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겸
(Hun-Kyom Kim)
1*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비파괴강도 시험, 콘크리트 압축강도, 반발경도, 초음파속도
Key words
Non-destructive test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Rebound, Ultrasonic pulse velocity
1. 서 론
교량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콘크리트 품질과 특성을 판단 하는 중요한 성질이며, 공용 중 교량의 내력 및 장기 내구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교량의 정밀안전진단시
내구성 시험의 한 종류로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 안되고 왔으며, 그중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콘크리트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비파괴
시험법을 통한 콘크리트 압축 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그 중 대표적인 비파괴 강도평가 방법은 반발경도법, 초음 파속도법, 조합법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파괴 강도 추정식들은
대부분 제한된 실험 변수를 토대로 제안되어 배합조건 및 강도특성, 환경조건 등 이 다양한 실 교량의 압축강도 추정시 많은 오차를 포함하게 된다(Kim, 2007; Lim, 2007). 또한 제안된 추정식들 간에 오차 도 커서 실무자들이 실구조물의 압축강도 추정식을 선택할 때 혼란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RILEM(1994)에서는 콘크 리트 부재에 대한 압축강도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수 의 기존 강도 추정식에 의한 강도와 실제코어강도를 비교하 여 오차가 가장
적은 추정식을 산정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이 때 선정된 추정식에 보정계수를 산출한 후, 보정계수를 추정 식에 곱하여 대상 현장의 압축강도를 평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국내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KISTEC, 2011) 에서도 위의 RILEM에서와 같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다수의 강도 추정식들 중 정밀도가 가 장 높은 추정식을 선정해야 하기 때문에 계산이 매우 번거로 우며, 특히 고강도콘크리트 현장에서
테스트해머에 의한 강 도 평가가 저 평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최근의 고강도 콘크리트로 건설되는 현장이 증가하는 추세로 볼 때 그 신뢰 성이
떨어진다(Kwon et al., 2006; Kim et al., 2016).
또한 국내 공용 중 교량의 실제 현장상태를 고려한 비파괴 강도 추정식 개발은 아직까지도 미흡한 실정이며, 현장 상태 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용
교량들에서 획득된 시험데 이터의 축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12년 동안 실 시한 297개 교량의 정밀안전진단 결과 중 압축강도 비파괴시 험 및 546개의 현장 코어압축강도
시험결과를 Data Base화 하 고, 그 결과를 토대로 사용빈도수가 높은 비파괴 압축강도 추 정식의 평가결과를 현장코어강도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분 석하였으며, 교량의 정밀안전진단시 보통강도와 고강도에서 모두 간편하고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높은 신뢰도를 가진, 코어강도를 고려한 개선된 압축강도
추정식을 제시하였다.
2. 대상 교량 현황
본 논문에서는 비파괴강도 추정식에 대한 비교 및 검토를 위하여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총 297개 교량에서 획득한 546개의 코어압축강도
시험결과와, 비파괴시험결과를 분석하였다. 비파괴시험이 수행된 콘크리 트 부재는 바닥판, 거더, 교각, 교대 등으로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11~56
MPa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Fig. 1은 분석에 이용된 대상교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원효 대교, 부산대교, 팔당대교, 진도대교, 고수대교, 남한강교 등 전국 각지의 교량 시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Fig. 1
Completion year of structure
대상교량 중 공용년수가 20~35년 된 교량이 전체교량의 70% 이상으로 가장 많았으며, 1960년대 이전에 준공된 교량 도 20개소가 포함되어 있었다.
3. 일반적인 비파괴 압축강도 평가절차
3.1 비파괴 압축강도 추정 방법
비파괴시험에 의한 대표적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평가방 법은 반발경도법, 초음파속도법, 조합법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반발경도법은 경화 콘크리트면을
장비로 타격하여 콘 크리트면의 반발경도를 측정하고, 반발경도와 콘크리트 압축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하는 비파괴 시험이다(Fig.
2).
초음파속도법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정보를 얻 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에 접착시킨 발신자에서 발진한 초 음파 에너지가 콘크리트 중을 이동하여
수신자에 도달한 시 간을 구하여 전파거리를 나누어 전파속도를 구한 후 초음파 전파속도로 콘크리트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압축강 도를 추정할 수
있다 (Fig. 3).
Fig. 3
Ultrasonic pulse velocity test
조합법은 경화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들을 2가지 이상 선정하여 측정값과 압축강도의 상관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표면을 스프링 힘으 로 타격한 후 반발되는 반발도와 경화 콘크리트면을 따라 전 달되는 속도의 두 인자를 콘크리트 압축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콘크리트
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3.2. 코어강도 보정을 통한 비파괴강도 추정
국내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에서는 Fig. 4 와 같이 현장에서 직접 채취한 코어강도를 이용하여 식 (1)과 같은 현장 코어강도를 이용한 보정계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KISTEC, 2011; RILEM, 1994).
여기서, Ct 는 보정계수, Rpr 은 코어 압축강도(MPa), Rst 은 비파괴강도(MPa)이다.
3.3. 각 추정식에 의한 강도비교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은 수집된 정밀안전 진단보고서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교량에 있어 서 동일한 방법으로 압축강도를 추정했기
때문에 본 연구에 서는 가장 많이 사용된 식과 검사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자료 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정밀안전진단보고서에서 비파괴시험법에 의한 압 축강도를 구하는 식이 사용되었는데, 대부분의 교량에서 사 용된 추정식으로 일본재료학회(보통콘크리트)
추정식, 일본 건축학회 CNDT 소위원회 강도계산식, 일본건축학회CNDT 소위원회 공동제안식, 릴렘식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Table 1과 같이 식 (2)~(5)의 상기 4가지 식 (KISTEC, 2011; RILEM, 1980)을 토대로 추정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코어압축강도와 비교․분석하였다.
Table 1
Nondestructive strength equations
Method
|
Researcher
|
Equation[MPa]
|
|
Rebound method
|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Japan
|
|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
|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
|
Combined Method
|
RILEM
|
|
여기서, Fc 은 압축강도(MPa), Ro은 보정반발경도, Vp은 초음파전달속도(km/sec)이다.
한편, 보정반발경도 R0는 다음과 같이 측정경도 R에 보정 값 ΔR1, ΔR2, ΔR3을 더한 값으로 한다.(6)
여기서, ΔR1은 타격방향에 따른 보정값, ΔR2은 압축 부재 의 사하중 응력에 따른 보정값, ΔR3는 콘크리트의 습윤상태 에 따른 보정값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탄산화는 압축강도에 영향을 주며(Kim et al., 2010; Oh et al., 2016), 탄산화를 고려하기 위 하여 반발경도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슈미트 햄머사에서 제시 하고 있는 재령보정계수를 곱하여 압축강도를 산정하고 있다.
수년이 경과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표면경도가 높기 때문에 식 (7)과 같이 압축강도로 수정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한다.
여기서, α는 재령보정계수이며, Table 2는 콘크리트 재령 에 따른 보정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Table 2
Age of concrete(day)
|
10
|
20
|
28
|
50
|
100
|
150
|
200
|
300
|
500
|
1000
|
3000
|
|
α
|
1.55
|
1.12
|
1.00
|
0.87
|
0.78
|
0.74
|
0.72
|
0.70
|
0.67
|
0.65
|
0.63
|
4. 현장 코어시험의 압축강도 분포
본 논문에서는 비파괴 압축강도 추정식의 비교분석에 앞 서, 546개의 현장 코어압축강도 시험결과의 분산정도와 신뢰 성 확인을 위하여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별(Fck) 코어압축강 도(Fco ) 분포를 분석하였다.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는 18, 21, 24, 27, 35, 40 Mpa을 기 준으로 분석하였으며, Table 3은 분석에 사용된 각 설계기준 강도별 코어압축강도 시험체의 개소수, 압축강도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내고 있으며, Fig. 5~10은 설계기준강도별 코 아강도 시험체의 빈도수 및 정규분포곡선(F(x))을 나타내고 있다.Figs. 6, 7, 8, 9
Table 3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core strength
Fck(Mpa)
|
Test point
|
Mean(MPa)
|
SD(MPa)
|
|
18
|
47
|
24.36
|
5.41
|
21
|
161
|
27.02
|
6.88
|
24
|
152
|
29.53
|
5.83
|
27
|
121
|
32.64
|
6.10
|
35
|
22
|
37.38
|
7.24
|
40
|
43
|
40.50
|
4.47
|
Fig. 5
concrete core test(Fck =18 MPa)
Fig. 6
concrete core test(Fck =21 MPa)
Fig. 7
concrete core test(Fck =24 MPa)
Fig. 8
concrete core test(Fck =27 MPa)
Fig. 9
concrete core test(Fck =35 MPa)
Fig. 10
concrete core test(Fck =40 MPa)
분석에 사용된 코어강도결과의 개소수는 설계기준강도가 21~27 MPa의 경우가 전체 코어강도 개소수의 79%를 차지하 였으며, 설계기준강도가 35
Mpa 이상인 경우는 65개소로 전 체코어강도 개소수의 12%를 차지하였다.
설계기준강도가 클수록 코어압축강도 평균값과 설계기준 강도와의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설계기준강도가 40 MPa인 경우 평균값은 40.50
MPa, 표준편차는 4.47로 편차 가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설계기준강도가 35 MPa인 경우는 코어강도 개소수가 22개소로 다른 대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분석 대상수가 적어 편차가 7.24 MPa로 다소 크게 나타난 것 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설계기준강도별 코어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4.47~7.24 MPa의 범위로 설계기준강도에 따른 표준편차의 변화는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비파 괴 압축강도 추정식 비교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대상 코어강 도 결과는 보통강도 콘크리트는 물론 고강도 콘크리트 추정
강도 분석에 활용시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비파괴 압축강도 추정식의 비교분석
식 (2)~(5)에 의해 추정된 강도와 실제파괴강도(코어압축 강도)와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집된 정밀안전진단 보고서를 활용하여 Figs.
11~14의 그래프와 같이 각 추정식별 로 코어압축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여기서, X축은 코어압축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Y축은 코어압축강도에 대
한 각 식으로 구한 추정강도의 비로써 그 값이 1이면 코어압 축강도와 추정강도가 동일함을 나타내고 있다. Fig. 11~14에 서 추정강도는 반발경도법인 식 (2), (3)의 경우 구해진 값을 식 (7)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재령계수(Table 2)로 보정한 값이 며, 초음파속도법인 식 (4)와 조합법인 식 (5)의 경우 제시된 식의 계산 값을 적용하였다. 코어압축강도는 현장에서 교량 구조물의
코어를 채취한 후 콘크리트의 각종 물리적·역학적 시험을 실시하여 코어의 직경, 길이, 매입철근, 채취방향에 대 하여 보정한 값을 의미한다.1213
Fig. 11
Relationship between core strength and predicted strength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Japan)
Fig. 12
Relationship between core strength and predicted strength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rebound method)
Fig. 13
Relationship between core strength and predicted strength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Fig. 14
Relationship between core strength and predicted strength (RILEM)
콘크리트 압축강도 분석결과 4가지 식 모두 실제파괴강도 (코어압축강도)가 저강도에서 고강도로 갈수록 코어압축강 도에 대한 추정강도의 비는 약1.5에서
0.5로 이동하였다. 일본 재료학회식과 일본건축학회 CNDT 소위원회 강도계산식에 의한 추정강도는 실제파괴강도가 30 MPa 부근일 때 가장 잘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일본건축학회 CNDT 소위원 회 공동제안식으로 구한 추정강도는 코어압축강도가 25 MPa 인 부근에서 가장 잘 일치하였다. 또한
4가지 식 모두 코어압 축강도가 30 MPa이상일 때 추정강도는 과소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0 MPa부근에서는 약 50%이상 과소평가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그 이유는 기존식이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강도추정식이기 때문에 고강도 콘크리트에는 오차율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파괴강도가 25~30 MPa 인
경우에 일본건축학회 CNDT 소위원회 강도계산식에 의한 추정강도가 다른 식에 의한 강 도보다 실제파괴강도와의 오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 다.
릴렘식에 의한 추정강도의 경우는 다소 분산형 형태의 그 래프 양상을 보였다.
추정강도와 코어강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상 관분석(simple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Table 4와 같은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여기서 Fco는 코어압축강도를 나 타내고 있으며, Fc는 각 식에 대한 추정강도식을 의미한다. 일 본건축학회 CNDT 소위원회 강도계산식에 의한 추정강도 분 석개소는 Table 4와 같이 단순상관분석결과 결정계수는 0.63 으로 나타나 다른 추정식에 비하여 가장 큰 신뢰도를 보였다.
Table 4
Relationship between core strength and predicted strength
Method
|
Researcher
|
Equation[MPa]
|
R
2
|
|
Rebound method
|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Japan
|
F
c
/
F
c
o
=
−
0.021
F
c
o
+
1.5925
|
0.52
|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
F
c
/
F
c
o
=
−
0.025
F
c
o
+
1.7566
|
0.63
|
|
Ultrasonic velocity method
|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
F
c
/
F
c
o
=
−
0.021
F
c
o
+
1.48
|
0.41
|
Combined Method
|
RILEM
|
F
c
/
F
c
o
=
−
0.016
F
c
o
+
1.4749
|
0.15
|
6. 비파괴 압축강도 추정식 제안
앞의 각 추정식에 대한 상관분석결과를 비교한 결과 실제 파괴강도와의 오차가 가장 적고 상관분석의 신뢰도가 가장 높게 평가된 식은 일본건축학회 CNDT
소위원회 강도계산식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본건축학회 CNDT 소위원회 강도계 산식도 보통 강도의 콘크리트에서만 비교적 정확도가 있을 뿐, 저강도
및 고강도 콘크리트에서는 오차가 크게 분석되었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Table 4의 일본건축학회 CNDT 소위원회 강도계산식과 코어압축강도와의 상관 관계식을 이 용하여 일본건축학회 CNDT 소위원회 강도계산식을 보정한 식 (8)을 제안하였으며, α는 재령보정계수로서 Table 2의 값 을 사용한다.
여기서, Fcn은 콘크리트 추정 압축강도, Ro은 보정반발경 도, Fco′은 코어압축강도, α: 재령보정계수이다.
Fig. 15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식에 의해서 구해진 추정압 축강도와 코어압축강도를 비교한 그래프로서, 상관분석결과 y = 1.0307x 기울기가 거의 1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어 제안 식에 의해 구해진 추정강도가 실제파괴강도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RILEM에서
제안한 방법(식 (1))과 비교해 볼 때, 다수의 추정강도식들 중 정밀도가 가장 높은 산 정식을 찾아낼 필요없이, 최소한의 코어압축강도와 보정반발 경도가 파악되면 보다
신뢰성이 확보되는 압축강도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고 35 MPa 강도 이상의 콘크리트 에서도 추정압축강도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Fig. 15
Relationship between core strength and proposed equation
7.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12년 동안 실시한 297개 교량의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토대로 콘크리트 압축강 도를 구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된 기존
추정식들을 선정하여 각각을 실제파괴강도(코어압축강도)와 비교․분석을 실시하 였다. 분석이 이루어진 기존 추정식들 중 일본건축학회 CNDT 소위원회
강도계산식이 다른 추정식들에 비하여 실제파괴강 도와의 오차가 가장 적고 상관분석의 신뢰도도 가장 높은 것 으로 검토되었다.
또한, 선형 회귀분석을 토대로 각 식의 추정강도와 실제파 괴강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으며, 기존식을 수정한 새로운 식 (8)을 제안하고 제안된 식에 의해 구해진 추정강도값과 실 제파괴강도를 비교한 결과 결정계수(R2)가 0.74로서 비교적 잘 일치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제안한 추정식이 국내 공용 중 교량구조물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시 강도 추정식으로 유용하 게 이용될 수 있으며, 보통강도 콘크리트구조물뿐만
아니라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강도를 추정하는 간편식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