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유연도법, 보-기둥 섬유요소, 전단파괴,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RCAHEST
Flexibility method, Beam-column fiber element, shear failur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RCAHEST

1. 서 론

역사적 강진으로 인한 교량의 피해사례를 돌이켜보면 교량 구조물의 급격한 취성파괴는 대부분 비탄성 영역에서 교각의 취약한 거동에 기인하고 있으며 그 주된 요인으로는 소성힌 지 영역에서 불충분한 철근 상세로 인한 교각의 연성능력 부 족, 전단 파괴 및 기둥 주철근의 정착파괴 등을 들 수 있다 (Cheon, J. H., 2013). 또한, 최근 지진기록에서 알 수 있는 바 와 같이 합리적인 내진 설계기준 제정 이전에 설계 및 시공되 어진 오래된 철근콘크리트 건물 및 철근콘크리트 교량 교각 의 경우 대부분의 구조물 파괴는 부재의 전단저항력의 부족 에 기인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heon, J. H., 2013). 단면 크기에 대한 높이 비(比) 즉, 형상비(a/d)가 작은 교각의 경우 전체변형 성분 중에 전단변형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커 지게 되며 따라서 전단변형의 기술 여부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파괴시까지의 복잡한 비탄성 거동특 성 분석을 위해 현재까지 많은 실험적 및 해석적 연구가 수행 되어 왔으며 휨파괴 양상을 보이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 해서는 지식기반이 거의 갖추어질 정도로 많은 연구가 이루 어져 왔다. 하지만, 전단파괴 및 휨-전단파괴의 복합 파괴 양 상을 보이는 경우에 대해서는 휨파괴의 경우에 비하여 상대 적인 실험적 및 이론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그 비탄성 거동 특 성을 완전히 이해할 만큼의 지식기반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Cheon, J. H., 2013). 또한, 대부분의 실험들은 부재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물 전체의 거동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해서는 전단변형 효과의 기술 및 파괴시까지의 신뢰 도 높은 재료의 구성관계식 등을 통한 수치해석적 방안 마련 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수치해석적 방법을 통한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평 가를 위한 해석적 연구가 여러 선행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 어왔다. 해석에는 파이버 기법을 적용한 보 - 기둥 요소, 2차원 평면 응력 요소 및 3차원 솔리드요소 등 다양한 수치해석 기 법을 적용하여 실험결과와 비교․분석을 통해 결과에 대한 검 증을 수행하였으며 현재까지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 행되어 오고 있다.

기존의 유연도법을 근거로 일축 응력-변형률 구성관계식 에 바탕을 둔 재료모델로 구성되는 보 - 기둥 섬유요소는 철근 콘크리트 부재를 해석하기 위한 효율적인 해법이 될 수 있지 만 단면의 전단변형 효과를 해석에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Spacone et al., 1996; Nuenhofer et al., 1997; Lee, J. H., 2000). 이는 단면의 전단변형 효과를 고려하기 위한 새 로운 요소정식화 방안과 함께 실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이 력 거동 특성을 일축 응력 상태의 이력 거동으로 묘사하기 위 한 방안 마련에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며 이를 위한 다양 한 접근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D'Ambrisi et al.(1999)은 단면 전단력 - 전단변형률 이력 거 동에 단순화된 비탄성 구성관계의 수치모델을 제안하였으나 전단 파괴보다 휨 파괴가 먼저 일어나는 경우에만 적용될 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Spacone, E.(2000)은 단순화된 이중선형(Bi-Linear)의 단면 비탄성 전단응답 이력 구성관계식을 제안하여 적용하였으나 부재의 전단 파괴시의 강도 감소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지진하중과 같은 반복 이력 하중 이 재하되는 경우 보다 신뢰성 있는 구성관계식의 적용이 필 요함을 밝히고 있다.

Marini et al.(2006)은 초기의 포물선 형태(Parabolic Branch) 와 그 이후의 선형(Linear Branch)의 형상을 가지며 단면 최대 전단저항 강도 이후의 반복하중 동안 균열의 진전으로 인한 전단강도의 손상을 고려한 구성관계식을 제안․검증하였다.

국내의 경우 Cho, K. H.(2001)는 기존의 유연도법 섬유요 소 모델(Tauccer et al., 1991)에 Timoshenko 보 이론을 기반으 로 전단변형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정식화를 수정 및 확 장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저자 등에 의해 수행된 유연도법에 근거한 보 - 기둥 섬유요소에 수치해석적 방법으로부터 전단 변형 효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된 정식화 방안과 함께 단 면에 대한 비탄성 전단응답 이력 구성관계식을 새로이 제안 함으로써 전단 및 휨-전단의 복합 파괴 양상을 나타내는 철근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합리적인 해석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 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저자 등에 의해 개발된 비선형 유한요 소 해석프로그램(RCAHEST)을 사용하였으며 여러 연구자들 에 의해 수행된 다양한 파괴 양상을 갖는 철근콘크리트 부재 에 적용하여 본 연구에서 새로이 제안한 해석기법과 해석모 델의 적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Cheon, J. H., 2013).

2. 보-기둥 섬유요소 모델 정식화

2.1. 유연도법에 근거한 보-기둥 요소 정식화

유연도법에 근거한 보 - 기둥 섬유요소 모델은 강도법에 비 해 적은 수의 요소로 재료의 축방향 구성관계만을 사용하여 부재의 비탄성 거동을 기술한다. 또한 휨모멘트-축력의 상호 작용을 합리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섬유요소모델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며 결합된 모델이다. 요소 정식화는 요소내에 서 평형을 만족하는 내력의 분포함수를 표현하는 것으로부터 적분점에서 단면변형에 대응하는 요소형상함수를 선택하는 혼합법(Mixed Method)을 기초로 함으로써 요소에서 힘의 평 형조건과 변형 적합조건을 항상 만족한다.

유연도법에 근거한 정식화를 위해 Fig. 1에서와 같이 강체 거동과 비틀림 자유도를 제외한 2개의 절점을 갖는 일반적인 보-기둥 요소에서의 요소력(Q)과 그에 대응되는 변위 벡터 (q) 및 요소 단면에서 발생하는 단면력 (D(x))과 그에 따른 변 형벡터(d(x))를 식 (1)~(4)에 각각 나타내었다.

Fig. 1

Generalized forces and deformations at the element and section

JKSMI-21-130_F1.jpg

(1)
Q = { Q 1 , Q 2 , Q 3 , Q 4 , Q 5 , Q 6 } T

(2)
q = { q 1 , q 2 , q 3 , q 4 , q 5 , q 6 } T

(3)
D ( x ) = { N ( x ) M y ( x ) M z ( x ) } = { D 1 ( x ) D 2 ( x ) D 3 ( x ) }

(4)
d ( x ) = { ε ( x ) κ y ( x ) κ z ( x ) } = { d 1 ( x ) d 2 ( x ) d 3 ( x ) }

정식화 유도는 요소력과 그에 상응하는 요소변형과의 행렬 관계를 이끌어내기 위해 평형방정식의 적분형태와 단면력 - 단면변형 관계를 도입한다. 식 (5)에서와 같이 반복계산 과정 에서 선형화된 요소력 - 요소변형의 관계를 얻기 위해 단면력 - 단면변형 관계를 현재 상태에 대해서 가상 힘의 원리로부터 선형화하며 허용 오차 내에서 비선형의 요소력-요소변형 관 계가 수렴할 때까지 반복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단면 유연도 행렬을 요소에 대해 적분함으로써 요소 유연 도 행렬은 식 (6)과 같이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5)
0 L δ D T ( x ) [ Δ d i ( x ) f i 1 ( x ) Δ D i ( x ) ] d x = 0

(6)
F i 1 = [ 0 L b T ( x ) f i 1 ( x ) b ( x ) d x ]

여기서, Δ는 증분, F 는 요소 유연도 행렬, T 는 보간 함수 행렬에 따라 결정되는 행렬, i는 Newton - Raphson 반복 단계 3차원 철근콘크리트 비선형 골조 구조물의 비선형 해석을 위해 각 단면은 Fig. 1에서와 같이n(x)개의 파이버(Fiber)로 나누어지며 각 파이버의 변형을 변형전 평면인 단면은 변형 후에도 평면을 유지한다는 가정을 이용해서 계산한다. 요소 의 축을 따라서 각각의 파이버 변형률(e(x))에 상응하는 응 력(E(x))은 국부적인 거동을 나타내는 재료의 축방향 구성 모델로부터 구할 수 있으며 각각 식 (7)~(8)과 같다 . 또한, 이 파이버들의 거동을 적분해서 각 요소의 전체 거동을 예측할 수 있으며 모든 요소의 거동을 조합해서 전체 구조물의 거동 특성을 알 수 있다.

(7)
e ( x ) = ( ε 1 ( x , y 1 , z 1 ) ε if i b ( x , y if i b , z if i b ) ε n ( x , y n , z n ) )

(8)
E ( x ) = ( σ 1 ( x , y 1 , z 1 ) σ if i b ( x , y if i b , z if i b ) σ n ( x , y n , z n ) )

2.2. 전단변형 효과를 고려한 보-기둥 요소 정식화

이 연구에서는 Spacone, E. (2000)의 연구 내용과는 달리 단 면 자유도, 힘 보간 함수 및 단면 유연도 행렬의 확장과 같은 추가적인 정식화 과정 없이 기존의 유연도법에 근거한 보 - 기 둥 섬유 요소 정식화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간단한 수치해석 적 반복 수렴 계산 과정으로 전단변형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기존의 요소 정식화 과정 중 j로 표시한 요소 변형에 대한 요소 저항력을 결정하는 반복과정에서 첫 번째 반복은 j = 1에서 시작되며 j = 0으로 표현되는 요소의 초기 상태는 (i-1)번째 Newton - Raphson 반복과정에서 반복루프 j의 수 렴된 상태에 대응한다. 첫 번째 반복 j = 1에서 대응되는 요소 력 증분을 식 (9)~(10)와 같이 계산한다.

(9)
Δ Q j = 1 = [ F j = 0 ] 1 Δ q j = 1

(10)
Q j = 1 = Q j = 0 + Δ Q j = 1

전단변형 효과가 고려된 새로운 보 - 기둥 섬유 요소 정식 화는 식 (6)과 같이 휨과 축력만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기존 5×5의 요소 유연도 행렬 F에 단면의 전단 유연도 항을 고려 할 수 있도록 식 (11)에서와 같이 이 연구에서 새로이 제안한 요소 유연도 행렬 Fs을 적용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식 (9)와 식 (10) 및 Fig. 2로부터 축방향 변형률 Q s 1 j = 1 을 제 외한 요소 양단 모멘트로 인한 각 방향으로의 단면 전단력을 식 (12)~(13)과 같이 정의하며 계산된 단면 전단력은 요소 길

Fig. 2

Proposed hysteric curve for nonlinear section response

JKSMI-21-130_F2.jpg

(11)
F s = [ F 11 F 12 × ( 1 + 1 20 F 22 G z L ) F 13 × ( 1 + 1 20 F 33 G z L ) F 14 × ( 1 + 1 20 F 44 G z L ) F 15 × ( 1 + 1 20 F 55 G z L ) F 22 + 1 G z L F 23 + 1 G z L F 24 × ( 1 + 1 40 F 22 G z L + 1 40 F 44 G y L ) F 25 × ( 1 + 1 40 F 22 G z L + 1 40 F 55 G y L ) F 32 + 1 G z L F 33 + 1 G z L F 34 × ( 1 + 1 40 F 33 G z L + 1 40 F 44 G y L ) F 35 × ( 1 + 1 40 F 33 G z L + 1 40 F 55 G y L ) F 44 + 1 G y L F 45 + 1 G y L F 54 + 1 G y L F 55 + 1 G y L ]

이에 걸쳐 일정하다.

(12)
V y j = 1 = ( Q s 4 j = 1 + Q s 5 j = 1 ) / L

(13)
V z j = 1 = ( Q s 2 j = 1 + Q s 3 j = 1 ) / L

각 방향으로 계산된 단면 전단력 V y j = 1 V z j = 1 을 2.3절에 서 새로이 제안한 비탄성 전단응답이력 구성관계식에 적용하 여 내부 반복 수렴을 통해 대응하는 전단변형률 γ y j γ z j 및 증 분 전단변형 Δ γ y j j Δ γ z j j 을 각각 계산한다.

식 (14)와 같이 전체 증분 요소 변형 성분에서 순수 증분 요 소 회전변형 성분을 계산한다.

(14)
Δ q j j = 1 = Δ q s j = 1 Δ γ j j = 1

기존 요소 유연도 행렬 F과 전단 유연도 항이 고려된 새로 운 요소 유연도 행렬 Fs 및 식 (15)~(16)을 통한 순수 증분 요 소 저항력 Δ Q j j = 1 과 전단변형이 고려되지 않은 순수 요소력 Q j j = 1 을 각각 계산한다. 식 (12)~(13)을 이용하여 새로이 수 렴된 V y j j = 1 V z j j = 1 을 계산하여 이전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주어진 허용 오차 범위 이내로 수렴할 때까지 식 (9)~(16)의 내부 반복 수렴 계산 과정 jj을 수행한다.

(15)
Δ Q j j = 1 = Q s j = 1 + Δ Q j j = 1

(16)
Q j j = 1 = Q s j = 1 + Δ Q j j = 1

2.3. 비선형 단면 전단력 - 전단변형률 구성관계식

이축 응력 상태(Bi-axial)에서의 콘크리트 이력 거동특성을 일축 응력 상태(Uni-axial)로 묘사함으로써 하중 증분에 따른 전단변형 거동 특성을 적절히 묘사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 는 전단응답 이력 구성관계식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신뢰도 기반 한계상태설계법을 근간으로하 는 도로교 설계기준(2012)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단설계 기준 을 기본으로 콘크리트 전단균열 발생 이후의 인장증강효과를 고려한 새로운 전단응답 구성관계식을 제안하였다(Cheon, J. H., 2013). 우선, 전단보강철근이 배근되지 않은 철근콘크리 트 부재에 대한 단면 전단강도 Vcc와 그에 해당하는 전단변형 률 γc, 및 전단탄성계수 (oa)를 식 (17)~(19)으로부터 각각 계산한다. 전단보강철근의 항복응력을 기준으로 식 (20)으로 계산되는 단면 전단강도 Vd와 그에 대응하는 전단변형률 γd 및 전단탄성계수 (ab)를 식 (21)~(22)으로부터 계산한다. 여 기에, 콘크리트 전단균열 발생 이후의 인장증강효과가 고려 된 가정한 최대 전단변형률 γ x ( = 3 y ¯ ) 과 이에 대응하는 최대 전단강도 Vx 및 그때의 전단탄성계수 Gx(bc) 을 각각 식 (2 3)~(25)로부터 계산함으로써 Tri - linear으로 구성된 파괴 포 락 곡선(Failure Envelope Curve)을 기본으로 반복하중에 의 한 비탄성 전단응답 이력 구성관계식을 Fig. 2에서와 같이 제 안하였다.(19)(23)(24)

(17)
V c d = [ 0.85 ϕ c κ ( ρ f c k ) 1 / 3 + 0.15 f n ] b w d

(18)
γ c = κ V c G c A

(19)
G c = E c 2.3 = 8 , 500 ( f c k ) 1 / 3 2.3

(20)
V d = ϕ f v y A v z s cot  θ s ϕ c υ f c k b w z cos  θ s + tan  θ s = V d ,  max

(21)
γ d = 2 ( y ¯ + 2 , d ) tan  θ s

(22)
G d = V d V c γ d γ c

(23)
V x = ϕ s f v s A v z s cot  θ s ϕ c υ f c k b w z cos  θ s + tan  θ s = V d ,  max

(24)
γ x = 2 ( 3 y ¯ + 2 , x ) tan  θ s

(25)
G x = V x V d γ x γ d

여기서, ϕc = 콘크리트 강도감소계수, ρ = As/(bwd) 는 주 철근비, fck = 콘크리트 압축강도(N/mm2), fctk = 콘크리트인 장강도(N/mm2), Gc = 콘크리트 전단탄성계수, κ = 전단계 수(Shear Coefficient), fn = Nu /Ac ≤ 0.2ϕcfck(N/mm2)은 종 방향 직각응력, A = 단면적, y ¯ = 전단보강철근의 평균 항복 변형률, fy = 전단보강철근의 평균 항복응력, fυs = 인장경 화효과를 고려한 전단보강철근의 평균 최대응력, θs는 콘크 리트 압축 스트럿의 경사각으로 부재의 전단강도에 큰 영향 을 미치는 인장철근비(ρs), 전단경간비(a/d), 축력비(fn) 및 기 초와의 접합부에서의 추가적인 구속효과 등과 같은 주요 인 자를 계산과정에 간접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이들의 영향에 대 하여 고려할 수 있도록 이 연구에서 새로이 제안하였다.

한편, 제하시(Unloading) 및 재재하시(Reloading)의 기울기 는 모두 원점(O)을 향하는 직선으로 가정하며, 제하가 완전히 끝나지 않고 재재하가 일어날 경우에는 제하가 시작된 점까 지는 초기 강성과 같은 기울기를 같고 재재하가 일어난다고 가정하였다.

2.4. 철근 및 콘크리트 재료모델

보 - 기둥 섬유요소의 비선형 거동 특성은 부재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와 철근의 일축(Uni-axial) 재료모델에 의존적이며 이를 각각의 파이버에 적용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저자 등 에 의해 기존에 개발된 분산균열 개념에 근거한 콘크리트의 재료모델을 바탕으로 콘크리트의 압축모델, 균열 직각 방향 의 인장모델, 균열면에서 전단전달모델, 그리고 콘크리트에 포함된 철근의 해석모델을 각각 적용하였다(Cheon, J. H., 2013). 여기에, Shima et al.(1987)이 제안한 기초로부터의 철 근의 정착슬립에 관한 해석모델을 기본으로 새로이 수정 제 안된 철근의 변형률-슬립 관계를 적용하였다(Lee, J. H., 2000).

2.5. 비선형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RCAHEST)

Table 1에서와 같은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RCAHEST (Reinforced Concrete Analysis in Higher Evaluation System Technology)를 사용하였다. 해석프로그램(RCAHEST)은 미 국 버클리 대학의 Taylor가 개발한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 램인 FEAP ver. 7.2에 저자 등에 의하여 그 동안 개발된 철근 콘크리트 평면응력요소 등을 이식하여 모듈화된 프로그램으 로 대상 구조물에의 적용을 통해 해석 결과에 대한 검증을 수 행하였다(Kim et al., 2003; Seong et al., 2011; Cheon et al., 2012).

Table 1

Element Library

2D or 3D Flexibility-Based Fiber Beam-Column Element 4 nodes PSC Shell Element 4 nodes Elastic Shell Element 2D or 3D Spring Element
Joint Element RCAHEST 4 nodes RC Shell Element
Reinforcing or Prestressing Bar Element Interface Element RC Plane Stress Element 2D Elastio-Plastic Plane Stress Element

3. 전단에 지배적인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

이 연구에서 새로이 제안한 수정된 해석기법과 단면 구성 관계식을 적용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RCAHEST) 을 기존의 Lee et al.(2011)에 의해 수행된 총 6개의 철근콘크 리트 보 실험체를 검증 대상으로 해석결과에 대한 적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대상 실험체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철근비 및 전단지 간비(a/d) 등과 같은 주요 실험변수들이 전단거동 특성에 미 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작하였으며, 모두 종방향 철 근의 항복전에 전단파괴가 일어나도록 설계되었다. 서로 다 른 전단지간비(a/d)를 갖는 3개의 실험체로 구성되는 S1과 S2 그룹 실험체에 대한 단면 형상, 배근 상세 및 재료 물성 값을 대표적으로 Fig. 3과 Fig. 4 및 Table 2에 각각 나타내었다.

Fig. 3

Test specimens of S1 series(S1 - 3.0)

JKSMI-21-130_F3.jpg
Fig. 4

Test specimens of S2 series(S2 - 3.0)

JKSMI-21-130_F4.jpg
Table 2

Test variables and materials properties

Beams d (mm) a/d Tension reinforcement Shear reinforcement


Bar No. ρ v Fy t (MPa) Bar No. ρs Fyl (MPa)

S1-3.0 244 3.0 5 - D22 0.036 402.0 D10@300 0.00215
S1-3.5 3.5
S1-4.0 4.0 436.3 357.8

S2-2.5 235 2.5 4 - D22 0.033 402.0 D10@220 0.00324
S2-3.0 3.0
S2-3.5 3.5

4.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검증 대상 실험체에 대한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 기 위해서 2절점의 보-기둥 섬유요소로 분할된 요소 및 단면 형상을 Fig. 5에 나타내었다. 실험체에서와 같이 단면 섬유모 델로서 실제 단면적과 같도록 콘크리트와 철근을 분할하였고 단면 2차 모멘트는 실제 단면적에 대하여 약 0.3% 오차 이내 로 계산되었다. Fig. 6과 Table 3에 전체 6개의 검증 대상 실험 체에 대한 실험 및 저자 등에 의한 새로이 제안된 전단변형 고 려 전․ 후 해석(Analysis (2) 및 Analysis (3))으로부터의 하중- 변위 관계 및 최대강도에 대응하는 변위를 각각 비교하여 나 타내었다.

Fig. 5

Structure discretization and section fiber

JKSMI-21-130_F5.jpg
Fig. 6

Comparison of load vs deflection of specimens

JKSMI-21-130_F6.jpg
Table 3

Comparison of experiment with analysis

specimen Vu (kN) δ max (mm) (2)/(1) (3)/(1) (5)/(4) (6)/(4)

Experiment (1) Analysis (2) Analysis (3) Experiment (4) Analysis (5) Analysis (6)

S1-3.0 372.5 311.1 433.4 5.6 5.1 2.9 0.84 1.16 0.91 0.52
S1-3.5 327.5 310.8 371.7 7.8 7.0 3.9 0.95 1.13 0.90 0.50
S1-4.0 284.3 291.3 345.8 7.8 9.0 5.0 1.02 1.22 1.15 0.64
S2-2.5 325.4 320.2 534.1 3.2 4.4 1.8 0.98 1.64 1.38 0.56
S2-3.0 280.3 320.6 445.1 5.4 6.0 2.6 1.14 1.59 1.11 0.48
S2-3.5 271.5 304.7 380.0 6.4 6.3 3.7 1.12 1.40 0.98 0.58

Mean 1.01 1.36 1.07 0.55
S.T.D 0.11 0.22 0.18 0.06
C.O.V 0.11 0.16 0.17 0.11

※ Analysis(2) = Flexure+Shear, Analysis(3) = Flexure

Fig. 6에서와 같이 균열 발생 이후의 복잡한 전단거동 특성 을 나타내는 전단에 지배적인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파괴 시까지의 비선형 전동거동 특성을 적절히 예측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해석과 실험결과로부터의 극한강도 비(比)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는 Table 3에서와 같이 각각 1.01과 11% 정도로서 새로이 제안된 해석결과는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기존의 해석으로부터 극한강도 비(比)에 대한 평균은 1.36정도로서 해석 결과가 약 36%이상 과대평가하고 있다. 표준편차와 변동계수 역시 각각 22%와 16%정도로서 전단거동 특성을 적절히 예측하고 있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Table 3에 해석과 실험결과로부터의 최대강도에 대 응하는 변위를 각각 비교하여 나타내었으며 새로운 해석 결 과에 대한 평균과 변동계수는 각각 1.07과 17%정도로서 강도 뿐만 아니라 파괴시의 변위 예측에도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기존의 해석으로부터 결과 는 평균과 변동계수는 각각 0.55와 11%정도로 산정되었으며 파괴시의 변위 역시 적절히 예측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다. Fig. 7에는 이와 같은 실험 및 해석으로부터의 극한강도에 대 한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Fig. 7

Ultimate shear strength for specimens

JKSMI-21-130_F7.jpg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 연구에서 새로이 제안한 해석기법 과 해석 모델을 적용한 해석 결과는 기존 평면요소의 적용에 비하여 상대적인 간편성이 있는 유연도법에 근거한 보-기둥 섬유요소를 이용하여 전단에 지배적인 거동특성을 나타내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내하력 평가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저자 등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 단에 지배적인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탄성 전단거동 특성을 해석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수치해석 프로그램(RCAHEST)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수치해석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기존의 유연도법에 근거한 보-기둥 섬유요소 모델 정식화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단변형 효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새로 이 제안한 해석기법과 함께 신뢰도기반 한계상태설계법을 근 간으로하는 도로교설계기준(2012)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계 전단강도를 기본으로 Tri - linear으로 구성된 파괴 포락 곡선 으로 구성된 단면에 대한 비탄성 전단응답이력 구성관계식을 적용하였다.

철근콘크리트 재료의 구성방정식은 기존의 연구에서와 같 이 분산균열 개념에 근거하여 평균 응력과 평균 변형률 관계 식으로 표현하였으며 콘크리트의 압축모델과 균열 직각 방향 의 인장모델 그리고 콘크리트에 매입된 철근의 재료모델로 구성되었다.

전단에 지배적인 거동특성을 나타내는 철근콘크리트 보 실 험체에의 적용을 통해 해석결과는 전단 균열의 발생과 균열 발생 이후의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비탄성 전단거동 특성을 높은 신뢰도로 적절히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석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2차원 평면요 소 및 3차원 솔리드요소에 비하여 상대적인 단순성과 편리성 을 가지고 있는 보-기둥 섬유요소는 비내진상세를 갖는 전단 에 지배적인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내하력 및 내진성능평가에 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의 연구 비지원(15CTAP-C097438-01)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1 
(2013), Inelasitc Shear Beahvior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using Beam-Column Fiber Finite Element
2 
(2012), Inelastic Behavior and Ductility Capacity of Circular Hollow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s under Earthquake, Mag. Concr. Res, 64(10), 919-930.
3 
(2001), Evaluation of Ductility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Using Flexibility-Based Fiber Element Method
4 
(1999), Modeling of Cyclic Shear Behavior in RC Members, ACI Struct. J, 97(4), 630-641.
5 
(2003), Inelastic Behavior and Ductility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s under Earthquake. I; Theory and Formulation, J. Struct. Eng, 129(9), 1199-1207.
6 
(2000), Nonlinear Seismic Analysis of 3D R.C Frame Structures based on Flexibility Method
7 
(2011), Nonlinear Analysis of Shear-Critical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Fixed Angle Theory, ASCE, 137(10), 1017-1029.
8 
(2006),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including Shear Effects, ACI Struct. J, 103(5), 645-655.
9 
(1997), Evaluation of Nonlinear Frame Finite-Element Models, J. Struct. Eng, 123, 958-966.
10 
(2011), Inelastic Performance of High-Strength Concrete Bridge Columns under Earthquake Loads, J. Adv. Concr. Technol, 9(2), 205-220.
11 
(2000), Nonlinear Pushover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olorado Advanced Software Institute, FINAL REPORT
12 
(1996), Mixed Formulation of Nonlinear Beam Finite Element, Comput. Struc, 58, 71-83.
13 
(1991), A Fiber Beam-Column Element for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EERC Report 9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