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보수렌 진저릭트
(Gombosuren Chinzorigt)
1
김소영
(So-Young Kim)
2*
최동욱
(Donguk Choi)
3
임명관
(Myung-Kwan Lim)
4
이진용
(Chin-Yong Lee)
5
©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RC 원형 기둥, 내진 보강 성능, 휨 강도, 연성, PET, HF 스트랜드
Key words
RC circular columns, Seismic strengthening performance, Flexural strength, Ductility capacity, PET, HF strand
1. 서 론
우리나라는 지진 시 건축물의 심각한 손상 및 붕괴로 인한 대량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1988년부터 내진설계를 도 입하였다. 그러나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국도 교량의 내 진설계 적용 비율은 여전히 미흡한 수준(2015년 기준)으로 지 진 발생 시 큰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어 구조물의
내진 보강 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사료된다. 탄소섬유(CF) 및 유리섬유 (GF)는 경량성, 내구성, 강도 및 강성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 하여 1990년대
이후에 철근콘크리트(RC) 부재의 보강재로 널리 사용해 왔다. 그러나 약 1∼4% 미만(ACI 440. 1R-06)의 낮은 변형률은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구조체의 큰 변형을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섬유 파단 시까지 선형 거동 을 하는 취성적 재료이다. 그러므로 높은 연성 능력을 필요로
하는 RC 부재의 내진 보강 재료로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 는 것으로 사료된다.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최대
변형률이 15%에 달하는 고연성 재료이지만 인장강도가 CF 의 1/3, 탄성계수가 철근의 1/30 수준으로 낮다. PET로 보강한 RC 기둥의 내진거동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일본 및 한 국에서 수행되어왔고 연성 능력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Anggawidjaja et al.(2006)은 고 연성 섬유인 PET 및 PEN(polyethylene naphthalate)을 사용하 여 보강한 RC 기둥과 AF로 보강한 기둥의 내진 성능을
실험 적 연구를 통하여 비교·고찰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섬유 보강 기둥의 저항 내력 및 연성 능력은 무보강 기둥보다 증가하였 다. 그러나 AF로 보강한
RC 기둥은 극한단계에서 섬유파단 으로 인해 취성 파괴하였고 PET 보강 기둥은 극한단계 이후 에도 섬유파단 없이 우수한 연성을 나타내어 PET의
높은 변 형률은 RC 기둥의 연성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주장하였다. Sorrasak Vachirapanyakun(2015)은 CF, GF
및 PET 로 횡 보강한 RC 기둥의 내진 성능에 대하여 지진을 모사한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CF 및 GF 보강 기둥은 무보강 기 둥에 비하여
휨 강도가 각각 24.8%, 25.2% 증가하여 강도 증 진 측면에서는 보강 효과가 우수하였지만 극한단계에서 섬유 파단으로 인해 내력이 급격히 저하되며
취성 파괴하여 연성 능력이 취약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반면에 PET 시트로 횡 보 강한 RC 기둥은 휨 강도 증진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극한단 계에서
연성이 섬유 보강량에 따라 무보강 기둥보다 65.8%∼ 90.7% 증가하였고 섬유파단은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연성 거동 의 형태를 나타낸다고 주장하였다.
다만 PET 섬유의 낮은 탄성 계수로 인해 CF 1겹 축강성 대비 약 50% 수준에 해당하는 PET 보강량으로 계획하였음에도 불구하고 CF 보강량에
비하여 약 10배(PET 시트 20겹)이상이었으며 이와 같이 많은 양의 섬유를 사용해서 RC 원형 기둥에 겹보강 형태로 보강해야 하는 PET의 경우
시공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PET를 다량으로 함유한 하이브리드 섬유 hybridized fibers(HF,
PET + aramid) 스트랜드를 설계·제작 및 사용하여 보 강한 RC 원형 기둥과 PET 시트로 횡 보강한 기둥의 내진 성능 에 대해 실험적으로
비교하였으며 내진 보강재로서 고연성 PET 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단면해석을 수행하였다.
2. 보강 섬유 및 HF 스트랜드의 물리적 성질
2.1. 보강 섬유 및 접착제의 물리적 성질
RC 원형기둥의 내진보강에 사용한 섬유 및 접착제는 Sorrasak Vachirapanyakun(2015)이 사용한 재료와 동일하고 각 섬유 (PET,
AF) 및 접착제(K2)의 기계적 물성은 선행연구에서 제 시된 자료를 인용하였다. PET 시트는 2방향(90°교차)으로 직 조한 섬유 시트이며 횡방향
섬유는 무시하고 축방향 섬유 단 면적만을 고려하였다(HF strand의 구성 섬유인 PET 시트는 1 방향이며 물성은 동일함, Fig. 3 참고). HF strand의 설계·제작 에 사용된 AF는 roving 형태로 1방향 섬유이다. Table 1에서 PET의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는 각각 AF의 29%, 8.31%로 매 우 낮지만 최대 변형률은 AF의 약 615%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Fig. 1에서 AF의 응력-변형률 곡선은 선형인데 비해 PET는 비선형 응력-변형률 곡선을 나타내고 있어 Table 1에 서 PET의 탄성계수는 변형률 1%에 해당하는 할선탄성계수 로 나타내었다. Table 2는 이 연구에 사용된 에폭시 접착제 (K2)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Fig. 1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fibers by Sorrasak Vachirapanyakun (2015)
Table 1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s
Fiber type
|
ffu MPa
|
εf %
|
Ef GPa
|
Area mm2 |
|
PET sheet
|
613
|
14.95
|
7.11 |
5.25 2 |
AF roving
|
2,126
|
2.43
|
87.4
|
0.109
|
Table 2
Tensile properties of adhesive
Type
|
Stress MPa
|
εf %
|
Strain %
|
Eadhesive GPa
|
|
K2
|
40.9
|
14.95
|
2.58
|
1.59
|
2.2. HF 스트랜드의 물리적 성질
Vachirapanyakun et al.(2016)의 연구에서 PET는 탄성계수 가 매우 낮으므로 강도 및 내진 보강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현 하기
위해서 많은 양을 사용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PET 시트 약 25겹 (동일 폭 기준) 수준의 단면적에
해당하는 HF 스트랜드를 제 작하였다. 다만 PET의 낮은 탄성계수로 인한 초기강성발현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AF를 혼합하였다. HF 스트랜드 제작
시 각 섬유의 체적비는 Manders and Bader(1981)의 이론에 의거 하여 도출하였으며 HF 구성 섬유의 단면적(폭 100 mm 기준) 은 각각 PET 120.8 mm2, AF 10.9 mm2(AF 단면적이 HF 전체 단면적의 8.3%)으로 결정하였다. 두 종류의 섬유(PET, aramid) 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작한 HF 스트랜드의
구성 섬유, 각각의 물성(최대인장강도, 최대변형률, 탄성계수)은 Table 1 과 동일하며 Figs. 2 및 3에서 보여지듯이 섬유 폭 100 mm 기 준으로 2 mm 간격 내에 PET : 4,500 denier roving × 5개, aramid : 3,000
denier roving × 1개로 이루어져 있고 PET weft가 일정 한 간격으로 축 방향과 90°교차한다.
Fig. 3
Cross-section of HF strand per 100 mm width
HF 스트랜드의 인장시험은 ISO 10406-2(2008)에 따라 Fig. 4 와 같이 제작하였다. Instron-4495 U.T.M을 이용하여 HF 파단 시까지 변위제어 방식으로 가력하였고 TDS-530(데이터로거) 및 LVDT를
사용, 하중 및 변위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였다. 이 때 HF 스트랜드를 K2 접착제(섬유체적의 200%)를 사용하여 함침하고 7일 경화 후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HF 스트랜드 의 인장시험은 5개 수행하였으며 Fig. 5는 인장시험 모습을 나 타낸 것이다. 다만 HF는 각각 다른 물성의 섬유를 혼합하여 제작하였기 때문에 단일섬유의 인장시험결과와 같이 응력-변 형률
곡선으로 나타내는데 어려움이 있어 이 연구에서는 하 중-변형률 곡선으로 나타내었다. Table 3에서 HF 스트랜드의 최대 인장강도 및 최대 변형률은 각각 83.6 kN, 15.4%로 나타 났으며 Fig. 6에서 HF의 하중-변형률 곡선은 PET 단일 시트 와 마찬가지로 비선형 형태를 보였다.
Fig. 4
Size of HF strand tensile test specimen
Fig. 5
Tensile test of HF strand
Table 3
Tensile test results of HF strand
Fiber type
|
Force kN
|
εf %
|
Area1 mm2 |
|
HF strand2 |
83.6
|
15.4
|
PET : 120.8
|
AF : 10.9
|
Fig. 6
Load-strain relationship of HF strand
3. 실험준비 및 내진 성능 실험
3.1. 기둥 실험 준비
3.1.1. RC 원형 기둥 실험체 제작
기둥 실험체는 내진설계가 도입되기 이전인 교량을 가정하 여 당시 시공된 실제 교량의 약 75% 크기의 기둥에서 기둥 높 이 1/2에 해당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직경(d) 400 mm 원형단면 에 기둥 높이(h) 1,500 mm로 제작하였다. 스터브는 1,000 (b) * 1,200 (b’) * 600 mm
(h)로 제작하였다. 주철근은 8-D19(철 근비 ρst = 1.83%), 띠철근은 D10을 사용하여 300 mm 간격 (철근비 ρtie = 0.29%)으로
배근하였다. 콘크리트는 스터브 부 분을 먼저 타설한 뒤 7일 후에 기둥 타설을 수행하였다. 콘크 리트 타설은 레디 믹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였고 100*200
실 린더를 사용하여 Instron 4495 U.T.M.으로 측정한 28일 재령 압축강도는 41.1MPa이었다. 기둥 실험체 제작에 사용된 이형 철근은
SD400 등급을 사용하였으며 철근의 인장시험은 동일 한U.T.M을 사용, KS B 0802에 따라 수행하고 응력- 변형률 곡선을 기록하였다. Tables
4 및 5는 기둥 실험체 제작에 사용 된 각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Table 4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Material
|
fcu MPa
|
Remark
|
|
Concrete
|
41.1
|
Column
|
40.6
|
Column stub
|
Table 5
Mechanical properties of reinforcement
Material
|
fy MPa
|
fu MPa
|
εy %
|
Es GPa
|
Remark
|
|
D19
|
454
|
573
|
0.24
|
189
|
Main bar
|
D10
|
486
|
718
|
0.26
|
181
|
Stirrup
|
D29
|
-
|
Stub bar
|
3.1.2. 기둥 섬유보강 방법
무보강 기둥을 제외한 3개 기둥의 섬유 보강 시 1개 기둥은 PET 시트 25겹을 사용하여 겹보강 하였고 나머지 2개의 기둥 은 HF 스트랜드를 사용하여
보강하였다(Table 6 참고). HF 스 트랜드 보강은 보강섬유의 연속성에 따른 차이점을 고찰하고 자 나선형 형태 보강 1개와 PET 시트 보강 방법과 동일한 후 프형태
1개로 각각 나누어 보강하였다. 섬유 보강 범위는 스 터브 상단으로부터 2d(d = 351 mm) 높이까지 하여 소성힌지 구간(d)을 충분히 보강하였다.
HF의 횡 보강에서 후프 형태 방법으로 보강할 시에 보강 시작면과 끝부분을 섬유 폭(100 mm) 길이만큼 겹쳐 실험 시 발생할 수 있는 섬유의 탈락을
방 지하고자 하였다. HF를 나선형으로 감싸는 방법으로 횡 보강 할 시에는 섬유 보강 구간 최하단부가 스터브 상단면과 일치 하도록 보강 시작면의 일부를
사선으로 절단하여 보강하였고 실험 진행 중 HF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 범위 내의 최 상·하단부 100 mm구간에 HF를 후프 형태로 덧댐 보강하였
다. Fig. 7(a), (b)는 각각 HF 스트랜드의 후프보강 및 나선형 형태로 횡 보강한 RC 기둥 실험체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Fig. 7(c), (d) 각각 후프 보강형 실험체에서 HF 스트랜드의 접 합부분 겹침 상세 및 나선형 보강 실험체에서 기둥 최하단부 구간의 HF 덧뎀 보강을 나타낸 것이다.
모든 기둥 실험체에서 접착제 양은 섬유 체적의 200%를 사용하였다.
Table 6
Test variables for seismic test of RC columns
Column index
|
a/d
1
|
ρst
2
|
ρtie
3
|
ρf
4
|
Remarks 5 |
|
%
|
%
|
%
|
|
C-Control
|
3.57
|
1.83
|
0.29
|
-
|
-
|
C-PET
|
1.31
|
PET 25 layer
|
APET = 393.8 mm2 |
C-HF-hoop
|
1.32
|
HF 1 layer
|
APET = 362.4 mm2 |
C-HF-spiral
|
1.32
|
AAF = 32.7 mm2 |
Fig. 7
RC column test specimens before test
3.1.3. 변위 및 변형률 측정
Fig. 8에 나타낸 RC 원형 기둥의 내진 성능 실험을 위한 실 험체에서 각 띠철근(E/W) 및 띠철근 사이 North/South 위치 주철근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1세트 부착하여 횡 하중 증가에 따른 철근의 변형률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모든 HF 보강 실험 체의 N/S방향, 스터브 상단 50 mm 구간(HF
단위 폭 100 mm 의 1/2)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섬유 축 방향으로 부착하였고 PET 시트로 보강한 기둥에서는 같은 위치, 후프 방향 스트레 인게이지에
추가하여 수직 방향으로도 스트레인게이지를 부 착하였다. PET 시트는 2방향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기둥 축 방향의 시트 인장변형률과 후프 방향의
인장변형률을 모두 계측한 것이다. 또한 Fig. 8과 같이 횡 하중 가력 위치(스터브 로부터 상부 1.25 m) 반대편 지점에 LVDT를 설치하여 하중 의 증가에 따른 변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Fig. 8
Test set-up of RC column test specimens
3.1.4. 실험방법
실험체의 기둥하단 지점조건을 고정단으로 가정하고 스터 브를 바닥에 기계적으로 고정시켰다. 스터브 상단으로부터 기둥 1.25 m 지점에 최대용량 1,000
kN의 P.L 1.0N 유압 액츄 에이터를 사용하여 변위제어 방식으로 N/S 방향의 횡력을 반 복하여 가력하였다. 기둥 축 방향으로는 최대용량 2,000
kN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기준 실험체 축 하중 내력의 약 6.5% 에 해당하는 350 kN의 하중을 가하였고 고정하중으로 가정하 여 가력상태를
유지하였다. 횡 가력으로 인한 실험체 변위의 변화에 관계없이 축 방향 하중과 기둥의 중심축이 항상 일치 하도록 기둥 양 측면(East / West
방향)에 힌지를 각각 설치하 고 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ACI 374.2R-13(2013)을 참 고하여 Fig. 9에 나타낸 횡 가력 반복 프로그램에 따라 N/S 방 향으로 각각 횡 하중을 1, 2, 3, 4.5, 6, 8Δy 순으로 각 변위마다 두 사이클씩 진행하였고 계측된 하중이 각 변위 및 사이클 최 대 하중의 80% 이하로 측정되면 실험체의 최종 파괴로 간주 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항복변위 Δy는 기둥 최하단부 주철 근(스터브로부터 상부 75 mm)에 설치한 스트레인게이지가 항복 변형률에 도달한 시점으로 하였고 N/S 방향 철근의 항복 단계에서
계측된 최대 변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모든 데이 터는 데이터 로거(TDS-53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기록하 였다.
4. 실험결과
4.1. 하중-변위 이력 거동
4.1.1. C-Control
Fig. 10(a)에 무보강 RC 원형 기둥의 하중-변위 이력곡선을 나타내었다. C-Control 실험체의 N/S 방향 1 사이클 반복 횡 가력에 의한 평균 항복하중
및 변위는 각각 146 kN, 15.1 mm 로 측정되었다. 2Δy 첫 번째 사이클에서 N 위치 기둥 하단부 에 콘크리트 박리 현상이 관측되기 시작하였고 횡 가력 프로 그램에 따라 실험을 계속해서 진행하던 중 3Δy 첫 번째 사이 클, N 위치에서 수직 균열 발생과 동시에 기둥 하단부의 콘크 리트박리가 크게 나타났다(Fig. 11(a) 참고). 3Δy 두 번째 사이 클에서 E/W 위치에 전단 균열이 크게 진전되고 4.5Δy 첫 번째 사이클 횡 가력 중에 실험체가 전단 파괴하여(Fig. 11(b) 참고) 실험을 종료하였다. 계측된 N/ S방향 평균 최대 하중 및 변위 는 각각 172 kN, 44.6 mm이었다.
Fig. 10
Load vs. Displacement: Hysteretic diagram
Fig. 11
C-Control: (a) Concrete crushing at 3△ y; (b) Shear failure at 4.5△ y
4.1.2. C-PET
Fig. 10(b)에 나타낸 것과 같이 PET 시트로 25겹 횡 보강한 실험체의 N/S 방향 평균 항복하중은 133 kN, 항복변위는 9.56 mm로이었다. 변위 10Δy 첫 번째 사이클에서 기둥 하단부에 콘크리트 박리에 의한 섬유 부풀림 현상이 관측(Fig. 12(a) 참 고)되었으나 섬유의 파단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PET의 저 항 능력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계속해서 실험을 진행하 였다. 이때 N/S 방향
평균 최대 하중 및 변위는 각각 214 kN, 83.3 mm이었다. 10Δy두 번째 사이클에서 기둥 주근의 좌굴로 인해 하중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으며 계측된 최대 하중은 178 kN으로 N/S방향 평균 최대 하중의 약
80% 수준이므로 실 험을 종료하였다. 다만 PET 시트의 연성 능력을 파악하고자 단방향 횡 가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고 그 결과, 액츄에이 터 스트로크
한계인 변위 125 mm에서도 섬유의 파단은 나타 나지 않았다(Fig. 12(b) 참고).
Fig. 12
C-PET: (a) Bulging of PET sheet at 10△ y; (b) Monotonic loading after completion of
cyclic loading program
4.1.3. C-HF-hoop
Fig. 10(c)에서 HF 스트랜드로 후프 보강한 RC 원형 기둥 실험체의 N/S 방향 항복하중은 각각 154 kN, 121 kN으로 평 균값 138 kN, 항복변위는
N/S방향 평균값 11.5 mm이었다. 변 위 8Δy 첫 번째 사이클에서 기둥 소성 힌지 구간에 콘크리트 의 박리에 의한 섬유 부풀림 현상(Fig. 13(a) 참고)이 관측되었 고 이때 실험체 평균 최대 하중 및 변위, 각각 195 kN, 96.7 mm 를 기록하였다. 8Δy 두 번째 사이클에서 측정된 하중은 174 kN으로 실험체 최대 하중의 80% 이상이지만 액츄에이터 스 트로크를 고려하여 North 방향으로 단조
가력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하중 141 kN에서 주철근 좌굴(Fig. 13(b) 참고)과 동 시에 내력이 크게 저하되어 실험을 종료하였다. C-PET 실험 체와 마찬가지로 최종단계에서도 섬유의 파단은 발생하지 않 았다.
Fig. 13
C-HF-hoop: (a) HF strand bulging at 8△ y; (b) Main bar buckling
4.1.4. C-HF-spiral
Fig. 10(d)에 HF 스트랜드를 나선형으로 보강한 실험체의 하중-변위 이력곡선을 나타내었다. 실험체의 N/S 방향 평균 항복강도는 133 kN, 항복변위는 10.9
mm이었다. 6Δy 두 번째 사이클에서 섬유 보강 구간 상단의 콘크리트에 사선으로 균 열(Fig. 14(a) 참고)이 관측되었다. C-PET 및 C-HF-hoop 실험 체와 다르게 섬유의 부풀림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고 기둥 하 단부가 스터브 상단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관측되었다(Fig. 14(b) 참고). 실험체의 최대 하중 및 변위는 8Δy 첫 번째 사이 클에서 N/S 방향 평균 211 kN, 88.4 mm을 기록하였다. 9Δy 두 번째 사이클 횡 하중 가력 중에 주근 좌굴에 의해 내력이 급격 히 저하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Fig. 14
C-HF-spiral: (a) Diagonal crack at 6△ y; (b) Separation of column base from stub face
at 9△ y
4.2. 하중-변위 곡선 포락도
총 4개의 RC 원형 기둥 실험으로부터 결정한 하중-변위 거 동의 포락도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모든 섬유보강 기둥의 최대 하중 및 변위는 무보강 기둥에 비하여 증가하였는데 최 대 하중은 C-Control보다 13.4∼24.4%,
최대 변위는 86.8∼ 117% 향상되었다. 또한 drift ratio 및 연성비(Δmax / Δy) 역시 무 보강 기둥보다 약 2∼3배 증가하여 연성 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C-HF-spiral의 최대 하중 및 변위는 C-PET
실 험체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RC 기둥에서 HF 스트랜드 1 겹은 PET 시트 25 겹(동일 폭 기준)과 유사한 수준의 횡 보강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C-HF-spiral 실험체 는 횡 보강 시 보강형태의 특성상 보강 시작 구간에 섬유 탈락 의 방지를 위해 HF를 후프 형태로
덧뎀 보강하였고 C-HF-hoop 기둥은 덧뎀 보강하지 않아 섬유 보강량의 차이로 인해 C-HF-hoop의 최대 내력이 C-HF-spiral보다 감소한
것으로 사 료된다.
4.3. 띠철근의 횡 방향 구속효과
Fig. 16(a), (b)는 각각 반복 횡 가력 시 측정된 스터브 상단 면으로부터 기둥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띠철근의 인장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E/W 위치 스트레인게이지의
평균값을 취하였 음). Fig. 16(a)에서 C-Control 실험체의 띠철근 변형률은 최대 0.0054로 항복변형률 0.0026을 훨씬 초과하였다(C-Control 실험체는 전단파괴 하였음).
반면에 모든 섬유 보강 기둥의 띠 철근 최대 변형률은 띠철근의 항복 변형률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16
Load vs. column tie strains
4.4. 보강섬유의 횡 방향 구속효과
Fig. 17에 PET 시트 및 HF 스트랜드로 보강한 실험체 섬유 의 후프 방향 인장 변형률을 나타내었다. 보강섬유에 설치한 스트레인 게이지의 부착 위치는 C-PET의
경우 첫 번째 띠철근 위치의 1/2(스터브 상단 75 mm)이고 C-HF-hoop 및 C-HF-spiral 은 모두 HF 스트랜드 폭의 1/2(스터브
상단 50 mm)이었다. C-PET, C-HF-hoop 및 C-HF-spiral 실험체의 섬유 최대 변형 률은 각각 1.21%, 1.90%, 1.34%로
C-HF-hoop > C-HF-spiral > C-PET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C-PET 의 스트레인게이지 부 착위치가 HF 스트랜드 보강 실험체보다
상향조정되어 있었 고 C-HF-spiral 실험체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는 최종 단계 전에 탈락하여 이러한 실험적 상황을 고려하면 모든 섬유의 인장변형률은
유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PET 시트는 2방향으로 직조되었으므로 후프방향과 더불어 기둥 축 방향 변형률도 계측하였고 그 결과를 Fig. 18에 나타내었다. Fig. 18 에서 알 수 있듯이 PET 시트의 기둥 축 방향 섬유 역시 후프방 향 섬유와 마찬가지로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변형률이 증가 하므로 기둥의 내력증진에
영향이 있다고 사료되었다.
Fig. 18
Load vs. PET strains(axial direction)
Table 7은 RC 원형 기둥의 실험결과를 요약하여 나타낸 것 이다.
Table 7
Summary of test results(ave. values of N/S directions)
Column index
|
Py
|
△y
|
Pmax
|
△max
|
Disp. ductility
|
Drift ratio %
|
kN
|
mm
|
kN
|
mm
|
|
|
C-Control
|
146
|
15.1
|
172
|
44.6
|
2.95
|
3.57
|
C-PET
|
133
|
9.56
|
214
|
83.3
|
8.71
|
6.66
|
C-HF-hoop
|
138
|
11.5
|
195
|
96.7
|
8.41
|
7.74
|
C-HF-spiral
|
133
|
10.9
|
211
|
88.4
|
8.11
|
7.07
|
5. RC 원형 기둥의 단면 해석
5.1. 횡 구속된 콘크리트의 거동
RC 원형 기둥 콘크리트에 축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질 경 우 발생하는 횡 방향 팽창은 FRP에 의해 구속되고 Fig. 19와 같이 모든 위치에서 균등한 압력을 받게 된다. 이때 횡 방향 구 속력은 섬유 보강량, 섬유 인장응력, 섬유 두께 및 심부 콘크 리트 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Fig. 19 및 식 (1)은 원형 기둥에서 콘크리트의 횡 방향 구속력을 나타낸 것이다.
Fig. 19
FRP pressure on laterally confined concrete
식 (1)에서 ffrp 즉, PET 및 HF의 인장강도는 보강에 사용된 K2 접착제의 극한 변형률 0.026 mm/mm에 해당하는 값을 취 하였다. 그 이유는 해석 시
섬유와 접착제는 일체 거동하는 것 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접착제가 극한 변형률에 도달하여 파괴하면 이론적으로 보강재의 파괴로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tfrp는 보강섬유의 총 두께, d(2r)는 원형기둥 단면의 지름이다.
이 연구에서 FRP로 횡 보강된 RC 원형 기둥 콘크리트의 구 속효과는 Mander at al.(1988)이 제안한 식 (2)∼(3)에 의거하 여 산출하였고 그 결과를 Fig. 20에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으로 나타내었다.
Fig. 20
FRP pressure on laterally confined concrete
식 (2), (3)에서 f’cc는 FRP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f‘co는 횡 구속되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상수 k1은 구속 효과계수로서 4.1을 취할 수 있고 εcc 및 εco는 각각 FRP로 횡 구속된, 구속되지 않은 콘크리트의 최대압축응력에 해당하는 변형률이다. FRP로 횡 보강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 을 나타낸
Fig. 20에서 C-Control의 경우 띠철근에 의한 횡 구 속 효과는 크지 않고 PET 시트 및 HF 스트랜드로 보강한 RC 원형 기둥 콘크리트의 축 방향
압축내력 및 변형률 성능은 크 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5.2. RC 원형 기둥의 모멘트-곡률 곡선
PET 시트 및 HF 스트랜드로 횡 보강한 RC 원형 기둥 단면 의 모멘트-곡률 곡선을 구축하기 위하여 Fig. 20에 나타낸 FRP의 횡 구속 효과를 반영한 콘크리트 응력-변형률 관계를 적용하였고 FRP로 횡 보강된 RC 기둥의 소성구간 해석의 정 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철근의 응력-변형률 관계에서 항 복단계 이후의 소성경화 효과를 항복 지점과 최대 인장응력 지점을 연결한 할선에 대해 수치식으로 정립하여 해석에
적 용하였다. 또한 PET는 2방향(90°교차) 시트이므로 후프방향 시트의 횡 구속효과와 더불어 기둥 축 방향 시트의 모멘트 저 항성능을 구하기 위하여
Fig. 1에 나타낸 섬유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이용하였다. 다만 PET 시트의 응력-변형률 곡선은 비 선형이므로 Vachirapanyakun et al.(2016)이
변형률 4%까지 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식 (4)와 같은 다항식 형태로 나타낸 수치 해석적 모델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σ는 PET 시트의 인장응력(MPa), є는 변형률(mm/mm) 이다.
전술된 과정을 거쳐서 구한 RC 기둥 실험체의 모멘트-곡률 해석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Table 8에 요약하여 나타내 었다. Table 8에서 실험 값 대비 해석에 의한 항복단계 모멘트 값은 C-Control, C-PET, C-HF-hoop, C-HF-spiral 각각 82.0, 92.0,
86.4, 89.7% 극한단계 휨 강도는 96.3, 93.5, 95.5, 86.1% 로 대체로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만 모든 기둥의 극 한단계
휨 강도(실험 값)는 최대 변위 지점에서 축 방향 하중 이 기둥 축과 일치하므로 축력에 의한 횡 방향 하중의 감소 영 향을 실험 값에 적용하면 해석의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C-HF-spiral의 극한단계 휨강도(해석 값) 대비 실험 값이 다른 실험체 보다 정확도가 낮은 이유는 보강재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모멘트 저항이 가장 큰 구간에 HF 1겹을 덧댐 보강하였 기 때문에 보강량의 증가에 의한 영향이라고 판단된다.
Table 8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ly and analytically determined values
Column index
|
Test values,
|
Analytically determined values, moment in kN·m, curvature in 10-5 radian/mm
|
My-calc / My-test (%)
|
Mu-calc / Mu-test (%)
|
Curvature ductility Φu/Φy |
|
kN·m (N/S average)
|
Yield stage
|
Ultimate stage
|
|
My-test
|
Mu-test
3)
|
My-calc
|
Φy-calc
|
Mu-calc
|
Φu-calc
|
|
C-Control
|
183
|
199 (215)
|
150
|
1.12
|
192
|
3.38
|
82.0
|
96.3
|
3.02
|
(89.3)
|
C-PET 1) |
166
|
238 (268)
|
152
|
1.14
|
213
|
7.87
|
91.4
|
89.4
|
6.90
|
(Hoop fiber only)
|
(79.5)
|
C-PET 2) |
153
|
1.14
|
223
|
7.68
|
92.0
|
93.5
|
6.74
|
(Hoop + axial fibers)
|
(83.2)
|
C-HF-hoop
|
173
|
210 (244)
|
149
|
1.13
|
200
|
6.44
|
86.4
|
95.5
|
5.70
|
(82.0)
|
C-HF-spiral
|
166
|
233 (264)
|
89.7
|
86.1
|
(75.8)
|
Fig. 21은 기둥의 단면 해석결과, 모멘트-곡률 곡선을 나타 낸 것이다. 항복단계에서 무보강 기둥, C-PET 및 C-HF의 휨 강성 및 강도는 유사하고 소성구간에서
섬유 보강된 RC 기둥 의 휨 강도 및 연성은 C-Control보다 우수하게 나타나 실험결 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실험 및 해석결과는
고연성 PET 시트 또는 스트랜드를 RC 기둥의 내진 보강에 사 용하면 휨강도 및 연성 증가에 모두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 낸다. 한편 2축 PET
시트로 보강한 기둥은 횡 방향 섬유의 구 속 효과에 기둥 축 방향 섬유의 휨 저항 내력을 해석에 포함시 키면 후프 방향 섬유만을 고려한 해석결과보다
해석의 정확 도가 향상되었다.
Fig. 21
Moment-curvature relationship determined by M-Ø analysis
6. 결 론
-
1) PET 시트 25겹 및 HF 스트랜드로 보강한 기둥 실험체의 최대 하중은 C-Control 보다 13.4∼24.4% 증가하였고 최 대 변위는 86.8∼117%
증가하여 내력 및 연성 측면에서 모 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2) C-PET, C-HF-hoop 및 C-HF-spiral의 변위 연성비(disp. ductility)는 C-Control 보다 각각 195%, 185%,
175% 증가 하였고 drift ratio는 각각 기준 실험체보다 87%, 117%, 98% 증가하였다.
-
3) PET 및 HF 보강 실험체는 극한단계에서 주철근 좌굴에 의 해 내력이 저하되는 시점에서도 섬유 파단은 발생하지 않 아 PET의 고연성 성질로 인해
RC 기둥의 횡 구속 효과가 계속해서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다.
-
4) C-PET의 최대 하중 및 변위는 각각 214 kN, 83.3 mm이고 C-HF-spiral 실험체는 각각 211 kN, 88.4 mm로 두 실험체
의 내진 성능에 거의 차이가 없어 HF 스트랜드 1겹은 PET 시트 약 25 겹(동일 폭 기준)의 횡 구속 효과를 나타내었다.
-
5) 띠철근 및 섬유로 횡 구속된 RC 기둥의 콘크리트 강도는 해석결과, C-Control, C-PET 및 C-HF 각각 42.3, 49.4, 47.0
MPa로 무보강 기둥에서 띠철근 구속 효과의 영향은 크지 않았지만 섬유 보강 실험체는 무보강 기둥 보다 크게 증가 하였다.
-
6) 띠철근 및 섬유의 횡 구속 효과를 반영하여 RC 원형 기둥 단면을 해석한 결과, 실험 값 대비 항복단계 및 극한단계 휨 강도는 각각 82.0∼92.0%,
86.1∼96.3% 범위로 대체로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
7) PET 시트는 지진하중에 의해 수반되는 큰 변형을 흡수하 는 능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내진 보강재로서 적 합한 것으로 판단되나 낮은 탄성계수로
인해 많은 양을 사 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어 시공성 측면에서 불리하다고 판 단된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HF 스트랜드는 다량의 PET 시트에 해당하는
횡 구속 효과를 나타내어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