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필
(Seong-Pil Kim)
1
김두환
(Doo-Hwan Kim)
2*
송관권
(Kwan-Kwon Song)
3
이기선
(Ki-Sun Lee)
4
김정훈
(Jeong-Hoon Kim)
5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연약지반, 직사각형 피라미드 기초, 지내력, 압밀침하
Key words
Soft ground, Rectangular pyramid foundation, Bearing capacity, Consolidation settlement
1. 서 론
건물의 기초는 하중을 받게 되면 지반의 침하나 측방유동, 전단변형이 발생하게 된다(Korean Geotechnical Society, 2009). 이러한 구조물의 변형의 원인은 주로 지반의 불균질성과 지 층구조 차이의 파악이 부족함에 따라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 분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은 기반암의 생성원인과 풍화의 영향, 지 하수의 존재 유․무, 환경적 요소 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다. 그래서 동일한 지역이라
할지라도 위치에 따라 지반의 층 두께, 강도, 압축특성 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 다. 따라서 지반의 지지력 및 침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지반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물이 설치될 영역의 지반 공학적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여야 한다.
기존 팽이기초공법(Revision of Japan Maigoma Industrial Association, 1988)은 주로 횡방향 유동의 방지에 따른 침하의 억제와 지지력의 증대로 내하력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공법으로 시공된 몇몇의 구조물에서
상당한 양의 침하량 감소 및 지지력 증대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EST construction co., ltd, 2006).
사각 피라미드 기초는 팽이기초공법과 모양 및 형태는 다 르나 메커니즘이 비슷하고 아직까지 국내에 소개된 바가 없 고, 팽이기초의 경우에는 완제품을
제작하여 운반하며, 그 형 상의 특성 상 시공 시 파손 및 정밀 시공의 어려움이 있으나 피 라미드기초의 경우에는 PE로 폼을 제작하여 현장에서 타설
을 실시하여 파손의 위험이 없고 시공 가능성 등의 측면을 고 려하여 공법개량을 통해 지반의 침하량 감소 및 지지력 증대 를 추구한 기초공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각 피라미드 기초의 구조 및 시공 방법, 수치해석 결과를 통한 사각 피라미드 기초의 역학적 거 동 및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일반적으로 설계에 적용되는 기 존의 침하량 산정에 대해 연구를 통해, 정확한 평가 자료를 제 출함으로써 구조물 설계 시 기초 지지력 및 침하에 대한
안전 성 증대의 효과를 기대하고자 하였다.
2. 사각 피라미드 기초의 기본 이론
2.1. 공법의 개요
사각 피라미드 기초는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지반의 측방 변형 억제와 지반의 지지력 증대는 물론이고 구조물의 전체 침하와 부등 침하를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시공 장소의 협소와 대형장비의 시설에 구애받지 않고 시공 이 가능하며, 건설 공해가 없고 흡진 및 방진 효과가 있다. 토
목 또는 건축구조물의 기초에 본 사각 피라미드 기초공법의 적용이 가능하나, 그 중 구조물의 하중이 크지 않은 중소 규모 의 구조물에 적용이 보다 적합하다.
현재까지는 연약 지반상에 구조물 축조할 때 지반의 지지 력이 부족한 경우 상재 하중의 크기에 관계없이 말뚝기초를 사용하는 등 과잉설계의 소지가 있다(Kim, 2009). 그러나 상 재하중이 그다지 크지 않은 구조물의 기초로 본 공법을 적용 하게 되면 경제적이며 시공성이 우수하고 간편하다.
본 공법 구조물의 기초는 연약지반의 표면처리용 강성매트 기초공법이며 형상은 Fig. 1과 같다. 적용 가능한 범위는 성토 및 노반의 기초, 수리 구조물의 기초, 암거, 맨홀의 기초, 교량 (교대 및 교각)기초, 철탑의 기초, 옹벽(안벽)의
기초, 건물(주 택)의 기초, 가설 구조물의 기초에 적용될 수 있다.
Fig. 1
Square pyramid foundation installation drawing
2.2. 피라미드기초의 허용지지력 검토
피라미드 기초 적용시 기초지반의 허용지지력은 Terzaghi 식(Terzaghi and Peck, 1967)을 변형한 식 (1)로 구할 수 있다.
식 (1)에서, α, β는 기초의 형상계수로 Table 1(C.g Engineering & Consulting Co., Ltd, 2009)과 같고, P0는 상재하중, γ1, γ2는 흙의 단위체적 중량, C는
점착력, BK, LK는 편심하 중을 고려한 피라미드기초의 유효재하 단변, 장변(m), B, L은 상부기초의 유효재하 단변, 장변(m)이다. 지반토질의
지지력 계수인 Nc, Nr, Nq는 Table 2(C.g Engineering&Consulting Co., Ltd, 2009) 와 같이 산정 할 수 있다.
Table 1
Shape factor of pyramid foundation
Shape Factor of Foundation
|
Continuous
|
Square
|
Rectangle
|
Circle
|
|
α
|
1
|
1.3
|
1.0+0.3Bk/Lk
|
1.3
|
β
|
1
|
0.6
|
1.0-0.4Bk/Lk
|
0.3
|
Table 2
Bearing capacity factor of pyramid foundation
∅(。)
|
N'c
|
N'q
|
N'r
|
|
0
|
5.0
|
1.0
|
0.10
|
5
|
6.3
|
1.6
|
0.17
|
10
|
8.0
|
2.5
|
0.53
|
15
|
11.5
|
4.0
|
1.40
|
20
|
15.0
|
6.3
|
3.00
|
25
|
20.0
|
11.0
|
6.50
|
30
|
30.0
|
18.0
|
15.00
|
35
|
46.0
|
32.0
|
35.00
|
40
|
73.0
|
63.0
|
86.00
|
45
|
130.0
|
130.0
|
220.00
|
식 (1)에서 k1, k2는 피라미드기초 적용시의 응력분산효과 를 나타내는 계수로 다음 식 (2, 3)에서 구한다.
단, 기초 폭이 2.5 m(연속), 4.0 m(장방향)보다 작은 경우는 과다 설계 우려가 있으므로 K₁(연속)은 1.20, K₁(장방향)은 1.50
적용한다(C.g Engineering&Consulting Co., Ltd, 2009). 또한, K₂의 경우에는 기초의 접지압 분포를 고려할 필요가
없 는 경우에 허용지지력 증가계수로 팽이기초공법의 계수를 변 형한 Table 3(C.g Engineering&Consulting Co., Ltd, 2009)과 같이 적용한다.
Table 3
Allowable bearing capacity increase factor
Ground Conditions
|
Cohesive Soil
|
Sandy Soil
|
Diameter of Pyramid Foundation(mm)
|
|
500x500
|
|
Strip Foundation
|
1.0
|
1.0
|
Rectangle Foundation
|
If the area is larger than 6.25m2 |
1.0
|
1.0
|
3. 사각 피라미드 기초의 기본 이론
3.1. 수치해석 개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전산 프로그램 VisualFEA/GEO Ver5.02 (SYTec Enc. Co., Ltd, 2003)을 이용하여 지반 조건에
따른 압 밀 침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메쉬를 구성하였다.
지층은 상부로부터 매립층(퇴적토층), 실트질 점토, 실트질 모래, 풍화토, 풍화암층이고 지하수위는 GL-2.90 m에 위치하 며 연약지반에 상부 GL-0.70
m 구간에서 사각 피라미드 기초 1.0 m×1.0 m(4×4열)을 설치하고 몸체부 사이에 쇄석을 설치 하여 인터페이스 요소 조건을 고려 하였다.
수치모델의 경계는 직육면체(20 m×20 m×28 m)경계를 사 용하였으며 해석 모델의 경계는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충분 한 범위에 대하여 Fig.
2와 같이 모델링 하였다.
Fig. 2
Analysis modeling(geometry)
적용 하중은(150 kN/m2) 현장 조건을 바탕으로 최대한 동 일한 수치해석을 실시하고, 해석 단계는 구조물의 시공단계 에 따라 초기 원지반 상태를 반영하였으며, 사각 피라미드
기 초 시공 및 하중재하와 압밀 해석 순으로 수행하였다.
해석 과정에 사용된 평면도 및 단면도는 Fig. 3에 나타내었다.
Fig. 3
Analysis floor plan and analysis cross section
3.2. 해석에 적용된 지반 물성
본 연구에서는 지반을 Mohr-Coulomb의 구성 법칙을 만족 시키는 재료로 가정하였으며, 탄성계수 및 점착력, 내부 마찰 각을 달리하여 점성토
및 사질토 등 기초가 적용되는 지반을 모사 및 해석하였다.
여러 기준에 따라서 최대 및 최소 범위의 대표적인 연약 점 성토와 사질토의 물성 값을 Table 4(Kim, 2009)와 같이 산정 하였다.
Table 4
Calculation of soil properties
Division
|
Unit weight (kN/m3)
|
Modulus of elasticity (kPa)
|
Poisson's ratio
|
Cohesion (kPa)
|
Angle of internal friction(°)
|
Hydraulic Conductivity(m/day)
|
|
Pyramid foundation
|
23
|
2.01x107 |
0.167
|
-
|
-
|
-
|
Spread foundation
|
23
|
2.01x107 |
0.167
|
-
|
-
|
-
|
Filled crushed stone
|
19
|
5.0x104 |
0.35
|
0
|
42
|
0.2
|
Fill deposit
|
19
|
1.5x104 |
0.3
|
10
|
28
|
0.1
|
Silty clay
|
16
|
8.45x103 |
0.3
|
40
|
0
|
0.0008
|
Silty sand
|
16
|
5.1x103 |
0.3
|
5
|
28
|
0.004
|
Weathered Soil
|
20
|
7.0x104 |
0.33
|
20
|
33
|
0.01
|
Weathered rock
|
22
|
3.8x105 |
0.25
|
30
|
35
|
0.02
|
3.3. 수치해석 결과
Figs. 4(a), (b)는 구조물의 자중으로만 침하된 탄성침하량 과 하중을 적용하여 발생한 압밀침하량을 해석한 것이며 총 침하량은 4.53 cm가 발생 되었고,
Fig. 4(c)는 하중에 의한 과 잉간극수압을 보인 것이다.
Fig. 4
Analysis result of square pyramid foundation
Fig. 4(c)는 지반의 응력 증분을 보인 것이며, 하중 분산 작 용에 의하여 기초 하부의 응력 증분은 60 kPa로 하중 150 kPa 의 40%인 것으로
해석 되었다.
이는 기초완료 후 채움 쇄석의 하중 분산 효과로 체적 변화 가 없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압밀 침하는 억제할 수 있는 것으 로 기대할 수 있다.
4. 기초 형식에 따른 침하 비교 분석
4.1. 하중에 의한 침하량 분석
본 연구에서는 Figs. 5(a), (b), (c)를 Fig. 2와 같이 직육면체 (20 m×20 m×28 m)로 모델링하여 각각의 기초 형식에 의한 탄 성 침하량을 Figs. 6, 7과 같이 비교하였다.
Fig. 5
Analysis modeling of foundation
Fig. 6
result of Elastic Settlement
Fig. 7
Comparison graph of Elastic Settlement
Fig. 6(a) 기초의 탄성 침하량은 3.62 cm, Fig. 6(b)기초의 탄 성 침하량은 3.41 cm, Fig. 6(c) 기초의 탄성 침하량은 3.01 cm 로 침하량이 발생 하였다.
Fig. 6(a)를 기준(100%)할 때 탄성 침하량의 발생이 Fig. 6(b)는 92%이고, Fig. 6(c)는 83%로 해석 되었다. Fig. 7은 탄 성침하량을 비교한 결과그래프이다.
압밀 침하량은 Fig. 8(a)의 경우 2.69 cm, Fig. 8(b)의 경우 2.15 cm, Fig. 8(c)의 경우는 1.54 cm로 발생되었다.
Fig. 8
result of consolidation settlement
Fig. 8(a)를 기준(100%)할 때 침하량의 발생이 Fig. 8(b)는 80%, Fig. 8(c)는 57%로 해석 되었다.
Fig. 9는 탄성침하량을 비교한 결과그래프이다.
Fig. 9
Comparison graph of consolidation settlement
Fig. 10은 탄성 및 압밀 침하량을 합친 그래프로 피라미드 기초를 설치하였을 때, 탄성침하량은 3.01 cm 발생하였고, 압 밀 침하는 1.54 cm 발생
하였으며, 침하 시간에 따른 탄성침하 와 압밀의 총 침하량은 4.53 cm 정도 발생 하였다.
Fig. 10
Total settlement versus time curve for consolidation
따라서 사각 피라미드 기초를 설치할 경우 압밀 침하에 대 한 억제효과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11과 같이 직접기초보다 쇄석기초를 설치할 경우, 88% 가 검토되었으며 사각피라미드 기초를 설치할 경우에는 72%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1
Total settlement versus time curve for consolidation
4.2. 수치 해석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Figs. 5(a), (b), (c)와 같이 기초 형태에 따라 적용된 해석 모델링으로 연약지반에 영향폭(4 m×4 m)의 영 향을 고려한 총 침하량을 산정하고
각기 다른 형태의 기초조 건에 따라 압밀 침하량을 3차원 유한 요소 해석을 통하여 비 교 분석 하였다.
하중에 따른 침하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Fig. 11과 같이 사각 피라미드 기초의 발생 침하량은 직접기초의 28% 정도의 침하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쇄석기초의 발생 침하량은 직접기초의 12% 정도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쇄석기초 발생량과 사각피라미드 기초의 발생 침하량의 비교 결과 쇄석기초보다
18% 정도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토 되었다.
수치해석 결과에 의하면, 사각 피라미드 기초가 압밀 침하 량에 대하여 응력 분산의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재하폭에 따른 하중 분산 효과가 커져 탄성 침하량의 차이가 직접기초의 83%정도로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압밀 침하는 시간이 갈수록 점차
Fig. 10과 같이 72% 정도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지중응력을 살펴보면, Fig. 4(c)와 같이 발생 응력이 기 초 중앙부 에 집중되어 분포되었다.
이와 같은 응력 분포는, 지반의 집중응력이 집중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지반의 파괴를 억제 하고, 침하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 기초 공법 적용되는 피라미드 기 초에 대한 최적의 현장 적용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초의 침하 거동 특성을 연구하고 수치해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 을 내렸다.
-
1) 수치해석 결과를 통해 탄성침하와 압밀침하의 경우 직접 기초, 쇄석기초, 사각 피라미드 기초 순으로 감소되는 효 과가 나타났다.
이는 개량된 기초의 특성상 접지면적의 효과로 상재 하중 에 대한 저항 능력을 증대시키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
2) 기초면의 접지압이 수평 및 수직 응력으로 나누어지면서 수평응력이 서로 상쇄되는 효과와 채움 쇄석과 몸체부가 조합을 이루어 기초 아래 지반 주변의 측방변형을
구속하 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3) 구조물의 기초에 강성지반을 형성하고 하중을 넓게 분포 시켜서 연약 지반상에 전달되는 응력을 감소시킴으로서 침하량을 줄일 수 있고 상재 하중에 대한
저항 능력을 증대 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 되었다.
-
4) 기대효과로서 지지력증대, 침하억제 및 부등침하를 방지 하고 시공성이 간편하고 진동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 피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경제성 은
기존 파일 공사대비 40~60% 공사비 절감을 기대 할 수 있다.
-
5) 따라서 본 해석결과 구속조건이 가능한 개량된 형상에 따 라 기초는 직접기초보다 장기 침하에 대해서 큰 억제 효과 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해 수행되 었습니다.
(2009), Top-Base Foundation Method, C.g Engineering&Consulting Co., Ltd Tec hnical
research institute.
(2006), Top-Base Foundation of Principle and Construction.
(2009), Load-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Concrete Top-Base Foundation on Soft Ground.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009), Structural Design Referenc
Revision of Japan Maigoma Industrial Association (1988), Design Data of Top Base
Foundation Method.
SYTec Enc. Co., Ltd. (2003), VisualFEA/GEO Ver5.02.
(1967), Soil mechanics in Engineering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