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고강도 콘크리트, 양생 조건, 압축강도, 탄성계수, 쪼갬인장강도
High-strength concrete, Curing condition, Compressive strength, Elastic modulus, Modulus of rupture, Splitting tensile strength

1. 서 론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는 보통강도 콘크리트 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대부분 동일하다.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포틀랜드 시멘트, 고품질의 굵은 골재와 잔골 재, 배합수 및 고성능 감수제 등을 사용한다. 포틀랜드 시멘트 이 외에 시멘트 대체 재료로서 플라이애시, 실리카퓸, 메타카올린 또는 고로슬래그 등이 사용된다. 보통강도 콘크리트와 구분되는 고강도 콘크리트 배합 특성은 낮은 물-결합재 비이다. 통상적으 로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 0.35 이하의 물-결합재 비 가 적용된다(Nevile, 1995).

Carrasquillo et al.(1981)은 32~77 MPa의 압축강도를 갖는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Arshad et al.(1995)은 보통강도 콘크리트에서 고강도 콘크리트 에 해당하는 설계압축강도 30~70 MPa의 응력-변형률 관계 특 성을 연구하였다. Chin et al.(1997)은 시편의 형상, 크기 및 콘크 리트 타설 방향이 고강도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에 미치 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Mokhtarzadeh and French(2000)는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적용을 위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Légeron and Paultre(2000)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파괴계수를 f c 또는 ( f c ) 2 / 3 의 함수로 표현하는 식을 제안하였다. Wee et al.(1996)은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및 실리카퓸 등의 시멘트 대체 재료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의 압축응력-변형률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다수의 기존 연구(Arshad et al., 1995; Bartlett and MacGregor 1994; Wee et al., 1996)는 압축강도 40~80 MPa 범주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수 행되었으며, 압축강도 80 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 적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소 제한적인 상황이다.

한편, KCI(2012)에는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정의가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다. 반면에, 압축강도가 55 MPa(8000 psi) 이 상인 콘크리트를 고강도 콘크리트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ACI 363(2010)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을 예측하거나 구 조부재를 설계하기 위해 제안된 여러 예측식은 대부분 55~70 MPa의 압축강도를 갖는 콘크리트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제안되 었다. 따라서, ACI 363은 70 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갖는 콘크 리트의 재료 및 구조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기존 제안식을 적용 할 경우 주의가 필요하며, 가능하다면 재료 특성 관계식을 결정 하기 위한 추가의 실험을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낮은 물-결합재 비를 이용하여 배합한 압축강 도 80~120 MPa 수준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탄성계수, 쪼갬인장강도 및 파괴계수 등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생방법이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설계코드를 이용 한 탄성계수, 쪼갬인장강도 및 파괴계수 예측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2. 콘크리트 배합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기본 결합재로 사용하였다. 보통포틀 랜드 시멘트 이외에 배합별로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및 실리 카퓸을 결합재로 사용하였다. 굵은골재는 부순자갈로서 최대직 경 25 mm, 최소직경 5 mm의 골재를 사용하였다. 잔골재는 부순 모래와 해사를 4:6의 비율로 섞은 혼합잔골재를 사용하였다.

Table 1에 콘크리트 배합표를 나타내었다. 여러 번의 실험 배 합을 통해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3가지의 배합을 결 정하였다. 배합 설계 시에 콘크리트의 목표압축강도 등급별로 3 가지의 물-결합재 비(w/b)를 고려하였으며, 물-결합재 비는 각 각 0.23, 0.20 및 0.15이다. 각 배합의 콘크리트 목표 압축강도는 80, 100 및 120 MPa이고, 각 배합을 H80, H100 및 H120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낮은 물-결합재에 의한 콘크리트 비빔 시의 유동성 확보를 위해 고성능유동화제(super-plasticizer)를 사용 하였다.

Table 1

Mix proportions

Mixtures Unit content(kg/m3)

w/b S/a (%) Water Binder Fine Aggregate Coarse aggregate

Cement Slag Fly ash Silica fume Crushed Sea-sand

H80 0.23 42 150 467 133 67 - 260 387 898
H100 0.20 42 165 578 165 - 83 230 342 792
H120 0.15 38 150 700 150 - 120 188 279 765

본 연구에서는 배합별로 양생조건을 다르게 하여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H80 배합의 콘크리트는 양생 막을 이용한 양생을 수행하였다. 즉,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7일 동안 젖은 양생막(sheet)으로 실험시편을 덮어 양생하였다. 이 후, 실험일까지 대기온도에 시편을 노출한 후 양생을 실시하였 다(Tables 23의 배합명에서 AC로 표기). H100 배합의 콘크 리트는 3일 습윤양생, 28일 습윤양생 및 양생막을 이용한 양생을 수행하였다. 3일 습윤양생은 콘크리트 타설 후 시편을 2일 동안 젖은 양생막으로 보호한 후 몰드를 탈형하고 20±3°C의 온도 조 건의 수조에서 3일 동안의 양생과정과 이후 실험 재령일까지의 실험실의 대기 조건에 노출시키는 양생과정으로 진행되었다 (Tables 23의 배합명에서 3W로 표기). 28일 습윤양생은 콘크 리트 타설 후 시편을 2일 동안 젖은 양생막으로 보호한 후에 몰 드를 탈형하고 20±3°C의 온도 조건의 수조에서 실험 재령일까 지의 양생과정으로 이루어졌다(Tables 23의 배합명에서 28W로 표기). H100 배합의 양생막을 이용한 양생방법은 H80 배합의 양생막을 이용한 양생방법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Table 2

Test results of H80 and H100 Series

Mixtures 28 days

Compressive strength(MPa) Elastic modulus(MPa) Split tensile strength(MPa) Modulus of rupture(MPa)

H80 Series 80-M1 73.7 30,401 - 7.1
80-M2 78.2 30,695 - 5.9
80-M3 80.9 30,350 - 5.5

H100 Series 100-M1-3W 98.6 36,131 6.2 11.0
100-M1-28W 93.5 34,973 5.7 9.7
100-M1-AC 93.7 34,421 4.7 9.6
100-M2-3W 92.1 35,710 7.0 12.5
100-M2-28W 90.7 35,167 4.6 10.9
100-M2-AC 88.7 35,297 5.8 10.4
100-M3-3W 94.7 36,164 5.0 9.8
(134.2) (49,478) (7.2) (10.3)
100-M3-28W 94.1 34,910 4.6 10.3
(134.1) (49,127) (6.9) (10.6)
100-M3-AC 91.5 35,089 4.2 10.3
(131.0) (48,830) (5.8) (10.7)
100-M4-3W 86.7 36,186 3.8 10.0
(130.7) (50,441) (5.3)
100-M4-28W 88.4 35,967 3.4 9.8
(130.4) (48,904) (5.7)
100-M4-AC 88.4 35,849 3.0 9.5
(129.1) (48,829) (6.3)
100-M5-AC 91.7 34,438 5.1 8.6
100-M6-AC 101.0 38,522 - 7.7
100-M7-AC 99.2 35,660 - 7.1
100-M8-AC 99.2 36,655 5.0 7.1
100-M9-AC 100.3 37,848 7.3 8.2
100-M10-AC 100.6 39,655 7.2 8.9
100-M11-AC 93.4 37,173 5.9 8.3
100-M12-AC 92.6 37,616 - 8.6

[i] Note : Values in blanket denotes test results at 56 days

Table 3

Test results of H120 Series

Mixtures 28 days

Compressive strength(MPa) Elastic modulus(MPa) Split tensile strength(MPa) Modulus of rupture(MPa)

H120 Series 120-M1-SC 122.8 40,826 7.7 9.8
(142.3) (41,844) (8.1) (11.6)
120-M1-AC 108.7 39,166 6.4 9.1
(140.4) (45,782) (7.1) (10.7)
120-M2-SC 124.1 41,692 7.1 9.5
(143.8) (42,886) (7.3) (10.6)
120-M2-AC 108.4 38,512 7.1 7.9
(137.5) (40,840) (7.5) (10.7)
120-M3-SC 117.9 42,015 5.7 9.7
(5.8) (11.9)
120-M3-AC 113.2 39,074 6.6 8.3
(7.3) (10.7)
120-M4-SC 119.5 40,995 6.5 9.3
(7.2) (11.2)
120-M4-AC 107.7 36,948 7.6 6.8
(7.8) (8.7)
120-M5-SC 127.2 43,255 6.7 10.4
120-M5-AC 108.6 42,095 6.4 10.8
120-M6-SC 118.3 44,124 7.0 10.7
120-M6-AC 104.1 43,833 6.5 10.1
120-M7-SC 125.4 43,287 5.5 10.5
120-M7-AC 115.8 42,359 6.4 9.7
120-M8-SC 120.4 44,131 6.8 10.7
120-M8-AC 105.4 53,985 6.6 9.9

[i] Note : Values in blanket denotes test results at 56 days

한편, H120 배합의 콘크리트는 증기양생과 양생막 이용 양생 으로 수행하였다. 증기양생은 콘크리트 타설 후 시편을 2일 동안 양생막으로 보호한 후에 몰드를 탈형하고 90±5°C의 온도 조건 에서 3일 동안의 증기양생과정과 이후 실험 재령일까지의 대기 조건에 노출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Tables 23의 배합명 에서 SC로 표기). H120 배합의 양생막을 이용한 양생방법도 H80 배합의 양생막을 이용한 양생방법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대료적으로 100-M1-3 배합에 대하여 100은 콘크리트 압축강 도, M은 배치구분, 3W는 양생조건을 나타낸다.

각 배합의 양생 조건에 따라 실험시편을 제작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탄성계수, 쪼갬인장강도 및 파괴계수를 측정하였다.

3. 실험방법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탄성계수, 쪼갬 인장강도 및 파괴계수 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압축강도실험은 Fig. 1과 같이 직경 100 mm이고 높이가 200 mm 인 실린더 공시체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압축강도 실험 시에 탄성계수 측정을 위한 LVDT(변위계)를 거치하기 위해, 두 개의 원형 치구를 공시체 중앙 100 mm 구간에 설치하였다. 원형 치구 사이에 실린더 공시체 원주방향 120°간격으로 3개의 LVDT를 설치하였으며, 하중을 재하하는 동안 변위를 측정하였다. 하중 재하는 2000 kN 용량의 만능실험기(UTM)을 사용하여 변위제 어 방식으로 하중을 재하하였다.

Fig. 1.

Compressive test of concrete

JKSMI-21-206_F1.jpg

지름이 100 mm이고 높이가 200 mm인 원주형 시편을 이용하 여 쪼갬인장강도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크기가 100×100× 400 mm의 프리즘 형상 시편을 이용하여 4점하중재하실험을 통 해 고강도 콘크리트의 파괴계수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만능재 료실험기(UTM)을 사용하여 변위제어방식으로 하중을 재하하 였다.

4. 실험결과 및 분석

4.1. 압축강도 발현

Tables 23에 각 콘크리트 배합의 압축강도, 탄성계수, 쪼갬 인장강도 및 파괴계수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결과는 재령 28일에서의 실험결과를 나타내고 괄호의 값은 재령 56일에서의 측정값을 나타낸다. 표에서 실험결과는 각 배합의 실험시편 측 정값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양생막 이용 양생조건에서의 물-결합재 비(w/b)에 따른 28일 압축강도 실험결과를 Fig. 2에 나타내었다. w/b=0.15(H120 시 리즈 배합), 0.20(H100 시리즈 배합) 및 0.23(H80 시리즈 배합) 일 때의 배치별 압축강도는 각각 73.7~80.9, 86.7~101.0 및 104.1~127.2이다. 물시멘트비 w/c=0.23일 때의 28일 압축강도 에 비해 w/b=0.20 및 0.15일 때의 28일 압축강도는 각각 21.1 및 48.8% 증가하였다. 실험결과는 본 연구 압축강도 범주에서 물- 시멘트 비가 증가함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거의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Fig. 2.

Comparison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t various w/b ratio

JKSMI-21-206_F2.jpg

콘크리트의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을 분석하기 위하여 H100과 H120 배합의 일부 배치(batch)의 재령 28일과 56일에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Fig. 3에 H100 배합 중에서 대표적으로 H100-M3 배치의 시간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을 나 타내었고, Fig. 4에 H120 배합 중에서 H120-M2 배치의 시간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을 나타내었다. H100-M3 배치 및 H100-M4 배치에서 28일 압축강도에 대한 56일 압축강도의 비는 각각 143%과 148%이고, 28일에서 56일까지 40% 이상의 압축강도 가 지속적으로 발현된다. 이는 Parrot(1979)의 연구결과에 토대 를 둔 ACI 363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반면에 H120-M1 배치 및 H120-M2 배치에서 28일 압축강도에 대한 56일 압축강도의 비는 각각 122%와 121%이다. H100 시리즈 배합의 28일 이후 의 압축강도 발현에 비하여 H120 시리즈의 28일 이후의 압축강 도 발현은 상대적으로 작다. 이는 H120 시리즈는 H100 시리즈 보다 더 많은 실리카퓸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실험결과 는 Sarkar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Sarkar and Aitcin(1987)는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물-결합재 비가 낮을 때, 콘크리트 내의 모 든 실리카퓸이 소모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낮은 물-결합재 비는 실리카퓸 입자의 용해를 지연시키기 때문에 수화과정을 변 화시킨다.

Fig. 3.

Compressive strength gain with days(H100 mixture)

JKSMI-21-206_F3.jpg
Fig. 4.

Compressive strength gain with days(H120 mixture)

JKSMI-21-206_F4.jpg

4.2. 양생조건의 압축강도에 대한 영향

콘크리트 코어시편 측정값을 토대로 한 Bartlett and Mac- Gregor(1994)의 실험결과에서 콘크리트 내부의 습도가 체적 전 체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하여 증가하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이는 콘크리트 습도가 균등히 감소 하면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콘크 리트 시편 내부와 외부의 습도분포의 큰 차이는 콘크리트 압축 강도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의 건조는 시 편 표면에 수축을 유발하고 압축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 났다.

Parrott(1979)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7, 14 및 28일 동안 습윤 양생한 후에 90일까지 상대습도 65%의 대기상태에 노출된 콘크 리트의 90일 압축강도는 90일까지 지속적으로 습윤양생한 시편 의 압축강도의 각각 90%, 95% 및 100%를 나타내었다.

Aïtcin et al.(1994)은 기건양생, 실링(sealing)상태 및 습윤양 생한 시편의 강도 특성을 연구하였다. 기건양생 시편은 콘크리 트 타설 후 대기 조건에서 지속적으로 양생하였다. 습윤양생한 시편의 압축강도는 실링상태 및 기건양생한 시편의 압축강도보 다 더 크게 나타났다. 기건양생한 시편의 압축강도는 습윤양생 한 시편의 80% 및 실링시편의 85%의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습윤양생 시편과 실링 시편 사이의 압축강도 최대 차는 120 MPa 수준의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나타났다. 13%의 차이는 낮은 물- 시멘트 비(w/c=0.25)의 경우에 나타났다.

Asselanis et al.(1989)의 실험결과는 7일 동안 습윤양생한 시 편의 압축강도와 지속적으로 습윤양생한 시편의 압축강도는 재 령 28일에서 거의 비슷하고, 또한 이들은 타설 후부터 기건양생 한 시편의 압축강도보다 16%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실험 결과에서, 28일 동안 습윤양생한 시편의 재령 56일 압축강도는 콘크리트 타설 후 지속적으로 습윤양생한 시편 및 기건양생한 시편의 56일 압축강도보다 각각 8% 및 22%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Carrasquillo(1981)의 실험결과는 콘크리트 타설 후에 지속적으로 습윤양생한 시편의 압축강도는 충분한 습윤양생 기 간 후에 기건양생한 시편의 압축강도보다 작은 것을 나타낸다.

Figs. 56에 양생조건에 따른 H100 및 H120 콘크리트의 28 일 압축강도 및 56일 압축강도 측정값을 각각 나타내었다. 그림 에 나타낸 측정값은 모든 배치의 측정값을 반영한 평균값이다. 대부분의 H100 콘크리트 배치에서 3일 습윤양생한 시편의 압축 강도는 지속적으로 습윤양생한 시편의 압축강도와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본 연구 실험결과는 앞서 이미 기술한 Asselanis et al. 및 Carrasquillo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하는 경향 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H100 M1, M2, M3 및 M4 배치의 3일 습윤양생 시편의 28일 압축강도는 98.6, 92.1, 94.7 및 86.7 MPa 이고, 지속적으로 재령 28일까지 습윤양생한 시편의 28일 압축 강도는 93.5, 90.7, 94.1 및 88.4 MPa이다.

Fig. 5.

Effect of curing method on compressive strength at 28 days

JKSMI-21-206_F5.jpg
Fig. 6.

Effect of curing method on compressive strength at 56 days

JKSMI-21-206_F6.jpg

한편, H100 M1, M2, M3 및 M4 배치의 양생막 양생 시편의 28일 압축강도는 93.7, 88.7, 91.5 및 88.4 MPa이다. 양생막 양 생 시편의 압축강도는 3일 습윤양생 시편의 압축강도와 유사한 값을 나타낸다. 실험결과는 7일 동안의 양생막을 이용한 콘크리 트의 보온과 습도 상태 유지가 콘크리트 강도 발현에 유리한 영 향을 미친 것을 나타낸다.

또한, H100 배합의 M3 및 M4 배치의 3일 습윤양생 시편의 56일 압축강도는 134.2 및 130.7 MPa이고, 지속적으로 습윤양 생한 시편의 56일 압축강도는 134.1 및 130.4 MPa이다. H100 배합의 3일 습윤양생 시편의 56일 압축강도와 지속적으로 습윤 양생한 시편의 56일 압축강도는 비슷하게 나타난다. 반면에, H100 M3 및 M4 배치의 양생막 양생 시편의 56일 압축강도는 131.0, 및 129.1 MPa로서, 3일 습윤양생 시편 및 56일 재령까지 지속적으로 습윤양생한 시편의 압축강도보다 작게 나타난다.

따라서, H100 배합의 경우, 3일 동안의 습윤양생은 콘크리트 의 28일 및 56일 압축강도에 효과적인 영향을 나타낸다.

Fig. 5에서 H120 배합의 3일 동안 증기양생한 시편의 28일 압 축강도는 양생막으로 양생한 시편의 28일 압축강도보다 11.8% 크게 나타난다. 또한, Fig. 6에서 H120 배합의 3일 동안 증기양 생한 시편의 56일 압축강도는 기건양생한 시편의 56일 압축강 도보다 3.1%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H120 배합의 압축강도 증가를 위해서 증기양생을 수행하는 것 이 효과적인 것을 나타낸다.

4.3. 탄성계수

압축강도 실험에서 측정한 하중과 변위를 이용하여 압축강도 -변형률 곡선을 측정하였으며, 압축응력-변형률 곡선에서 변형 률이 0.00005인 점과 최대 하중의 40%에 해당하는 점의 선분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탄성계수를 산정하였다.(1)

(1)
E c = f 2 f 1 ε 2 ε 1

여기서,

  • f 2 :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40%에 해당하는 압축응력

  • f 1 : 변형률=0.00005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압축응력

  • ε 2 :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40%에 해당하는 압축변형률

  • ε 1 : 변형률=0.00005

Fig. 7에 양생조건에 따른 재령 28일 탄성계수 실험결과를 나 타내었으며, 실험결과는 모든 배치의 평균값이다. H100 배합의 경우, 3일 습윤양생 시편, 28일까지 지속적으로 습윤양생한 시 편 및 양생막으로 양생한 시편의 탄성계수는 각각 36037, 35226 및 35,929 MPa를 나타낸다. H100 배합의 실험결과는 3일 습윤 양생과 양생막 양생 기법은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발현에 효과적 임을 나타낸다. H120 배합의 경우, 증기양생 시편 및 양생막 양 생 시편의 탄성계수는 각각 42,541 및 41,997 MPa로서 증기양 생 방법이 탄성계수 발현에 다소 유리한 것을 나타낸다.

Fig. 7.

Effect of curing method on elastic modulus at 28 days

JKSMI-21-206_F7.jpg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콘크리트의 중요한 역학적 특성 중 하 나이다.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시멘트 페이스트, 골재의 강성, 화학혼화제, 양생방법 및 탄성계수 결정방법 등에 영향을 받는 다. 대부분의 설계코드에서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압축실험에 서 결정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이용하여 탄성계수를 예측한 다. 대부분 기존 제안식은 통상적인 배합과 재료를 사용하는 보 통강도 콘크리트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고강도 콘크리트는 시멘 트 대체 재료와 화학혼화제를 사용하여 매우 낮은 물-시멘트 비 를 갖는 배합을 사용한다. 이러한 인자는 콘크리트 탄성계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기존 제안식의 적절한 적용 여부를 검 토하여야 한다. 현재 설계코드에서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이용 한 탄성계수 예측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나타낸다.

(2)
E c = A ( f c k ) B ( MPa )

여기서, fck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A는 계수, B는 지수이다.

콘크리트구조기준(KCI, 2012)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이 용한 탄성계수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3)

(3)
E c = 8 , 500 f c k 3 ( MPa )

ACI 318-14(ACI, 2014)과 AASHTO LRFD 설계기준(AASHTO, 2014)에서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이용한 탄성계수 예측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4)

(4)
E c = 4 , 700 f c 3 ( MPa )

반면에, ACI 363R-10(2010)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이용 한 탄성계수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5)

(5)
E c = 3 , 300 f c 3 6900 ( MPa )

또한, fib Model Code 2010에서의 탄성계수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6)

(6)
E c = E c o ( f c k 10 ) 1 3 ( MPa )

여기서, Eco=21,500(MPa)이다.

Fig. 8에 본 연구에서의 탄성계수 실험값과 주요 설계기준 제 안식에 의한 탄성계수 예측값을 나타내었다. H100 배합 콘크리 트의 탄성계수는 재령 28일의 탄성계수뿐만 아니라 재령 56일 의 탄성계수를 포함한다. 따라서, H100 배합 콘크리트의 탄성계 수는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나타내었다. ACI 318-14 제안식 과 fib Model Code 2010 제안식은 본 연구에서의 탄성계수 실험 값을 과다평가한다. 특히, ACI 318-14 제안식은 실험값의 상한 선에 가까이 위치한다.

Fig. 8.

Comparison of test results with predictions of elastic modulus

JKSMI-21-206_F8.jpg

반면에,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의 제안식과 ACI 363 제안 식에 의한 예측값은 실험값과 잘 일치한다. Fig. 9에 콘크리트구 조기준의 탄성계수 예측값, 콘크리트구조기준 제안값의 115% 에 해당하는 예측선과 85%에 해당하는 예측선을 함께 나타내었 다. 대부분의 실험값은 115% 예측값과 85% 예측값 사이에 존재 한다. 따라서, 콘크리트구조기준 제안식에 의한 탄성계수 예측 결과는 본 연구의 압축강도 대상 범위에서 약 ±15%의 오차범위 내에서 실험값을 잘 예측한다.

Fig. 9.

Band of prediction of elastic modulus

JKSMI-21-206_F9.jpg

4.4. 쪼갬인장강도

양생조건에 따른 재령 28일 쪼갬인장강도 실험결과를 Fig. 10 에 나타내었으며, 실험결과는 모든 배치의 평균값이다. H100 배 합의 경우, 3일 습윤양생 시편, 28일까지 지속적으로 습윤양생 한 시편 및 기건양생한 시편의 쪼갬인장강도는 각각 5.5, 4.6 및 4.4 MPa를 나타낸다. 실험결과는 3일 습윤양생은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 발현에 매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H120 배합의 경우, 증기양생 시편 및 기건양생한 시편의 쪼갬인장강도는 각 각 6.6 및 6.7 MPa를 나타낸다.

Fig. 10.

Effect of curing method on splitting tensile strength at 28 days

JKSMI-21-206_F10.jpg

현재 설계코드에서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이용한 쪼갬인장 강도 예측식은 식 (2)의 형태를 나타낸다. ACI 318-14(ACI, 2014)의 쪼갬인장강도 예측식은 다음과 같다.(7)

(7)
f s p = 0.56 f c ( MPa )

여기서, fc′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이다.

ACI 363R-10(ACI, 2010)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 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두가지 예측식을 권장한다. 두 가지 예측 식은 Carraquillo(1981)의 제안식과 Mokhtarzadeh(2000)의 제 안식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두 제안식을 식 (8)과 식 (9)에 나타 내었다.

(8)
f s p = 0.59 f c ( MPa )

(9)
f s p = 0.32 ( f c ) 0.63 ( MPa )

Fig. 11에 ACI 318-14와 ACI 363의 제안식에 의한 쪼갬인장 강도 예측결과를 본 연구의 실험결과와 나타내었다. 압축강도가 70 MPa 이하의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Carrasquilo의 예측 값이 제일 크고, Mokhtarzadeh의 예측값이 제일 작게 나타난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80~120 MPa의 압축강 도 범주에서 ACI 318 예측값이 제일 작게 나타나며, ACI 363의 예측값이 실험값을 더욱 잘 예측한다. Fig. 12에 ACI 363의 Carrasquillo의 예측값과 함께 예측값의 115%에 해당하는 예측 선과 85%에 해당하는 예측선을 함께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실 험값은 115% 예측값과 85% 예측값 사이에 존재한다. 따라서, Carrasquillo 제안식에 의한 쪼갬인장강도 예측결과는 본 연구 의 압축강도 대상 범위에서 약 ±15%의 오차범위 내에서 실험값 을 잘 예측하고 있다.

Fig. 11.

Comparison of test results with predictions of splitting tensile strength

JKSMI-21-206_F11.jpg
Fig. 12.

Band of prediction of splitting tensile strength

JKSMI-21-206_F12.jpg

4.5. 파괴계수

양생조건에 따른 재령 28일 파괴계수 실험결과를 Fig. 13에 나타내었으며, 실험결과는 모든 배치의 평균값이다. H100 배합 의 3일 습윤양생 시편, 지속적으로 습윤양생한 시편 및 양생막을 이용하여 양생한 시편의 파괴계수는 각각 10.8, 10.2 및 10.0 MPa를 나타낸다. 실험결과는 3일 습윤양생이 콘크리트의 파괴 계수 발현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H120 배합의 증기양생 시편 및 기건양생한 시편의 파괴계수는 각각 10.1 및 9.1 MPa이다. H120 배합의 경우, 증기양생이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발현에 더 욱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Fig. 13.

Effect of curing method on modulus of rupture at 28 days

JKSMI-21-206_F13.jpg

설계코드에서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이용한 파괴계수 예측 식은 식 (2)의 형태를 나타낸다. ACI 318-14(ACI, 2014)의 파괴 계수 예측식은 다음과 같다.

(10)
f r = 0.62 f c ( MPa )

여기서, fc′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이다. 콘크리트구조기준 (2012)의 파괴계수 예측식은 식 (10)에서 계수를 0.62 대신에 0.63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실질적으로 ACI 318-14의 파 괴계수 예측식과 동일한 제안식이다.

ACI 363(ACI, 2010)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파괴계수를 예측 하기 위하여 두 가지 예측식을 권장한다. 쪼갬인장강도를 예측 하기 위한 제안식과 마찬가지로 파괴계수를 예측하기 위해 두 가지 식을 권장하고 있으며, Carraquillo(1981)의 제안식과 Mokhtarzadeh(2000)의 제안식에 근거를 두고 있다. 두 제안식 을 식 (11)과 식 (12)에 나타내었다.

(11)
f r = 0.94 f c ( MPa )

(12)
f r = 0.25 ( f c ) 0.79 ( MPa )

Fig. 14에 콘크리트구조기준 제안식, ACI 318-14의 제안식 및 ACI 363의 두 제안식에 의한 파괴계수 예측결과를 본 연구의 실험결과와 나타내었다. 콘크리트구조기준과 ACI 318의 예측 값은 실험값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80~120 MPa의 압축강도 범주에서 ACI 363의 두 제안식 에 의한 예측값이 실험값과 더욱 일치한다. 압축강도가 95 MPa 이상일 때, Mokhtarzadeh의 예측값은 Carraquillo의 예측값보 다 크게 나타난다.

Fig. 14.

Comparison of test results with predictions of modulus of rupture

JKSMI-21-206_F14.jpg

Fig. 15에 ACI 363에서 제안한 Carrasquillo의 예측선과 함께 예측값의 115%에 해당하는 예측선과 85%에 해당하는 예측선 을 함께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실험값은 115% 예측값과 85% 예 측값 사이에 존재한다. 따라서, Carrasquillo 제안식에 의한 파괴 계수 예측결과는 본 연구의 압축강도 대상 범위에서 약 ±15%의 오차범위 내에서 실험값을 잘 예측하고 있다.

Fig. 15.

Band of prediction of modulus of rupture

JKSMI-21-206_F15.jpg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압축강도 80~120 MPa 범위의 고강도 콘크리 트의 역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주 요결론은 다음과 같다.

  • 1) H100 배합의 28일 이전 압축강도 발현율은 H120 배합의 28 일 이전 압축강도 발현율보다 큰 반면에, H100 배합의 28일 이후 압축강도 발현율은 H120 배합의 28일 이후 압축강도 발현율보다 작다. 이는 각 배합의 실리카퓸 배합량이 달라 압 축강도 발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 2) H100 배합에서 3일 습윤양생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 도 발현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H120 배합에서 증기 양생을 수행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양생막을 이용하여 양생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보다 크게 나타난다.

  • 3) 콘크리트구조기준 제안식과 ACI 363 제안식에 의한 탄성계 수 예측값은 실험값과 잘 일치한다. 반면에, ACI 318 제안식 을 이용한 탄성계수 예측값은 실험값을 과다평가한다.

  • 4)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80~120 MPa의 압축강도 범 주에서 ACI 318의 쪼갬인장강도 예측값이 실험값을 과소평 가하며, ACI 363의 예측값이 실험값을 더욱 잘 예측한다.

  • 5) 콘크리트구조기준과 ACI 318 제안식보다 ACI 363의 제안 식에 의한 파괴계수 예측값이 실험값과 더욱 잘 일치한다. ACI 363의 파괴계수 예측결과는 ±15%의 오차범위 내에서 실험값을 합리적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80 MPa 이하 의 압축강도를 갖는 콘크리트 실험결과를 주로 이용하여 제 안된 ACI 363의 쪼갬인장강도와 파괴계수 예측식은 압축강 도 120 MPa까지의 고강도 콘크리트에도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환경부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No.201 6000700003) 연구비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1 
AASHTO LRFD (2014),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2 
ACI Committee 318 (2014),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nd commentary
3 
ACI Committee 363 (2010), Report on High-Strength Concrete(ACI 363R-10)., 65
4 
(1994), Effect s ofSize and Curing on the Cylinder Compressive Strength of normal and High-Strength Concrete., ACI Mater. J., 91(4), 349-355.
5 
(1995), Early Age Compressive Stress-Strain Properties of Low, Medium, and High- Strength Concretes., ACI Mater. J., 92(6), 617-624.
6 
(1989), Effect of Curing Condition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of Very High-Strength Concrete., Cem. Concr. Aggreg., 11(1), 80-83.
7 
(1994), Assessment of Concrete Strength in Existing Structures, Structural Engineering Report, No. 198., 297
8 
(1981),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Subject Short-Term Loads., ACI Struct. J., 78(3), 161-178.
9 
(1997), Effects of Shape, Size and Casting Direction of Specimens on Stress-Strain Curves of High-Strength Concrete., ACI Mater. J., 94(3), 209-218.
10 
(1996),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Performance Concrete., ACI Mater. J., 93(5), 416-425.
11 
KCI (2012), Design Code for Structural Concrete.
12 
(2000), Prediction of Modulus of Rupt ure ofConcrete., ACI Mater. J., 97(2), 193-200.
13 
(2000),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Concrete with Consideration for Precast Applications., ACI Mater. J., 97(2), 136-148.
14 
(1995), Properties of Concrete
15 
(1979), Simplified Methods of Predicting the Deformation of Structural Concrete, Development Report, No.3
16 
(1987), Dissolution Rate of Silica Fume in Very High-Strength Concrete., Cement Concr. Res., 17, 591-601.
17 
(1996),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High-Strength Concrete in Compression., J. Mater. Civ. Eng., 8(2), 70-76.
18 
(2001), Fracture Properties of High-Strength Concrete., J. Mater. Civ. Eng., 13(1), 8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