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지반 침하, Open CV, 매립관 및 공동, 패턴 템플레이트, GPR 탐사
Ground subsidence, Open CV, Buried pipe and cavity, Pattern template, GPR detection

1. 서 론

도심지 지반에 매립된 상하수도 시설의 관거, 암거 및 터널 등의 수로시설의 이음부 혹은 균열부에서 누수현상이 지속적 으로 진행되는 경우, 주변의 지반약화를 초래하고, 누수에 의 한 파이핑 현상은 지중에 공동(空洞)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땅속에 묻혀 있는 노후 상수도관이 파손됐을 경우는 물이 밖 으로 새어나오면서 주변의 흙을 유출시켜 공동이 발생하지만 하수도관 파손의 경우는 주변 흙이 하수도관 안으로 유입돼 공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2014년 창간 10주년 특집으로 발간 된 워터저널에서는 Fig.1과 같이 지반침하 발생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있다. 즉 지반의 공동화와 이완 및 관로이음부 불량 과 손상에 의해 지반 침하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 하수도 등의 수로시설은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시공 단계에서 공사에 완벽을 기해야 함은 물론, 시설물 유지관리 단계에서도 정기적인 누수 탐지를 실시하여 누수 개소를 최 소화 및 지반침하 또는 지반함몰에 따른 재해예방이 필요하 다. 또한 도심지 지반침하 또는 도로함몰을 예방하기 위해서 는 충적층 지반 내에 발생하는 공동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최선책이다. 이를 위해서는 노후된 지하매설물을 일정 주기 로 교체하고 설치공사의 시공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 보다도 중요하나, 노후된 상하수도관을 일제히 교체하는 것 은 예산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하수도관의 노 후화 및 누수에 의한 지반침하도 지속적으로 다수 발생할 것 으로 예상된다. 2016년 2월 부산시는 도로 지반침하를 예방하 기 위하여, 40억 원의 시비를 들여 관내 노후 하수관로를 긴급 개․보수하기도 하였다.

Fig. 1

Mechanism of ground subsidence

JKSMI-21-80_F1.jpg

이러한 지반침하는 2014년 8월 5일 발생한 석촌지하차도 재해로부터 국민들의 관심을 받았으며, 그 후 지속적인 지반 침하 발생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최근인 2017년 2 월 6일 및 14일에 경기도 고양시 요진아이시티와 고양종합버 스터미널 사이 도로에 지반침하가 발생하였다. 그 결과 왕복 6 차선 도로 아래의 하수관로와 오수관로, 통신선로 등이 심하 게 손상되었다. 이는 Photo 1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지반침하 와 아울러 인도에 있는 펜스도 엿가락처럼 휘어져 그 피해가 매우 큼을 유추할 수 있다. 일본의 경우도 국내와 비슷한데, 2016년 11월 8일 후쿠오카 하카타시 하카타역 앞 도로에 깊이 10 m, 너비 20 m에 달하는 대형 지반침하 발생하였다. 이는 Photo 2에서 보는 봐와 같이 매우 심각한 지반침하 사례이다.

Photo 1

Ilsan ground subsidence(2017.02)

JKSMI-21-80_P1.jpg
Photo 2

Japan Fukuoka subsidence(2016.11)

JKSMI-21-80_P2.jpg

이러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반에 매립된 파이프 및 공동을 탐지하는 비파괴 탐지기술이 필요한데, 오래전부 터 지구물리탐사 기술인 GPR(ground penetration radar) 탐사 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GPR에 의한 지반침하 탐지는 매립물 및 공동의 깊이, 매립토 조건, 도로포장조건 및 장비의 신뢰도 및 전문기술자의 부족으로 탐사결과의 신뢰도가 많이 떨어지는데, 이에 대한 보완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개발 및 연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지반 탐사 장비에 의한 분석결 과의 정확도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한 해석프로그램 개발 및 이 를 적용한 실물시험 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와 같은 국내 상황을 개선하고, GPR 탐 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적용하 여, 지하에 매립된 파이프 또는 공동의 패턴 자료를 구축하고 자 한다. 향후 이러한 자료들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다면, 지반침하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수 있으리라 판단 된다. 따라서 GPR 탐사를 위한 모의 토조를 제작하고, 토조에 매립된 콘크리트 흄관, PE 관 그리고 포장 조건 등에 대한 GPR탐사를 진행한다. 탐사결과는 이미지처리를 통해 패턴으 로 구축될 것이다.

2. 패턴 인식에 관한 기존 연구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구조물 또는 지반 탐사결과의 패 턴 인식을 위한 기존 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는 패턴 인식 기술이 매우 어렵고 이를 정량화하기 위한 기법 도 매우 어렵다는 것으로 의미한다고 판단된다. 구조물의 비 파괴 장비를 이용한 패턴 인식 연구 중, 일부는 사장교나 구조 물 손상 진단에 일부 적용된 사례가 있다.

Heo(2013) 등은 사장교의 상태평가를 위하여 통계적 패턴 인식 기술을 적용하였다. 사장교 손상 실험을 통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적 패턴 인식 방법 중 마할라노비스 거리를 이용한 관리 차트가 구조물 손상 평가하는데 무리 없 음을 발표하였다.

Park(2011) 등은 배관 구조물의 복합 손상 진단을 자가 계측 유도 초음파의 통계적 패턴 인식을 사용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배관 구조물에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손상을 효율적으로 진단 하기 위하여 압전센서를 이용한 자가 계측 회로 기반의 유도 초음파 계측 시스템을 적용한 것이다. 특정 중심 주파수에 해 당하는 구조물의 웨이블렛 응답을 계측하여, 손상지수를 계산 하고 이를 지도학습 기반의 패턴 인식 기법에 적용한 것이다.

3. GPR 탐사 및 토조 제작

3.1. GPR 탐사

GPR 탐사는 Fig. 2와 같이 송신안테나(Transmitter)로부터 수 MHz∼GHz 범위의 전자기파를 지표면이나 구조물의 노 출면에서 내부로 방사시킨 후, 전자기적 물성이 다른 매질을 만나 반사되어 돌아온 신호를 수신안테나(Receiver)에서 받 고 이를 시간축에 기록하는 원리이다. 매립관 및 공동 탐사용 GPR은 미국 Geophysical사의 SIR-3000를 사용하였으며, 탐 사는 400 MHz의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또한 탐사 데이터는 Geophysical사의 RADAN 7을 사용하여 이미지 처리하였다.

Fig. 2

Principle of GPR detection

JKSMI-21-80_F2.jpg

3.2. 토조 제작

실증적인 GPR 탐사를 위하여 가로 2 m, 세로 3 m, 높이 2 m 인 대형 토조 실험체(TB1)를 Fig. 3과 같이 제작하였다. 토조 는 실제 현장과 동일한 토사로 채웠으며, 관상고 1.0 m로 탐사 가 용이한 콘크리트 흄관(Hume pipe) Φ 300 mm 및 PE관(PE pipe) Φ 200 mm를 매립하였다. 매립관 옆에 발생하는 공동은 가로 205× 세로 205× 깊이 130 mm의 락앤락 통(Void)을 매립 깊이 0.7 m, 1.0 m, 1.3 m로 설치하였다.

Fig. 3

Construction plan of tank

JKSMI-21-80_F3.jpg

제작된 토조는 4개의 포장조건으로 구분하여 GPR 탐사를 실시하였는데, 비포장, 무근 콘크리트 포장, 철근 콘크리트 포 장 및 아스팔트 포장으로 변수를 선정하였다. 포장의 마감두 께는 150 mm이고, 철근 콘크리트 포장은 8✕100✕100 mm의 와이어 메쉬를 사용하였다. 또한 GPR 탐사 측선은 Fig. 4와 같이 설정하였으며, 탐사는 Photo 3과 같이 진행하였다.

Fig. 4

GPR detection line

JKSMI-21-80_F4.jpg
Photo 3

GPR detection on site

JKSMI-21-80_P3.jpg

4. GPR 탐사 결과 및 패턴 템플레이트 구축

4.1. GPR 탐사 결과

Table 1에 GPR 탐사결과 중 측선 1과 측선 2에 대한 탐사 이미지를 나타내었는데, 포장 조건에 따라 탐사 결과가 약간 씩 상이하였다. 먼저 측선 1은 지하 1 m에 매립한 콘크리트 흄 관을 탐사한 것인데, 무근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포장에서 흄 관의 탐사가 용이하였으며, 철근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는 와 이어 메쉬의 전자파 간섭으로 흄관 신호가 명확히 포착되지 않았다. 또한 비포장의 경우에는 매립토 다짐이 미흡함에 기 인하여 명확한 흄관 신호를 탐사하지 못하였다. 측선 2는 0.7 m, 1.0 m, 1.3 m 깊이로 매립한 락앤락 통을 탐사한 것으로, 포장 조건에 상관 없이 0.7 m 깊이의 탐사는 용이하였으며, 1.0 m 깊이는 미약한 신호를 탐지하였다. 그러나 1.3 m 깊이는 탐지 가 곤란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지반내 공동을 모사한 락앤락의 크기가 너무 작음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1

GPR detection results of line 1 and 2

Pavement type Line 1 Line 2

No JKSMI-21-80_T1-F1.jpg JKSMI-21-80_T1-F2.jpg
Concrte JKSMI-21-80_T1-F3.jpg JKSMI-21-80_T1-F4.jpg
RC concrete JKSMI-21-80_T1-F5.jpg JKSMI-21-80_T1-F6.jpg
Asphalt JKSMI-21-80_T1-F7.jpg JKSMI-21-80_T1-F8.jpg

4.2. 패턴 템플레이트 구축

패턴이라 함은 일정한 형태 등을 나타내는 용어로, GPR 탐 사결과를 수치적으로 표시할 수 없어, 형태 또는 특징을 나타 내는 패턴으로 구축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패턴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유사한 패턴을 탐지할 수 있는 기능을 템플레이트라 한다. 이하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용어의 정의 이다.

  • Pattern matching: 패턴(특징)을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지 여부를 가늠하는 것(방법)

  • Template matching: 도형 인식 과정에 의해서 주어진 도형 (템플릿과 일치하는 도형)을 화상에서 추출하는 기법

  • Pattern template: GRP 탐사 데이터를 GPRiPP에서 패턴으 로 만들어, 뎀플레이트 매칭으로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능

여기서 GPRiPP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미지 처리 프로그 램(GPR image Processing Program, Lee, 2016)으로 기존 장비 에서 측정한 GPR탐사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주 요 흐름은 Fig. 5와 같이 측정한 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분석 및 로드하여 헤더정보와 지반정보로 분리하고, 분리된 헤더정보 의 날짜와 시간을 분석환경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 초변환단계, 헤더정보의 상수와 지반정보와 연결되는 구조정 보의 분리 및 분리된 상수와 구조정보를 상호 매칭되는 형식 으로 변환하는 메인변환단계, 헤더정보를 송신 가능한 패킷 으로 분할 및 헤더정보에 따라 지반정보를 로드하는 정보읽 기단계 및 헤더정보에 따라 지반정보를 좌표에 픽셀단위로 출력하고, 출력된 픽셀의 명도와 채도를 조절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정보표시단계로 구성되어 있다(Lee, 2016).

Fig. 5

Image processing procedure of GPR data

JKSMI-21-80_F5.jpg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지반내 공동 또는 매설물 탐사 신호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GPRiPP에 추가하였다. 개발 프로그램에 적용된 패턴은 Open CV(Open Computer Vision)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이는 오픈 소스 컴퓨터 비전 C 라이브러리로 윈도, 리눅스 등의 여 러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시간 이미지 프로세싱에 중 점을 둔 라이브러리이다. 이러한 컴퓨터 비젼(Computer Vision) 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서, 기계의 시각에 해당하는 부분을 연 구하여, 인간의 눈이 하는 기능을 기계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 는 것이다. GPRiPP에 적용된 패턴 인식 절차는 아래와 같으며, Fig. 6에 이미지 추출 및 패턴 인식 절차를 나타내었다.

Fig. 6

Pattern template algorism

JKSMI-21-80_F6.jpg

  • GPR 탐사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할 수 있는 Mark up 기능 을 이용하여 지반내 공동이나 매립관의 형상을 이미지 베 이스화 한다.

  • GPR 탐사 데이터를 이미지 베이스와 비교하여 유사한 이 미지를 추출한다.

4.3. 패턴 인식 결과

Table 2에 탐사 측선 1에 대한 패턴을 정리하였는데, 이는 Table 1의 결과 등과 같은 탐사이미지에 매립관 및 공동에 해 당하는 이미지를 발췌하여 정리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관상 고 1 m 깊이로 매립된 콘크리트 흄관의 패턴 이미지화는 가능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able 3에 탐사 측선 4에 대한 패턴 을 정리하였는데, 콘크리트 흄관, PE관 및 지반내 공동의 패 턴을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포장조건별 인식되는 패턴의 정도는 다소 상이하였다.

향후 이러한 패턴은 지반 공동의 형상 및 크기, 매립관 종 류, 매립 깊이, 토질 조건, 포장 조건 등과 같은 다양한 경우로 보완되어야 한다. 만약 GPR 탐사결과가 이와 유사한 패턴이 탐지되었을 경우, 공동 또는 매립관으로 추정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2

Pattern construction of detection line 1

Pavement type Line 1 Pattern image
No JKSMI-21-80_T2-F1.jpg JKSMI-21-80_T2-F2.jpg
Concrte JKSMI-21-80_T2-F3.jpg JKSMI-21-80_T2-F4.jpg
RC concrete JKSMI-21-80_T2-F5.jpg JKSMI-21-80_T2-F6.jpg
Asphalt JKSMI-21-80_T2-F7.jpg JKSMI-21-80_T2-F8.jpg
Table 3

Pattern construction of detection line 4

Pavement type Line 1 Pattern image
No JKSMI-21-80_T3-F1.jpg JKSMI-21-80_T3-F2.jpg
Concrte JKSMI-21-80_T3-F3.jpg JKSMI-21-80_T3-F4.jpg
RC concrete JKSMI-21-80_T3-F5.jpg JKSMI-21-80_T3-F6.jpg
Asphalt JKSMI-21-80_T3-F7.jpg JKSMI-21-80_T3-F8.jpg

또한 패턴 측면의 기울기 및 중앙부의 평행한 정도 등도 정 밀하게 분석하여, 유사 패턴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구축도 필 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에 토조 탐사결과로 구축된 패 턴을 매립깊이별로 정리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현장 조건에 대한 데이터가 구축된다면, 지반침하를 사전에 탐지할 수 있 는 기술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Pattern template database

Burying depth(m) Cavity Hume pipe PE pipe

0.7 JKSMI-21-80_T4-F1.jpg JKSMI-21-80_T4-F2.jpg
1.0 JKSMI-21-80_T4-F3.jpg JKSMI-21-80_T4-F4.jpg JKSMI-21-80_T4-F5.jpg
1.3 JKSMI-21-80_T4-F6.jpg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지반침하를 유발하는 지하 공동 및 매립관에 대한 실증적 탐사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하 공동 및 매립관의 패턴을 구축하였다. 또 지 처리 프로그램인 GPRiPP에 탐재하여 실용성을 증진시켰다.

패턴 템플레이트는 Open CV(Open Computer Vision)를 이 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이를 토조 GPR 탐사결과에 적용하여 적절한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렇지만 본 연구결 과는 제한적인 실험결과만을 근거로 한 것이기 때문에, 향후 다양한 현장자료 및 대규모 테스트베드의 탐사결과 등이 보완 되면 보다 실증적인 자료가 구축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 양한 경우에 대한 패턴 템플레이트가 구축된다면 지반침하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환경부의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과제 번호 2014000700005) 및 2016년도 동양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2011), SIR System-300 Manual
2 
(2014), RADAN 7 Manual
3 
(2013), Status Evaluation of Cable-based Bridge Using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Technology, Proceedings of 2013 fall KISMI, 57-60.
4 
(2007), The Porosity Detection Aside of Pipewall Using GPR, Joint proceedings of 2007 KSWW & KSWERA Symposium, B58-B63.
5 
(2016), Image processing of GPR detec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0(4), 104-110.
6 
(2002), A Study on Detachability measurement to buried target of GP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0(1), 77-83.
7 
(2006), Detection of the pipe leak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ground penetration radar, Proceedings of 2006 KWRA Symposium, 1271-1274.
8 
(2011), Multiple Damage Detection of Pipeline Structures Using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of self-sensed guided wav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 15(3), 134-141.
9 
(2015), PRISM 2 User’s Manual
10 
(2015), Numerical Study on Application of Pseudo-plastic Backfill to Cavity and Relaxed Zone Around Old Sewerage, KSCE 2015 Convention of Civil EXPO & Conferenc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125-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