시험 장치를 Fig. 1에 나타냈다. 시험 장 치는 2000 kN 급 재하 장치에 전기 가열로를 설치하여 재하 및 가열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열 중
시험체의 변형은 위․ 아래 가력 지그의 중심에 설치 한 ∅10 mm의 석영관 과 외부에 설치한 변위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Fig. 1
Heating machine and method of strain measurement
가열 방법은 Fig. 2에 나타낸 것처럼 위․아래의 가력 지그 를 RILEM에서 제안하고 있는 1°C/min의 속도로 가열하여 시 험체에 열을 전달하는 간접 가열 방식을
채용했다. 이는 가열 중 시험체 내․외부의 온도차를 5°C이하로 유지시키며 시험 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Fig. 2
Heating method and temperature of concrete
2.1.2. 변형평가방법
Fig. 3에 가열․재하 시 콘크리트의 변형 거동의 개요도를 나타냈다. 열팽창 변형은 비 재하․ 가열 상태에서 발생하는 변형, 전체 변형은 재하․가열 상태에서
발생하는 변형, 크리 프 변형은 하중 재하 후 목표 온도까지 가열하고, 목표 온도 도 달 시간부터 300분 동안의 변형이라고 평가했다 .
Fig. 3
Evaluation method of strain properties of concrete
3. 실험 결과 및 고찰
3.1. 열팽창 변형
Fig. 4에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열팽창 변형을 나타냈다. 콘 크리트의 압축 강도에 관계없이 650°C까지 가열 온도가 높아 질수록 열팽창 변형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가열 온도 650°C이상에서 팽창 변형하는 경향이 작아졌으며, 700°C에 서 열팽창 변형은 0.0097을 나타냈다.
Fig. 4
Thermal strain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이러한 경향은 ECCS(ECCS-Technical Committee 3, 2001) 의 결과와 유사한 경 향이지만, 본 실험에서 얻어진 값은 ECCS 에서 나타내는 700°C의 변형인 0.014의 값보다 작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고온에서 수축하는 결합재의 양이 매우 많기 때문에 열팽창 변형이 작게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실험에서 검토 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압축 강 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열팽창 변형 거동을 나타내며, 이는 콘크 리트의 열팽창 변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굵은 골재를 모두 같은 것을 사용 한 것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한편, 180MPa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가열 온도 280°C에서
시험체가 폭렬 파 괴되어 이후 열팽창 변형을 측정 할 수 없었다.
열팽창 변형 모델은 ECCS의 보통 강도 콘크리트의 모델인 식 (2)를 이용하여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열팽창 변형 거동을 반영하고 상수를 수정했다. ECCS 모델의 상수와 본 실험에서 수정 된 상수를 Table 5에 나타냈다.
Table 5
Constant used in thermal strain model
constant
|
a
|
b
|
c
|
d
|
e
|
this study
|
7×10-11 |
-5×10-8 |
2×10-5 |
6×10-4 |
97×10-4 |
ECCS
|
-1.8×10-4 |
0
|
9×10-6 |
2.3×10-11 |
14×10-3 |
3.2. 응력-변형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응력-변형 곡선을 Fig. 5에 나타냈다. 80, 130 MPa의 초고강도 콘크리트 시험체는 상온~300°C의 온도 범위에서 응력-변형 곡선 기울기가 크고 파괴 시 취성적 인
거동을 나타냈다. 또한 500°C에서 기울기는 작아지며, 700°C에서 파괴 시 변형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5
Stress-strain curve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180 MPa의 초고강도 콘크리트 시험체는 200°C이하의 온 도 범위에서 상온의 응력-변형 곡선과 유사한 거동을 나타냈 지만, 280°C에서 폭렬
파괴되어 300°C이상의 온도 범위에서 는 응력 - 변형 곡선을 평가 할 수 없었다.
한편, Castillo들의 연구에서는(Castillo et al., 1990) 고강도 콘크리트의 응력-변형 곡선은 보통강도 콘크리트에 비해 급 격히 최대 응력에 도달 한 후, 취성적인 파괴 거동을 나타낸다 고 보고하고 있다.
특히,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100°C까 지 탄성 재료 특성을, 200°C에서 소성 재료 특성을 보이지만,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200°C까지
탄성 재료 특성을 나타낸 다고 보고하고 있다.
반면에, 본 실험의 범위에서 검토 한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300°C까지 탄성 재료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응력-변형 곡선 의 모델은 Eurocode에서도 채용되고 있는 Popovics의 식 (3) 을 적용하여(Koji et al., 2010) 응력-변형 곡선에서의 최대 응 력 값을 압축 강도로 하여, 상온에 대한 고온 압축 강도 비 및 압축 강도 실험시의 변형 값을 사용하여 계산했다.
실험값과 계산 값의 누적 오차가 가장 작아지도록 n 값을 도출하여 Table 6에 나타냈다.
Table 6
Constant used in stress-strain model
fck |
Temp.(°C)
|
cσu, T/cσu, 20°C
|
cεcl(×10-6)
|
n
|
|
80
|
20
|
1.00
|
0.0026
|
5.45
|
100
|
0.90
|
0.0027
|
3.48
|
200
|
1.01
|
0.0028
|
6.75
|
300
|
0.88
|
0.0031
|
5.43
|
500
|
0.58
|
0.0064
|
2.89
|
700
|
0.44
|
0.0110
|
2.19
|
|
130
|
20
|
1.00
|
0.0031
|
7.46
|
100
|
0.69
|
0.0036
|
2.71
|
200
|
0.95
|
0.0040
|
5.07
|
300
|
0.92
|
0.0040
|
46.95
|
500
|
0.46
|
0.0065
|
8.97
|
700
|
0.17
|
0.0093
|
15.10
|
|
180
|
20
|
1.00
|
0.0043
|
13.82
|
100
|
0.59
|
0.0029
|
4.82
|
200
|
0.90
|
0.0038
|
4.83
|
3.3. 크리프 변형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크리프 변형을 Fig. 6에 나타냈다. 초 고강도 콘크리트의 크리프 변형은 압축강도에 관계없이 가열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Fig. 6
Creep strain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가열 온도 500°C까지의 크리프 변형은 0.002 이하의 값을 나타냈지만, 700°C에서는 크게 증가하여 500°C 크리프 변형 의 3배 이상의
값을 나타냈다. 크리프 변형 거동은 하중 재하 량이 커질수록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130 MPa의 초고강도 콘크리트 시험체의 경우에는 0.40 fcu의 하중재하 시 가열 온도 500°C이상, 180MPa의 초 고강도 콘크리트
시험체의 경우 0.25 fcu의 하중재하 시 가열 온도 500°C 이상의 범위에서 크리프 시험 중 파괴가 발생했 다. 따라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고온 및 지속 하중에 의한 파괴 현상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크리프 변형 모델은 본 실험에서 얻 어진 크리프 변형 값과 시간에 의한 경화 법칙을 적용하여 Anderberg가 제시한 식 (4)를 이용 하였다. 상수 a, b의 값은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Constant used in creep strain model
fck |
Temp.(°C)
|
Stressed condition
|
|
0.25 fcu |
0.40 fcu |
|
a
|
b
|
a
|
b
|
|
80
|
100
|
0.00025
|
0.46
|
0.00045
|
0.46
|
200
|
0.00051
|
0.46
|
0.00087
|
0.46
|
300
|
0.00071
|
0.60
|
0.00134
|
0.38
|
500
|
0.00093
|
0.46
|
0.00093
|
0.46
|
700
|
0.00290
|
0.45
|
0.00556
|
0.46
|
|
130
|
100
|
0.00060
|
0.46
|
0.00140
|
0.46
|
200
|
0.00067
|
0.46
|
0.00092
|
0.46
|
300
|
0.00082
|
0.60
|
0.00151
|
0.60
|
500
|
0.00132
|
0.41
|
-
|
-
|
700
|
0.00324
|
0.45
|
-
|
-
|
|
180
|
100
|
0.00051
|
0.46
|
0.00102
|
0.46
|
200
|
0.00041
|
0.46
|
0.00102
|
0.46
|
300
|
0.00123
|
0.46
|
0.00165
|
0.60
|
500
|
0.00128
|
0.46
|
-
|
-
|
3.4. 과도 변형
압축 응력 하에서 온도가 상승 할 때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변 형은 열팽창 변형 및 응력에 의한 탄성 변형, 크리프 변형으로 구별된다. 그러나 실제로
하중과 고온을 동시에 받은 콘크리트 의 변형은 전술 한 변형 성분보다 큰 변형을 보이게 되며, 이를 과도 변형이라고 정의한다. Fig. 7의 전체 변형에서 열팽창 변형, 응력-변형 관계, 크리프 변형을 제외하고 계산하는 식 (6)을 이 용하여 과도 변형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Fig. 8에 나타냈다.
Fig. 7
Total strain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Fig. 8
Transient strain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과도 변형은 크리프 변형과 유사한 경 향으로 가열 온도가 높아질수록 커졌다. 또한, 같은 압축 강 도 수준에서는 재하 하중이 클수록
과도 변형이 커지고, 같은 재하 하중 수준에서는 압축 강도가 클수록 과도 변형이 커지 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과도 변형은 500°C이상의 온도 범 위에서 급격히 증가한다. 이는 Ca(OH)2의 분해에 의해 시멘트 페이스트의 붕괴와 굵은 골재의 팽창 변형에 의해 콘크리트 내 부에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700°C이상의 온도
조 건에서 재하 하중을 받는 콘크리트의 경우 골재 종류에 관계없 이 파괴의 위험성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ao et al., 2013).
본 실험의 범위에서 검토한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일반강도 및 고강도 콘크리트에 비해 비교적 낮은 온도인 300°C이상에 서도 수축 파괴 현상이 보였다.
이것은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가 작고, 결합재량이 많은 초고강도 콘크리트가 재하 하중과 고온을 동시에 받는 경우, 콘크리트 매트릭스의 결속력이 약
해져 수축 변형이 갑자기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과도 변형 모델은 Anderberg가 제시 한 식 (5)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와 하중 재하 조건 에 따른 상수 k값을 Table 8에 나타냈다.
Table 8
Constant used in transient strain model
fck |
k
|
Stressed condition
|
0.25 fcu |
0.40 fcu |
80
|
6.47
|
8.35
|
130
|
8.85
|
7.70
|
180
|
8.59
|
9.93
|
4. 결 론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고온 변형 특성의 평가를 통해 기존 변형 모델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1) 고온을 받은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열팽창 변형, 응력-변 형, 크리프 변형 및 과도 변형을 평가 한 결과, 보통 강도 콘 크리트와 다른 변형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
2)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매우 낮은 가열 속도 조건에서도 폭 렬에 의한 파괴 현상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내화 성능 확 보에 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3)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변형 값과 기존의 변형 모델에서 제 안 된 값을 비교하여 누적 오차가 가장 작은 상수 값을 도 출하여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부재의 변형 해석에 필요한 고온 변형 특성 모델의 상수 값을 제시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5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 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NRF- 2015R1A2A2A01007705).
References
(1976), Stress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oncrete, 2-Experimental Investigation
and Material Behavior Model, Bulletin 54
(1990), Effect of Transient High Temperature on High-strength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81(1), 47-53.
(2001), Model Code on Fire Engineering, European Convention for Constructional Steel
Work, 47
(2004),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Part 1-2, General rules-structural fire design,
The European Standard EN1992-1-2
(2007), Seismic Behavior of 200 MPa Ultra High Strength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under Varying Axial Load, Journal of advanced concrete technology, 5(2), 193-200.
(2000), Spalling and Pore Pressure in HPC at High Temperatur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0, 1915-1927.
(2010), Experimental Study on Transient Strain of 100 N/mm2 High Strength Concrete
exposed to Fire
(1988), Flexural and Shear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during Fire Tests,
PCA R&D Serial No. 1879
(1995), Part 3-Compressive Strength for Service and Accident Conditions, Material
and structures, 28, 410-414.
(2013), Transient Strain of Self-compacting Concrete Loaded in Compression Heated
to 700°C, Materials and Structures, 191-201.
(2011), High-rise Building Operations using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with a Design
Strength of 200 Mpa, Concrete Journal, 49(8), 3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