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좌굴성능, 스페이스 프레임, 좌굴응력, 볼 접합부, 변위센스
Buckling performance, Space frame, Buckling stress, Ball joint, LVDT

1. 서 론

대공간 구조물의 건립은 건축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회적 요구로 인하여 증가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와 실험을 통한 신기술 개발과 새로운 건축 재료의 생산으로 이를 실현시키 고 있다. 이러한 대공간 구조물 구조 시스템은 사용재료의 구 조적 특성과 시스템 구성방식에 따라 연속체 쉘 구조물(Shell Structures),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Space Frame Structures), 막 구조물(Membrane Structures), 케이블 구조물(Cable Structures) 및 이들 방식이 병용된 복합 구조물(Hybrid Structures)로 구 분한다.

이 중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입체적인 부 재 배치 형식으로 구조물의 강성이 증대되고 이는 부재 단면 의 최소화와 경량화로 이어져 구조물에 좌굴(Buckling)이 발 생하기 쉽다. 이러한 좌굴성상은 구조물 형상, 단부 경계조건, 하중조건 및 형상 초기 부정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다. 국내 건설현장의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에는 주로 Mero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구조물의 접합부는 볼과 슬리브 및 볼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재 설계는 접합부의 구조적 특성에 의한 전체 및 개별 부재 좌굴내력에 영향을 받 으며 이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를 위해 다수의 연구들이 수행 되어 왔다.

Kang et al.(2009)은 볼조인트 접합부의 강성 평가를 위해 접합부 실험체의 휨 강성 실험결과를 토대로 한 평가방법과 역학적인 이론에 의한 평가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스페이 스 프레임 구조물의 부재 설계에 있어 경제성과 안전성을 추 구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Park and Han(2003)은 볼트 삽입식 볼 접합부를 구성하고 있는 볼트, 슬리브, 콘 등의 구조적 거동 특성을 규명하고 휨 강성을 평가하였다. 휨 실험을 통한 휨 스프링 상수를 해석적 으로 검토하였다.

Seo(2000)은 원형강관 부재의 부재좌굴을 대상으로 이론 식을 제안하였고 실험 및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단일부재 에 대한 비탄성좌굴 이론식을 제안하고 단일부재좌굴 실험을 통하여 세장비와 단부 지지조건에 따른 탄성 및 탄소성 영역 에서의 좌굴거동 및 좌굴하중을 파악하였다. 또한 유한 요소 법에 의한 비탄성 좌굴해석 프로그램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탄성 및 비탄성영역에서의 좌굴하중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볼접합부를 갖는 부재의 좌굴성능의 합리적인 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좌굴실험의 결과와 우 리나라, 일본 및 영국에서 적용하고 있는 강구조 압축재 설계 규준과 비교하였으며 좌굴내력 및 좌굴길이 계수에 대해 분 석하였다.

2. 부재좌굴실험

2.1. 실험 계획

볼접합부를 갖는 부재의 좌굴내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 연구(kang, 2012)의 실험 결과를 적용하였다. 실험체는 원형강관 ∅48.6×2.8t와 ∅60.5×3.2t 및 ∅76.3×3.2t 세 종류로 하였으며 실험체 길이는 1218 mm로 동일한 것으로 하였다. 양단의 지지조건은 핀(pin)의 경우만 고려하였으며 탄성계수 E = 2.05×105 (MPa), 항복응력 σy = 247 (MPa)로 나타났다. 실험체의 규격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Table 1

Specimen dimension

Pipe Ball diameter (mm) Sleeve length (mm) Bolt

∅48.6×2.8t 75 35 M20
∅60.5×3.2t 75 35 M20
∅76.3×3.2t 75 35 M20

실험체의 단면 성능은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A는 원형강관의 단면적, I는 원형강관의 단면 2차 모멘트, r은 단 면 2차반경, λ는 세장비를 나타낸다.

Table 2

Specimen section properties

Pipe L(mm) A(mm2) I(mm4) r(mm) λ

∅48.6×2.8t 1218 403 1.06×105 16.2 75
∅60.5×3.2t 1218 576 2.37×105 20.3 60
∅76.3×3.2t 1218 735 4.92×105 25.9 47

2.2. 실험 방법

실험체의 전체 형상은 Fig. 1에서 보는 것과 같으며 주요 부 재인 원형강관(Pipe)과 볼(Ball) 및 접합을 위한 볼트(Bolt), 슬 리브(Sleeve)로 구성되어 있다. 양단부의 볼을 포함한 전 부재 길이를 L , 볼을 제외한 부재 길이를 L1 , 원형강관(콘 포함)만 의 길이를 L2라 한다.

Fig. 1

Shape of specimen

JKSMI-22-176_F1.jpg

접합부의 상세도 및 결합 형상은 Fig.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원형강관과 볼의 접합방법은 볼트와 슬리브에 설치된 락핀 (Rock Pin) 구멍에 락핀을 끼운 후 볼트의 나사산을 볼에 설치 된 나사구멍에 끼워 토크렌치(Torque Wrench)를 이용하여 볼 트와 슬리브를 회전시켜 체결한다. 토크(Torque)값은 제조회 사에서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전단 마찰접합의 1/10±20% 인 50(Nㆍm)를 적용하였다.

Fig. 2

Connection detail

JKSMI-22-176_F2.jpg

Fig. 3은 실험체 설치 현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실 험체는 완전한 직선부재로 중심축을 따라서 압축력이 작용하 도록 하였으며 실험 중 편심하중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수준계를 이용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실험체의 축 방향 변위량 측정을 위하여 로드 셀(Load Cell) 전면부에 부착 한 고정판에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를 설치하였다. 실험체의 중앙부에는 상하좌우 4개의 표면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Fig. 3

Installation and measurement method of specimen

JKSMI-22-176_F3.jpg

Photo 1은 실험체 ∅76.3×3.2t의 설치 현황을 보여주는 것 으로 (a)는 가력 전의 모습, (b)는 가력 후의 변형된 모습을 보 여준다. 부재의 중앙부에서 좌굴되어진 형상을 확인 할 수 있 었다. 축방향 변위량은 실험체 우측에 설치된 LVDT로 측정 하였다. 또한 Photo 2는 실험체의 각부 변위량을 측정하는 위 치 및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실험체 중앙부의 스트레 인 게이지(strain gage) 및 LVDT 설치 현황을 보여주며, (b)는 실험체의 축방향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한 LVDT 설치 현황을 보여 준다.

Photo 1

Installation & buckling mode of specimen

JKSMI-22-176_P1.jpg
Photo 2

Installation strain gage & LVDT

JKSMI-22-176_P2.jpg

3. 부재좌굴내력 평가

3.1. 실험 결과

원형강관 ∅48.6×2.8t 와 ∅60.5×3.2t 및 ∅76.3×3.2t 세 종 류의 실험체에 대한 좌굴 실험 결과를 정리하면 Table 3과 같 다. 상기 실험체의 부재 좌굴내력과 국내외 압축재 설계 규준 과 비교·분석을 통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Table 3

Experimental results

Pipe Buckling load (kN) Buckling stress (MPa) Axial displacement (cm)

∅48.6×2.8t 83.85 208.06 5.19
∅60.5×3.2t 166.13 277.42 6.08
∅76.3×3.2t 205.00 278.91 6.59

3.2. 우리나라 규준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에 강구조 한계상태 설계기준이 제 정되었으며 몇 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에는 하중저항계수 설 계법(Load Resistance and Factor Design, 이하 K-LRFD라고 함)에 의한 압축재 좌굴하중을 산정한다. 산정식의 흐름도는 Fig. 4와 같다(KSSC, 2011).

Fig. 4

Flow chart

JKSMI-22-176_F4.jpg

여기서, Fig. 4에 적용된 기호는 다음과 같다.

  • Ag = 부재의 총 단면적

  • Fb = 강재의 항복강도

  • E = 강재의 탄성계수

  • K = 유효좌굴길이 계수

  • L = 부재의 길이,

  • r = 좌굴축에 대한 단면 2차반경

3.3. 일본 규준

2010년도에 개정된 일본의 한계상태 설계법(Limit State Design, 이하 J-LSD라고 함)에 의한 강구조 압축재의 설계 내 력은 휨 좌굴 한계상태 및 국부 좌굴 한계상태에 대한 설계내 력 중 작은 값으로 한다. 설계법의 좌굴 하중 산정 흐름도는 Fig. 5와 같다(A.I.J., 2010).

Fig. 5

Flow chart

JKSMI-22-176_F5.jpg

여기서, Fig. 5에 적용된 기호는 다음과 같다.

  • Nc = 휨좌굴 한계내력

  • λc = 휨좌굴 세장비

  • pλc = 소성한계 세장비(1.5)

  • eλc = 탄성한계 세장비( 1 / 6 )

  • Ny = 항복한계내력

  • Ne = 탄성 휨좌굴내력

  • I = 좌굴축에 대한 단면2차 모멘트

  • klc = 압축재의 휨좌굴 길이

(휨 좌굴 한계내력)

(국부좌굴 한계내력)

  • A. 폭 두께비 구분 : P-Ⅰ, P-Ⅱ(1)

    (1)
    N c = N y

  • B. 폭 두께비 구분 : P-Ⅲ(2)

    (2)
    N c = F c r A

    • a. H형 단면 (tw : 웨브 두께, tf : 플렌지 두께)(3)(4)

      (3)
      f F c r = ( 670 453 b t f F y E ) 410 F y E , 0.38 E F y < b t f 0.82 E F y

      (4)
      w F c r = ( 1720 453 b t w F y E ) 201 F y E , 1.55 E F y < b t w 2.45 E F y

    • b. 열간성형 및 용접정방형 중공단면재(5)

      (5)
      F c r = ( 1670 453 B t F y E ) 218 F y E , 1.61 E F y < B t 2.45 E F y

    • c. 냉간성형 정방형 중공단면재(B/t≤36) 및 냉간성형 원형 중공단면재(D/t≤90)(6)

      (6)
      F c r = F y

3.4. 영국 규준

영국의 구조설계기준(British Standard BS5950-1:2000, 이 하 BS라고 함)에 의한 좌굴하중 산정 흐름도는 Fig. 6과 같으 며 Table 4는 Robertson Constant 적용규준을 나타낸다.

Fig. 6

Flow chart

JKSMI-22-176_F6.jpg
Table 4

Robertson constant

Type of section Thickness (mm) Axis of buckling

x-x y-y

Hot finished hollow section (a) (a)

Cold formed hollow section (c) (c)

I section < 40 mm (a) (b)
.> 40 mm (b) (c)

H section < 40 mm (b) (c)
.> 40 mm (d) (d)

Welded I or H section < 40 mm (b) (c)
.> 40 mm (b) (d)

Angles channels T-section (c)

(a) : α=2.0 (b) : α=3.5 (c) : α=5.5 (d) : α=8.0

4. 부재좌굴내력 분석·평가

4.1. 부재좌굴내력 비교․ 검토

원형강관 ∅48.6×2.8t 와 ∅60.5×3.2t 및 ∅76.3×3.2t 세 종 류의 실험을 통한 좌굴내력과 우리나라, 일본 및 영국의 압축 재 좌굴 규준식에 의한 좌굴내력을 Tables 6~8에 정리하였다. Table에서 Experimental Result는 실험 결과 얻어진 좌굴내력 을 의미한다. 맨 오른쪽 항목은 실험 결과에서 얻어진 좌굴내 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각국의 압축재 설계 규준식 으로 산 출한 내력과의 비를 나타낸다. 또한 K-LRFD, J-LSD 및 BS는 각각 우리나라의 하중저항계수 설계법, 일본의 한계상태 설 계법 및 영국의 구조설계 규준에 의해 산정된 좌굴내력을 나 타낸다. 각국 규준식에 의한 좌굴내력의 크기는 우리나라, 일 본, 영국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4%∽8%로 크지 않 았다. 원형강관 ∅76.3×3.2t에서는 일본 규준식에 의한 좌굴 내력이 영국 규준식에 의한 것과 거의 동일하였다. 실험 결과 의 좌굴내력이 접합부의 구성요소를 고려한 좌굴 길이를 적 용한 것보다 전체적으로 조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각국 규준에 의한 좌굴내력은 좌굴길이의 적용성을 검토하 기 위하여 세 가지로 구분하여 실험 결과와 비교・분석하였 다. Table 6~Table 8에서 σp는 부재의 좌굴길이를 원형강관 (콘 포함, Fig. 2에서 L2 )만을 고려했을 때의 좌굴내력을, σps 는 부재의 좌굴길이를 원형강관+슬리브(Fig. 2에서 L1 )를 고 려했을 때의 좌굴내력을, σpsb는 볼을 포함한 부재의 전체길 이(Fig. 2에서 L )를 고려했을 때의 좌굴내력을 나타낸다. 이 를 고려한 좌굴길이와 세장비를 정리하면 Table 5와 같다.

Table 5

Buckling length concerned with connection component

Pipe Application σp Application σps Application σpsb



L(mm) λ L1(mm) λ L2(mm) λ

∅48.6×2.8t 1218 75 1068 66 998 62
∅60.5×3.2t 1218 60 1068 53 998 49
∅76.3×3.2t 1218 47 1068 41 998 39

Table 6은 원형강관 ∅48.6×2.8t의 실험결과와 각국 규준에 의한 좌굴내력을 정리한 것이며 Fig. 7은 양단부 볼을 포함한 부재 길이 전체를 좌굴 길이로 고려한 각국 규준식에 의한 좌 굴내력과 실험에 의한 것을 비교한 것이다. 양단부 볼을 포함 한 부재 길이 전체를 좌굴 길이로 고려한 각국 규준식에 의한 좌굴내력보다 실험에 의한 값이 1.12배∽1.32배 정도 큰 것으 로 측정되었다.

Table 6

Buckling stress comparison of ∅48.6×2.8t

Kind of buckling stress Buckling stress (MPa) Buckling stress ratio for experimental result

Experimental result 208.06 1.00

K-LRFD σp 202.95 0.98
σps 197.71 0.95
σpsb 185.3 0.89

J-LSD σp 189.59 0.91
σps 184.43 0.89
σpsb 173.36 0.83

BS σp 180.61 0.87
σps 173.82 0.84
σpsb 158.41 0.76
Fig. 7

Comparison of buckling stress in ∅48.6×2.8t

JKSMI-22-176_F7.jpg

Table 7은 원형강관 ∅60.5×3.2t의 실험결과와 각국 규준에 의한 좌굴내력을 정리한 것이며 Fig. 8은 양단부 볼을 포함한 부재 길이 전체를 좌굴 길이로 고려한 각국 규준식에 의한 좌 굴내력과 실험에 의한 것을 비교한 것이다. 양단부 볼을 포함 한 부재 길이 전체를 좌굴 길이로 고려한 각국 규준식에 의한 좌굴내력보다 실험에 의한 값이 1.41배∽1.56배 정도 큰 것으 로 측정되었다.

Table 7

Buckling stress comparison of ∅60.5×3.2t

Kind of buckling stress Buckling stress (MPa) Buckling stress ratio for experimental result

Experimental result 288.42 1.00

K-LRFD σp 218.48 0.76
σps 213.97 0.74
σpsb 205.5 0.71

J-LSD σp 204.36 0.71
σps 200.23 0.69
σpsb 191.38 0.66

BS σp 201.88 0.70
σps 195.5 0.68
σpsb 183.97 0.64
Fig. 8

Comparison of buckling stress in ∅60.5×3.2t

JKSMI-22-176_F8.jpg

Table 8은 원형강관 ∅76.3×3.2t의 실험결과와 각국 규준에 의한 좌굴내력을 정리한 것이며 Fig. 9는 양단부 볼을 포함한 부재 길이 전체를 좌굴 길이로 고려한 각국 규준식에 의한 좌 굴내력과 실험에 의한 것을 비교한 것이다. 양단부 볼을 포함 한 부재 길이 전체를 좌굴 길이로 고려한 각국 규준식에 의한 좌굴내력보다 실험에 의한 값이 1.27배∽1.35배 정도 큰 것으 로 측정되었다.

Table 8

Buckling stress comparison of ∅76.3×3.2t

Kind of buckling stress Buckling stress (MPa) Buckling stress ratio for experimental result

Experimental result 278.91 1.00

K-LRFD σp 228.53 0.82
σps 226.67 0.81
σpsb 220.64 0.79

J-LSD σp 217.08 0.78
σps 213.84 0.77
σpsb 206.90 0.74

BS σp 217.17 0.78
σps 214.19 0.77
σpsb 205.02 0.74
Fig. 9

Comparison of buckling stress in ∅76.3×3.2t

JKSMI-22-176_F9.jpg

4.2. 분석 평가

볼접합부를 갖는 원형강관의 좌굴내력은 각국의 좌굴 규준 식에 의한 값보다 실험에 의한 값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원형 강관 ∅48.6×2.8t의 경우 실험에 의한 좌굴 내력이 부재 길이 를 콘을 포함한 순수 원형강관만을 적용한 각국 좌굴 규준식 에 의한 값보다 1.02배∽1.15배 큰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볼을 포함한 전체길이를 적용한 각국 좌굴 규준식에 의한 값보다 1.12배∽1.32배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원형강관 ∅60.5×3.2t 의 경우 실험에 의한 좌굴 내력이 부재 길이를 콘을 포함한 순 수 원형강관만을 적용한 각국 좌굴 규준식에 의한 값보다 1.32배∽1.43배 큰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볼을 포함한 전체길 이를 적용한 각국 좌굴 규준식에 의한 값보다 1.41배∽1.56배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원형강관 ∅76.3×3.2t의 경우 실험에 의한 좌굴 내력 이 부재 길이를 콘을 포함한 순수 원형강관만을 적용한 각국 좌굴 규준식에 의한 값보다 1.22배∽1.28배 큰 것으로 측정되 었으며 볼을 포함한 전체길이를 적용한 각국 좌굴 규준식에 의한 값보다 1.27배∽1.35배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세 종류 의 원형강관 중 ∅60.5×3.2t는 다른 원형강관에 비해 실험에 의한 좌굴 내력 값과 각국의 좌굴 규준식에 의한 값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험 후 변형된 형상으로 보아 볼트의 체결이 다른 종류 실험체에 비해 강하게 되어 나타난 현상으 로 보여 진다.

실험에 의한 좌굴내력 값이 부재 길이를 콘을 포함한 순수 원형강관만을 적용한 각국의 좌굴 규준식에 의한 값보다 원 형강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각국 의 좌굴 설계규준식이 안전성을 지닌 것으로 판단되며 접합 부를 갖는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의 부재 설계에 있어서 좌 굴 길이 적용에 다양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5. 결 론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은 입체적인 부재 배치로 인한 강 성 증대 및 경량화에 따른 좌굴 발생이 용이하다. 부재 간 결합 방식으로 국내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는 볼, 볼트 및 슬리브를 이용한 볼조인트 접합 방식은 접합부 구성요소가 부재의 좌 굴길이 및 좌굴내력에 다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볼접합부 를 갖는 원형강관의 좌굴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국내외 압 축재 설계규준과 비교한 결과 부재의 좌굴내력 및 좌굴길이 평가에 대해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1) 실험에 의한 좌굴내력은 각국의 압축재 설계규준에서 부 재의 전체 길이를 좌굴 길이로 적용한 결과 에 비해 1.12배 ~ 1.5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순수 원형강관의 길이를 좌굴 길이로 적용한 결과 에 비해 1.02배∽1.56배 높은 것 으로 측정되었다. 원형강관의 규격별 다소 값의 편차가 있 는 것은 접합부 구성요소의 결합정밀도 및 구성 요소간 강 성 차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실험 결과에 의한 좌 굴 내력값이 조굴 내력 규준식에 의한 값보다 큰 것은 현재 설계 규준식에 준하여 부재 설계를 수행하는 것이 안전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 2) 실험결과 측정된 좌굴 내력은 우리나라, 일본 및 영국의 압 축재 설계규준에서 좌굴 길이를 순수 원형강관만으로 고 려한 좌굴내력 값에 비해 1.02배∽1.43배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 설계에 있어 개별 부재 좌굴내력은 절점간 길이가 아닌 순수 원형강관의 길 이로 좌굴계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이 경우 일반적인 부재 설계에 있어서 부재 길이를 적용하는 절점간 거리에 대한 순수 원형강관의 길이의 좌굴계수 값 은 0.87 정도로 제시되어 진다. 그러나 접합부를 구성하고 있는 볼, 볼트 및 슬리브의 규격에 따른 강성 차이에 의한 좌굴 내력의 변화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볼접합부를 갖는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의 좌굴내력 및 좌굴길이 계수는 접합부의 구성요소가 다양하고 볼트의 결합 강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설계지 침 마련을 위해 향후 다양한 규격의 원형강관 및 세장비를 적 용한 추가적인 실험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1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2010), Recommendation for Limit State Design of Steel Structures, 20-21.
2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2008), BS5950-1:2000 Structural use of Steelwork in Building Part 1, BSI, 35-173.
3 
(2010), A Study on the Flexural Rigidity and Member Buckling of Space Frame with Ball Joints, 29-61.
4 
(2012), Evaluation on the Buckling Length of Circular Hollow Steel with Ball Joi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pplication,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pplication, 15(1), 5-11.
5 
(200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igidity of Ball Joint., Journal of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1), 133-142.
6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011), Design of Steel Structures., 128-135.
7 
(2003),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Bolt Inserted Ball Joint., Journal of the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11), 65-72.
8 
(2000), A Study on the Inelastic Member Buckling of Space Frame, 31-44.
9 
(1986), Finite Element Structural Analysis., 56-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