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헌
(Sang-Heon Kim)
1
전찬수
(Chan-Soo Jeon)
2
이세현
(Sea-Hyun Lee)
3*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순환골재, 순환골재콘크리트, 순환잔골재, 치환율
Key words
Recycled aggregat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Recycled fine aggregate, Replacement ratio
1. 서 론
콘크리트는 20세기이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설재료 이며, 최근에도 그 사용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콘크 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기본
재료인 모래, 자갈의 골재는 콘크 리트의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점차 부족한 실정이다. 널리 사 용되었던 강모래, 강자갈은 이미 1990년대 초반에
그 공급이 부족하여 해사, 부순자갈(쇄석)으로 바뀌기 시작하였다. 그러 나 최근에는 잔골재로 널리 사용되던 해사도 근거리의 해안 에서 채취가 어려워져
원거리에서 채취하여 사용되고 있으 며, 이 또한 최근 낮은 입도로 인해 부순모래를 섞어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굵은골재로 사용되던 쇄석도 양질의 원석을
사용 하는 것이 점차 힘들어지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자 연골재의 사용은 최근의 친환경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1980·9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적, 산업적 성장이 이루어졌으며, 더불어 도시로의 인구집중, 다양한 시 설물에 대한 수요 증대,
대규모 공동주택 조성 등 수많은 건축 물이 시공이 이루어졌다. 당시 건축된 시설물,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들은 현재 건축 후 30년이 경과하는 시점에
이르고 있 으며, 근래에 이에 대한 재건축, 재개발 및 리모델링 등이 빠 르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 및 폐기과 정에서 얻어내는 순환골재를 사용하는 것은 건설 폐기물의 감축, 천연자원의 대체가 가능하며,
특히 최근 심화되고 있는 골재 수급 문제와 이로 인한 콘크리트 품질 저하 우려 등을 대 처하기 위한 유효한 기술로 기대될 수 있다(Kim et al., 2016; Gonzalez-Taboada et al., 2016).
순환골재의 생산은 건설폐기물 총 발생량 중 약 75%가 이 루어졌으며, 도로기층용 및 성토, 복토 등의 기층재로의 활용 이 85% 이상이며, 콘크리트용
골재로의 활용이 11% 수준이었 다(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14). 또한, 순환골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도 27 MPa 이하 의 제품으로 한정하고, 순환골재 사용량도 30%이하로 규정 되어 있다(Korea Concrete Institute, 2016). 이는 순환골재의 품질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내구성 등에 크게 영향을 미쳐 유사 배합에서도 상이한 결론을 제시하는 등 아직까지 순환 골재콘크리트의
적용 및 활용이 낮은 상태에서 그 품질안정 성이 명확치 않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Jeong et al., 2006; Jeon et al., 2009; Malešev et al., 2010; Yang and Kim, 2016; Yang and Jeong, 2016).
이에 본 연구는 자원 고갈, 환경 문제 등의 대안으로서 순환 골재의 활용을 촉진하며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레미콘 실생산 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순환골재
사용량에 따른 슬럼프 고 정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 변화 및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회귀분석하여 순환골재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추정을
위한 단위시멘트량, 순환골재의 사용량, 물시멘 트비 등 레미콘 생산 조건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2. 실험 개요
2.1. 실험 계획
본 연구에서는 레미콘 배합에 의해 생산된 순환골재콘크리 트의 경화 전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위시멘트량 320, 345 kg/m3에서 순환골재 치환율을 굵은골재, 잔골재 각각 0, 30, 60, 100% 수준으로 하고, 목표 슬럼프 200±25 mm로 하였 다. 실험항목으로는
굳지않은 콘크리트에 대해 공기량, 슬럼 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굳은 콘크리트에 대해 재령 3,7, 38 일 압축강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계획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Factors
|
Levels
|
Unit cement contents(kg/m3)
|
320, 345
|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
Find agg.
|
0, 30, 60, 100
|
aggregate(%)
|
Coarse agg.
|
0, 30, 60, 100
|
2.2. 사용 재료
2.2.1. 시멘트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콘크리트 시험체 제작을 위해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에서 규정하고 있는 밀도 3.15 g/cm3, 분말도 3,602 cm2/g인 1종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시멘트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Table 2, 3과 같다.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
Density (g/cm3)
|
Fineness (cm2/g)
|
Setting time (minute)
|
Compressive strength (MPa)
|
Initial
|
Final
|
3day
|
7day
|
28day
|
3.15
|
3,602
|
270
|
290
|
23
|
29.3
|
43.8
|
Table 3
Chemical properties of cement
CaO
|
SiO2 |
Al2O3 |
Fe2O3 |
MgO
|
Ig. loss
|
etc.(%)
|
62.44
|
21.12
|
4.40
|
3.19
|
3.10
|
3.36
|
2.39
|
2.2.2. 골재
본 연구에 사용된 기준 잔골재 및 굵은골재, 순환잔골재, 순 환굵은골재의 품질 특성은 Table 4~6과 같으며, 순환잔골재 및 순환굵은골재의 입도곡선은 Fig. 1 및 2와 같다. 기준 잔골 재는 쇄사 및 세척사를 50%씩 섞어 사용하였으며, 순환잔골 재 및 순환굵은골재는 KS F 2573의 기준에 적합한 H사 제품
이다. 기준 잔골재에 대해 순환잔골재는 낮은 밀도, 높은 흡수 율 및 높은 조립율을 보이고 있으며, 순환굵은골재는 기준 굵 은골재와 동등한 품질 특성을
보인다. Table 5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aggregate
Type
|
Density (g/cm3)
|
Unit weight (kg/L)
|
Absorption (%)
|
Fine aggregate
|
Crushed
|
2.58
|
1.69
|
0.92
|
Wash
|
2.56
|
1.64
|
0.74
|
Coarse aggregate
|
2.61
|
1.52
|
0.67
|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 fine aggregate
Type
|
KS F 2573
|
Recycled fine aggregate
|
Dry Density(g/cm3)
|
More than 2.2
|
2.33
|
Absorption(%)
|
Less than 5.0
|
4.83
|
Ratio of absolute volume(%)
|
More than 53
|
62.9
|
Alkali aggregate reaction
|
Innocuous
|
Innocuous
|
Amount of clay mass(%)
|
Less than 1.0
|
0.5
|
Stability(%)
|
Less than 10
|
7.4
|
Impurity contents(%)
|
Organic matter
|
Less than 1.0
|
0.04
|
Inorganic matter |
Less than 1.0
|
0.62
|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Type
|
KS F 2573
|
Recycled fine aggregate
|
Dry Density(g/cm3)
|
More than 2.5
|
2.51
|
Absorption(%)
|
Less than 3.0
|
2.68
|
Ratio of abrasion loss(%)
|
Less than 40
|
27.5
|
Ratio of absolute volume(%)
|
More than 55
|
60.5
|
Alkali aggregate reaction
|
Innocuous
|
Innocuous
|
Amount of clay mass(%)
|
Less than 0.2
|
0.1
|
Stability(%)
|
Less than 12
|
7.8
|
Impurity contents(%)
|
Organic matter
|
Less than 1.0
|
0.03
|
Inorganic matter |
Less than 1.0
|
0.32
|
Fig. 1
Grading curves of recycled fine aggregate
Fig. 2
Grading curves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2.2.3 혼화제
본 연구에 사용된 혼화제는 AE 감수제 표준형을 사용하였 으며 혼화제 특성은 Table 7과 같다.
Table 7
Properties of superplasticizer
Type
|
Shape
|
Color
|
pH
|
Specific gravity
|
Solid content(%)
|
Polycarboxylate
|
Liquid
|
Dark brown
|
4.6
|
1.105
|
20
|
2.3 배합
레미콘 실생산 적용을 고려하여 기준 콘크리트에 대한 목 표 압축강도 및 슬럼프를 27 MPa 및 200 ± 25 mm로 하였으며, 예 비 실험을 실시하여
기준 배합을 단위시멘트량 320, 345 kg/m3, W/C 47.5%로 설정하였다.순환골재 치환율은 잔골재, 굵은골 재 각각 0, 30, 60, 100% 수준으로 하고, 순환골재의 치환에 따 라
목표 슬럼프에 도달하기 위한 수량을 조절하여 실험을 진 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배합은 Table 8과 같다.
Table 8
Mixing proportions and test rusults of experiment
Type
|
W/C (%)
|
S/a (%)
|
Unit weight(kg/m3)
|
Changed W/C(%)
|
Slump
|
Air content (%)
|
Compressive strength(Mpa)
|
|
Cement
|
Fine aggregate
|
Coarse aggregate
|
Recycled aggregate
|
Water
|
|
|
|
|
Crashed+ washed
|
Fine
|
Coarse
|
Plan
|
Added water
|
Total water
|
3d
|
7d
|
28d
|
|
I-F00-C00
|
47.5
|
48.6
|
320
|
917.0
|
962
|
0.0
|
0.0
|
152
|
0.0
|
152.0
|
47.5
|
200
|
3.4
|
17.3
|
24.3
|
30.7
|
I-F00-C30
|
673.4
|
266.4
|
0.0
|
152.0
|
47.5
|
190
|
4.2
|
18.5
|
23.9
|
31.0
|
I-F00-C60
|
384.8
|
532.8
|
0.0
|
152.0
|
47.5
|
180
|
4.0
|
17.6
|
23.9
|
31.1
|
I-F00-C100
|
0.0
|
888
|
5.1
|
157.1
|
49.1
|
200
|
5.4
|
16
|
23.2
|
29.1
|
I-F30-C00
|
642.0
|
962
|
252.0
|
0.0
|
6.4
|
158.4
|
49.5
|
190
|
4.1
|
16.4
|
23.4
|
29.2
|
I-F30-C30
|
673.4
|
266.4
|
8.7
|
160.7
|
50.2
|
195
|
3.9
|
16
|
23.1
|
29.2
|
I-F30-C60
|
384.8
|
532.8
|
10.3
|
162.3
|
50.7
|
195
|
4.1
|
16.6
|
23.5
|
29.3
|
I-F30-C100
|
0.0
|
888
|
11.2
|
163.2
|
51.0
|
185
|
5.0
|
15.9
|
23.2
|
28.9
|
I-F60-C00
|
366.4
|
962
|
504.0
|
0.0
|
13.7
|
165.7
|
51.8
|
200
|
5.4
|
14.3
|
21.4
|
27.0
|
I-F60-C30
|
673.4
|
266.4
|
15.6
|
167.6
|
52.4
|
190
|
5.2
|
14.8
|
22.0
|
26.8
|
I-F60-C60
|
384.8
|
532.8
|
20.3
|
172.3
|
53.8
|
200
|
5.4
|
14.2
|
21.9
|
26.1
|
I-F60-C100
|
0.0
|
888
|
20.3
|
172.3
|
53.8
|
195
|
5.9
|
14.1
|
20.8
|
25.7
|
I-F100-C00
|
0.0
|
962
|
840.0
|
0.0
|
18
|
170
|
53.1
|
195
|
6.4
|
12.2
|
17.8
|
24.0
|
I-F100-C30
|
673.4
|
266.4
|
18.5
|
170.5
|
53.3
|
190
|
7
|
12.2
|
180
|
23.6
|
I-F100-C60
|
384.8
|
532.8
|
22.7
|
174.7
|
54.6
|
190
|
9.3
|
12.1
|
17.6
|
22.0
|
I-F100-C100
|
0.0
|
888
|
23.6
|
175.6
|
54.9
|
190
|
9.9
|
12.2
|
17.4
|
21.6
|
II-F00-C00
|
345
|
906.6
|
943.8
|
0.0
|
0.0
|
164.0
|
0.0
|
164.0
|
47.5
|
190
|
3.5
|
20.4
|
28.2
|
33.1
|
II-F00-C30
|
660.7
|
261.4
|
2.2
|
166.2
|
48.2
|
195
|
3.7
|
20.0
|
28.5
|
33.5
|
II-F00-C60
|
377.5
|
522.7
|
4.0
|
168
|
48.7
|
195
|
3.8
|
20.9
|
29.6
|
33.0
|
II-F00-C100
|
0.0
|
871.2
|
5.1
|
169.1
|
49
|
200
|
5.1
|
19.7
|
27.7
|
32.6
|
II-F30-C00
|
634.6
|
943.8
|
249.1
|
0.0
|
6.7
|
170.7
|
49.5
|
210
|
3.3
|
18.5
|
24
|
30.3
|
II-F30-C30
|
660.7
|
261.4
|
6.9
|
170.9
|
49.5
|
200
|
5.3
|
18.9
|
24.4
|
29.9
|
II-F30-C60
|
377.5
|
522.7
|
10.2
|
174.2
|
50.5
|
200
|
4.3
|
18.9
|
24.7
|
30.1
|
II-F30-C100
|
0.0
|
871.2
|
13.2
|
177.2
|
51.4
|
205
|
5.2
|
18.2
|
23.9
|
28.9
|
II-F60-C00
|
382.6
|
943.8
|
498.2
|
0.0
|
8.2
|
172.2
|
49.9
|
200
|
4.8
|
18
|
23.4
|
29.2
|
II-F60-C30
|
660.7
|
261.4
|
8.7
|
172.7
|
50.1
|
190
|
5.2
|
17
|
23.5
|
29.3
|
II-F60-C60
|
377.5
|
522.7
|
12.9
|
176.9
|
51.3
|
205
|
4.7
|
17.5
|
23.1
|
28.8
|
II-F60-C100
|
0.0
|
871.2
|
14.8
|
178.8
|
51.8
|
200
|
5.3
|
17.8
|
22.4
|
28.4
|
II-F100-C00
|
0.0
|
943.8
|
830.4
|
0.0
|
14.5
|
178.5
|
51.7
|
195
|
6.9
|
14.0
|
22.0
|
25.7
|
II-F100-C30
|
660.7
|
261.4
|
15.1
|
179.1
|
51.9
|
195
|
8.3
|
13.3
|
20.5
|
25.1
|
II-F100-C60
|
377.5
|
522.7
|
17.0
|
181.0
|
52.5
|
195
|
8.9
|
14.3
|
21.3
|
25.3
|
II-F10-C100
|
0.0
|
871.2
|
20.5
|
184.5
|
53.5
|
205
|
8.3
|
13.0
|
21.3
|
24.4
|
2.4. 실험 방법
슬럼프 실험은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기준치 200 ± 25 mm로 설정 후 실시하였다, 공기량 은 KS F 2421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 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기준으로 순환잔골재 사용에 따라 5.5±1.5%로 설정하였다. 또한 경화
콘크리트에 대해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방법에 따라 재령 3, 7, 28 일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및 고찰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레미콘 실생산의 기초 적 자료의 제시를 목적으로 레미콘 생산방식과 유사하게 목 표 슬럼프를 만족하기 위해 수량의 후
투입으로 실험을 진행 하였으에 이에 따른 각 실험결과는 Table 8과 같다.
3.1. 슬럼프 및 추가투입 수량
최근 현장에서의 요구조건 및 경시에 따른 감소 등을 감안 하여 초기값에 대한 목표 슬럼프 200±25 mm를 설정하였으 며, 목표 슬럼프를 만족시키기
위해 각 배합은 필요한 경우 수 량의 첨가가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Fig. 3과 같다.
Fig. 3
Change of added water at fixed slump
실험 결과, 목표 슬럼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순환골재의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량의 증가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 타나, 단위시멘트량 320 kg/m3의 경우, 순환굵은골재 치환율이 30, 60, 100%로 증가함에 따라 1.2, 3.8, 5.5 kg/m3의 단위수량의 증가가 필요하였으며 순환잔골재에서는 7.9, 16.2, 19.4 kg/m3 증가가 나타났다. 순환굵은골재의 치환과 순환잔골재의 치환 을 비교하면 순환잔골재의 치환시 더 많은 단위수량의 증가 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순환잔골재가 파쇄에 의 해 생산되어 기준 잔골재인 쇄사 및 세척사보다 거친 입형을 갖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순환잔골재 치환율의 증가는 슬럼 프
등의 특성에 불리하며 특히 높은 치환율에서 더욱 다는 기 존 연구 결과와 부합한다(Ryou and Song, 2011; Kim et al., 2016).
한편, 단위시멘트량 345 kg/m3에서는 순환굵은골재 및 순 환잔골재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추가된 단위수량은 0.9, 3.7, 6.1 kg/m3 및 6.4, 8.3, 14.0 kg/m3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단위시멘트량이 320 kg/m3에서 345 kg/m3으로 증가함에 따 라 순환굵은골재 치환시 요구되는 단위수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순환잔골재의 경우 요구 단위수량이 다소 감소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3.2. 공기량
슬럼프 고정 순환골재 치환율에 따른 공기량 측정 결과는 Fig. 4와 같으며, 순환잔골재 100% 치환율의 배합을 제외하 면, 순환굵은골재 및 순환잔골재의 치환율의 증가에 따라 유 사하거나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순환굵은골재의 경우 100%, 순환잔골재의 경우 60%까지 치환하여도 콘크리트 품 질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순환잔골재 100%치환시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이 크게 증가하여 6%~9%의 공기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3. 압축강도
3.3.1. 물시멘트비
본 실험은 목표 슬럼프를 만족시키기 위해 배합별 추가수 량을 투입하였으며, 이에 따른 수정된 물시멘트비와 압축강 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도시한 결과는
Fig. 5 및 6과 같다.
Fig. 5
Correlation between w/c and compressive strength(320 kg/m3)
Fig. 6
Correlation between w/c and compressive strength(345 kg/m3)
본 실험에서의 물시멘트비는 47.5~54.9%로 변화하였으며, 이에 따른 압축강도는 단위시멘트량에 따라 30.7~21.7 및 33.1~24.4 MPa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회귀분석 결과 R2값은 0.89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3.3.2 순환골재 치환율
단위시멘트량 320 kg/m3인 배합의 순환골재 치환율에 따 른 압축강도는 Fig. 7과 같으며,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기준배 합 30.7 MPa에 대해 순환골재별 치환에 따라 31.1~ 21.6 Mpa 를 보였다. 순환굵은골재의
경우 60% 치환까지는 유사한 수 준을 나타내었으나, 100% 치환의 경우에는 평균 5.2%의 강도 저하가 발생하였다. 반면, 순환잔골재를 치환하는
경우에는 치환율이 30, 60, 100%로 증가함에 따라 평균 4.3, 13.4, 25.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7
Result of compressive strength(320kg/m3)
단위시멘트량 345 kg/m3의 재령별 압축강도는 Fig. 8과 같 으며,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기준배합 33.1 MPa에 대해 순환골 재별 치환에 따라 33.5~24.4 Mpa를 보였으며, 320 kg/m3과 마찬 가지로 순환굵은골재 치환에서는 유사하거나 약간 낮은 압축 강도를 보인 반면, 순환잔골재를 치환하는 경우에는 평균 9.9, 12.4, 24.0%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순환굵은골재의 치환 보다 순환잔골재의 치환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불리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순환굵은골재의
경우 기존 콘크리트의 굵은골재로 표면에 일부 기존 모르타르가 부착된 형태로 전제적인 품질이 일반 굵은골재와 유사한 반면, 순환잔 골재는 기존 콘크리트
중 모르타르의 파쇄입자로 잔골재 및 페 이스트가 혼재된 형태이며, 기존 잔골재에 비해 낮은 밀도, 높 은 흡수율의 품질 특성을 갖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8
Result of compressive strength(345 kg/m3)
3.4. 상관관계 분석
본 실험은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레미콘 실생산을 위한 기초 적 연구로서, 단위시멘트량을 고정한 기준 배합에 대해 순환 골재별 치환율 및 목표 슬럼프를
위한 단위수량 조정을 인자 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절에서는 Table 8의 데이터에 대하여 각 측정 항목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s 9 및 10과 같다.
Table 9
Results of multitrait-multimethod correlation(320kg/m3)
|
S28
|
Fine
|
Coarse
|
W/C
|
Air
|
Slump
|
|
S28
|
1
|
|
|
|
|
|
|
|
|
|
-.933**
|
Pearson Correlation
|
|
|
|
|
|
0.000
|
Sig. (2-tailed)
|
|
|
Fine
|
0.964** |
1
|
|
**: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
.000 |
|
|
|
|
|
|
Coarse
|
0.177
|
0.000
|
|
1
|
|
|
|
0.511
|
1.000
|
|
|
|
|
|
W/C
|
0.933** |
0.926** |
|
0.269
|
1
|
|
|
0.000 |
0.000 |
|
0.313
|
|
|
|
Air
|
0.929** |
0.822** |
|
0.363
|
0.803** |
1
|
|
0.000 |
0.000 |
|
0.167
|
0.000 |
|
|
Slump
|
0.034
|
0.004
|
|
0.208
|
0.103
|
0.103
|
1
|
0.9
|
0.989
|
|
0.439
|
0.704
|
0.703
|
|
각 단위시멘트량에서의 재령 28일 압축강도에 대한 각 인 자의 상관관계는 잔골재가 상관계수 R 0.96 및 0.97로 유의수 준 0.00을 보여 순환잔골재가
압축강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시멘트비 및 공기량 역시 상 관계수 R 0.94~0.89로 나타나 압축강도와 높은 상관관계에
있음을 나타냈다.
반면, 순환굵은골재는 압축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나, 일반 굵은골재와 유사한 품질의 높은 밀도 및 낮 은 흡수율을 갖는 순환굵은골재의
경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부합하였다 (Malešev et al., 2010; Lee, 2015).
3.5. 회귀분석
3.4절을 통해 재령 28일강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평 가된 순환잔골재 치환율, 물시멘트비 및 공기량에 대하여 재 령 28일 압축강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순환잔골재 치환율, 물 시멘트비 및 공기량을 독립변수로 한 다원회귀분석 결과는 Tables 11 및 12와 같다. Table 10
Table 10
Results of multitrait-multimethod correlation(320kg/m3)
|
S28
|
Fine
|
Coarse
|
W/C
|
Air
|
Slump
|
|
S28
|
1
|
|
|
|
|
|
|
|
|
|
-.933**
|
Pearson Correlation
|
|
|
|
|
|
0.000
|
Sig. (2-tailed)
|
|
|
Fine
|
-.971** |
1
|
|
**: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
.000 |
|
|
|
|
|
|
Coarse
|
-.129
|
0.000
|
|
1
|
|
|
|
.633
|
1.000
|
|
|
|
|
|
W/C
|
-.937** |
.879** |
|
.427
|
1
|
|
|
0.000 |
0.000 |
|
0.313
|
|
|
|
Air
|
-.888** |
.857** |
|
.250
|
.818** |
1
|
|
.000 |
.000 |
|
.351
|
.000 |
|
|
Slump
|
-.157
|
.031
|
|
.326
|
.311
|
-.085
|
1
|
.562
|
.909
|
|
.219
|
.242
|
.753
|
|
Table 11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28 day’s compressive strength(320 kg/m3)
Mode
|
Unstandardized Coefficients
|
R
|
R2 |
Standardized Error of the Estimate
|
|
B
|
Std.Error
|
|
(Constant)
|
47.679
|
4.116
|
0.996
|
0.991
|
0.3162
|
Fine
|
-0.033
|
0.006
|
W/C
|
-0.302
|
0.086
|
Air
|
-0.636
|
0.078
|
Table 12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28 day’s compressive strength(320 kg/m3)
Mode
|
Unstandardized Coefficients
|
R
|
R2 |
Standardized Error of the Estimate
|
|
B
|
Std.Error
|
|
(Constant)
|
62.234
|
7.944
|
0.989
|
0.978
|
0.48677
|
Fine
|
-0.044
|
0.008
|
W/C
|
-0.59
|
0.166
|
Air
|
-0.217
|
0.143
|
회귀분석 결과, 각 단위시멘트량에서의 순환잔골재 치환 율, 물시멘트비 및 공기량을 변수로 하는 재령 28일 압축강도 에 대한 높은 상관계수의 회귀식을
도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레미콘 생산시 사용되는 인자로는 콘크리트 품질항 목인 공기량을 제외한 순환잔골재 치환율 및 물시멘트비이 며, 앞서 구분된 단위시멘트량 역시
인자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레미콘 생산 조건인 단위시멘트량, 순환잔골재 치 환율 및 물시멘트비에 대한 재령 28일 압축강도의 다원회귀 분석을 통해 슬럼프 고정 순환골재콘크리트의
추정식을 다음 식 (1)와 같이 제안하였다. 제안된 식의 상관계수 R2은 0.96이 며, 추정값의 표준오차는 0.6649로 나타났다.
여기서, S28는 재령 28일 압축강도(MPa), C는 단위시멘트 량(kg/m3), F는 순환잔골재 치환율(%), WC는 물시멘트비 (%)이다.
4. 결 론
본 연구는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레미콘 실생산을 위한 기초 적 연구로서, 순환골재 사용량에 따른 슬럼프 고정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 변화 및 물리적
특성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회귀분석하여 순환골재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추정을 위한 단위시멘트량, 순환골재의 사용량, 물시멘트비 등 레미 콘 생산 조건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1)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목표 슬럼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위수량 증가가 요구되며, 순환굵은골재보다 순환잔골재의 치환에 더 많은 단위수량의 증가가
필요하 였다. 이는 순환잔골재가 갖는 거친 입형에 기인하는 것으 로 판단된다.
-
2)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순환골재의 치 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굵은골 재 100%, 잔골재 60%까지의 치환에
따른 공기량 증가는 레미콘 품질기준을 벗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순환골재를 다량 치환한 레미콘 생산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3)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순환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순환잔골재를 100% 치환한 경우 압축강도는
25%정도 저 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순환잔골재의 품질이 일반 잔골재에 비해 낮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4)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배합인자에 따른 압축강 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순환잔골재>물시멘트비> 공기량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및 분석을 통해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레미콘 생산을 위한 기초 데이터와 압축강도 추정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보다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 해 품질 안정성이 확보된 순환골재콘크리트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최근 요구되고 있는 골재 수급 문 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서 순환골재콘크리트 활성화를 위 한 이론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건설기술연구사업의 연구비지원 (17SCIP-C128126-02-000000)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2017),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Recycled Aggregate for Concrete by
Crush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Institute, [in
Korean]., 5(2), 121-129.
(2006), The Influence of the Quality and the Replacement Level of Recycled Aggregat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in Korean]., 22(6), 71-78.
(2016), Study of Recycled Concrete Aggregate Qua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Recycled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Using Database Analysis., Mater. Constr., 66(323), e089
(2009), Mechanical Properties of Ready-mixed Concrete with Recycled Coarse Aggregat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in Korean].,
25(8), 103-110.
(2016), Characteristic of Cementitious Mortar Using High Volume of Recycled Fine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in Korean].,
4(3), 235-242.
Korea Concrete Institute (2016), Standard Specifications for Structural Concret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14), Study on Activation
of Recycled Aggregat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8-29.
(2015), Material Strength Evaluation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by Replacement
Ratio, Proceeding of the Korea s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463-464.
(2015), Effect of the Amount of Attached Mortar of Recycled Aggregates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in
Korean]., 3(2), 132-139.
(2010), Recycled Concrete as Aggregate for Structural Concrete Production., Sustainability,
2(5), 1204-1225.
(2011), An Experimental Study on Field Application of Self-compacting Concrete Using
Recycled Fine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15(4), 193-203.
(2016), Effect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on Compressive Strength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8(1),
105-113.
(2016), Mechanical Properties and Predictions of Strength of Concrete Containing
Recycled Coarse Aggregat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20(2), 4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