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순환골재, 순환골재콘크리트, 순환잔골재, 치환율
Recycled aggregat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Recycled fine aggregate, Replacement ratio

1. 서 론

콘크리트는 20세기이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설재료 이며, 최근에도 그 사용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콘크 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기본 재료인 모래, 자갈의 골재는 콘크 리트의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점차 부족한 실정이다. 널리 사 용되었던 강모래, 강자갈은 이미 1990년대 초반에 그 공급이 부족하여 해사, 부순자갈(쇄석)으로 바뀌기 시작하였다. 그러 나 최근에는 잔골재로 널리 사용되던 해사도 근거리의 해안 에서 채취가 어려워져 원거리에서 채취하여 사용되고 있으 며, 이 또한 최근 낮은 입도로 인해 부순모래를 섞어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굵은골재로 사용되던 쇄석도 양질의 원석을 사용 하는 것이 점차 힘들어지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자 연골재의 사용은 최근의 친환경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1980·9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적, 산업적 성장이 이루어졌으며, 더불어 도시로의 인구집중, 다양한 시 설물에 대한 수요 증대, 대규모 공동주택 조성 등 수많은 건축 물이 시공이 이루어졌다. 당시 건축된 시설물,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들은 현재 건축 후 30년이 경과하는 시점에 이르고 있 으며, 근래에 이에 대한 재건축, 재개발 및 리모델링 등이 빠 르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 및 폐기과 정에서 얻어내는 순환골재를 사용하는 것은 건설 폐기물의 감축, 천연자원의 대체가 가능하며, 특히 최근 심화되고 있는 골재 수급 문제와 이로 인한 콘크리트 품질 저하 우려 등을 대 처하기 위한 유효한 기술로 기대될 수 있다(Kim et al., 2016; Gonzalez-Taboada et al., 2016).

순환골재의 생산은 건설폐기물 총 발생량 중 약 75%가 이 루어졌으며, 도로기층용 및 성토, 복토 등의 기층재로의 활용 이 85% 이상이며, 콘크리트용 골재로의 활용이 11% 수준이었 다(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14). 또한, 순환골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도 27 MPa 이하 의 제품으로 한정하고, 순환골재 사용량도 30%이하로 규정 되어 있다(Korea Concrete Institute, 2016). 이는 순환골재의 품질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내구성 등에 크게 영향을 미쳐 유사 배합에서도 상이한 결론을 제시하는 등 아직까지 순환 골재콘크리트의 적용 및 활용이 낮은 상태에서 그 품질안정 성이 명확치 않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Jeong et al., 2006; Jeon et al., 2009; Malešev et al., 2010; Yang and Kim, 2016; Yang and Jeong, 2016).

이에 본 연구는 자원 고갈, 환경 문제 등의 대안으로서 순환 골재의 활용을 촉진하며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레미콘 실생산 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순환골재 사용량에 따른 슬럼프 고 정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 변화 및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회귀분석하여 순환골재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추정을 위한 단위시멘트량, 순환골재의 사용량, 물시멘 트비 등 레미콘 생산 조건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2. 실험 개요

2.1. 실험 계획

본 연구에서는 레미콘 배합에 의해 생산된 순환골재콘크리 트의 경화 전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위시멘트량 320, 345 kg/m3에서 순환골재 치환율을 굵은골재, 잔골재 각각 0, 30, 60, 100% 수준으로 하고, 목표 슬럼프 200±25 mm로 하였 다. 실험항목으로는 굳지않은 콘크리트에 대해 공기량, 슬럼 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굳은 콘크리트에 대해 재령 3,7, 38 일 압축강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계획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Experimental plan

Factors Levels
Unit cement contents(kg/m3) 320, 345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Find agg. 0, 30, 60, 100
aggregate(%) Coarse agg. 0, 30, 60, 100

2.2. 사용 재료

2.2.1. 시멘트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콘크리트 시험체 제작을 위해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에서 규정하고 있는 밀도 3.15 g/cm3, 분말도 3,602 cm2/g인 1종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시멘트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Table 2, 3과 같다.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

Density (g/cm3) Fineness (cm2/g) Setting time (minute) Compressive strength (MPa)
Initial Final 3day 7day 28day
3.15 3,602 270 290 23 29.3 43.8
Table 3

Chemical properties of cement

CaO SiO2 Al2O3 Fe2O3 MgO Ig. loss etc.(%)
62.44 21.12 4.40 3.19 3.10 3.36 2.39

2.2.2. 골재

본 연구에 사용된 기준 잔골재 및 굵은골재, 순환잔골재, 순 환굵은골재의 품질 특성은 Table 4~6과 같으며, 순환잔골재 및 순환굵은골재의 입도곡선은 Fig. 12와 같다. 기준 잔골 재는 쇄사 및 세척사를 50%씩 섞어 사용하였으며, 순환잔골 재 및 순환굵은골재는 KS F 2573의 기준에 적합한 H사 제품 이다. 기준 잔골재에 대해 순환잔골재는 낮은 밀도, 높은 흡수 율 및 높은 조립율을 보이고 있으며, 순환굵은골재는 기준 굵 은골재와 동등한 품질 특성을 보인다. Table 5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aggregate

Type Density (g/cm3) Unit weight (kg/L) Absorption (%)
Fine aggregate Crushed 2.58 1.69 0.92
Wash 2.56 1.64 0.74
Coarse aggregate 2.61 1.52 0.67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 fine aggregate

Type KS F 2573 Recycled fine aggregate
Dry Density(g/cm3) More than 2.2 2.33
Absorption(%) Less than 5.0 4.83
Ratio of absolute volume(%) More than 53 62.9
Alkali aggregate reaction Innocuous Innocuous
Amount of clay mass(%) Less than 1.0 0.5
Stability(%) Less than 10 7.4
Impurity contents(%) Organic matter Less than 1.0 0.04
Inorganic matter Less than 1.0 0.62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Type KS F 2573 Recycled fine aggregate
Dry Density(g/cm3) More than 2.5 2.51
Absorption(%) Less than 3.0 2.68
Ratio of abrasion loss(%) Less than 40 27.5
Ratio of absolute volume(%) More than 55 60.5
Alkali aggregate reaction Innocuous Innocuous
Amount of clay mass(%) Less than 0.2 0.1
Stability(%) Less than 12 7.8
Impurity contents(%) Organic matter Less than 1.0 0.03
Inorganic matter Less than 1.0 0.32
Fig. 1

Grading curves of recycled fine aggregate

JKSMI-22-51_F1.jpg
Fig. 2

Grading curves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JKSMI-22-51_F2.jpg

2.2.3 혼화제

본 연구에 사용된 혼화제는 AE 감수제 표준형을 사용하였 으며 혼화제 특성은 Table 7과 같다.

Table 7

Properties of superplasticizer

Type Shape Color pH Specific gravity Solid content(%)
Polycarboxylate Liquid Dark brown 4.6 1.105 20

2.3 배합

레미콘 실생산 적용을 고려하여 기준 콘크리트에 대한 목 표 압축강도 및 슬럼프를 27 MPa 및 200 ± 25 mm로 하였으며, 예 비 실험을 실시하여 기준 배합을 단위시멘트량 320, 345 kg/m3, W/C 47.5%로 설정하였다.순환골재 치환율은 잔골재, 굵은골 재 각각 0, 30, 60, 100% 수준으로 하고, 순환골재의 치환에 따 라 목표 슬럼프에 도달하기 위한 수량을 조절하여 실험을 진 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배합은 Table 8과 같다.

Table 8

Mixing proportions and test rusults of experiment

Type W/C (%) S/a (%) Unit weight(kg/m3) Changed W/C(%) Slump Air content (%) Compressive strength(Mpa)

Cement Fine aggregate Coarse aggregate Recycled aggregate Water




Crashed+ washed Fine Coarse Plan Added water Total water 3d 7d 28d

I-F00-C00 47.5 48.6 320 917.0 962 0.0 0.0 152 0.0 152.0 47.5 200 3.4 17.3 24.3 30.7
I-F00-C30 673.4 266.4 0.0 152.0 47.5 190 4.2 18.5 23.9 31.0
I-F00-C60 384.8 532.8 0.0 152.0 47.5 180 4.0 17.6 23.9 31.1
I-F00-C100 0.0 888 5.1 157.1 49.1 200 5.4 16 23.2 29.1
I-F30-C00 642.0 962 252.0 0.0 6.4 158.4 49.5 190 4.1 16.4 23.4 29.2
I-F30-C30 673.4 266.4 8.7 160.7 50.2 195 3.9 16 23.1 29.2
I-F30-C60 384.8 532.8 10.3 162.3 50.7 195 4.1 16.6 23.5 29.3
I-F30-C100 0.0 888 11.2 163.2 51.0 185 5.0 15.9 23.2 28.9
I-F60-C00 366.4 962 504.0 0.0 13.7 165.7 51.8 200 5.4 14.3 21.4 27.0
I-F60-C30 673.4 266.4 15.6 167.6 52.4 190 5.2 14.8 22.0 26.8
I-F60-C60 384.8 532.8 20.3 172.3 53.8 200 5.4 14.2 21.9 26.1
I-F60-C100 0.0 888 20.3 172.3 53.8 195 5.9 14.1 20.8 25.7
I-F100-C00 0.0 962 840.0 0.0 18 170 53.1 195 6.4 12.2 17.8 24.0
I-F100-C30 673.4 266.4 18.5 170.5 53.3 190 7 12.2 180 23.6
I-F100-C60 384.8 532.8 22.7 174.7 54.6 190 9.3 12.1 17.6 22.0
I-F100-C100 0.0 888 23.6 175.6 54.9 190 9.9 12.2 17.4 21.6
II-F00-C00 345 906.6 943.8 0.0 0.0 164.0 0.0 164.0 47.5 190 3.5 20.4 28.2 33.1
II-F00-C30 660.7 261.4 2.2 166.2 48.2 195 3.7 20.0 28.5 33.5
II-F00-C60 377.5 522.7 4.0 168 48.7 195 3.8 20.9 29.6 33.0
II-F00-C100 0.0 871.2 5.1 169.1 49 200 5.1 19.7 27.7 32.6
II-F30-C00 634.6 943.8 249.1 0.0 6.7 170.7 49.5 210 3.3 18.5 24 30.3
II-F30-C30 660.7 261.4 6.9 170.9 49.5 200 5.3 18.9 24.4 29.9
II-F30-C60 377.5 522.7 10.2 174.2 50.5 200 4.3 18.9 24.7 30.1
II-F30-C100 0.0 871.2 13.2 177.2 51.4 205 5.2 18.2 23.9 28.9
II-F60-C00 382.6 943.8 498.2 0.0 8.2 172.2 49.9 200 4.8 18 23.4 29.2
II-F60-C30 660.7 261.4 8.7 172.7 50.1 190 5.2 17 23.5 29.3
II-F60-C60 377.5 522.7 12.9 176.9 51.3 205 4.7 17.5 23.1 28.8
II-F60-C100 0.0 871.2 14.8 178.8 51.8 200 5.3 17.8 22.4 28.4
II-F100-C00 0.0 943.8 830.4 0.0 14.5 178.5 51.7 195 6.9 14.0 22.0 25.7
II-F100-C30 660.7 261.4 15.1 179.1 51.9 195 8.3 13.3 20.5 25.1
II-F100-C60 377.5 522.7 17.0 181.0 52.5 195 8.9 14.3 21.3 25.3
II-F10-C100 0.0 871.2 20.5 184.5 53.5 205 8.3 13.0 21.3 24.4

2.4. 실험 방법

슬럼프 실험은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기준치 200 ± 25 mm로 설정 후 실시하였다, 공기량 은 KS F 2421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 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기준으로 순환잔골재 사용에 따라 5.5±1.5%로 설정하였다. 또한 경화 콘크리트에 대해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방법에 따라 재령 3, 7, 28 일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및 고찰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레미콘 실생산의 기초 적 자료의 제시를 목적으로 레미콘 생산방식과 유사하게 목 표 슬럼프를 만족하기 위해 수량의 후 투입으로 실험을 진행 하였으에 이에 따른 각 실험결과는 Table 8과 같다.

3.1. 슬럼프 및 추가투입 수량

최근 현장에서의 요구조건 및 경시에 따른 감소 등을 감안 하여 초기값에 대한 목표 슬럼프 200±25 mm를 설정하였으 며, 목표 슬럼프를 만족시키기 위해 각 배합은 필요한 경우 수 량의 첨가가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Fig. 3과 같다.

Fig. 3

Change of added water at fixed slump

JKSMI-22-51_F3.jpg

실험 결과, 목표 슬럼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순환골재의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량의 증가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 타나, 단위시멘트량 320 kg/m3의 경우, 순환굵은골재 치환율이 30, 60, 100%로 증가함에 따라 1.2, 3.8, 5.5 kg/m3의 단위수량의 증가가 필요하였으며 순환잔골재에서는 7.9, 16.2, 19.4 kg/m3 증가가 나타났다. 순환굵은골재의 치환과 순환잔골재의 치환 을 비교하면 순환잔골재의 치환시 더 많은 단위수량의 증가 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순환잔골재가 파쇄에 의 해 생산되어 기준 잔골재인 쇄사 및 세척사보다 거친 입형을 갖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순환잔골재 치환율의 증가는 슬럼 프 등의 특성에 불리하며 특히 높은 치환율에서 더욱 다는 기 존 연구 결과와 부합한다(Ryou and Song, 2011; Kim et al., 2016).

한편, 단위시멘트량 345 kg/m3에서는 순환굵은골재 및 순 환잔골재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추가된 단위수량은 0.9, 3.7, 6.1 kg/m3 및 6.4, 8.3, 14.0 kg/m3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단위시멘트량이 320 kg/m3에서 345 kg/m3으로 증가함에 따 라 순환굵은골재 치환시 요구되는 단위수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순환잔골재의 경우 요구 단위수량이 다소 감소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3.2. 공기량

슬럼프 고정 순환골재 치환율에 따른 공기량 측정 결과는 Fig. 4와 같으며, 순환잔골재 100% 치환율의 배합을 제외하 면, 순환굵은골재 및 순환잔골재의 치환율의 증가에 따라 유 사하거나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순환굵은골재의 경우 100%, 순환잔골재의 경우 60%까지 치환하여도 콘크리트 품 질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순환잔골재 100%치환시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이 크게 증가하여 6%~9%의 공기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4

Result of air content

JKSMI-22-51_F4.jpg

3.3. 압축강도

3.3.1. 물시멘트비

본 실험은 목표 슬럼프를 만족시키기 위해 배합별 추가수 량을 투입하였으며, 이에 따른 수정된 물시멘트비와 압축강 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도시한 결과는 Fig. 56과 같다.

Fig. 5

Correlation between w/c and compressive strength(320 kg/m3)

JKSMI-22-51_F5.jpg
Fig. 6

Correlation between w/c and compressive strength(345 kg/m3)

JKSMI-22-51_F6.jpg

본 실험에서의 물시멘트비는 47.5~54.9%로 변화하였으며, 이에 따른 압축강도는 단위시멘트량에 따라 30.7~21.7 및 33.1~24.4 MPa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회귀분석 결과 R2값은 0.89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3.3.2 순환골재 치환율

단위시멘트량 320 kg/m3인 배합의 순환골재 치환율에 따 른 압축강도는 Fig. 7과 같으며,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기준배 합 30.7 MPa에 대해 순환골재별 치환에 따라 31.1~ 21.6 Mpa 를 보였다. 순환굵은골재의 경우 60% 치환까지는 유사한 수 준을 나타내었으나, 100% 치환의 경우에는 평균 5.2%의 강도 저하가 발생하였다. 반면, 순환잔골재를 치환하는 경우에는 치환율이 30, 60, 100%로 증가함에 따라 평균 4.3, 13.4, 25.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7

Result of compressive strength(320kg/m3)

JKSMI-22-51_F7.jpg

단위시멘트량 345 kg/m3의 재령별 압축강도는 Fig. 8과 같 으며,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기준배합 33.1 MPa에 대해 순환골 재별 치환에 따라 33.5~24.4 Mpa를 보였으며, 320 kg/m3과 마찬 가지로 순환굵은골재 치환에서는 유사하거나 약간 낮은 압축 강도를 보인 반면, 순환잔골재를 치환하는 경우에는 평균 9.9, 12.4, 24.0%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순환굵은골재의 치환 보다 순환잔골재의 치환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불리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순환굵은골재의 경우 기존 콘크리트의 굵은골재로 표면에 일부 기존 모르타르가 부착된 형태로 전제적인 품질이 일반 굵은골재와 유사한 반면, 순환잔 골재는 기존 콘크리트 중 모르타르의 파쇄입자로 잔골재 및 페 이스트가 혼재된 형태이며, 기존 잔골재에 비해 낮은 밀도, 높 은 흡수율의 품질 특성을 갖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8

Result of compressive strength(345 kg/m3)

JKSMI-22-51_F8.jpg

3.4. 상관관계 분석

본 실험은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레미콘 실생산을 위한 기초 적 연구로서, 단위시멘트량을 고정한 기준 배합에 대해 순환 골재별 치환율 및 목표 슬럼프를 위한 단위수량 조정을 인자 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절에서는 Table 8의 데이터에 대하여 각 측정 항목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s 9 및 10과 같다.

Table 9

Results of multitrait-multimethod correlation(320kg/m3)

S28 Fine Coarse W/C Air Slump

S28 1
-.933** Pearson Correlation
0.000 Sig. (2-tailed)
Fine 0.964** 1 **: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000
Coarse 0.177 0.000 1
0.511 1.000
W/C 0.933** 0.926** 0.269 1
0.000 0.000 0.313
Air 0.929** 0.822** 0.363 0.803** 1
0.000 0.000 0.167 0.000
Slump 0.034 0.004 0.208 0.103 0.103 1
0.9 0.989 0.439 0.704 0.703

각 단위시멘트량에서의 재령 28일 압축강도에 대한 각 인 자의 상관관계는 잔골재가 상관계수 R 0.96 및 0.97로 유의수 준 0.00을 보여 순환잔골재가 압축강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시멘트비 및 공기량 역시 상 관계수 R 0.94~0.89로 나타나 압축강도와 높은 상관관계에 있음을 나타냈다.

반면, 순환굵은골재는 압축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나, 일반 굵은골재와 유사한 품질의 높은 밀도 및 낮 은 흡수율을 갖는 순환굵은골재의 경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부합하였다 (Malešev et al., 2010; Lee, 2015).

3.5. 회귀분석

3.4절을 통해 재령 28일강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평 가된 순환잔골재 치환율, 물시멘트비 및 공기량에 대하여 재 령 28일 압축강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순환잔골재 치환율, 물 시멘트비 및 공기량을 독립변수로 한 다원회귀분석 결과는 Tables 1112와 같다. Table 10

Table 10

Results of multitrait-multimethod correlation(320kg/m3)

S28 Fine Coarse W/C Air Slump

S28 1
-.933** Pearson Correlation
0.000 Sig. (2-tailed)
Fine -.971** 1 **: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000
Coarse -.129 0.000 1
.633 1.000
W/C -.937** .879** .427 1
0.000 0.000 0.313
Air -.888** .857** .250 .818** 1
.000 .000 .351 .000
Slump -.157 .031 .326 .311 -.085 1
.562 .909 .219 .242 .753
Table 11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28 day’s compressive strength(320 kg/m3)

Mode Unstandardized Coefficients R R2 Standardized Error of the Estimate

B Std.Error

(Constant) 47.679 4.116 0.996 0.991 0.3162
Fine -0.033 0.006
W/C -0.302 0.086
Air -0.636 0.078
Table 12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28 day’s compressive strength(320 kg/m3)

Mode Unstandardized Coefficients R R2 Standardized Error of the Estimate

B Std.Error

(Constant) 62.234 7.944 0.989 0.978 0.48677
Fine -0.044 0.008
W/C -0.59 0.166
Air -0.217 0.143

회귀분석 결과, 각 단위시멘트량에서의 순환잔골재 치환 율, 물시멘트비 및 공기량을 변수로 하는 재령 28일 압축강도 에 대한 높은 상관계수의 회귀식을 도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레미콘 생산시 사용되는 인자로는 콘크리트 품질항 목인 공기량을 제외한 순환잔골재 치환율 및 물시멘트비이 며, 앞서 구분된 단위시멘트량 역시 인자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레미콘 생산 조건인 단위시멘트량, 순환잔골재 치 환율 및 물시멘트비에 대한 재령 28일 압축강도의 다원회귀 분석을 통해 슬럼프 고정 순환골재콘크리트의 추정식을 다음 식 (1)와 같이 제안하였다. 제안된 식의 상관계수 R2은 0.96이 며, 추정값의 표준오차는 0.6649로 나타났다.

(1)
S 28 = 0.071 × C 0.054 × F 0.436 × W C

여기서, S28는 재령 28일 압축강도(MPa), C는 단위시멘트 량(kg/m3), F는 순환잔골재 치환율(%), WC는 물시멘트비 (%)이다.

4. 결 론

본 연구는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레미콘 실생산을 위한 기초 적 연구로서, 순환골재 사용량에 따른 슬럼프 고정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 변화 및 물리적 특성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회귀분석하여 순환골재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추정을 위한 단위시멘트량, 순환골재의 사용량, 물시멘트비 등 레미 콘 생산 조건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1)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목표 슬럼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위수량 증가가 요구되며, 순환굵은골재보다 순환잔골재의 치환에 더 많은 단위수량의 증가가 필요하 였다. 이는 순환잔골재가 갖는 거친 입형에 기인하는 것으 로 판단된다.

  • 2)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순환골재의 치 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굵은골 재 100%, 잔골재 60%까지의 치환에 따른 공기량 증가는 레미콘 품질기준을 벗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순환골재를 다량 치환한 레미콘 생산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3)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순환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순환잔골재를 100% 치환한 경우 압축강도는 25%정도 저 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순환잔골재의 품질이 일반 잔골재에 비해 낮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4)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배합인자에 따른 압축강 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순환잔골재>물시멘트비> 공기량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및 분석을 통해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레미콘 생산을 위한 기초 데이터와 압축강도 추정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보다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 해 품질 안정성이 확보된 순환골재콘크리트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최근 요구되고 있는 골재 수급 문 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서 순환골재콘크리트 활성화를 위 한 이론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건설기술연구사업의 연구비지원 (17SCIP-C128126-02-000000)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1 
(2017),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Recycled Aggregate for Concrete by Crush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Institute, [in Korean]., 5(2), 121-129.Google Search
2 
(2006), The Influence of the Quality and the Replacement Level of Recycled Aggregat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in Korean]., 22(6), 71-78.Google Search
3 
(2016), Study of Recycled Concrete Aggregate Qua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Recycled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Using Database Analysis., Mater. Constr., 66(323), e089
4 
(2009), Mechanical Properties of Ready-mixed Concrete with Recycled Coarse Aggregat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in Korean]., 25(8), 103-110.Google Search
5 
(2016), Characteristic of Cementitious Mortar Using High Volume of Recycled Fine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in Korean]., 4(3), 235-242.Google Search
6 
Korea Concrete Institute (2016), Standard Specifications for Structural Concrete.
7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14), Study on Activation of Recycled Aggregat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8-29.
8 
(2015), Material Strength Evaluation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by Replacement Ratio, Proceeding of the Korea s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463-464.
9 
(2015), Effect of the Amount of Attached Mortar of Recycled Aggregates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in Korean]., 3(2), 132-139.Google Search
10 
(2010), Recycled Concrete as Aggregate for Structural Concrete Production., Sustainability, 2(5), 1204-1225.
11 
(2011), An Experimental Study on Field Application of Self-compacting Concrete Using Recycled Fine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15(4), 193-203.Google Search
12 
(2016), Effect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on Compressive Strength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8(1), 105-113.Google Search
13 
(2016), Mechanical Properties and Predictions of Strength of Concrete Containing Recycled Coarse Aggregat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20(2), 49-59.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