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콘크리트 열화, 칼슘용출, 광물질 혼화재, 휨 거동
Concrete degradation, Calcium leaching, Mineral admixture, Flexural behavior

1. 서 론

콘크리트는 장기수명이 요구되는 구조물에 적합한 건설재 료로 적용성, 내구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다. 하지만 다양한 요 인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열화 현상은 RC구조물의 전 반적인 성능저하를 유도하므로 이에 대한 성능검토가 요구된 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콘크리트의 성능 저하요인은 염 해, 탄산화, 알칼리-골재반응, 철근 부식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는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로, 다양한 성능저하 현상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어 왔다(Park, 2017; Kwon, 2015). 그러나 장 기간 지하수에 노출되는 지하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칼슘용출 로 인한 성능저하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칼슘용출 현상은 콘크리트 외부의 이온교환수와 내부 공극수 사이에 농도 구배가 발생하면서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은 공극수의 수화생성물중 칼슘 성분이 이온 분리되어 낮은 농도의 지하 수로 용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며, 종국에는 콘크리트의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이에 따라 지하수에 노출되는 구조물 을 대상으로 이온교환수에 의해서 시멘트 수화생성물인 칼슘 성분이 용출되는 현상에 대해 여러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Carde et al., 1997; Haga et al., 2005; Haga et al., 2005; Carde and Francois, 1997; Saito and Deguchi, 2000).

한편, 시멘트 대체 재료로 사용되는 광물질 혼화재료는 시 멘트 제작시 발생하는 온실가스등의 감소를 유도하므로 환경 적 측면에서 사용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시멘트 단위량을 감 소시켜 구조물 생산비용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양한 광물질 혼화재중에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경우 시멘트보다 저렴한 가격 때문에 폭넓게 사용되며 결합재의 최대 60~80% 까지 치환할 수 있는 반면, 플라이애시의 경우 압축강도 발현 이 낮은 단점으로 인하여 결합재의 10~30% 수준정도만 치환 하여 적용하고 있다(Lee et al., 2009; Jeong et al., 2015). 그러 나 광물질 혼화재를 시멘트로 대체하여 사용하게 되면, 시멘 트에 포함된 칼슘량이 감소되어 콘크리트에 존재하는 절대 칼슘 성분을 감소시킴에도 불구하고, 칼슘용출 현상의 발생 에 따른 혼화재 혼합 콘크리트의 물성 변화에 대한 연구가 미 진한 상황이므로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Choi et al., 20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칼슘용출에 의해 열화를 입은 콘크 리트 부재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물질 혼화재 를 혼입한 부재를 제작하여 열화 여부에 따른 RC부재의 휨 거 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2. 실험 계획 및 방법

2.1. 실험변수 및 배합

2.1.1. 사용재료

시험체 제작에 사용된 결합재는 KS L 5201에 규정된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광물질 혼화재 종류 및 혼화재 혼입 율이 칼슘용출 열화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하기 위하여 플라이애시(이하 FA)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이하 BFS)을 결 합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결합재에 대한 물리 적, 화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잔골재는 밀도와 조립률이 각각 2.57 g/cm3, 2.48인 하천 모래이며, 굵은 골재는 밀도와 조립률이 각각 2.61 g/cm3, 7.01인 쇄석을 사용하였다. RC 부 재의 경우, 실험에 의해서 얻어진 항복강도 350 MPa의 D10인 철근을 주철근 및 전단철근으로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Table 1

Phys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of binders

Material OPC FA BFS
Properties

Physical Specific gravity 3.15 2.25 2.89
Blaine(cm2/g) 3,200 3,400 4,300

Chemical (%) SiO2 21.36 49.89 33.54
AI2O3 5.03 29.99 15.22
Fe2O3 3.31 7.42 0.51
CaO 63.18 5.01 43.88
MgO 2.89 0.98 2.62
SO3 2.3 - 2.54
LOI 1.4 4.31 0.01

2.1.2. 실험 변수

본 연구에서는 Table 2와 같은 실험 변수로 하여 실험을 실 시하였으며, 광물질 혼화재는 FA와 BFS를 사용하였다. 이때, 물-결합재비(W/B) 50%에 대하여 FA는 KS L 5211 기준을 충 족하는 시멘트 중량의 10%, 20%를 치환하여 제작하였으며, BFS의 경우에는 KS L 5210 기준에 의거하여 2종 고로슬래그 혼입 기준을 만족하는 30%, 50%로 대체하여 시험체를 제작하 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배합표는 Table 3과 같으며, 칼슘용 출 열화를 입은 RC부재의 열화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동일 한 재령의 건전한 RC부재를 함께 제작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Table 2

Experimental variables

Item Contents
W/B 40, 50, 60(%)
Mineral admixture FA(10, 20%), BFS(30, 50%)
Specimen size ∅100×100 mm(leaching test) ∅100×200 mm(compression test)
Leaching method Immersion NH4NO3 solution(6M)
Leaching period 90 days
Phenolphthalein method Degraded thickness
Compression test Sound Con'c and Damaged Con'c
Table 3

Concrete mix proportion

Type W/B (%) S/a (%) Unit weight(kg/m3)
W C S G FA BFS
40OPC 40 43 170 425 713 960 - -
50OPC 50 45 173 346 772 958
60OPC 60 47 176 293 822 942
FA10 50 45 173 311 766 951 35
FA20 50 45 173 277 760 944 69
BFS30 50 45 173 242 768 953 - 104
BFS50 50 45 173 173 766 950 173

2.2. 실험계획 및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RC 휨 부재는 Fig. 1과 같이 크기 120× 190×1000 mm(폭×높이×길이)로, 사인장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전단철근의 경우, 60 mm 간격으로 배치하고 피복두께 는 35 mm로 결정하였다. 주철근의 변형률 측정을 위하여 부 재 중앙부 철근의 총 2개소에 철근 변형률 게이지(steel strain gauge)를 각각 설치하였으며, 콘크리트의 변형률 측정을 위한 콘크리트 변형률 게이지(concrete strain gauge)를 압축 연단으 로부터 10, 30 mm에 설치하였다.

Fig. 1

Reinforcement detail of test members

JKSMI-22-16_F1.jpg

한편, 압축강도는 ∅100×200 mm 크기의 원주형 시험체를 3개씩 제작하여 RC부재와 동일한 조건에서 칼슘용출을 실시 한 후 압축강도 측정을 진행하였다. 칼슘용출에 의한 열화두 께는 ∅100×100 mm 크기의 원주형 시험체를 제작하여 RC 부재와 동일한 조건에서 칼슘용출을 실시한 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광물질 혼화재의 충분한 수화반응을 유도하 기 위하여 RC부재의 경우에는 90일간 습윤 양생을 실시한 후, 압축 영역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20 mm)만 질산 암모늄 수용액에 침지였으며, 원주형 시험체는 역시 90일간 수중양생을 실시한 후, 상‧하면을 에폭시 코팅 처리하여 질 산암모늄 침지를 실시하였다.

2.2.1. 칼슘용출 방법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공극수에는 시멘트 수화 반응에 의 해 생성되는 C-S-H와 수산화칼슘(Ca(OH)2) 등의 여러 수화 물들이 녹아있다. 그러나 이온교환이 가능한 순수(pure water) 에 의해서 공극수간의 농도 평형 상태에 이탈이 생겨 칼슘용 출이 진행되어 콘크리트의 강도가 점점 저하되는 열화 현상 이 존재한다(Yang and Choi, 2011). 본 연구에서는 1997년 Carde(Carde et al., 1997)에 의해 제안된 콘크리트 내부 공극 수에서 칼슘(Ca)과 암모늄(NO3)이 화학반응으로 인해 결합 된 후, 질산칼슘(Ca(NO3)2이 급속 용출되어 나오는 방법으로 질산암모늄(NH4(NO)3) 수용액(6M)에 침지시켜 급속 칼슘용 출 열화방법을 사용하였다. Photo 1에는 RC 부재의 질산암모 늄 침지 과정과 칼슘용출에 의해 열화된 콘크리트 부재의 상 태를 함께 나타내었다.

Photo 1

Scheme of concrete degradation method

JKSMI-22-16_P1.jpg

2.2.2. 압축강도 측정방법

칼슘용출에 의한 열화가 RC부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 기에 앞서, 동일한 재령의 수중양생을 실시한 시험체(이하, 건 전 시험체)와 칼슘용출 열화를 입은 시험체(이하, 열화 시험 체)를 각각 KS F 2405에 의거하여 압축강도 측정을 실시하였 다. 열화 시험체의 경우에는 상‧하면 에폭시 코팅을 제거한 후 측정하였다. 또한, 강도측정에 앞서 시험체의 열화 두께를 측 정하기 위해 열화 시험체의 내부 수화기분해에 의해 변화된 pH를 고려하여,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분무하여 칼슘용출 두께를 측정하였다.

2.2.3. 휨 시험 방법

Photo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영역 콘크리트 표면으로 부터 열화 된 RC부재(이하, 열화 부재)와 건전한 RC부재(이 하, 건전 부재)의 역학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500 kN 용량 의 가력장치를 사용하여 4점 휨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하중 제어는 변위제어 방식을 사용하였다(Oh et al., 2008; Kang et al., 2009). 주철근의 항복 변위(부재의 처짐)를 기준으로 0.5△y, 1.0△y, 2.0△y, 3.0△y의 단계까지 실시하고, 주철근의 변형률 측정이 불가한 시점에서 실험을 종료하였다. 이때 하중변화 에 따른 RC 부재의 처짐은 시험체 중앙부 하단에 LVDT를 설 치하여 측정하였다.

Photo 2

RC member flexural test set up

JKSMI-22-16_P2.jpg

3. 실험 결과 및 분석

3.1. 칼슘용출에 따른 콘크리트의 열화두께 및 압축강도

Table 4에는 2.2절에 언급한 칼슘용출에 따른 콘크리트의 열화 두께를 나타내었다. 이를 살펴보면, 물-결합재비가 높을 수록 칼슘용출에 따른 열화 두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광물질 혼화재 종류에 상관없이 혼화재 혼입률이 증가 할수록 열화두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 연구 결과(Yang and Choi, 2011; Choi et al., 2016)에는 칼슘용 출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광물질 혼화재의 혼입률 증감에 따 른 비례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장기 침지에 의한 칼슘용출 특성 평가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 료된다.

Table 4

Damaged thickness due to calcium leaching(mm)

Type 40OPC 50OPC 60OPC FA10 FA20 BFS30 BFS50
Damaged thickness 9.7 13.4 15 12.8 14 12.6 13.0

한편, 칼슘용출이 압축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 기 위하여 90일간 수중 양생한 시험체의 압축강도 측정 결과 와 이후에 칼슘용출을 90일간 진행한 열화 시험체의 압축강 도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때, 동일한 재령동안 수중 양생 을 실시한 시험체의 압축강도 발현 특성을 Fig. 2에 표준편차 와 함께 나타내었다. Fig. 2의 값은 각 경우의 압축강도 결과 (MPa)를 나타내며, 함께 나타낸 괄호 속의 값은 각 경우의 재 령 90일을 기준으로 측정된 시험체(Initial)에 대한 압축강도 비율(%)를 나타내고 있다. Fig. 2의 결과를 살펴보면, 물-결합 재비가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콘크리트의 일반 적인 특징이 나타났으며, 혼화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장기강 도 발현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수중양생이 180일동안 진행된 시험체(건전 시험체)와 수중양생을 90일간 실시 한 후 질산암모늄 수용액에 90일간 침지된 시험체(열화 시험체)의 압축강도 측정 결과를 비교하면, 물-결합재비, 광물질 혼화재 의 종류 및 대체율에 관계없이 열화 시험체의 압축강도가 건 전한 시험체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물질 혼화 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대 잔류강도가 85%까지 나타 났으며 물-결합재비에 비례하여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FA를 대체한 경우의 압축강도는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저 하하였으나, BFS의 경우에는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잔류강 도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BFS의 혼입량이 FA에 비해 높아 콘크리트 내부의 절대칼슘 성분을 감소시킴 에도 불구하고 열화에 의해 잔류강도 변화가 크지 않았으므 로 광물질 혼화재 종류에 따른 열화 특성이 상이한 것으로 판 단된다. 특히, FA20의 경우가 가장 낮은 잔류강도를 나타내므 로, FA에 비하여 BFS가 압축강도 측면에서는 칼슘용출 저항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2

Results of compressive strength( ) : ratio of residual strength to initial strength(%)

JKSMI-22-16_F2.jpg

3.2. 칼슘용출에 따른 RC 부재의 휨거동 특성

3.2.1. 균열 및 파괴양상

Figs. 3, 4에는 건전 부재와 열화 부재의 균열진전양상을 나 타내었다. 우선 건전 부재의 균열 특성을 살펴보면, 초기 휨 균열은 모든 부재에서 순수 휨 구간에서 발생하였으며, 하중 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측의 균열이 보의 가력점으로 진전되 고 극한 하중에 도달할수록 휨 균열 폭이 증가하였으나 균열 간격은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는 RC부재의 일반적인 거동을 나타내었다(Ji et al., 2007; Yang and Kim, 2014; Jang et al., 2015).

Fig. 3

Crack pattern(Sound member)

JKSMI-22-16_F3.jpg
Fig. 4

Crack pattern(Damaged member)

JKSMI-22-16_F4.jpg

한편, 열화부재의 경우에는 건전부재와 달리 보의 가력점 에서 압괴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칼슘용출에 의해 압축연단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 한 Table 5에 부재별 평균 균열 간격을 나타낸 결과, 건전부재 의 경우, 광물질 혼화재 혼입 및 물-결합재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PC의 경우에는 열화부재의 균 열간격이 건전부재보다 감소하였으며 그 차이는 6~12 mm 수 준이었으나, 물-결합재비에 의한 비례적인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BFS를 혼입한 경우에는 건전부재와 열화부재의 균열 간격에 차이가 1.4~5.1 mm이며 FA를 혼입한 경우에는 열화 부재의 균열 간격이 건전부재에 비하여 9.4~ 25 mm로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오차범위내로, 각 균열 간격 은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칼슘용출에 의한 열화에 노출된 RC부재는 광물질 혼입에 관계없이 칼슘용출 을 진행시킨 압축 연단에서의 압괴 발생이 증가하지만, 균열 간격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5

Average crack spacing of each members(mm)

Type 40OPC 50OPC 60OPC FA10 FA20 BFS30 BFS50
Sound member 95.8 111.4 99.5 82.0 95.3 95.6 110.9
Damaged member 89.8 98.8 87.1 91.4 120.3 94.2 105.8

3.2.2. 하중-처짐 관계

Fig. 5에는 건전 부재와 열화 부재의 중앙부 하단에 설치한 LVDT에서 측정한 처짐 값을 통해 얻어진 하중-처짐 곡선을 물-결합재비별, 광물질 혼화재 종류에 따라 나타내었으며, Table 6에는 초기균열하중, 항복하중, 극한하중 및 처짐 값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초기균열하중은 초기 선형구간 종점에서 의 하중 값으로 결정하였으며, 항복하중은 철근이 항복 변형 률에 도달할 때의 하중이며, 극한하중은 하중-처짐 곡선에서 마지막 Step에서의 최대 하중으로 결정하였다(Yang et al., 2009; Yoo and Suh, 2013; Yoo and Lee, 2014; Shin et al., 2015).

Fig. 5

Load-Displacement curve

JKSMI-22-16_F5.jpg
Table 6

Experimental values

Type Initial cracking Yielding point Peak point



Pcr(kN) cr(mm) Py(kN) y(mm) Pu(kN) u(mm)

Sound member 40OPC 29.81 0.35 91.80 2.57 100.32 9.86
50OPC 25.84 0.27 95.95 3.32 97.77 8.23
60OPC 21.18 0.28 95.56 3.55 102.32 7.83
FA10 21.64 0.48 92.03 3.03 105.19 7.75
FA20 22.30 0.53 93.52 3.11 101.46 6.25
BFS30 20.88 0.20 91.83 3.07 104.05 8.59
BFS50 20.39 0.22 89.52 2.94 95.78 6.41

Damaged member 40OPC 33.48 0.49 90.23 2.56 95.07 8.04
50OPC 23.10 0.25 90.36 3.05 92.01 7.68
60OPC 21.33 0.47 87.78 3.51 88.90 8.79
FA10 26.12 0.30 91.65 2.93 101.36 9.39
FA20 20.73 0.38 81.57 3.02 86.68 9.36
BFS30 25.05 0.24 91.19 2.96 95.29 9.79
BFS50 21.23 0.36 67.27 2.50 81.09 9.20

실험 결과, 물-결합재비, 광물질 혼화재의 종류 및 혼입률 에 관계없이 건전 부재는 초기균열하중에 도달하기까지는 선 형으로 증가하고, 이후 기울기가 점차 감소하며 철근이 항복 할 때까지 거의 유사한 거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Fig. 5(a)와 Table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재로 시멘 트만 사용한 경우, 초기 균열이 발생하는 하중과 그때의 처짐 에는 칼슘용출에 의한 영향이 다소 적지만, 부재가 항복하는 시점에서의 항복하중 감소, 처짐량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 내었다. 이는 압축영역에 열화가 진행되어 콘크리트의 성능 저하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사료되며, 최대 하중 역시 열화부 재는 건전 부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5(b)와 Table 6에는 FA를 혼입한 하중-처짐 특성을 나 타내었다. 실험결과, OPC의 경우와 동일하게 초기균열하중 및 처짐 값은 칼슘용출 여부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FA를 혼입한 경우, 대체율이 증가 할수록 동일한 하 중에서의 처짐 값이 증가하고 항복하중의 편차가 더욱 증가 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Fig. 5(c)와 Table 6의 BFS를 대체한 부 재에서도 나타나고 있으며, BFS의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열화부재는 건전 부재에 비하여 항복하중 및 극한하중이 감 소하고 그때의 처짐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칼슘용출에 의한 열화가 진행되면, 광물질 혼화재 종류에 따 른 차이가 있긴 하나 RC 부재의 포함된 절대 칼슘량의 감소로 인하여 열화부재가 건전부재보다 최대하중이 감소하고 처짐 이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3.2.3. 모멘트-곡률 곡선

부재의 중앙부 인장철근에 설치한 철근 게이지와 압축 연 단에 설치한 콘크리트 게이지로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Fig. 6 에는 모멘트-곡률 곡선을 나타내었다. Fig. 6(a)에는 광물질 혼화재를 사용하지 않은 부재의 모멘트-곡률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결과 건전 부재는 앞선 절에 나타낸 하중-처짐 관 계처럼, 물-결합재 비율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열화 부재의 경우, 초기 균열이 발생하기 이전까지 초기 휨강성에는 큰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나, 균열이 발생하고 진 전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물-결합재비에서 그래프의 기 울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의 기울기 감소는 부재의 휨강성 저하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압축영역에 발 생된 칼슘용출에 의한 열화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Moment-Curvature curve

JKSMI-22-16_F6.jpg

Fig. 6(b), 6(c)는 광물질 혼화재를 혼입한 부재의 모멘트-곡 률 관계를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광물질 혼입 여부에 따른 건 전부재의 휨강성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광물질 혼화재 대체에 관계없이 열화가 진행되면 건전부재에 비하여 휨강성 이 감소하였다. 또한, 물-결합재비 변화에 따른 열화부재의 모 멘트 감소수준에 비하여 광물질 혼화재 대체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FA20, BFS 50)에는 0.03(1/m) 곡률에서의 모멘트 값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광물질 혼화재 종류에 따라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절대 칼슘량 감소로 인 하여 열화가 진전되어 칼슘용출 저항성 확보를 위해서는 광 물질 혼화재 종류에 따른 적정 대체 비율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2번째 변위제어 단계에서의 얻어진 모멘트-곡률 관 계를 이용하여 계산한 실험 휨강성과 동일한 재령의 압축강 도를 측정하여 얻어진 탄성계수를 이용하여 계산한 이론 휨 강성 값을 Table 7에 나타내었다. 우선, 건전부재의 실제 휨강 성 측정결과, 물-결합재비 및 광물질 혼화재 혼입에 관계없이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전부재를 기준으로 열 화 부재의 휨강성 저하율을 살펴보면 40OPC의 경우 약 9.0%, 50OPC의 경우 약 1.1%, 60OPC의 경우 약 20.6%로 물-결합 재 비가 가장 큰 60OPC의 경우가 가장 큰 휨강성 저하율을 나 타내었다. 또한, 광물질 혼화재를 혼입한 경우에는 건전 부재 와 비교하였을 때 FA10의 경우 약 7.3%, FA20의 경우 약 2.4%, BFS30의 경우 약 10.5%, BFS50의 경우 약 14.1%의 휨 강성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이론 휨강성 값을 비교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칼슘용출 열화에 의 한 강도감소 및 성능저하는 휨강성 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7

Comparison of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values of flexural rigidity

Type Theory Test

Sound member 40OPC 4.76×102 5.56×102
50OPC 4.70×102 4.98×102
60OPC 4.56×102 5.06×102
FA10 4.73×102 4.76×102
FA20 4.63×102 4.89×102
BFS30 4.65×102 5.06×102
BFS50 4.69×102 4.83×102

Damaged member 40OPC 4.38×102 5.06×102
50OPC 4.42×102 4.93×102
60OPC 4.03×102 4.02×102
FA10 4.27×102 4.41×102
FA20 4.23×102 4.77×102
BFS30 4.43×102 4.53×102
BFS50 4.52×102 4.15×102

3.2.4. 중립축-곡률 관계

Fig. 7에는 곡률 증가에 따른 중립축 변화 관계를 물-결합재 비와 광물질 혼화재 종류에 따라 도시하였으며, 곡률이 증가 할수록 중립축의 깊이가 일정 값에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나 곡률 0.14(1/m)까지 표현하였다.

Fig. 7

Neutral axis-Curvature curve

JKSMI-22-16_F7.jpg

곡률 0.14(1/m)에서의 중립축 깊이 증가 비율을 살펴보면 열화 부재가 건전 부재에 비하여 40OPC의 경우 약 1.6%, 50OPC의 경우 약 0.5%, 60OPC의 경우 22.5%로 물-결합재비 가 가장 큰 60OPC의 경우가 가장 큰 증가 비율을 나타내었으 며, FA10의 경우 약 21.4%, FA20의 경우 약 1.9%, BFS30의 경우 약 19.2%, BFS50의 경우 약 2.4%로 혼입률이 증가 할수 록 중립축의 깊이 증가 비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 변수에 관계없이 모든 부재는 철근이 항복하는 시점에 서 중립축 깊이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물-결합재비가 증가함에 따라 중립축 깊이가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특히 60OPC의 경우에는 열화 부재의 동일한 곡률에서의 중립축 깊이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 는 압축 영역에 발생한 열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FA 및 BFS를 사용한 시험체에 있어서도 칼슘용출에 의해 중 립축이 증가하는 것을 동일하게 나타냈으며 열화에 의한 중 립축 증가 비율이 커지는 것을 보였다. 즉, 칼슘용출은 콘크리 트의 강도 저하를 유도하기 때문에 광물질 혼화재의 혼입 여 부에 관계없이 중립축 깊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결 론

칼슘용출 열화를 받은 RC 부재의 휨거동 특성을 비교, 평 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1) 광물질 혼화재를 혼입하면 장기강도 개선이 가능하나, 칼 슘용출에 의한 열화가 발생하면 압축강도는 감소하였으 며 광물질 혼화재 중 BFS를 혼입하면 압축강도 저하를 완 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 건전부재의 경우 물-결합재비, 광물질 혼화재 혼입률 및 종류에 따른 균열 특성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열화 부재의 경우, 압괴가 발생하였지만 광물질 혼화재 및 물- 결합재비에 따른 균열간격 및 균열폭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3) 건전 부재의 초기균열하중, 항복하중 및 그때의 처짐은 모 든 변수에 관계없이 유사한 수준인 반면에, 열화부재의 경 우는 항복하중이 감소하고 처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중립축 깊이가 증가하고 휨강성이 감소하였다.

  • 4) 위와 같은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칼슘용출에 의한 열 화는 RC부재의 성능저하를 유발하며, 특히, 칼슘용출환 경에서 광물질 혼화재 종류에 따른 적정 혼입 기준을 마련 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5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의 지원과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NRF-2015R1D1A1A09057625),

 

1 
(1997), Effect of ITZ Leaching on Durability of Cement-Based Materials., Cement Concr. Res., 27(7), 971-978.
2 
(1997), Use of Ammonium Nitrate Solution to Simulate and Accelerate the Leaching of Cement Pastes due to Deionized Water., Mag. Concr. Res., 49(181), 295-301.
3 
(2016), Characteristics of Calcium Leaching Resistance for Concrete Mixed with Mineral Admixtu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20(4), 59-67.Google Search
4 
(2014), Analytic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Surface Damaged Concrete Member by Calcium Degrad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18(4), 22-32.Google Search
5 
(2005), Change in Por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Hardened Cement Paste During the Process of Dissolution., Cement Concr. Res., 35(5), 943-950.
6 
(2005), Effect of Porosity on Leaching of Ca from Hardened Ordinary Portland Cement Paste., Cement Concr. Res., 35(9), 1764-1775.
7 
(2015), Cracking Behavior and Flexural Performance of RC Beam with Strain Hardening Cement Composite and High-Strength Reinforcing Ba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7(1), 37-44.Google Search
8 
(2015), Effects of Replacement Ratio and Fineness of GGBFS on the Hydration and Pozzolanic Reaction of High-Strength High-Volume GGBFS Blended Cement Paste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7(2), 115-125.Google Search
9 
(2007), Flexural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Recycled Aggregates Suffering from Sustained Loa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11(5), 135-143.Google Search
10 
(2009), Evaluation on Flexural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Ultra High Performance Cementitious Composit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12(5), 81-90.Google Search
11 
KS F 2405. (2017),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of concrete,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12 
KS L 5201. (2016), Portland cement,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13 
KS L 5210. (2017), Portland Blast-furnace Slag Cement,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14 
KS L 5211. (2013), Portland Fly-ash Cement,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15 
(2015), Evaluation of Service Life in RC Column under Chloride Attack through Field Investigation: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Approach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19(5), 67-74.Google Search
16 
(200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uence of High Fineness Fly Ash and Water-Binder Ratio on Properties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1(1), 29-35.Google Search
17 
(2008),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Reinforced Concrete Beam with FRP Reba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12(3), 93-100.Google Search
18 
(2017), Corrosion-Res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crete Mixed with Fly-Ash.,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21(1), 117-125.Google Search
19 
(2000), Leaching Tests on Different Mortars Using Accelerated Electrochemical Method., Cement Concr. Res., 30(11), 1815-1825.
20 
(2015), Characteristics of Bond Strength in Concrete Beams Reinforced with Galvanized Reba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19(4), 136-143.Google Search
21 
(2011), Characteristics of Pore Structures and Compressive Strength in Calcium Leached Concrete Specimen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3(5), 647-656.Google Search
22 
(2014), An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Behavior of Beams Reinforced with Zinc-Coated Reba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6(3), 299-306.Google Search
23 
(2009), An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Behavior of Steel Fiber Reinforced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1(6), 737-744.Google Search
24 
(2014), Experiment of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High Volume Fly Ash.,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6(3), 323-329.Google Search
25 
(2013), An Experiment of Flexural Behavior for the Damaged Low Reinforced Concrete Beams Rehabilitated with External Tendon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17(3), 40-47.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