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계혁
(Kye-Hyouk Lee)
1
김규용
(Gyu-Yong Kim)
2*
이보경
(Bo-Kyeong Lee)
3
신경수
(Kyoung-Su Shin)
3
남정수
(Jeong-Soo Nam)
4
©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α형 반수석고, 모르타르, 응결시간, 압축강도, 건조수축
Key words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Mortar, Setting time, Compressive strength, Drying shrinkage
1. 서 론
석고는 온도 및 습도 등에 따라 결정수의 양이 달라지는 물 질로써 무수석고(calcium sulfate anhydrite, CaSO4), 반수석고 (calcium sulfate hemihydrate, CaSO4·1/2H2O),이수석고(calcium sulfate dehydrate, CaSO4·2H2O)의 세 종류로 구분된다(Hand, 1997). 이를 세부적으로 나누면 반수석고는 α형, β형으로 구 별되고, 무수석고는 I형, II형, III형으로 구별된다. 이전의 연 구에서는 무수석고와
이수석고로부터 반수석고를 제조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Deutsch, Y. et al., 1994; Amathieu and Boistelle, 1988; Rinaudo and Boistelle, 1991; Badens, E. et al., 1999; Singh and Middendorf, 2007). 이러한 반수석고의 경 우 α형 반수석고(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β형 반 수석고(beta-calcium
sulfate hemihydrate) 모두 주변의 수분에 의하여 쉽게 수화되는 가용성 석고이며, 주변에 수분이 있으 면 흡수하여 이수석고로 재수화되면서
응결되는 특징이 있 다. 반수석고는 무수석고나 이수석고보다 용해도가 크기 때 문에 어느 정도 이상의 첨가에서는 과포화용액으로부터 곧바 로 이수석고가
석출되고 응결한다. 반수석고는 앞에서 언급 한 바와 같이, 가용성석고로써 주변의 수분을 쉽게 흡수하기 때문에 팽창 및 경화속도를 촉진시킨다.
Fig. 1은 α형 반수석고의 응결 시작 시간 및 변형특성에 관 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수석고의 경우 일 정 첨가율 이상에서는 응결시간이 거의
일정해진다. 그러나 Fig.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α형 반수석고는 일정 첨가율에 서는 이수석고와 동일하게 응결이 지연되지만 그 이상 첨가 하면 과포화용액으로부터 즉시 이수석고가
석출하면서 응결 한다(Lea, 1970). 또한 Fig.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Aluminate 상의 C3A와 α형 반수석고가 반응해 생긴 에트링가이트 침상 결정의 성장압에 의해 시멘트 입자 사이나 수화물
사이를 넓 히기 때문에 재령 초기에 팽창변형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Lee, K. et al., 2015).
Fig. 1
Conceptual diagram on start time of setting and strain properties of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한편, α형 반수석고는 이수석고로부터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를 사용하는 가압수증기법, 가압수용액법과 오토클레 이브(autoclave)를
사용하지 않는 상압수증기법, 상압수용액 법의 방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생산 방법이 복잡하고, 대량 연속 생산이 곤란하며, 재료
단가가 높 아지기 때문에 건설재료로써 활용가치가 낮았다. 그러나 최 근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배연탈황석고(flue gas desulfurization
gypsum)를 활용하여 경제적으로 α형 반수석고를 제조 하는 기술이 실용화되고 있다(Jiang, G. et al., 2016; Guan, B. et al., 2009; Guan, B. et al., 2011; Miao, M. et al.,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결 시작 시간이 빠르고 재령 초기 팽 창변형이 발생하는 α형 반수석고의 특징에 주목하여, α형 반 수석고를 10, 20, 30
wt.% 치환한 보통포틀랜드시멘트 및 고 로슬래그시멘트 모르타르의 응결 및 압축강도 특성, 건조수 축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α형 반수석고를 건설재료로
활용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α형 반수석고의 수화
α형 반수석고는 필요한 양의 물을 혼입할 경우 시멘트와 같 이 응결 및 경화한다. 그러나 Fig.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α형 반 수석고만을 활용해 제조한 모르타르는 재령 초기에 급격하게 경화하여 최대강도에 도달한 후 이 후 재령에서는 강도가 저
하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Guan, B. et al., 2010). α형 반수석고는 수화에 의해 이수석고로 전환되는데 이때 석출되는 이수석고 결정간 의 재결정화로 인해 석출 결정 간 이완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재령이 경과함에 따라 강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해석 되고 있다.
Fig. 2
Hydration properties of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Lewry and Williamson는 반수석고의 강도발현은 3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으며, Guan et al.은 이를 바 탕으로,
α형 반수석고의 수화는 페이스트상의 입자 결합 (Bond of particles in paste), 다수의 이수석고 핵이 성장하고 서로 응집(Formation
of crystal matrix), 과도한 내부 응력으로 인해 강도저하의 발생(Release of internal stress), 이수석고 결 정
표면의 증발에 의해 자유수분이 제거되며 구조가 더욱 조 밀해지며 강도가 향상(Evaporation of free water), 매트릭스의 안정화(Instability
matrix joints)의 5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고 주장하였다(Guan, B. et al., 2010; Lewry and Williamson, 1994; Chappuis, 1999; Reynaud, P. et al., 2006). 즉,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α형 반수석고의 수화는 보통포틀랜드시멘 트와는 다르게 재령이 경과함에 따라 강도가 저하하는 구간 이 발생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3. 실험계획 및 방법
3.1. 사용재료
Table 1에 사용재료의 물리적 특성, Table 2에 사용재료의 화학조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멘트는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의 1종 보통포틀랜드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 OPC)와, KS L 5210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고로슬래그시멘트(Portland blast-furnace slag cement, PBC) 2 종을 사용하였으며, 밀도는 각각 3.12, 3.05
g/cm3이며, 비표면 적은 3,500, 4,000 cm2/g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α형 반수석 고는 배연탈황석고로부터 가압수용액법으로 제조된 것이며, 밀도는 2.72 g/cm3이며, 비표면적은 1,400 cm2/g이다. 잔골재 는 ISO 표준사를 사용하였으며, 밀도는 2.50 g/cm3이고 흡수 율은 1.00% 이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used materials
Materials(Sign)
|
Physical properties
|
ordinary Portland cement(OPC)
|
Density : 3.12 g/cm3, Blaine : 3,500 cm2/g
|
Portland blast-furnace slag cement(PBC)
|
Class 2, Density : 3.05 g/cm3, Blaine : 4,000 cm2/g
|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α)
|
Density : 2.72 g/cm3, Blaine :1,400 cm2/g
|
sand(S)
|
ISO standard sand, Density : 2.50 g/cm3, Absorption ratio : 1.00%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s of used materials
Materials(Sign)
|
Chemical composition(%)
|
|
SiO2 |
Al2O3 |
Fe2O3 |
CaO
|
MgO
|
Na2O
|
K2O
|
SO3 |
LOI
|
|
ordinary Portland cement(OPC)
|
20.70
|
6.20
|
3.10
|
62.20
|
2.80
|
0.10
|
0.84
|
2.10
|
1.96
|
Portland blast-furnace slag cement(PBC)
|
27.11
|
9.84
|
1.88
|
52.66
|
3.40
|
0.31
|
0.66
|
2.43
|
1.71
|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α)
|
2.57
|
0.88
|
0.41
|
39.99
|
0.32
|
-
|
-
|
55.79
|
0.04
|
3.2. 실험계획
본 연구의 실험계획을 Table 3에 나타냈다.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모르타르의 경화 특성 및 건조수축을 검토하기 위해 시멘트 종류와 α형 반수석고의 치환율을 실험변수로 설정하 였으며,
시멘트의 종류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 고로슬래그시 멘트의 2수준, α형 반수석고 치환율은 0, 10, 20, 30 wt.%의 4 수준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경화 특성을 검토하기 위 해서 응결시간과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변형거동을 검토 하기 위해 건조수축을 측정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으로 미세구조의 관찰 을 수행하였다.
Table 3
Experimental variables
|
Experimental level
|
Evaluation items
|
Cement type
|
|
|
Replacement ratio of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
-
0(wt.%)
-
10(wt.%)
-
20(wt.%)
-
30(wt.%)
|
Table 4에 모르타르 배합을 나타냈다. KS L ISO 679 「시멘 트의 강도 시험 방법」에 준하여 물-결합재 비(W/B)는 0.5, 결 합재와 잔골재 비(B:S)는 1:3으로 설정하였다.
Table 4
Specimens ID
|
W/B
|
B:S1) |
B(wt.%)
|
|
OPC
|
PBC
|
α
|
|
OPC mortar
|
OPC
|
0.5
|
1:3
|
100
|
-
|
-
|
OPC-α10
|
90
|
-
|
10
|
OPC-α20
|
80
|
-
|
20
|
OPC-α30
|
70
|
-
|
30
|
|
PBC mortar
|
PBC
|
0.5
|
1:3
|
-
|
100
|
-
|
PBC-α10
|
-
|
90
|
10
|
PBC-α20
|
-
|
80
|
20
|
PBC-α30
|
-
|
70
|
30
|
3.3. 실험 방법
응결시간 측정은 KS F 2436 「관입 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 의 응결 시간 시험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관입저항이 3.5, 28.0 MPa가 될 때의 시간을 각각 초결시 간과 종결시간으로 결정하였다.
압축강도는 KS L ISO 679 「시멘트의 강도 시험 방법」에 준 하여 40×40×160 mm의 시험체를 각 재령별로 3개씩 제작하 였으며, 재령 1, 3, 7, 28일에 모르타르용 전용 지그를 이용하 여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는 2 MN 용량의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하였다.
건조수축 측정은 KS F 2424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길이 변화 시험 방법」에 준하여 100×100×400 mm 크기의 시험체 를 제작하였으며, 시험체 내부에 양단 플랜지형 변형률 게이 지를 매립하였다. 시험체는 탈형 한
후 온도 20±1°C, 상대습 도 60±3%의 항온·항습실에서 데이터로거를 활용하여 측정 하였다. 또한, 시험체의 미세구조 및 결정구조는 주사전자현
미경(SEM)을 활용하여 샘플을 백금으로 코팅한 후 가속전압 15 kV에서 관찰하였다. 측정은 OPC, PBC와 수축변형이 작은 시험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재령 3일에 관찰하였다.
4. 실험결과 및 고찰
4.1. 응결시간
관입침에 의한 관입저항 측정결과를 Fig. 3, 회귀분석을 통 해 도출한 응결시간 측정결과를 Table 5에 나타냈다. OPC 모 르타르의 경우 α형 반수석고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초결시 간이 빨라지는 경향을 나타났다. 그러나 종결시간은 OPC-α 30이
가장 빠르게 나타났으며, 초결시간의 경향과 다르게 OPC에 비해 OPC-α10과 OPC-α20의 종결시간이 느려지는 경 향을 보였다. PBC 모르타르의
경우 OPC 모르타르와 유사하 게 α형 반수석고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이 빨라지 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종결시간 또한 α형 반수석고 치환율의
증가에 따라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Fig. 3
Penetration resistance measurement results of OPC mortar and PBC mortar
Table 5
Setting time measurement results
Specimens ID
|
Initial setting time(min.)
|
Final setting time(min.)
|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
|
OPC Mortar
|
OPC
|
287
|
413
|
0.9605
|
OPC-α10
|
272
|
427
|
0.9789
|
OPC-α20
|
137
|
457
|
0.9497
|
OPC-α30
|
6
|
352
|
0.7818
|
|
PBC Mortar
|
PBC
|
352
|
522
|
0.8853
|
PBC-α10
|
284
|
494
|
0.9727
|
PBC-α20
|
106
|
447
|
0.9836
|
PBC-α30
|
24
|
344
|
0.7640
|
한편, OPC-α30과 PBC-α30의 결정계수는 각각 0.7818, 0.7640로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한 응결시간의 적합도가 다른 시험체에 비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원인 은 α형 반수석고의 다량 치환에 따른 급결현상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Fig. 4에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모르타르의 응결특성을 나 타냈다. α형 반수석고를 30 wt.% 치환한 OPC-α30과 PBC-α30 의 초결시간은 각각
6, 24분, 종결시간은 352, 344분으로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하지 않은 OPC와 PBC에 비해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초결에서 종결에 이르는 시간이
길어지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4
Setting properties of OPC mortar and PBC mortar with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4.2. 압축강도
Fig. 5에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OPC 모르타르와 PBC 모 르타르의 압축강도 측정결과를 나타냈다. 본 실험의 범위에 서 OPC 모르타르와 PBC 모르타르
모두 α형 반수석고의 치환 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OPC 모르타르의 경우 α형 반수석고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압 축강도의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PBC 모르타르의 경우 PBC- α10의 압축강도가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다른 시험체에 비 해 비교적 크게 상승하였다.
Fig. 5
Compressive strength measurement results of OPC mortar and PBC mortar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OPC 모르타르의 재령 1일 압축강 도는 OPC-α10, OPC-α20, OPC-α30 각각 10.4, 10.4, 10.0
MPa 로 측정되어, 17.6 MPa의 OPC 대비 약 56∼58 % 수준으로 나 타났다. 한편,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PBC 모르타르의 재령 1
일 압축강도는 PBC-α10, PBC-α20, PBC-α30 각각 8.6, 7.2, 6.4 MPa로 측정되어, 14.6 MPa의 PBC 대비 약 44∼59
% 수 준으로 나타났다.
Fig. 6에 OPC 모르타르와 PBC 모르타르의 재령 28일 압축 강도 발현율을 나타냈다.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OPC 모르타 르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OPC-α10, OPC-α20, OPC-α30 각 각 22.3, 18.8, 17.8 MPa로 측정되어, 40.9 MPa의 OPC 대비 약 43∼54
% 수준으로 나타나 재령초기에 비해 압축강도 발현 율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α형 반수석고를 치환 한 PBC 모르타르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PBC-α10, PBC-α 20, PBC-α30 각각 27.9, 15.7, 15.5 MPa로 측정되어, 36.5 MPa 의 PBC 대비 PBC-α20,
PBC-α30의 압축강도는 약 42∼43 % 수준이었으나 PBC-α10은 약 76%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적 으로 PBC-α10을 제외하고 PBC
모르타르가 OPC 모르타르에 비해 압축강도가 저하하는 결과를 보이지만, PBC-α10은 본 실험에서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실험수준 중 압축강도의
저 하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6
Strength development ratio of OPC mortar and PBC mortar
4.3. 건조수축
Fig. 7에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OPC 모르타르와 PBC 모르 타르의 건조수축 측정결과를 나타냈다. α형 반수석고를 치환 하지 않은 OPC와 PBC는 초기재령에서
급격한 수축변형이 발 생한 후 변형률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반면에, α형 반수 석고를 치환할 경우 초기재령에서 OPC와 PBC에 비해 급격한
수축변형은 발생하지 않지만, 변형률 곡선의 기울기가 선형적 인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α형 반수석 고의 혼입에 의해 생성된
에트링가이트 침상결정의 성장압에 의해 시멘트 입자 사이나 수화물 사이를 넓히기 때문에 재령 초기에 팽창 변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Fig. 7
Drying shrinkage measurement results of OPC mortar and PBC mortar
전체적으로 OPC 모르타르에 비해 PBC 모르타르의 수축변 형률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재령에서 α형 반수석 고의 치환에 의한 OPC-α20이
수축변형이 가장 작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PBC 모르타르의 경우 PBC-α10의 수축변 형률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초기재령에서 변형률의 차이는 크지만, 재령이 지남 에 따라 변형률의 차이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 에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모르타르의
장기적인 변형 거동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4. 미세구조 분석
Fig. 8에 재령 3일에서 시험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관 찰 결과를 나타냈다.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OPC-α20, PBC-α 10가 OPC, PBC에
비해 침상형의 에트링가이트가 광범위하 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8
SEM micrographs of OPC, OPC-α20, PBC, and PBC-α10 at age of 3 days
일반적으로 매트릭스 내부에 에트링가이트가 광범위하게 분포할 경우 에트링가이트에 의해 내부 조직이 팽창하기 때문 에 압축강도 발현에 불리해지며, 이러한
이유로 α형 반수석고 를 치환한 조건에서 급격한 압축강도의 저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에트링가이트의 침상 결정의
성장압에 의해 시멘트 입자 사이나 수화물 사이를 넓히 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이유로, α형 반수석고의 치환이 재 령 초기의 수축변형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α형 반수석고는 Aluminate상의 C3A와 α형 반수석고가 반응하여 생긴 에트링가이트 침상결 정의 성장압에 의해 시멘트
입자간이나 수화물 사이를 넓히 기 때문에 재령 초기에 팽창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즉, α형 반 수석고의 치환에 의해 OPC 및 PBC 모르타르에서
발생하는 수축변형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재령 초기에 고로슬래 그시멘트에 α형 반수석고를 10 wt.% 치환한 PBC-α10의 수축 변형이 가장
작은 것으로 볼 때, 보통포틀랜드시멘트보다는 고로슬래그시멘트에서 재령 초기에 α형 반수석고 치환에 의 한 팽창 효과가 더 두드러진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 α형 반수석고를 10, 20, 30 wt.% 치환한 보 통포틀랜드시멘트 및 고로슬래그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조한 후 응결 및 압축강도
특성, 건조수축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1) α형 반수석고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보통포틀랜드시멘 트 모르타르 및 고로슬래그시멘트 모르타르의 초결시간 이 빨라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α형
반수석고를 30 wt.% 치환할 경우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하지 않은 조건에 비 해 초결에서 종결에 이르는 시간이 길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
2) 보통포틀랜드시멘트 모르타르와 고로슬래그시멘트 모르 타르 모두 α형 반수석고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 가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α형
반수석고를 10 wt.% 치환한 고로슬래그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α형 반 수석고를 치환하지 않은 고로슬래그시멘트 모르타르의 약 76% 수준으로
나타나, 보통포틀랜드시멘트보다 고로 슬래그시멘트에서 α형 반수석고의 압축강도 발현이 유리 할 것으로 판단된다.
-
3) 보통포틀랜드시멘트 모르타르 및 고로슬래그시멘트 모르 타르에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할 경우 α형 반수석고의 혼입 에 의해 생성된 에트링가이트 침상결정의
성장압에 의해 초기재령에서 수축변형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한편, 초기 재령에서 수축변형의 억제 효과는 분명하 지만, 재령이 지남에
따라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하지 않은 조건과 변형의 차이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 로 나타났다.
-
4) α형 반수석고는 용해도가 크기 때문에 일정 혼입률 이상으로 첨가할 경우 응결이 빨라지며, 에트링가이트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강도 저하 및 팽창변형을
발생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모르타르에 적용할 경우 강도는 다소 저 하하지만, 응결 촉진 및 수축변형 억제가 요구되는 건설재료 로써 α형
반수석고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5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 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NRF - 2015R1 A2A2A01007705).
(1988), Crystallization Kinetics of Gypsum from Dense Suspension of Hemihydrate in
Water., J. Cryst. Growth, 88(2), 183-192.
(1999), Crystallization of Gypsum from Hemihydrate in Presence of Additives., J.
Cryst. Growth, 198, 704-709.
(1999), A New Model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hesion of Hardened Hydraulic
Materials., Colloids Surf. A Physicochem. Eng. Asp., 156(1), 223-241.
(1994), Thermogravimetric Evaluation of the Kinetics of the Gypsum-hemihydrate-soluble
Anhydrite Transitions., J. Therm. Anal. Calorim., 42(1), 159-174.
(2011), I - Calcium Sulfate Hemihydrate Preparation from FGD Gypsum in Recycling
Mixed Salt Solutions., Chem. Eng. J., 174(1), 296-303.
(2009), Preparation of I -calcium Sulfate Hemihydrate from FGD Gypsum in K, Mg-containing
Concentrated CaCl2 Solution Under Mild Conditions., Fuel, 88(7), 1286-1293.
(2010), Interaction between I -calcium Sulfate Hemihydrate and Superplasticizer from
the Point of Adsorption Characteristics, Hydration and Hardening Process., Cement
Concr. Res., 40(2), 253-259.
(1997), Calcium Sulphate Hydrates: A Review., Br. Ceram. Trans., 96(3), 116-120.
(2016), Preparation of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from FGD Gypsum in Chloride-free
Ca(NO3)2 Solution Under Mild Conditions., Fuel, 174, 235-241.
(1970), The chemistry of cement and concrete.
(2015), Evaluation of hardening properties and dry shrinkage of non-sintered binder
basedfloor mortar utilizing alpha-hemihydrate gypsu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5(4), 359-365.
(1994), The Setting of Gypsum Plaster., J. Mater. Sci., 29(23), 5524-5528.
(2015), Direct Transformation of FGD Gypsum to Calcium Sulfate Hemihydrate Whiskers:
Preparation, Simulations, and Process Analysis., Particuology, 19, 53-59.
(2006), Water Effect on Internal Friction of Set Plaster., Mater. Sci. Eng. A, 442(1),
500-503.
(1991), Gypsum Grown Under Pressure from Dense Suspension of CaSO4.0.67H2O., J. Appl.
Cryst., 24(2), 129-134.
(2007), Calcium Sulphate Hemihydrate Hydration Leading to Gypsum Crystallization.,
Prog. Cryst. Growth Charact. Mater., 53(1), 5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