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저온환경, 발열거푸집, 단열거푸집, 발열시트, 온도이력
Low temperature, Heating sheet, Insulated form, Heating form, Temperature history

1. 서 론

국내 건설사들이 건설경기 불확실성과 부동산 경기 위축에 따라 수익성이 감소하여 해외 건설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우리나라 해외 건설수주는 주로 중동지역에 편중되어 있었는데, 1980년대까지만 해도 중동 건설시장은 해외 건설 수주의 90%를 차지하였지만 국제 유가 폭락, 중동의 지정학 적 리스크 증가 등으로 인해 40% 이하로 떨어지며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수주가 감소됨에 따라 우리나라 해외 수주금액도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불안정한 중동 시장에서 벗어나 치열해진 해외시장 에서 전략적으로 발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필요한데, 다른 나 라 건설사와 차별성을 두기 위해 아직 미개척지라고 볼 수 있 는 추운 지역의 몽골, 러시아 등 극한기후의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극한지 건설 기술 수준이 선진국 대비 약 50%에 불과하기 때문에 해외건설의 도약과 우리나라 건설사 경쟁력을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극한 지역에 대응할 수 있는 시공기술 개발과 정보 축적이 무 엇보다도 시급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Lee et al., 2014). 한 대기후나 극지방 주변 나라에서의 건축물 공사는 낮은 외기 온도로 인하여 콘크리트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 낮은 외기는 콘크리트 강도 발현에 있어서 양생, 경화되는데 시간이 길어 지고 수분이 얼게 될 위험이 있는 매우 혹독한 조건이기 때문 에 일반적인 공사보다 더 많은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설상가상으로 이러한 기후 특성을 가진 지역들의 공사 가능 기간은 오히려 연간 6개월 이하로 짧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낮은 외기에 대한 콘크리트 보호의 해결책으로써 겨울 콘크리트 공사현장에서 콘크리트 를 보호하기 위해 급열가열장치(갈탄난로, 열풍기)를 이용한 양생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급열가열장치는 다른 기 타 방법보다 저렴한 편에 속하지만 화재의 위험성이 있고 급 열가열장치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갈탄난로의 경우 가스에 의한 질식사 사례가 있다. 또한 가장 큰 문제로써 급열가열장 치 위치, 방향에 따라 콘크리트 품질이 불균일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극한지역에 비해 크게 낮은 온도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품질 편차가 있어도 피해가 없지만, 극한 지역에서 이러한 일이 발생 된다면 콘크리트 품질 편차 로 인해 구조적인 안전성이 문제가 될 위험이 커질 것이다. 이 외에도 현장에서 쓰이는 방법을 개선하거나 더 큰 효과를 위 하여 열선, 버블시트, 내한촉진제 등의 방법이 연구되어왔다. (Kim et al., 2003; Han et al., 2006; Lee et al., 2006; Koh et al., 2015) 버블시트의 경우 열을 보존하는데 있어서 기존 비닐, 부 직포 등 보다 우수하나 경미한 동절기에만 사용할 수 있고 열 을 보존한다는 기능에만 한정된다. 열선의 경우 콘크리트에 열을 효과적으로 일정하게 가할 수 있지만 가장 큰 단점이 경 제성이 떨어지는 것이고 현장이라는 특성상 절단, 화재 등 많 은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방법과 진행 된 연구와 다른, 재료의 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새로운 방법인 생석회를 활용한 발열시트를 직접 개발하였고 극한지역에서 콘크리트 시공을 위해 Fig. 1과 같이 거푸집에 적용해 주었다. 또한 극한지역과 같이 매우 낮은 외기온도에서 발열시트의 발열효과를 극대화시켜주기 위해 단열재를 거푸집에 함께 사 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실험실 수준에서 실험 후 (series 1) 몽골 현지에서 직접 거푸집 모형을 제작하여 발열시 트 및 단열재의 효과를 실험적으로 검토하여 보았다(series 2).

Fig. 1

Heating sheet form

JKSMI-21-132_F1.jpg

2. 실험계획 및 방법

2.1. 실험계획 및 방법

저온환경에서의 콘크리트 공사는 타설 직후에 동해를 입을 경우 콘크리트 내부에 얼음결정 형성으로 인하여 영구적으로 강도를 회복하지 못하게 된다.(Pae et al., 2007; Lee, 2012) 즉, 극한지역에서의 공사도 초기재령에서의 강도 발현이 가장 중 요하기 때문에 초기재령의 온도 특성에 초점을 맞춰 실험을 진행하였다. 전체적인 실험 개요는 Table 1과 같다. Series 1에 서는 -10°C의 정온조건에서 거푸집 실험을 진행하여 각 거푸 집별 온도이력 특성, 압축강도 등을 알아보았다. 저온환경을 모사하기 위해 배합 전 2°C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재료보관을 실시하였다. 거푸집 내부에 설치하는 단열재의 두께는 10 mm 로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하다. 콘크리트 배합은 Table 2와 같 으며 콘크리트 타설 전 단열재 및 발열시트를 거푸집 내부에 부착해 주었고 T-type의 열전대를 거푸집별로 2군데에(중심 부, 외부면) 설치하고 데이터로거를 통해 온도를 기록하였다. 콘크리트 배합 및 타설은 -10°C의 챔버 안에서 직접 실시하였 으며 타설이 끝난 후 7일간 -10°C에서 양생을 하였다. 재령 3

Table 1

Outlines of experiment

Series Experimental factor Experiment Level

Series 1 Temperature -10°C(const)

Curing 7 days

Measurement Slump 180±20 mm
Air content 4.5±1.5%
Temperature history(7 d)
Compressive strength(3, 7 d)

Insulation Isopink(XPS) Insulation
Vacuum Insulation

Form type 5 TEGO plywood form(TE)
Isopink form(TE+ISO)
Heating sheet form(TE+HS)
Vacuum form(TE+VA)
Isopink + Heating sheet form
(TE+ISO+HS)

Series 2 Temperature Outdoor air (In Mongolia)

Curing 3 days

Measurement Slump 180±20 mm
Air content 4.5±1.5%
Temperature history(3 d)

Insulation Rigid urethane insulation

Form type 4 TEGO plywood form
Rigid urethane form
Heating sheet form
Urethane + Heating sheet form
Table 2

Concrete Mix proportion

W/B (%) S/a (%) Unit Weight (kg/m3)

W C S G AD(%)

Series 1 46.3 49.5 163 352 889 940 0.9
Series 2 40.8 48 157 385* 910 853 0.9

※ Mongolia cement 350+ NT 35

일, 재령 7일이 되었을 때 거푸집별로 Φ5×10 cm 사이즈의 코 어 공시체를 3개씩 채취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Series 2 에서는 앞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몽골 외기기온에 적정한 재료 및 배합을 선정하여 거푸집 실험을 진행하였다.

2.2. 사용재료

2.2.1. 시멘트

Series 1에서는 S사에서 개발한 고분말도 시멘트를 사용하 였다. 분급기를 사용하여 S사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제품 의 입도를 조정하여 고분말도 결합재를(NT로 표기) 혼합 제 조한 원료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Tables 3, 4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목표가 극한지역 현지에 서 적용 가능한 거푸집 기술을 추구하기 때문에 Series 2에서 는 몽골 현지 시멘트를 사용하였고 고분말도 결합재를(NT) 10% 치환하여 배합한 콘크리트를 거푸집 실험에 사용하였다.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cements

Sample Chemical composition(wt.%)

lg-loss SiO2 Al2O3 Fe2O3 CaO MgO SO3

OPC 1.20 21.86 4.95 3.66 61.70 2.75 2.16
NT 2.76 20.79 4.84 3.45 59.90 3.67 2.66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s

Sample Physical properties

Density(g/cm3) Blaine(cm2/g) Residues(44μm)

OPC 3.15 3390 7.5
NT 3.04 11000 2.7

2.2.2. 발열시트

본 실험에서 제작된 발열시트 모형도는 Fig. 2와 같고 실제 제작된 발열시트는 Fig. 3과 같다. 생석회를 고정시키기 위해 육각 모형의 PVC판 안에 생석회 분말을 충전시켜주었고 앞뒤 로 부직포를 붙여주었다. 생석회 순도나 양에 따라 발열량이 다 르기 때문에 기존연구(Choi et al., 2017)를 참고하여 본 실험에 서는 생석회 순도 85%를 사용하였다. 식 (1)과 같이 생석회와 물이 만나 화학적으로 열을 발생시키기는 원리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생석회와 콘크리트 수분이 만날 수 있도록 물이 통과 될 수 있는 다공성의 부직포를 붙여주었다. 또한 발열시트의 다공 성 부직포는 투수시트의 역할을 함으로써 저온환경에서 발열 과 동시에 표면 잉여수를 제거해주어 콘크리트가 강도를 발현 하는데 있어서 더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Lee, 2012).

Fig. 2

Heating sheet

JKSMI-21-132_F2.jpg
Fig. 3

Manufactured heating sheet

JKSMI-21-132_F3.jpg

(1)
C a O ( s ) + H 2 O ( l ) C a ( O H ) 2 ( s ) + 15.2 k c a l / k g

2.2.3. 단열재

Series 1의 실험에서는 10 mm 두께의 아이소핑크, 진공단열 재를 사용하였고 Series 2의 실험에서는 20 mm 두께의 경질우 레탄폼을 사용하였다. 각 단열재의 열전도율, 특성은 Table 5와 같다. 본 실험에서 압출법 단열재인 아이소핑크와 경질우레탄 폼이 일반적인 단열재로서 가장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선택하 였고 진공단열재의 경우 현존하는 단열재 중에 가장 낮은 열전 도율을 갖기 때문에 저온환경에서 매우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 어 사용했지만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Table 5

Insulation heat conductivity

Insulation Heat conductivity(W/m·k)

TEGO plywood 0.17
Isopink 0.031 (type II)
Rigid urethane foam 0.023 (type II)
Vacuum 0.0045

2.2.4. 거푸집

Series 1실험에서는 5종류의 거푸집을 사용하였는데 Table 6과 같다. 일반적으로 유로폼에 많이 쓰이는 TEGO 합판을 이 용하여 거푸집 모형을 제작해주었다. TEGO 합판은 12 mm, 단열재(아이소핑크, 진공단열재) 10 mm, 발열시트 5 mm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거푸집 내부 용적은 400×400×100 mm3 로 모든 실험체가 동일한 용적을 가진다. Series 2에서는 4종류 의 거푸집을 사용하였는데 몽골 외기가 낮을 것으로 판단하여 20 mm 두께의 경질우레탄폼을 사용하였다. 발열시트와 합판 의 경우 앞의 Series 1과 마찬가지로 5 mm, 12 mm 두께를 사용 하였다. 거푸집 내부 용적은 500×500×200 mm3로 제작하였다.

Table 6

Form size and materials thickness

Series Inner volume size Materials thickness

Series 1 400×400×100 mm3 TEGO plywood 12 mm
Heating sheet 5 mm
Isopink 10 mm
Vacuum Insulation 10 mm

Series 2 500×500×200 mm3 TEGO plywood 12 mm
Heating sheet 5 mm
Urethane foam Insulation 20 mm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10°C 정온조건에서의 거푸집 실험

3.1.1. 콘크리트 온도이력

Fig. 4는 -10°C의 정온조건에서의 거푸집별 중심부, 외부 온도이력을 나타낸다. 중심부와 외부면의 온도 차이가 있을 거라 생각했지만 온도이력 측정 결과 매우 근소하였다. TE의 온도이력을 보면 타설 후 5시간 만에 5°C 이하로 내려갔으며 24 시간이 지난 후에는 챔버 양생 온도인 -10°C에 가장 먼저 도달했다. 타설 후 12시간 이전에는 발열시트를 사용한 TE+HS, TE+HS+ISO의 온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두 거푸집 모두 최고온도 약 25°C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발 열시트 내부의 생석회가 콘크리트 수분과 만나 발열반응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열시트를 사용한 거푸집 중 하 나인 TE+HS의 경우 두 번째로 높은 온도이력을 보이다가 시 간이 지날수록 급속히 하강하여 TE의 온도이력 그래프를 따 라가는 모습을 보였다. 약 12시간 이후에는 TE 온도이력 그래 프와 완전히 겹치게 되는데 발열시트 내부에 있는 모든 생석 회가 반응을 완료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은 온도이력의 모습 이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TE+HS+ISO의 경우에는 발열시트 의 발열효과와 단열재에 의한 열 보존이 함께 이루어져 타설 이후부터 약 12시간 이상 가장 높은 온도이력을 보였다. 단열 재에 의한 효과로 5°C에 도달하는 시간이 단열재가 없는 TE+HS와 비교했을 때 약 10시간이나 지연되는 효과가 있었 다. 12시간 이후에는 TE+VA의 온도이력이 가장 높았는데 이 는 진공단열재의 열전도율이 아이소핑크보다 매우 낮기 때문 에 외기의 영향을 덜 받게 되어 콘크리트 내부 수화열을 거푸 집 중에 가장 오래 보존하였기 때문이다. TE+VA는 타설 후 12시간부터 4일까지 가장 높은 온도를 유지하였다. -10°C 도 달 시간은 TE+HS+ISO와 TE+VA가 약 4일로 비슷한 시간대 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4

Series1 temperature history of concrete

JKSMI-21-132_F4.jpg

전체적으로 종합해보면 발열시트를 사용한 경우 거푸집 내 부에서 콘크리트에 열을 가해주기 때문에 초기 온도이력에서 10°C 이상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단열재를 사용했을 경 우 단열재의 열전도율이 낮을수록 초기 콘크리트 수화열이나 발열시트의 발열에 의해 상승한 그래프가 느리게 하강하는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1.2. 콘크리트 압축강도

거푸집별로 탈형 후 코어 채취를 통하여 재령 3일, 7일 압축 강도를 측정하였다. Fig. 5는 각 거푸집별 공시체의 재령일별 압축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재령 3일의 압축강도를 보면 TE나 TE+HS의 경우 코어 채취가 불가능하였는데, 코어채취 기 가동 시 콘크리트가 부서지고 Fig. 6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재료분리로 인하여 코어 채취를 통한 압축강도 측정이 불가 능했다. 이는 -10°C의 가혹한 외기 온도로 인하여 콘크리트 수화반응이 정지되어 콘크리트 강도가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 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재령 3일에서는 TE+VA와 TE+HS+ ISO가 초기 높은 온도이력으로 인해 코어 압축강도가 약 5 MPa로 다른 거푸집에 비해 높은 강도를 보였으며, 이는 표준 시방서 거푸집 해체 가능 강도인 5 MPa에 도달한 것으로 확 인되었다. 단열재를 단독 사용한 TE+ISO의 경우에는 재령 3 일에서 2.8 MPa의 압축강도가 측정되었다. 다음으로 재령 7 일의 압축강도를 보면 TE의 경우 여전히 압축강도 측정이 불 가능했다. 하지만 재령 3일에서 측정이 불가능했던 TE+HS는 재령 7일에서 2.2 MPa의 강도가 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는 TE+HS가 초기 발열시트의 발열에 의해 콘크리트의 동결 시점이 늦어졌기 때문에 TE에 비하여 어느 정도의 동해 저항성을 가지게 되어 재령 7일에서 소량의 강도가 발현된 것 으로 보인다. 재령 3일에서와 마찬가지로 재령 7일에서도 TE+VA와 TE+HS+ISO의 압축강도가 약 10 MPa로 높게 측 정되었는데, 온도이력 그래프에서 보았듯이 타설 직후부터 높은 온도를 계속적으로 유지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Fig. 5

Core compressive strength

JKSMI-21-132_F5.jpg
Fig. 6

Core drilling sampling TE and TE+ISO at age 3

JKSMI-21-132_F6.jpg

3.1.3. 콘크리트 적산온도

온도이력을 이용하여 각 거푸집별 적산온도를 구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온도와 시간의 함수는 일반적으로 사용 되고 있는 Nurse-Saul(식(2))의 적산온도를 적용하였다.

(2)
M = ( Θ + A ) Δ t

적산온도의 결과 값은 Table 7과 같다. 일반적으로 동일 배 합, 동일 적산온도의 콘크리트는 비슷한 강도를 갖게 된다. 이 이론을 토대로 발열시트 및 단열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 도 발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려고 했으나 재령 3일, 재령 7일 에서 TE+HS 와 TE+ISO의 적산온도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강 도 측정의 결과는 완전히 달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연 구처럼(Oh et al., 1996) 한 배합에 있어 성숙도 강도 관계는 양 생 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님을 본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발열시트 영향 때 문이라고 판단되는데 발열시트 특성상 내부 생석회의 양이 한정되어있어 지속적으로 열을 보존하거나 발열할 수 없기 때문에 적산온도와 강도 관계가 일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 된다.

Table 7

Maturity of concrete

Form type M3 M7 Fc3 Fc7

TE E 365 555 - -
C 409 666

TE+ISO E 526 719 2.8 5.6
C 549 750

TE+VA E 826 1093 5.4 8.5
C 840 1145

TE+HS E 507 782 - 2.2
C 534 812

TE+HS+ISO E 758 1016 4.7 9.4
C 764 1025

※ E: Concrete external temperature history C: Concrete center temperature history

M3, 7: Maturity age 3/7(°C hour) Fc3,7: Compressive strength age 3/7(MPa)

3.2. 몽골(외기온도)에서의 거푸집 실험

3.2.1. 콘크리트 온도이력

Fig. 7은 몽골 현지에서 실험하는 모습이다. 몽골 레미콘사 의 실험실 상황이 열악하기 때문에 실험에 필요한 모든 재료 를 국내에서 직접 가져갔으며 코어 채취를 통해 압축강도 측 정을 하려고 했지만 현지 사정상 본 실험에 대한 코어 채취는 불가능하였다.

Fig. 7

Experiment in Mongolia

JKSMI-21-132_F7.jpg

Fig. 8은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내부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 프이다. 측정 시기는 10월의 몽골 날씨였으며 총 72시간의 온 도이력을 측정하였다. 먼저 일반 거푸집과 단열 거푸집을 비 교했을 때, 단열재의 효과로 인해 외기온도의 영향을 상대적 으로 덜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온도이력 그래프 상의 최저온도. 최고온도를 보고 판단할 수 있는데 Fig. 8(a) 그래프 의 24∼48시간 구간을 살펴보면 하루 동안 최고온도 약 25°C, 최저온도 7°C로 약 18°C의 차이를 나타냈지만 경질우레탄폼 을 사용한 거푸집의 경우 Fig. 8(b)에서 최고온도 26°C, 최저 온도 15°C로 약 11°C 차이가 났다. 단열재로 인하여 최고온도 와 최저온도의 차이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Fig. 8(b) 에서 18시간 부근에서 외기의 온도가 낮았음에도 단열재로 인해 거푸집 내부에 있는 콘크리트 열이 적게 빠져나감으로 써 타설 후 24시간 동안 콘크리트 내부 온도가 계속 상승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발열 거푸집의 온도이력과(Fig. 8(c)) 비교하면 발열시트의 발열효과로 인해 타설 후 초기 온도이 력 그래프에서 Fig. 8(a)에 비하여 약 10°C 정도 높게 나왔다. 하지만 24시간이 지난 후에는 Fig. 8(a)의 온도이력을 따라가 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단열재와 발열시트를 함께 쓴 거푸집 의 온도이력 그래프 Fig. 8(d)의 경우, 48시간 동안 25°C 이상 의 높은 온도이력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최고온도 약 38°C 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거푸집 내부의 발 열시트와 콘크리트 수화열에 의한 발열이 단열재에 의해 잘 보존되었기 때문에 다른 거푸집 그래프와 다른 형상을 보여 준 것으로 판단된다.

Fig. 8

Series 2 temperature history of concrete

JKSMI-21-132_F8.jp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저온환경에서 콘크리트 동해 방지를 위한 단열재 및 발열시트를 부착한 거푸집의 온도이력 특성을 실 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10°C의 정온조건에서의 거푸집별 특 성을 알아본 뒤, 몽골 현지 외기온도 조건에서 거푸집별 온도 이력 특성을 알아보았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1) -10°C의 정온조건에서 실험 결과 발열시트를 사용한 거푸 집의 경우 발열시트 내부 생석회의 발열효과로 인해 초기 온도이력이 10°C 이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발열 시트 단독 사용은 온도 유지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아이소핑크와 발열시트를 함께 활용한 거푸집의 경우 진 공단열재를 붙인 거푸집과 같은 효과를 나타냈다.

  • 2) 압축강도 측정 결과 일반 거푸집의 경우, 재령 7일간 강도 발현을 하지 못했으며 진공단열재 및 발열시트와 아이소 핑크를 활용한 거푸집이 가장 높은 압축강도가 나왔다. 재 령 3일에 약 5 MPa가 측정되었고 이는 표준시방서 거푸집 해체 최소 소요 강도인 5 MPa에 만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3)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거푸 집별로 재령 7일 동안의 적산온도를 구해보았지만 발열시 트 사용 시 적산온도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가 일반적인 적 산온도 강도 관계와 다른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비교하 는데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 4) 몽골 외기온도 조건에서의 온도이력 측정 결과, 일반 거푸 집에 비해 발열시트의 경우 약 10°C 이상 초기온도를 상승 시켜주었고 단열재는 온도이력 그래프에서 최저온도와 최고온도 차이를 7°C 이상 줄여주고 외기온도 영향을 덜 받게 해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 발열시트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일반 거푸집 대비 효 과가 있지만, 단열재와 함께 사용하였을 경우 더욱더 큰 효 과를 나타내는 것을 온도이력 그래프나 압축강도 측정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발열시트와 단열재를 거푸집에 활 용함으로써 저온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동해 방지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앞선 실험 결과에서 발열시트가 추 가됨으로써 적산온도의 경향성이 일반 콘크리트 적산온도와 다른 점으로 보아 발열시트를 부착하였을 때 보다 더 정량적 이고 정확하게 강도를 예상하기 위해서는 발열시트 내부 생 석회의 순도나 양에 따른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기술촉진 연구사업의 연구 비 지원(16CTAP-C078650-03)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2017), Experimental Research on Development of Heated Form Incorporating Exothermic Reaction Powder to Protect Concrete in Cold Weathe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35, 30-36.
2 
(2006), The Insulating Curing Method of Cold Weather Concreting Using Double Bubble Sheet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8(6), 51-59.
3 
(2003),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uring and Temperature History of Cold Weather Concrete by Planar Surface Heate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3(2), 135-139.
4 
(2015),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Model for Concrete Cured by Microwave Heating Form,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7(6), 669-676.
5 
(2012), Properties of Permeable Formwork using Permeable Lin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 32(6A), 419-426.
6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rength delay according to Low Temperature of Cold Weather Concrete, Korea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17), 51-59.
7 
(2014), A Study of Modular Architecture's Design to Dwelling Environment in Antarctic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2), 11-18.
8 
(1996),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of Early-Age Concrete Strength by Maturity Concep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8(3), 197-207.
9 
(2007), Minimum Curing Time Prediction of Early Age Concrete to Prevent Frost Damag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9(1), 2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