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탄소섬유쉬트, 구속, 강도추정식, 보강효과, 응력-변형률 곡선
CFRP sheet, Confinement, Strength model, Strengthening effect, Stress-strain curve

1. 서 론

FRP(Fiber Reinforced Polymer)는 고강도, 비부식성, 경량 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재 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FRP 합성수지는 압축에 저항하는 콘 크리트 기둥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재 혹은 보나 슬래브 같이 휨 모멘트를 받는 휨 부재의 휨 또는 전단을 보강하기 위한 외 부 부착 보강재로 사용되고 있다(Kaminski and Trapko 2006; Bulavs et al., 2005).

CFRP(Carbon FRP) 쉬트는 고강도, 고강성을 가지므로 콘 크리트 기둥을 구속하여 보강하기에 매우 이상적인 재료로 주목되고 있다. CFRP 쉬트로 감싼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작용 시키면 콘크리트는 하중 축의 직각방향으로 팽창하게 되며, 콘크리트 외부를 감싼 CFRP 쉬트가 이 팽창을 구속하게 되므 로 심부 콘크리트는 3축 하중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런 상태 에서 콘크리트의 압축 성능은 구속압에 의해 큰 영향을 받게 되는데, FRP는 선형탄성 거동을 하므로 콘크리트가 횡방향으 로 팽창할수록 CFRP 쉬트에 의해 구속압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FRP 쉬트로 감싼 콘크리트 부재는 일반적으로 FRP 쉬트의 파괴강도에 도달했을 때 파괴된다(Mirmiran et al., 2000; Fam and Rizkalla 2001; Sadeghian et al., 2008).

FRP로 구속된 콘크리트에 대해 이론 및 실험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지만 대부분 원형 실험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FRP 쉬트로 감싼 각주형 부재의 보강효과와 거동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몇 가지 변수를 가 지고 실험연구를 수행하고, 실험결과와 기존 연구결과를 토 대로 정사각형 단면의 콘크리트기둥에 대한 강도추정식을 제 안하여 기존 강도추정모델과 비교평가하였다.

2. 실험계획

2.1. 실험체 및 실험변수

실험체는 Fig.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00 mm인 정사각형 단면에 높이가 200 mm인 각주형 실험체를 표준으로 사용하였으며, 각 변수별로 5개씩, 총 55개의 실험 체를 제작하여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는 CFRP 쉬트의 보강겹수, 실험체의 크기, 형상비(H/B), 모따기 크기이며, 실험변수를 Table 1에 정리하였다. 보강량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CFRP 쉬트를 1, 2, 3겹으로 보강하여 거동을 검토하였으며, 크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변의 길이가 75, 100, 125 mm로, 형상비(H/B)는 2.0, 3.0, 4.0로 변 화시켰고, 모따기의 경우 모따기 길이를 0, 15, 30, 45 mm로 변수를 두었다. 또한 Fig.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면을 원형으 로 개량하여 부재의 내력증진 및 보강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Fig. 1.

Standard test specimen

JKSMI-21-2-13_F1.jpg
Table 1.

Summary of experimental parameters

Parameters Specimen Layers Dimension (mm) H/B & Chamfering(mm)

- C0 - B=100 H/B=2.0
H=200

No. of layers C1 1 B=100 H/B=2.0 (C=3.0)
C2 2
C3 3 H=200

Specimen size C4 1 B=75 H/B=2.0 (C=3.0)
H=150
C1 B=100
H=200
C5 B=125
H=250

Aspect ratio (H/B) C4 1 B=75 H/B=2.0 (C=3.0)
H=150
C6 B=75 H/B=3.0 (C=3.0)
H=225
C7 B=75 H/B=4.0 (C=3.0)
H=300

Chamfering (C) C8 1 H/B=2.0 (C=0)
C9 B=100 H/B=2.0 (C=1.5)
C1 H=200 H/B=2.0 (C=3.0)
C10 H/B=2.0 (C=4.5)

Transformation of shape C11 1 D=141 H/D=1.4
H=200
Fig. 2.

Circular specimen transformed from square column

JKSMI-21-2-13_F2.jpg

2.2. 사용 재료

2.2.1. 콘크리트

실험체 제작에는 일반 레미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사용 된 콘크리트의 재료시험결과를 Table 2에 정리하였다.

Table 2.

Properties of concret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MPa) 27.6

Slump(cm) 9.8
Maximum size of aggregate (mm) 25
Type of cement Portland Type 1
Air content (%) 3.2

2.2.2. 탄소섬유쉬트(CFRP sheet)

본 연구에서는 일본 T사에서 제조된 FTS-C1-30을 사용하 였으며 이 쉬트는 폴리아크릴니트랄(Polyacrylonitrile, PAN) 계인 탄소섬유쉬트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많이 사 용되고 있는 제품이다. Table 3에 제조사에서 제공한 재료의 물성치를 정리하였다.

Table 3.

Properties of CFRP sheet

Model FTS-C1-30

Tensile strength (MPa) 3,480
Modulus of elasticity (MPa) 2.30×105
Thickness (mm) 0.17
Density (g/cm3) 1.82
Ultimate elongation at break(%) 1.5

2.2.3. 에폭시(Epoxy)

탄소섬유쉬트를 접착하는 데 사용된 에폭시는 S사의 Sikadur-31 제품을 사용하였다. 이 에폭시는 모체의 습윤여부에 상관없 이 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건설재료에 대한 접착력이 매우 우수하며, 고강도, 고탄성, 내마모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으 로 알려져 있다. Table 4에 에폭시의 물성을 정리하였다.

Table 4.

Properties of epoxy resin

Model Sikadur-31

Tensile strength (MPa, 14-day) 25
Bond strength (MPa, 14-day) 16.8
Modulus of elasticity (MPa, 7-day) 2,689.7

2.3. 시험 장치 및 측정 데이타

실험은 M사에서 제작한 압축강도시험기, MT-150AC(1,470 kN)를 사용하였으며, Photo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험체를 설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시 측정한 데이터는 축방 향 하중과 변위, 실험체 중앙에서의 종,횡 변형률을 측정하였 으며, 데이터 수집은 M사의 동적변형률측정기(MDS16)를 사 용하였다.

Photo 1.

Overall view of test set-up

JKSMI-21-2-13_P1.jpg

3. 실험 결과 및 분석

CFRP 쉬트로 보강한 각주형 실험체에 대하여 일축압축시 험을 수행한 결과 Table 5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Table 5에는 각 실험체 및 변수별 최대하중(1st peak), 압축강도, 강도비를 정리하였다.

Table 5.

Summary of experimental test results

Parameter Specimen 1st peak load (kN) UCS(MPa) fcc'/fco'

Each Ave. Each Ave.

Unconfined C0 1 284.50 276.20 28.45 27.62 1.03
2 266.81 26.68 0.97
3 276.90 27.69 1.00
4 282.98 28.30 1.02
5 269.83 26.98 0.98

No. of layers 1 C1 1 360.71 354.57 36.08 35.46 1.31
2 359.07 35.91 1.30
3 345.26 34.53 1.25
4 350.36 35.04 1.27
5 357.48 35.75 1.29

2 C2 1 384.01 374.72 38.41 37.48 1.39
2 368.50 36.86 1.33
3 379.51 37.96 1.37
4 374.81 37.49 1.36
5 366.78 36.68 1.33

3 C3 1 413.14 393.92 41.32 39.40 1.50
2 410.14 41.02 1.49
3 371.24 37.13 1.34
4 398.65 39.87 1.44
5 376.41 37.65 1.36

Specimen size 150/75 C4 1 248.98 255.75 44.28 45.48 1.60
2 256.60 45.63 1.65
3 263.89 46.93 1.70
4 249.82 44.43 1.61
5 259.48 46.15 1.67

200/100 C1 1 360.71 354.57 36.08 35.46 1.31
2 359.07 35.91 1.30
3 345.26 34.53 1.25
4 350.36 35.04 1.27
5 357.48 35.75 1.29

250/125 C5 1 426.20 441.19 27.28 28.24 0.99
2 445.34 28.51 1.03
3 446.96 28.61 1.04
4 448.94 28.74 1.04
5 438.49 28.07 1.02

Aspect ratio (H/B) 2 (150/75) C4 1 248.98 255.75 44.28 45.48 1.60
2 256.60 45.63 1.65
3 263.89 46.93 1.70
4 249.82 44.43 1.61
5 259.48 46.15 1.67

3 (225/75) C6 1 278.45 272.93 49.52 48.54 1.79
2 277.33 49.32 1.79
3 264.58 47.05 1.70
4 270.18 48.05 1.74
5 274.12 48.75 1.76

4 (300/75) C7 1 257.89 262.05 45.86 46.60 1.66
2 262.92 46.76 1.69
3 265.27 47.17 1.71
4 263.10 46.79 1.69
5 261.09 46.43 1.68

Chamfering C=0 C8 1 325.98 327.43 32.60 32.74 1.18
2 338.08 33.81 1.22
3 317.23 31.72 1.15
4 334.64 33.46 1.21
5 321.9 32.12 1.16

C=1.5 C9 1 383.40 380.38 38.34 38.04 1.39
2 366.81 36.68 1.33
3 388.22 38.82 1.41
4 379.60 37.96 1.37
5 383.84 38.39 1.39

C=3.0 C1 1 360.71 354.57 36.08 35.46 1.31
2 359.07 35.91 1.30
3 345.26 34.53 1.25
4 350.36 35.04 1.27
5 357.48 35.75 1.29

C=4.5 C10 1 347.05 358.39 34.72 35.85 1.23
2 364.01 36.42 1.32
3 362.47 36.26 1.31
4 363.61 36.38 1.32
5 354.79 35.49 1.29

Transformation of shape C11 1 672.97 623.54 43.12 39.95 1.56
2 621.03 39.79 1.44
3 596.53 38.22 1.38
4 607.11 38.90 1.41
5 620.09 39.73 1.44

3.1. 보강 겹수에 따른 영향

CFRP 쉬트의 겹수에 따른 보강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쉬 트를 1겹(C1), 2겹(C2), 3겹(C3)으로 보강하여 압축강도시험 을 수행하고, 무보강 실험체(C0)와 비교하였다. Photo 2는 파 괴된 실험체의 변수별 사진을 나타내고 있는데, 심부 콘크리 트가 실험체의 상하단에서 심하게 으스러져 있고, 콘크리트 를 감싸던 CFRP 쉬트는 실험체의 모서리부분에서 인장파단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hoto 2.

Failure modes of specimen C1, C2, and C3

JKSMI-21-2-13_P2.jpg

Fig. 3은 변수별 응력-변형률 선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보 강 겹수가 증가함에 따라 1차 파괴응력(1st peak)과 변형률이 증가하고 있고, 쉬트로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1차 파괴 이후 큰 변형을 보이다 최종 파괴되었다. 이는 콘크리트의 변형한 계에서 심부 콘크리트의 파괴에 의한 1차 파괴를 보이고, 그 후 CFRP쉬트의 구속력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다가 쉬트의 구 속한계에서 최종적으로 파괴되므로 이러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쉬트 1겹으로 보강한 C1실험체의 경우에는 1차 파괴 응력보다 낮은 응력에서 파괴되었으나 2~3겹으로 보강한 C2, C3 실험체는 1차 파괴응력보다 큰 응력에서 파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1실험체는 무보강실험체 대비 극한변형률이 약 10배 증가하여 부재의 연성이 매우 크게 증가하며, 보강겹 수의 증가에 따라 극한변형률 또한 함께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 3.

Stress-strain curves for different number of layer

JKSMI-21-2-13_F3.jpg

CFRP 쉬트의 보강 겹수에 대한 보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하 여 보강 겹수에 대한 강도비(Strengthening ratio, fcc/fco)를 Fig. 4에 나타내었다. CFRP 쉬트 보강 겹수의 증가에 따라 1 차 파괴응력(1st peak)은 증가폭이 크게 감소하지만, 극한응 력의 경우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CFRP 쉬트의 고탄성적 특성으로 인해 보강 겹수가 증가함에 따라 횡구속압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이로 인해 압축강도 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강 겹수에 대한 1차 파괴강 도비와 극한강도비를 회귀분석한 결과를 식 (1)과 (2)에 나타 내었으며, 본 실험결과에서 결정계수(R2)가 0.93, 0.91로 높 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Fig. 4.

Strengthening effect of number of layer

JKSMI-21-2-13_F4.jpg
(1)
f cc y f co = - 0.056 n 2 + 0.308 n + 1 R 2 = 0.93
(2)
f cc u f co = 0.316 n + 1 R 2 = 0.91

여기서, n은 보강재의 겹수이다.

3.2. 실험체의 크기의 영향

실험체의 크기에 따른 보강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실험체의 폭(B)을 75, 100, 125 mm로 변화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형 상비(H/B)는 2.0으로 고정하였으며, CFRP 쉬트는 모두 1겹 으로 보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Photo 3은 실험체의 파괴 형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Fig. 5는 변수별 응력-변형률 선도를 보여주고 있다. 실험체 모두 1차 파괴 이후 연성 구간을 길게 나타내다 파괴되었으며, 실험체의 폭이 커질 수록 최대응력 은 작아졌고, 최대변형를 또한 감소하였다. Fig. 6은 폭에 대 한 강도비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험 구간에서 실험체의 폭이 증가함에 따라 보강효과는 감소하였으며, 식(3)은 폭에 대한 강도비를 회귀분석한 결과로, 결정계수 R2이 0.99로 실험한 범위 내에서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Photo 3.

Failure modes of specimen C4, C1, and C5

JKSMI-21-2-13_P3.jpg
Fig. 5.

Stress-strain curves for different specimen size

JKSMI-21-2-13_F5.jpg
Fig. 6.

Strengthening effect of specimen size

JKSMI-21-2-13_F6.jpg
(3)
f cc f co = 91.66 B - 0.93 R 2 = 0.99 75 B 125

여기서, B는 실험체의 폭이며, 단위는 mm이다.

3.3. 형상비 영향

실험체의 형상비(H/B)에 따른 보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하 여 동일한 직경(75 mm)에서 형상비를 2, 3, 4로 변화시켜 보강 효과를 비교하였다. Fig. 7은 C4, C6, C7 실험체의 응력-변형 률 곡선을 나타낸 것으로, 형상비의 변화에 따라 최대 응력에 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최대 변형률은 급격히 감소하여 연성 구간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험체에 축하중 작 용시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는데 실험체의 높이가 낮을 때에 는 그 영향범위가 실험체에 전체적으로 작용하게 되나 높이 가 높아짐에 따라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면서 변형 구간이 짧 아지므로 실험체 전체적인 연성구간이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 다. Photo 4는 파괴된 실험체를 나타낸 것으로 C4 실험체의 경 우 실험체 절반 이상이 파괴되었으나 C6, C7 실험체는 단부 에서만 파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8은 형상비에 따른 보강비를 나타낸 것으로 형상비의 차이는 보강비에 큰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7.

Stress-strain curves for defferent aspect ratio

JKSMI-21-2-13_F7.jpg
Photo 4.

Failure modes of specimen C4, C6, and C7

JKSMI-21-2-13_P4.jpg
Fig. 8.

Strengthening effect of aspect ratio

JKSMI-21-2-13_F8.jpg

3.4. 모따기의 영향

모따기가 보강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모따 기 길이(C)를 0~4.5 mm 범위에서 1.5 mm간격으로 변화시켜 결과를 비교하였다. Fig. 9는 변수별 응력-변형률 곡선을 나타 낸 것으로 모따기를 하지 않은 C8실험체의 최대응력이 가장 낮은 값을 보이고 있으나 최대변형률은 가장 큰 값을 보이고 있다. 최대응력이 가장 낮고 변형률이 큰 것은 콘크리트를 쉬 트로 감쌀 때에 모따기가 되지 않은 모서리 부분에서 쉬트가 콘크리트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공간이 발생하여 쉬트의 구속효과가 충분히 나타나기 전에 콘크리트가 파괴되어 가장 낮은 응력값을 보이고 있으며, 콘크리트와 쉬트 사이의 공간 을 채우는 과정에서 축방향 변형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10은 모따기의 크기에 따른 보강비를 나타낸 것으로 모따기가 된 C9, C1, C10 실험체의 보강비는 모따기 가 없는 C8 실험체보다 약간 크게 나타나지만 본 실험 범위에 서 모따기의 길이는 보강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hoto 5는 변수별 실험체의 파괴형상을 나타낸 것 이며, 실험체의 모서리 부분에서 쉬트의 파단으로 인해 파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9.

Stress-strain curves for different chamfering length

JKSMI-21-2-13_F9.jpg
Fig. 10.

Strengthening effect of the chamfering ratio

JKSMI-21-2-13_F10.jpg
Photo 5.

Failure modes of specimen C8, C9, and C10

JKSMI-21-2-13_P5.jpg

3.5. 형상 변경 효과

각주형 기둥을 원형 단면으로 변형한 후 보강효과를 확인 하기 위하여 실험체를 Fig. 2와 같이 단면형상을 변형시켜 실 험을 수행하였다. Fig.11은 기준 실험체와 단면형상 변형 실 험체의 응력-변형률 선도를 나타낸 것으로 단면을 변형한 경 우, 무보강실험체 대비 압축강도는 약 127%, 극한변형률은 약 280% 증가하였다. Fig. 12는 사각형 단면에 CFRP 쉬트로 보강한 경우(C1)와 원형으로 변형하여 보강한 경우(C11)의 보강효과를 비교한 것으로 원형으로 단면을 변형하였을 때 압축내력이 약 98% 더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1.

Stress-strain curves for transformed circular shape

JKSMI-21-2-13_F11.jpg
Fig. 12.

Strengthening effect of transformed circular shape

JKSMI-21-2-13_F12.jpg

4. 강도 추정 모델

횡구속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은 많 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제안되어져 왔으며, Richart et al.(1928)가 제안한 형태(식 (4))의 모델로 많이 제안되어 왔 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에 구속압에 의한 영향을 더하여 구 속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추정하는 것으로 모델이 단순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다.

(4)
f cc f co = 1 + k 1 f l f co

여기서, fcc′ : 구속된 콘크리트 압축강도, fco′ : 무보강 콘크 리트 압축강도, fl : 횡구속압, k1 : 횡구속유효계수

위 모델은 Fig.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FRP 인장강도에 의 한 횡구속압(fl)은 구속된 콘크리트의 포아송효과에 의한 팽 창응력과 같다는 가정 하에 제시되었으며, 횡구속압은 식 (5) 와 같이 정리된다(Moon et al., 2015).

Fig. 13.

Confining action of FRP composite(Moon et al., 2015)

JKSMI-21-2-13_F13.jpg
(5)
f l = 2 f frp t D

여기서, ffrp : FRP의 인장강도, t : FRP의 두께, D : FRP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직경 또는 폭

그러나 사각형 단면의 구속력은 원형 단면과 달리 Fig. 14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서리에 집중되며 그림과 같은 유효구 속면적을 갖게 된다. 따라서 단면 전체에 고르게 구속효과가 나타나는 원형 단면 보다 낮은 구속효과를 나타내며, 구속압 (fl)은 유효면적을 고려하기 위한 구속유효단면계수 ke를 적 용하여 유효구속압(fl′)을 계산한다. 따라서 사각형 단면에 대 한 강도추정식은 다음 식 (6)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 14.

Effectively confined core for square sections(Benzaid and Mesbah, 2013)

JKSMI-21-2-13_F14.jpg
(6)
f cc f co = 1 + k 1 k e f l f co

Table 6은 식 (6)을 기본 형태로 하여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 된 횡구속유효계수와 구속유효단면계수 값을 정리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한 실험결과와 기존에 수행된 연구결과(Park, 2001; Shin et al., 1996; Yeh and Chang, 2004; Benzaid and Mesbah, 2013; Modarelli et al., 2005; Campione and Miraglia, 2003; Demers and Neale, 1994; Rochette, 1996; Rochette and Labossiere, 2000; Harajli et al., 2006; Lam and Teng, 2003; Rousakis et al., 2007; Masia et al., 2004; Wang and Wu, 2008; Wu and Wei, 2010; Shehata et al., 2002; Ilki and Kumbasar, 2003; Al-salloum, 2007; Tao et al., 2008), 총 222개의 데이터 를 기반으로 각주형기둥의 횡구속에 따른 강도추정모델을 제 안하고, 기존 제안식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Table 6.

Strength models for FRP confined concrete

Model k1 ke
Campione and Miraglia (2003) 2.0 0.33
Benzaid and Mesbah (2013) 1.6 0.36
Li et al. (2015) 4.6 b h 1.7 1 - b h h - 2 r 2 + b h b - 2 r 2 3 A g - ρ s 1 - ρ s
GB50367 (2006) 4.0 1 - b - 2 r 2 + h - 2 r 2 3 A g 1 - ρ s
ACI 440 (2008) 3.135 b h 2 1 - b h h - 2 r 2 + h b b - 2 r 2 3 A g - ρ s 1 - ρ s

[i] where, b and h are width and length of the rectangular section

GB50367(2006), ACI 440(2008) 및 Li et al.(2015)이 제안 한 구속유효단면계수는 정사각형 단면에 대해서 식 (7)과 같 이 정리되며, 본 연구에서는 이 값을 사용하여 사각형 단면의 유효구속압(f′l)을 결정하여 강도추정에 사용하였다.

(7)
k e = 1 - 2 3 b - 2 r 2 A g 1 - ρ s

Fig. 15는 본 실험결과를 비롯한 기존 연구결과의 구속압비 에 대한 강도비를 도식한 것으로 구속압비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비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y축 절편을 1로 하는 선형 관계에 대하여 회귀분석한 결과는 식 (8)과 같으며, 결정계수 (R2)가 0.61로 나타났다.

Fig. 15.

Strengthening ratio vs. confinement ratio

JKSMI-21-2-13_F15.jpg
(8)
f cc f co = 1 + 1.80 f l f co R 2 = 0.61

Fig. 16은 기존 모델과 제안된 모델을 이용하여 이론적 값 을 추정한 결과를 실험결과와 함께 도식한 것이다. 그림에 나 타난 것과 같이 Campione and Miraglia(2003)Benzaid and Mesbah(2013)의 모델은 강도값을 과소추정하고 있으며, Li et al.(2015)은 과대추정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설계기준으 로 사용 중인 GB50367(2006)은 Li et al.(2015)와 비슷한 경향 을 나타내고 있으며, ACI440(2008)은 실험값과 비교적 유사 하게 추정하고 있으나 실험보다 강도를 크게 추정하고 있으 므로 설계시 안전율을 고려하는데 유의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반면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모델은 상대적으로 강도를 정확하게 추정하고 있으며, 강도비가 2.0 이상의 경우에는 실 험값의 하한치로 추정하고 있어 안전측의 값을 계산할 수 있다.

Fig. 16.

Performance of each model

JKSMI-21-2-13_F16.jpg

Table 7은 실험값에 대한 각 모델별 추정값의 비에 대해 통 계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ampione and Miraglia(2003)Benzaid and Mesbah(2013)은 강도비 평균이 각각 0.91, 0.88로 강도를 과소추정하고 있고, Li et al.(2015), GB50367(2006)ACI440(2008)은 각각 1.56, 1.45, 1.29로 강도를 과대추정 하고 있다. ACI440(2008)이 다른 모델에 비해 비교적 실험치 와 유사하게 추정하고 있으나 값을 과대추정하고 있어 설계 시 사용하기에는 다소 부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의 강도비 평균은 1.04이며, 변동계수도 17.4%로 비교한 모델들 중에 실험값과 가장 유사하게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CFRP 쉬트로 횡구속된 정사각형 콘크리트 기둥의 강 도 추정에 있어서는 본고에서 제안한 강도추정모델을 사용하 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Table 7.

Statistical performance of strength models for FRP-confined concrete as assessed by data set

Model Predicted f'cc to test ratio

Average Standard devia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

Campione and Miraglia(2003) 0.910 0.188 20.7
Benzaid and Mesbah(2013) 0.884 0.184 20.8
Li et al.(2015) 1.561 0.360 23.0
GB50367 (2006) 1.450 0.315 21.7
ACI 440 (2008) 1.289 0.255 19.7
Proposed model 1.042 0.181 17.4

[i] Number of datapoints = 222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CFRP 쉬트로 횡구속된 사각형 콘크리트 압축 실험체에 대하여 보강 겹수, 실험체의 크기, 형상비, 모따기를 변 화시켜 실험한 결과를 분석하고, 실험결과와 기존 연구결과를 기 반으로 강도추정모델을 비교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CFRP 쉬트로 횡구속된 콘크리트의 압축성능은 쉬트의 구 속효과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보강겹수에 따라 압축 내력 향상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나, 실험체의 크기가 커짐에 따 라 구속효과는 감소되어 보강효과가 감소되었다.

  2. 보강된 사각형 실험체는 CFRP 쉬트의 구속효과에 의하여 모서리 부분의 콘크리트 균열 이후 큰 내부 변형을 일으켜 실험체의 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3. 실험체의 형상비(H/B)는 보강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 하였으나, 형상비의 증가에 따라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고 변형구간의 감소로 인하여 연성구간이 감소되었으며, 모 따기로 인해 보강효과가 나타났으나, 본 실험에서 모따기 의 길이 변화는 보강효과에 큰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4. 사각형단면을 원형으로 변환하여 CFRP 쉬트로 횡구속시 킨 결과, 강도와 연성 모두 크게 향상되었으며, 본 연구에 서 강도는 약 130%, 연성은 약 280% 증가되었다.

  5. 본 연구 결과와 기존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CFRP 쉬트로 구속된 정사각형 단면의 콘크리트 기둥의 강도추정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f cc f co = 1 + 1.8 f l f co

  6. 기존 강도추정모델을 비교한 결과, Campione and Miraglia(2003)Benzaid and Mesbah(2013)은 강도값을 과소추정하고 있 고, Li et al.(2015), GB50367(2006)ACI440(2008)은 과대 추정하고 있으며, 제안모델이 가장 유사하게 강도를 추정 하므로 강도 추정시 제안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2년도 산업통상자원부의재원으로 한국에너 지기술평가원(KETEP) 풍력특성화대학원 인력양성사업(과 제번호:20094020200020)과 환경부 재원으로 제주녹색환경 지원센터 2016년도 연구개발사업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1 
(2007), Influence of Edge Sharpness on the Strength of Square Concrete Columns Confined with FRP Composite Laminates,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38(5), 640-650.
2 
(2008),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Externally Bonded FRP Systems for Strengthening Concrete Structures, Reported by ACI Committee 440
3 
(2013), Circular and Square Concrete Columns Externally Confined by CFRP Composite: Experimental Investigation and Effective Strength Models, Fiber Reinforced Polymers-The Technology Applied for Concrete Repair, InTech, 167-201.
4 
(2005), Improvement of capacity in bending by the use of FRP layers on RC beams,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and Management, 11(3), 169-174.
5 
(2003), Strength and Strain Capacities of Concrete Compression Members Reinforced with FRP, Cement & Concrete Composites, 25(1), 31-41.
6 
(1994), Strengthening of Concrete Columns with Unidirectional Composite Sheets, 895-905.
7 
(2001), Confinement Model for Axially Loaded Concrete Confined by Circular Fiber-reinforced Polymer Tubes, ACI Structural Journal, 98(4), 451-461.
8 
(2006), Stress-Strain Model for Fiber-Reinforced Polymer Jacketed Concrete Columns, Structural Journal, 103(5), 672-682.
9 
(2003), Compressive Behaviour of Carbon Fibre Composite Jacketed Concrete with Circular and Non-circular Cross-sections,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7(3), 381-406.
10 
(2006), Experimental Behaviour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Models Strengthened by CFRP Materials,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2), 109-115.
11 
(2006), Strengthening Effect and Failure Mode of Rectangular Concrete Column Confined with CFRP Sheet, Ph.M.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Google Search
12 
(2003), Design-oriented Stress-strain Model for FRP-confined Concrete in Rectangular Columns, Journal of Reinforced Plastics and Composites, 22(13), 1149-1186.
13 
(2004), Size Effects in Axially Loaded Squaresection Concrete Prisms Strengthened Using Carbon Fibre Reinforced Polymer Wrapping,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31(1), 1-13.
14 
(2000), Nonlinear Finite Element Modeling of Concrete Confined by Fiber Composites, Finite Element in Analysis and Design, 35(1), 79-96.
15 
(2005), FRP-Confinement of Hollow Concrete Cylinders and Prisms, 2, 1029-1046.
16 
(2015), Strengthening Effect of Axial Circular Concrete Members Wrapped by CFRP shee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9(5), 10-21.
17 
(2006), Design Code for Strengthening Concrete Structure(GB50367-2006)
18 
(2001), The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Confinement Effect of Concrete Specimens with Carbon Fiber Sheet, Ph.M.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In Korean)Google Search
19 
(1996), Confinement de Colonnes Courtes en Béton de Section Carrée ou Rectangulaire avec des Matériaux Composites, (In French)Google Search
20 
(2000), Axial Testing of Rectangular Column Models Confined with Composites,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tion, ASCE, 4(3), 129-136.
21 
(2007), FRP-Confined Concrete Members: Axial Compression Experiments and Plasticity Modelling, Engineering Structures, 29(7), 1343-1353.
22 
(2008), Numerical Modeling of Concrete Cylinders Confined with CFRP Composites, Journal of Reinforced Plastics and Composites, 27(12), 1309-1321.
23 
(2002), Strength of Short Concrete Columns Confined with CFRP sheets, Materials and Structures, 35(1), 50-58.
24 
(1996),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Cube Confined with Carbon Fiber Shee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12(12), 197-203.
25 
(2008), Compressive Behaviour of CFRP-confined Rectangular Concrete Columns, Mag. Concr. Res, 60(10), 735-745.
26 
(2008), Effect of Corner Radius on the Performance of CFRP Confined Square Concrete Columns: Test, Engineering Sturctures, 30(2), 493-505.
27 
(2010), Effect of Cross-sectional Aspect Ratio on the Strength of CFRP-confined Rectangular Concrete Columns, Engineering Structures, 32(1), 32-45.
28 
(2004), Size and Shape Effect on FRP Confinements for Rectangular Concrete Columns, paper no.657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