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Austenitic stainless steel, Bolted connection, Curling, Strength reduction, Finite element analysis, Design specification

1. 서 론

강구조 분야에서 내구성, 내식성, 내화성, 유지보수의 용이 성 및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스테인리스강을 외기에 노출되 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비구조재뿐만 아니라 구조부재로 써 적용하고 있으며 수요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국철강협회 (AISI)에서는 냉간성형 스테인리스강 구조부재의 설계기준 을 1968년 처음으로 제정하였다(AISI, 1968). 미국토목학회 (ASCE, 2002)에서 냉간성형 스테인리스강 최근 기준을 출판 하였다. 그 외에도 유럽(EN, 2006a), 일본(SSBA, 2006b), 호 주/뉴질랜드(AS/NZS, 2001) 등에서 냉간성형 스테인리스강 의 설계기준이 제정되어왔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스테인 리스강이 한국건축구조기준(KBC, 2016)에 구조용 강재로 지 정되어 있지 않고, 구조설계기준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 이다.

국내에서는 냉간성형(박판)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STS304) (Kim et al., 2007; 2010a; 2013a))과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STS430) (Kim et al., 2010b; Kim et al., 2013b; Kim et al., 2013c))으로 제작된 볼트접합부의 구조적 거동이 실험과 해석적 연구에 의해 조사되었다. 그 결과, 스테인리스 강의 재료적 특성과 박판의 형상적 요인에 의해 하중직각방 향(판두께 방향)으로 면외변형(Curling)이 발생하였고, 하중 방향 연단거리와 하중직각방향 연단거리가 비교적 긴 접합부 에서 특히 면외변형의 발생에 의한 접합부의 내력저하가 관 찰되었다. 연단거리에 따른 면외변형 발생조건, 면외변형을 고려한 새로운 내력평가식이 제안되었다. 기존의 오스테나이 트계 스테인리스강(STS304)와 화학적 성분(고가인 니켈을 줄이고 망간 추가 혼입) 및 기계적 성질(고강도)이 다른 오스 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STS201로 제작된 일면전단 볼 트접합부의 하중방향 연단거리를 변수로 갖는 최대내력과 면 외변형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Cho et al., 2014). 면외변형에 의해 내력저하가 관찰되었고 하중방향 연단거리 가 증가해도 내력의 증가가 없었고 현행 ASCE기준식은 최대 35% 접합부의 내력을 과대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STS201 2행 2열 일면전단 볼트접합 부(공칭평판두께 3.0 mm, 볼트직경 12 mm)의 실험결과(Cho et al., 2014)를 바탕으로 접합부의 최대내력과 파단형태를 예 측하는데 유한요소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하중방향 연단 거리에 따른 면외변형 구속여부에 대한 추가 변수해석을 실 시하여 면외변형 발생조건과 내력 저하정도를 제시하고자 한 다. 또한, 해석결과로 얻어진 접합부의 내력과 현행 설계 기준 식에 의한 내력을 비교하여 설계식의 적용성을 고찰하는 것 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2. 기존 연구 실험 개요

하중방향 연단거리(e)를 변수로 갖는 고강도 오스테나이트 계 스테인리스강(STS201) 일면전단 볼트접합부에 대한 단순 인장실험결과 면외변형이 관찰된 실험체에 대한 파단형태와 최대내력을 기존연구결과(Cho et al., 2014)를 참조하여 Table 1 에 정리하였다. Fig. 1은 실험체의 형상 및 셋팅상황을 나타낸 다. 사용한 강재인 STS20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냉간가공에 의해 항복점이 300계보다 40%정도 높고, 화학조 성은 16Cr-3.5Ni이며, 압연중에 변태현상을 동반하지 않고 비 자성을 나타낸다(KS, 2015)

Table 1

Specimen list and test results

Specimen End distance [mm] e Ultimate strengh Pue [kN] Curling Fracture mode at ultimate strength Fracture mode at test end

SAM4T30B60E40 40 223.73 O Tensile Net-section
SAM4T30B60E48 48 222.07 O crack Net-section
SAM4T30B60E64 64 223.44 O between two bolts + Net-section
SAM4T30B60E80 80 209.33 O Curling Net-section
Fig. 1

Geometry of specimen and set-up (SAM4T30B60E80)

JKSMI-21-1_F1.jpg

하중방향 연단거리(e)를 변수로 하여 면외변형 발생여부와 그에 따른 최대내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볼트배열 은 2행 2열이고 볼트전단파단이 아닌 볼트지압에 의한 판의 파단이 발생되도록 실험체를 계획하였다. 공칭평판두께(t)는 3.0 mm, 볼트직경(d)는 16 mm, 볼트구멍직경()은 17 mm, 피치(p)와 게이지(g)는 볼트구멍직경의 3배인 48 mm로 고정 시켰다(Fig. 1).

실험결과 Table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험체 모두 면외변형 이 발생하였고, 하중방향 연단거리가 40 mm, 48 mm, 64 mm 인 접합부의 최대내력(Pue)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하중방향 연단거리가 가장 긴 실험체 SAM4T30B60E80(e=80 mm)s는 면외변형에 의해 내력저하가 가장 컸고 최대내력이 209.33 kN로 가장 낮았다.

Fig. 2는 실험결과로부터 얻어진 하중-변위 곡선이며, 면외 변형의 발생으로 내력과 강성저하가 동반되었고, Table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볼트간 순단면 인장파단에 의해 최대내력 이 결정되었다. 볼트간 인장파단에 의해 최대내력이 결정된 후, 면외변형의 발생으로 하중방향으로 전단파단 없이 하중 직각방향의 측단으로 추가적인 인장파단이 발생하였다. 면외 변형은 지압볼트접합부에서 볼트의 판에 대한 지압작용으로 면내지압파단이 아닌 하중직각방향(판두께 방향, 즉 면외방향) 으로 국부적인 좌굴이 발생하여 내력이 갑자기 저하되는 현 상으로 정의된다(Kim et al., 2010a). 실험이 종료된 시점에서 외형적인 종국파단형태는 하중직각방향의 순단면파단(N)으 로 판단할 수 있으나 기존 실험결과의 현행기준식인 ASCE에 의한 순단면 파단 예측내력과 실험최대내력 사이에 큰 차이 와 뚜렷한 순단면 방향으로 네킹현상이 관찰되지 않은 점으 로부터 최대내력시점에서의 파단형태는 블록전단파단(볼트 간 인장파단과 하중방향의 전단항복의 조합)으로 판단하였다 (Cho et al., 2014).

Fig. 2

Load-displacement of test results

JKSMI-21-1_F2.jpg

3. 유한요소해석 절차 및 조건

3.1. 접합부 모델링

하중 증가에 따른 볼트접합부의 응력분포와 변형양상을 상 세하기 조사하기 위하여 기존실험결과를 토대로 비선형 유한 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여 기존 해석모델 (Kim et al., 2007, Cha et al., 2016)을 참조하여 Fig. 3과 같이 제시하였다. 해석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파단측인 평판두께 3.0 mm인 부분만 모델링하였다.

Fig. 3

Finite element (FE) modeling of bolted connection

JKSMI-21-1_F3.jpg

볼트의 전단파단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 것을 가정하여 강체요소(Rigid element)로 한다. 지압형 볼트접합부이므로 볼트의 초기장력(Pretension)은 별도로 모델링 하지 않고 너 트와 와셔의 구속효과를 고려하여 판 두께 방향 변위를 구속 한다. 메쉬는 볼트 구멍 주변에 대해서는 1.0 mm의 크기로 메 쉬를 분할하고, 두께방향에 대해서는 3등분한다. 유한요소해 석 모델에서 실험에서 관찰된 면외변형 등의 대변형을 고려 한 기하비선형 해석 조건인 Nlgeom 기능을 설정하였다.

3.2. 재료 모델 및 적용요소

기존 실험결과(Cho et al., 2014)로 얻어진 STS201강의 재 료시험결과중에 평균값에 가장 근접한 시험편의 시험결과를 각각 Table 2와 Fig. 4에 정리하였다.

Table 2

Tensile coupon test result for STS201 material

Plate thickness t (mm) Young’s modulus E (GPa) Yield stress Fy (MPa) Tensile stress Fu (MPa) Yield ratio Fy/Fu YR (%) Elongation EL (%)

2.80 140.99 390.60 929.60 45.42 41.00
Fig. 4

Stress – strain curves for STS201

JKSMI-21-1_F4.jpg

폰 미세스 항복조건 및 등방경화법칙이 적용되는 탄소성 재료모델을 채택하였다. 해석모델에 사용되는 재료 데이터는 인장시험 결과로부터 얻어진 공칭응력도-공칭변형도(σn - єn) 값을 식 (1)과 식 (2)을 이용하여 하중 및 하중직각방향의 인장 시편의 단면적 변화가 고려된 진응력도-진변형도(σt - єt) 값 으로 변환하고, 탄성영역 이후의 소성영역거동은 식(3)에 따 라 전체변형도(єt)에서 탄성변형도(єet)를 공제한 소성변형도 (єpl)를 입력하였다(ABAQUS, 2003).

(1)
σ t = σ n ( 1 + n )

(2)
t = ln ( 1 + n )

(3)
p l = t e t = ln ( 1 + n ) σ t E

평판부의 해석요소는 8개의 절점을 가진 저감적분(Reduced integration) 솔리드 요소인 C3D8R을 적용하였다(Kim et al., 2007).

3.3. 경계조건

Fig. 3의 우측단부는 지지단이며, 고정조건으로 한다. 해석 시간을 고려하여 2행 2열 볼트접합부의 절반만 모델링하고, 대칭축의 1-3면에 대칭경계조건을 지정한다. 볼트요소에 구 속조건과 동일한 강제변위(하중)를 지정하기 위하여 볼트 끝 점에 기준점을 설정하였고, 볼트의 회전 및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중방향 변위(U1)만을 허용하였다(Kim et al., 2007).

4. 실험결과와 유한요소해석결과 비교

Table 3에 기존 실험결과(Cho et al., 2014)와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최대내력, 파단형태 및 면외변형 발생여부를 비교하 였다. 실험종료시점에서의 볼트간 인장파단 및 면외변형과 해석결과의 최대내력시점에서 얻어진 응력분포와 면외변형 형상을 Fig. 5에 나타낸다. 실험 최대내력(Pue)에 대한 해석 최 대내력(Pua)의 내력비(Pua/Pue)는 0.99∼1.05의 범위로 나타났 고, 유한요소해석에 의해 볼트접합부 실험체의 내력을 평가 하는데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Comparison of existing test results and FE analysis results

Specimen Edge distance b (mm) End distance e (mm) Test results Analysis results Strength ratio Pua/Pue

Ultimate strength Pue (kN) Fracture mode at test end Curling occurrence Ultimate strength Pua (kN) Fracture mode at analysis end Curling occurrence

SAM4T30B60E40 60 40 223.73 N O 222.00 BS O 0.99
SAM4T30B60E48 48 222.07 N O 222.82 BS O 1.00
SAM4T30B60E64 64 223.44 N O 229.13 BS O 1.03
SAM4T30B60E80 80 209.33 N O 220.97 BS O 1.06

Average 1.02

COV 0.027
Fig. 5

Comparison of fracture shapes between test and analysis results

JKSMI-21-1_F5.jpg

Fig. 5의 실험결과의 파단양상으로 부터 볼트간 순단면 인 장파단이 발생하여 최대내력이 결정된 후 하중직각방향(측 연단방향)으로 추가적인 인장파단이 관찰되었다. 해석결과 에서는 Fig. 5의 우측 응력분포 및 변형양상으로부터 면외변 형과 하중방향 연단에서 멀리 떨어진 볼트에서 응력집중이 관찰되었다. 접합부의 면외변형에 의한 강성 및 내력저하와 동시에 볼트간 인장파단으로 최대내력이 결정되었고, 최대내 력시점에서의 변형형상과 응력분포(즉, 하중직각방향 볼트 간 인장파단 시점에서 하중방향의 볼트간 전단단면에 응력이 집중됨)로부터 최종파단형태는 블록전단파단(BS)으로 판단 된다. 2장의 기존실험결과에서 실험종료시점에서의 파단형 태는 외형적으로 인장파단이지만 ASCE기준내력 비교결과 와 최대내력시점에서 볼트간 인장파단과 하중방향 볼트간 전 단위험 단면에서 항복상태의 조합인 블록전단파단으로 판단 된다고 언급하였다.

5. 변수해석

STS201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일면전단 볼트접합부의 최대내력 및 면외변형양상을 실험적 방법 이외 로 연단거리에 대한 내력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하중방향 연단거리(e=24~80 mm)와 하중직각방향 연단거리 (b=30, 36, 48, 60 mm)를 변수로 추가적인 변수로 설정하여 유한요소해 석을 수행한다. 또한, 면외변형이 접합부의 최대내력에 미치 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Fig. 2의 해석모델에 두께방향의 변위 (U3)를 구속(면외변형 구속)시킨 해석모델을 설정하여 해석 을 수행하였다.

두께방향의 변위(U3)를 구속시킨 해석모델의 최대내력 (PuaR), 두께방향 변위를 구속시키지 않은 해석모델의 최대내 력(Pua) 및 두 모델의 최대 내력비(Pua/PuaR)를 면외변형에 의 한 내력저하여부를 기준으로 각각 Tables 45에 정리하였 다. 또한, 해석모델에 대한 하중-변위 곡선, 응력분포 및 변형 형태를 Figs. 56에 나타냈다. 해석결과로부터 하중직각방 향 연단거리(b)가 30 mm, 36 mm인 해석모델(SAM4T30B30 시리 즈와 SAM4T30B36시리즈)은 Figs. 6(a)~6(d)와 같이 모두 하 중직각방향의 순단면파단형태(N)가 관찰되었고, 하중방향연 단거리(b)가 36 mm인 해석모델에서는 하중방향연단거리(e) 가 36 mm를 초과하는 접합부에서 면외변형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최대내력비(Pua/PuaR)로부터 면외변형에 의한 내력저 하정도는 1% 정도로 면외변형에 의한 내력저하가 없는 접합 부로 분류하였다(Fig. 5(a)~5(d)참조).

Table 4

Strength comparison of specimens with free edge and restrained curling for edge distances 30 mm, 36 mm

Specimen Edge distance b (mm) End distance e (mm) Free edges Restrained curling Strength ratio Pua/PuaR Strength reduction by curling

Ultimate strength Pua (kN) Fracture mode at analysis end Curling occurrence Ultimate strength PuaR (kN) Fracture mode at analysis end

SAM4T30B30E24 30 24 202.03 N X 202.66 N 1.00 X
SAM4T30B30E30 30 201.75 N X 202.54 N 1.00 X
SAM4T30B30E36 36 202.57 N X 203.88 N 0.99 X
SAM4T30B30E42 42 202.71 N X 203.56 N 1.00 X
SAM4T30B30E48 48 202.58 N X 204.43 N 0.99 X
SAM4T30B30E60 60 202.59 N X 203.27 N 1.00 X
SAM4T30B30E64 64 202.51 N X 203.36 N 1.00 X
SAM4T30B30E72 72 202.40 N X 203.23 N 1.00 X
SAM4T30B30E80 80 202.19 N X 202.98 N 1.00 X

SAM4T30B36E24 36 24 226.78 N X 227.51 N 1.00 X
SAM4T30B36E30 30 228.02 N X 228.74 N 1.00 X
SAM4T30B36E36 36 228.61 N X 238.86 N 0.96 X
SAM4T30B36E42 42 228.05 N O 230.71 N 0.99 X
SAM4T30B36E48 48 228.41 N O 229.62 N 0.99 X
SAM4T30B36E60 60 227.27 N O 229.92 N 0.99 X
SAM4T30B36E64 64 227.53 N O 230.15 N 0.99 X
SAM4T30B36E72 72 227.33 N O 229.95 N 0.99 X
SAM4T30B36E80 80 227.47 N O 229.99 N 0.99 X
Fig. 6

Deformed shape and stress distribution comparison of specimens with free edge and restrained curling

JKSMI-21-1_F6.jpg

하중직각방향 연단거리(b)가 48 mm인 해석모델(SAM4T30 B48시리즈)중 하중방향 연단거리(e)가 24 mm와 30 mm인 접 합부를 제외한 모든 접합부에서 면외변형이 발생하였고, Fig. 5(e)5(f)에서와 같이 면외변형을 구속한 모델과 구속하지 않은 모델사이에 내력차이가 관찰되었다. 면외변형의 영향으 로 내력저하가 7%∼19%의 범위로 나타났다. SAM4T30B60 시리즈 접합부에서는 하중방향 연단거리가 36 mm이상에서 15%∼32% m의 범위로 내력저하가 관찰되었다(Table 5).

Table 5

Strength comparison of specimens with free edge and restrained curling for edge distances 48 mm, 60 mm

Specimen Edge distance b (mm) End distance e (mm) Free edges Restrained curling Strength ratio Pua/PuaR Strength reduction by curling

Ultimate strength Pua (kN) Fracture mode at analysis end Curling occurrence Ultimate strength PuaR (kN) Fracture mode at analysis end

SAM4T30B48E24 48 24 256.80 BS X 258.63 BS 0.99 X
SAM4T30B48E30 30 266.58 BS X 268.23 BS 0.99 X
SAM4T30B48E36 36 253.67 BS 273.43 BS 0.93
SAM4T30B48E40 40 240.59 BS 276.31 BS 0.87
SAM4T30B48E42 42 245.92 BS 276.78 BS 0.89
SAM4T30B48E48 48 232.15 BS 280.64 N 0.83
SAM4T30B48E60 60 232.61 BS 281.40 N 0.83
SAM4T30B48E64 64 237.41 BS 283.23 N 0.84
SAM4T30B48E72 72 234.46 BS 285.74 N 0.82
SAM4T30B48E80 80 228.83 BS 282.05 N 0.81

SAM4T30B60E24 60 24 263.64 BS X 263.78 BS 0.99 X
SAM4T30B60E30 30 277.53 BS X 278.06 BS 0.99 X
SAM4T30B60E36 36 242.90 BS 284.48 BS 0.85
SAM4T30B60E40 40 222.00 BS 293.63 N 0.75
SAM4T30B60E48 48 222.82 BS 300.85 N 0.74
SAM4T30B60E60 60 225.44 BS 314.42 N 0.71
SAM4T30B60E64 64 229.12 BS 316.92 N 0.72
SAM4T30B60E68 68 219.02 BS 317.63 N 0.68
SAM4T30B60E72 72 222.60 BS 318.80 N 0.69
SAM4T30B60E80 80 220.97 BS 323.20 N 0.68

또한 SAM4T30B48시리즈의 접합부에서 두께방향의 변위 (U3)를 구속시킨 모델과 구속시키지 않은 해석모델의 파단형 태를 비교하였을 때, 하중방향연단거리(e)가 42 mm이하일 때 Fig. 6 (c)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해석모델은 동일한 블 록전단파단(BS)형태가 나타났다. 반면에 하중방향연단거리 (e)가 48 mm이상인 경우에는 파단형태에서 상이한 결과를 보 였다. 즉, SAM4T30B48E80과 SAM4T30B60E60에 대해 두 께방향 변위를 구속시키지 않은 해석모델(Fig. 6(e)은 블록전 단파단(BS)으로 나타났고, 두께방향 변위를 구속시킨 해석모 델(Fig. 6(f))은 순단면파단(N)이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하 중직각방향 연단거리(b)가 48 mm, 60 mm이고 하중직방향 연 단거리가 36 mm이상인 접합부에서 면외변형 발생으로 내력 이 저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각 최대 19%, 32% 의 내력저하가 발생하였다.

동일한 하중방향 연단거리를 갖는 볼트접합부에서 하중직 각 방향연단거리가 더 긴 SAM4T30B60시리즈가 SAM4T30B48 시리즈보다 면외변형에 의한 내력저하정도가 높았다.

6. 설계기준식

미국강구조학회(AISC, 2010c), 한국구조기준(AIK, 2016), 일본건축학회기준(AIJ, 2002b), 미국철강협회(AISI, 2012), 미국토목학회(SEI/ASCE, 2002a)등에서 볼트접합부의 파단 형태에 따른 최대내력 산정식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볼트접합부의 블록전단파단에 관해 실제 파단선 을 고려해 새롭게 Teh et al.(2003)에 의해 제안된 식도 소개한다.

6.1. AISC(2010), KBC(2016): 열간압연 탄소강

(a) 순단면파단(Net section tensile fracture, N)

AISC(2010c)와 KBC(AIK, 2016)기준에서는 접합부의 순 단면(An)에서 인장파괴가 발생하는 파단형태로 내력산정식 은 다음과 같다.

(4)
P u t = A n σ u

여기서, An은 볼트구멍의 단면결손을 제외한 인장저항 순 단면적이고, σu는 모재의 인장강도이다.

(b) 종전단파단(Shear-out fracture, S)

AISC(2010), KBC(AIK, 2016)기준에서는 식 (5)와 같이 종 전단파단과 지압파단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볼트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되지 않을 경우,

(5)
P u t = 1.5 L c t σ u 3.0 d t σ u

여기서, Lc: 하중방향 순간격, 구멍의 끝과 피접합재의 끝 또는 인접구멍의 끝까지의 거리, M i n ( e ϕ / 2 , p ϕ ) 이다.

(c) 지압파단(Bearing fracture, B)

볼트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되지 않을 경우,(6)

(6)
P u t = 3.0 d t σ u

(d) 블록전단파단(Block shear fracture, BS)

(7)
P u t = A n t σ u + 0.6 A g υ σ y

(8)
P u t = A n t σ u + 0.6 A n υ σ u

여기서, Ant는 인장저항 순단면적, Agt는 인장저항 총단면적, Agv는 전단저항 총단면적, Anv는 전단저항 순단면적(Fig. 7), σy 는 모재의 항복강도이다.

Fig. 7

Fracture section line of block shear fracture

JKSMI-21-1_F7.jpg

6.2. AIJ (2002): 열간압연 탄소강

일본건축학회 기준(AIJ, 2002b)에서 순단면파단식은 식 (4) 과 동일하고 종전단파단과 지압파단은 별도 구분하지 않고, 식 (9)의 단일식으로 규정하고 있다.

(a) 종전단파단, 지압파단

(9)
P n 2 , 1 = e 1 t σ u

여기서,

  • e 1 = Min(e, p) ,

  • t : 판두께이다.

단, AIJ기준(냉간성형강, 허용응력도 설계법이나 일반적으 로 σyσu로 치환)에서 연단거리가 판두께의 13배를 초과하 는 경우 최대연단거리(e)는 13t로 규정하고 p는 하중방향 볼 트간 중심간격이다.

(b) 블록전단파단

(10)
P u t = ( A n t + 0.5 A g υ ) σ u

6.3. AISI (2012): 냉간성형 탄소강

(a) 순단면파단

하중방향으로 평행한 다중 볼트배열인 접합부의 경우 식 (4) 와 동일식을 적용한다.

(b) 종전단파단

(11)
P u t = e 2 t σ u

여기서, e 2 = M i n ( e , p ϕ / 2 ) 이다.

(c) 지압파단

볼트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되지 않을 경우,(12)

(12)
P u t = m f C d t σ u

여기서, mf (수정계수) =1.0 (양면에 와셔 두 개 사용한 일 면전단접합), C(지압계수, d/t≺10)=3.0이다.

(d) 블록전단파단식은 AISC(2010)의 두 식과 동일하다.

6.4. SEI/ASCE(2002): 냉간성형 스테인레스강

SEI/ASCE (2002a)기준에서는 블록전단파단내력에 대해 서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a) 순단면파단

순단면 파단의 내력산정식의 형태는 AISI (2012)과 유사하 나, SEI/ASCE에 의한 일면전단의 기준내력식은 아래와 같다.

일면전단 볼트접합부,

(13)
P u t = ( 1.0 r + 2.5 r d s 2 ) A n σ u A n σ u

여기서, r : 총인장력에 대한 파단선상의 볼트가 부담하는 내력의 비율이다(2행 1열 r=1, 2행 2열 r=1/2 ). d : 볼트 직경, s2 : 하중방향과 직각방향의 볼트간격(게이지, g)이며, 단일 볼트의 경우는 판폭 (w)이다.

(b) 종전단파단식은 AISI(2012) 식 (11)과 동일하다.

(c) 지압파단

일면전단 볼트접합부,(14)

(14)
P u t = 2.0 d t σ u

6.5. Teh et al.: 일반탄소강

The et al. (2013)에 의해 면내 전단지연에 의한 순단면파단 과 실제 전단파단형태를 고려한 블록전단파단식을 다음과 같 이 제안하였다.(15)(16)

(15)
P u t = A n t σ u ( 0.9 + 0.1 d g ) + 0.6 A a υ σ y

(16)
A a υ = ( L g υ ( n 1 2 + 1 4 ) ϕ ) t

여기서, Aav 는 실제 전단파단면적, Lgv 는 Fig. 7에서 Line ⓒ의 길이임.

7. 설계내력과 변수해석내력 비교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STS201)의 재료시험결과 얻어진 Table 2의 평균항복강도(σy =390.60MPa)와 인장강도 (σu =929.60MPa)를 적용하여 제시된 현행설계기준식을 바탕 으로 Table 4와 같이 순단면파단(N)된 접합부에 대해 해석최 대내력(Pua)과 순단면파단의 설계내력(Put)을 비교해 Table 6 에 정리하였다. 그 결과, 하중직각방향 연단거리 (b)가 30 mm, 36 mm인 접합부는 AISC/KBC, AISI, AIJ의 식 (4)에 의한 최 대 내력비(Put/Pua)는 1.02∼1.06(평균=1.04)의 범위로 나타났 으며 상기 현행 기준식에 의해 순단면파단된 접합부의 내력 을 평균 4%정도 과대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EI/ASCE 의 순단면파단 내력 식 (13)에 의한 최대내력비(Put/Pua)는 0.93∼0.97(평균=0.95)의 범위로 다른 기준식에 비해 내력을 안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ble 6

Fracture mode and ultimate strength by design manual(Net-section fracture mode)

Specimen Free edge Ultimate strength Pua (kN) Fracture mode at analysis end Curling AISC/KBC, AISI, AIJ (Eq. (4)) SEI/ASCE (Eq. (13))

Put (kN) Put/Pua Put (kN) Put/Pua

SAM4T30B30E24 202.03 N X 206.37 1.02 189.17 0.94
SAM4T30B30E30 201.75 N X 206.37 1.02 189.17 0.94
SAM4T30B30E36 202.57 N X 206.37 1.02 189.17 0.93
SAM4T30B30E42 202.71 N X 206.37 1.02 189.17 0.93
SAM4T30B30E48 202.58 N X 206.37 1.02 189.17 0.93
SAM4T30B30E60 202.59 N X 206.37 1.02 189.17 0.93
SAM4T30B30E64 202.51 N X 206.37 1.02 189.17 0.93
SAM4T30B30E72 202.40 N X 206.37 1.02 189.17 0.93
SAM4T30B30E80 202.19 N X 206.37 1.02 189.17 0.94
SAM4T30B36E24 226.78 N X 239.84 1.06 219.85 0.97
SAM4T30B36E30 228.02 N X 239.84 1.05 219.85 0.96
SAM4T30B36E36 228.61 N X 239.84 1.05 219.85 0.96
SAM4T30B36E42 228.05 N O 239.84 1.05 219.85 0.96
SAM4T30B36E48 228.41 N O 239.84 1.05 219.85 0.96
SAM4T30B36E60 227.27 N O 239.84 1.06 219.85 0.97
SAM4T30B36E64 227.53 N O 239.84 1.05 219.85 0.97
SAM4T30B36E72 227.33 N O 239.84 1.06 219.85 0.97
SAM4T30B36E80 227.47 N O 239.84 1.05 219.85 0.97

Average 1.04 0.95

COV 0.107 0.107

Table 5에서와 같이 면외변형이 구속되지 않은(Free edge) 접합부에서 해석 종료시점에서 블록전단파단(BS)이 예측되 었고, 현행기준과 Teh et al.에서 제시한 블록전단파단 내력식 에 의한 예측내력과 해석최대내력을 비교하여 Table 7에 정 리하였다. AISC/KBC와 AISI기준의 블록전단파단에 관한 식 (7)와 (8)중에서는 실험과 해석의 블록전단파단 위험단면(볼 트간 순단면 인장파단과 하중방향의 총단면 전단항복 또는 파단)과 유사한 식 (7)의 블록전단파단내력식을 적용하였다. Table 7의 하중직각방향 연단거리(b)가 48 mm, 60 mm인 접 합부(각각, SAM4T30B48 시리즈, SAM4T30B60 시리즈)에 대해 AISC/KBC, AISI에 의한 최대 내력비(Put/Pua)는 0.73∼ 1.11(평균=0.95), AIJ에 의한 최대 내력비(Put/Pua)는 1.09∼ 2.01(평균 =1.54), Teh et al.식에 의한 최대내력비(Put/Pua)는 0.62~1.10 (평균 =0.85)의 범위로 나타났다. 면외변형에 의한 내력저하 정도가 큰 접합부(즉, 하중방향 연단거리가 긴 접합 부) 일수록 블록전단파단내력식에 의해 최대내력을 과대평가 하는 경향을 보였다. SEI/ASCE에서는 별도로 블록전단 내력 식을 규정하지 않고 있으며, 상기의 탄소강 구조설계기준에 서 제시되고 있는 블록전단파단식에 의해서는 고강도 오스테 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STS201로 제작된 일면전단 볼트접 합부에서 발생되는 블록전단파단의 내력을 평가하는 것은 적 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7

Fracture mode and ultimate strength by design manual(Block shear fracture mode)

Specimen Free edge Ultimate strength Pua (kN) Fracture mode at analysis end Strength reduction by curling AISC/KBC AISI (Eq. (7)) AIJ (Eq. (10)) Teh et al. (Eq. (15))

Put (kN) Put/Pua Put (kN) Put/Pua Put (kN) Put/Pua

SAM4T30B48E24 256.80 BS X 187.70 0.73 287.25 1.12 164.00 0.64
SAM4T30B48E30 266.58 BS X 196.13 0.74 303.98 1.14 172.44 0.65
SAM4T30B48E36 253.67 BS 204.57 0.81 320.71 1.26 180.88 0.71
SAM4T30B48E40 240.59 BS 210.19 0.87 331.87 1.38 186.50 0.78
SAM4T30B48E42 245.92 BS 213.01 0.87 337.44 1.37 189.32 0.77
SAM4T30B48E48 232.15 BS 221.44 0.95 354.18 1.53 197.75 0.85
SAM4T30B48E60 232.61 BS 238.32 1.02 387.64 1.67 214.63 0.92
SAM4T30B48E64 237.41 BS 243.94 1.03 398.80 1.68 220.25 0.93
SAM4T30B48E72 234.46 BS 255.19 1.09 421.11 1.80 231.50 0.99
SAM4T30B48E80 228.83 BS 266.44 1.16 443.42 1.94 242.75 1.06
SAM4T30B60E24 263.64 BS X 187.70 0.71 287.25 1.09 164.00 0.62
SAM4T30B60E30 277.53 BS X 196.13 0.71 303.98 1.10 172.44 0.62
SAM4T30B60E36 242.90 BS 204.57 0.84 320.71 1.32 180.88 0.74
SAM4T30B60E40 222.00 BS 210.19 0.95 331.87 1.49 186.50 0.84
SAM4T30B60E48 222.82 BS 213.01 0.96 354.18 1.59 189.32 0.85
SAM4T30B60E60 225.44 BS 221.44 0.98 387.64 1.72 197.75 0.88
SAM4T30B60E64 229.12 BS 238.32 1.04 398.80 1.74 214.63 0.94
SAM4T30B60E68 219.02 BS 243.94 1.11 409.95 1.87 220.25 1.01
SAM4T30B60E72 222.60 BS 255.19 1.15 421.11 1.89 231.50 1.04
SAM4T30B60E80 220.97 BS 266.44 1.21 443.42 2.01 242.75 1.10

Average 0.95 1.54 0.85

COV 0.166 0.195 0.166

8. 결 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STS201) 2행 2열 일면전단 볼트접합부(공칭평판두께 3.0 mm, 볼트직경 16 mm, 피치 와 게이지는 공통 48 mm)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유한요소해 석 모델을 제시하였다. 해석모델의 타당성 검증을 토대로 하 중직각방향 연단거리(b)와 하중방향연단거리(e)에 대한 변수 해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1) 하중방향연단거리(e=24 mm∼80 mm)와 하중직각방향 연 단거리(b=30 mm, 36 mm, 48 mm, 60 mm)에 대한 추가 변 수해석을 통해 면외변형이 접합부의 최대내력저하에 영향 을 주는 하중방향 및 하중직각방향 연단거리 조건(36≤e ≤80 36 mm, 48≤b≤60mm)을 제시하였다.

  • 2) 면외변형에 의한 내력저하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두께방 향의 변위를 구속시킨 해석모델을 추가적으로 해석을 수 행하였고, SAM4T30B48 시리즈, SAM4T30B60 시리즈 접 합부에서 각각 최대 19%, 32%의 내력저하가 발생하였다.

  • 3) 현행기준식의 순단면파단내력은 면외변형이 발생하지 않 았거나 발생하였더라고 내력저하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했 던 접합부에 대한 해석내력과 큰 차이는 없었다. AISC/KBC, AISI와 AIJ의 기준식에 의해서는 평균 4% 과대평가되었 고, ASCE의 기준식은 평균 5%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구조안정성 측면에서 순단면 파단에 대해서는 스테 인리스강 구조기준인 ASCE가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4) 면외변형에 의한 내력저하가 관찰된 접합부에 대해 해석 의 파단형태와 동일한 블록전단파단에 대한 현행기준과 기존연구자(Teh et al.)의해 제시된 내력식에 의한 예측내 력(Put)과 해석최내력(Pua)을 비교한 결과, AISC/KBC와 AISI는 평균 내력비(Put/Pua)가 0.95, AIJ는 1.54, Teh et al. 식은 0.85로 나타났다. 현행 기준식에서는 하중방향 연단 거리(e)가 증가함에 따라 블록전단파단내력도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면외변형에 의해 내력저하가 발 생했던 접합부에서는 내력상승에 기여하지 못한 점과 파 단선의 불일치로 기준내력과 해석내력에 차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연단거리에 따른 상세변수해석을 통해 명확한 면외 변형 발생조건과 면외변형을 고려한 내력평가식을 제안할 필 요가 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6년도 한밭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았음.

1 
ABAQUS,Ver.6.4 (2003), Analysis User’s Manual
2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AISC) (2010), Steel Construction Manual, c, 325-11.Google Search
3 
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 (AISI) (2012), North American Specification for the Design of Cold-Formed Steel Structural Members
4 
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AISI) (1968), Specification for the Design of Light Gage Cold-formed Stainless Steel Structural Members.
5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SCE) (2002), Specification for the design of cold-formed stainless steel structural members., aGoogle Search
6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AIJ) (2002), Recommendation for Limit State Design of Steel Structures, bGoogle Search
7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AIJ) (2006), Korea Building Code
8 
Australian Standard/New Zealand Standard (AS/NZS) (2001), Coldformed stainless steel structures. AS/NZS 4673.
9 
(2016), Analysis on Ultimate Strength of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s wi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STS201, Proceedings of Annual Conference, 161-164.
10 
(2014),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uctural Behaviors of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s withAustenitic Stainless Steel (STS201, Proceedings of 25th Annual Conference, 9-10.
11 
EN 1993-1-4, Eurocode 3. (2014), Design of Steel Structures part 1.4: General Rules-Supplementary Rules for Stainless Steel, 9-10.
12 
(2013), Ultimate Strength Estimation of Ferritic Stainless Steel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s Fastened with Four Bo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c, 25(6), 659-669.Google Search
13 
(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Ultimate Behavior of Bolted Connections with Thin-walled Ferritic Stainless Steel (STS430), Proceedings of Annual Conferenc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b, 30(1), 141-142.Google Search
14 
(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Behavior of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s with Thin-walled Stainless Steel.,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a, 26(5), 11-18.Google Search
15 
(2007), Finite Element Modeling of Bolted Connections in Thin-walled Stainless Steel Plates Under Static Shear., Thin-walled Struct., 45(4), 407-421.
16 
(2013), Ultimate Strength of Single Shear Two-bolted Connections wi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t. J. Steel Struct., a, 13(1), 117-128.Google Search
17 
Korean Standard (KS) (2015), Cold rolled stainless steel, plates, sheet and strip
18 
(2013), Ultimate Strength of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s with Cold-formed Ferritic Stainless Steel., Journal of Zhejiang University-SCIENCE A (Applied Physics & Engineering), b, 14(2), 120-136.Google Search
19 
Stainless Steel Building Association of Japan (SSBA) (2006), Design manual of light- weight stainless steel structures, bGoogle Search
20 
(2013), Unconventional Block Shear Failures of Bolted Connections in Cold Reduced Steel Sheet., Eng. Struct., 56, 567-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