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내진보수보강, 제진공법, TS 댐퍼, 창호 삽입형, 외부 부착형, 제진브레이스, 댐퍼 보강 골조, 주기하중
Seismic rehabilitation, Earthquake control system, TS(Tension-Spring) damper, Inserted type, Attached type, Vibration control brace, RC frame reinforced with damper, Cyclic load

1. 서 론

지진은 우리가 경험하는 자연재해 중 가장 극단적인 지각 의 변동과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가져오는 무서운 현상으로 서 인류의 역사와 함께 기록되어왔다. 지진은 규모와 빈도의 차이가 있을 뿐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과학적으 로 지진 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래 우리나라에서 지진 발생 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왔다. 근래 경북 경 주 및 포항 등지에서 규모 5이상의 강진(强震)이 발생한 이후, 지진 피해에 대한 건축물 및 기간시설물의 안전에 대한 관심 이 높아지고 있으며, 더 이상 우리나라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이 사실로 드러나게 되었다.

1988년 초 개정된 건축법 시행령의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 에 관한 규칙에서 내진설계가 도입된 이래 우리나라의 내진 관련 대책은 주로 고층 건축물이나 원자력발전소 등 중대 시 설에 국한 되는 경향이 있어왔다. 현재 우리나라는 내진설계 기준이 도입되기 이전에 시공된 건축물이 많이 남아있어 이 건물들에 대한 내진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Lee et al., 2012). 또한 오래된 건축물의 리모델링의 활성화추세 맞추어 저렴한 비용으로 충분한 내진보강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제진장치가 필요하다.

내진보강에 사용되는 방법 중 제진공법은 건물에 설치된 제진장치가 지진에너지를 흡수하여 흔들림을 억제하도록 하 는 방법이다(Jeong, 2015; Oh, 2001). 구조물에 진동제어를 위 한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구조물이 지진을 경험하게 될 때에 구조체에 부가되는 지진에너지를 제진장치로 에너지 흡수, 건물전체의 흔들림에 대한 감소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공법 은 기존 건물의 기둥, 보, 기초에 영향을 주지 않고 설치 가능 하기 때문에 기존 구조물의 내진 보수보강에 특히나 유리하 다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사용되는 제진장치 자체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구조물에 설치되었을 때 일체화 정도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레이스 내부에 다수의 탄성스프링을 내재하여 멀티제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전성 및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부 뿐 아니라 외부에도 부착이 가 능하여 시공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TS 댐퍼(Tension Spring- Damper)를 적용한 TS 내진보강공법의 내진성능 효과를 검증 할 목적으로 구조실험을 진행 하였다. 기준 실험체인 무보강 골조를 포함한 총 4개의 골조 실험체에 대하여 반복 주기하중 가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강도, 강성, 에너지 흡 수 능력의 측면에서 평가하여 정리 하였다.

2. 실 험

2.1. 실험계획

구조실험의 대상 건물은 층고 3.8 m, 3층의 비내진 상세를 갖는 철근콘크리트조의 학교 건축물로 정하였으며 Fig. 1에 골조 실험체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을 나타내었다. 실 험체는 대상학교의 외부 내측골조의 1층 부분의 1스팬으로 기둥-보-징두리벽(조적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험실의 규모를 고려하여 약 60% 크기로 축소하여 제작하였다.

Fig. 1

Prototype structure

JKSMI-22-141_F1.jpg

기준 실험체인 비보강 실험체 1개와 TS 내진보강 실험체 3 개의 총 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반복 횡하중을 이용한 구조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체의 골조는 동일한 배근을 갖 도록 설계하였으며, 기준실험체인 RC 실험체는 골조만으로 이루어진 비보강 실험체이다. RC 실험체의 대조군으로 기본 골조에 설치된 TS 댐퍼의 형상에 따라 V-type과 D-type, 시공 방법에 따라 창호 삽입형(Inserted type) 외부 부착형(Attached type)으로 구분하여 3개의 TS 내진보강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4개의 실험체는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기하였으며, Fig. 2~3에 실험체 배근 상세와 TS 댐퍼의 형상 및 설치 상황 을 나타내었다. 실험체는 상부와 하부의 스터브, 장방형의 기 둥과 보로 구성하였으며, 상·하부 스터브의 강성을 충분히 키 워 기둥붕괴형 붕괴메커니즘을 구현하도록 계획하였다.

Table 1

Specimen list

fck(MPa) fy(MPa) Pu(MPa) Damper Installation

RC* 21 300 315 - -
V-IN V-Brace Inserted type
V-EX V-Brace Attached type
D-IN Diamond-Brace Inserted type

* : reference

fck :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fy : yield strength of steel reinforcement

Pu :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frame

Fig. 2

Reinforcement detail of specimen(unit:mm)

JKSMI-22-141_F2.jpg
Fig. 3

Installation of damper

JKSMI-22-141_F3.jpg

2.2. 재료시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용 원통형 공시체는 KS F 2403 (KS F 2403, 2014)에 따라 직경 100 mm, 높이 200 mm의 실린 더형 몰드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실험체와 동일한 기간 타설과 동일조건에서 양생하였다. 구조시험 당일 6개의 공시 체를 통해 측정된 콘크리트 강도와 평균값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Design strength (MPa) Compressive strength (MPa) Modulus of elasticity (MPa)

Cylinder 1 21 24.4 25933.3
Cylinder 2 23.4 25625.3
Cylinder 3 25.9 26382.1
Cylinder 4 25.5 26263.9
Cylinder 5 24.0 25811.0
Cylinder 6 23.4 25625.3
Average 24.4 25940.15
(Standard deviation) (0.97) (293.01)

기둥의 주근과 전단 보강근으로 각각 D19(1종 SD300)과 D10(1종 SD300)을 사용하였으며, 철근의 재료적 특성을 파 악하기 위하여 KS B 0801(KS F 2403, 2017)에 따라 철근 인장 시험편을 각각 3개씩 제작하여 만능시험기(U.T.M.)을 이용 하여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Fig. 4에 철근의 인장강도 시험 결과(D19)를 나타내었다. 주철근(D19)의 응력-변형률 곡선 에 의하면 비례한계점은 약 4600 kg/cm2(460 MPa), 항복점은 약 4950 kg/cm2(495 MPa)로 측정되었다. 항복응력을 지나 변 형경화부분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의 파단으로 측정할 수 없 었으며, Fig. 4에 나타낸 응력-변형률 곡선은 스트레인게이지 가 파단되기 전까지의 데이터이다.

Fig. 4

Stress-strain curve of deformed bar(D19)

JKSMI-22-141_F4.jpg

2.3. 가력방법

실험체에 역대칭 모멘트가 발생하도록 횡력을 가하는 Actuator 의 가력점을 실험체 상부 가력용 철골빔의 중심에 일치시켰으 며, Table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부재각(%)에 따라 각 3 cycle씩 단계별로 점증 가력 하였다. 실험체에 적용된 하중 가력 이력선도를 Fig. 5에 나타내었다. 각 변위마다의 강도와 강성 저하에 대한 정보 취득을 위하여 동일변위 당 3회씩 가 력 하였으며, 실험은 내력이 크게 저하되는 구간까지 수행하 였다. 실험체의 균열은 가력이 끝나는 단계별로 구분하여 정· 부 방향 모두 표시하였다.

Table 3

Lateral loading history

Cycle 1 2 3 4 5 6 7 8 9 10 11 12

Drift (%) 0.10 0.20 0.3 0.4 0.5 0.67 1 1.33 1.67 2.00 2.5 3.33
Displ. (mm) 1.50 3.00 4.5 6.0 7.5 10.0 15.0 20.0 25.0 30.0 37.5 50.0
Fig. 5

Lateral loading history

JKSMI-22-141_F5.jpg

2.4. 계측계획

실험에 사용된 계측장비의 위치를 Fig. 6에 나타내었다. 하 중이 가력되는 동안 실험체 전체의 변위확인을 위하여 LVDT 1개를 설치하였으며, 기둥의 응력 분포 변화 측정을 위하여 각 실험체 기둥 주근 5개소와 스트럽 6개소에 스트레인 게이 지를 부착하였다.

Fig. 6

Locations of LVDT and strain gauges

JKSMI-22-141_F6.jpg

3. 실험 결과

3.1. 균열 및 파괴양상

Fig. 74개의 실험체에 대한 최종 파괴 상황을 나타내었 다. 무보강 기준 실험체인 RC 실험체의 경우 변위비 2% 구간 에서 기둥의 상·하부에 미세한 휨균열이 발생하였다. 이후 균 열이 기둥 중앙부로 확대되며 변위비 0.4%에 도달하였을 때 전단균열이 되어 변위비 0.67%에 이르러 기둥의 상·하부의 전단균열로 확대되었다. 변위비가 1.33%를 넘어가며 전단균 열의 폭이 증가하며 피복의 박리가 시작되어 변위비 1.67%에 서 양측 기둥 상부에 전단균열이 급격히 확장되었으며 하중 이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최종파괴 되었다.

Fig. 7

Final cracks of specimens

JKSMI-22-141_F7.jpg

TS댐퍼를 이용하여 제진 보강 된 골조의 경우 모두 변위비 0.1% 구간에서 시작된 휨균열이 변위비 0.4%에 도달하였을 때 전단균열로 진전된 후 실험종료 시 까지 TS댐퍼의 프레임 으로 인한 강성 증대효과로 인하여 전단균열의 진전이 억제 되는 현상을 보였다.

제진 보강 골조 실험체의 중 창호 외부 부착 방식이 적용된 V-EX를 제외한 창호 내부 삽입형인 V-IN, D-IN 실험체는 TS 댐퍼의 프레임으로 인한 강성 증대효과가 커서 목표내력에 도달 후 실험을 종료하였다.

3.2. 하중-변위 관계 및 에너지 소산 능력

Fig. 8에 각 실험체의 하중-변위 곡선을 나타내었다. 무보강 골조 실험체인 RC 실험체는 정가력 시 변위비 1.33%에서 최 대하중 243.7 kN에 도달하였으며, 전단파괴 양상을 나타내었 다. 이는 대상 학교건물이 비내진상세를 갖는 1980년대 건설 학교건물의 전형적 파괴모드를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라 고 판단된다.

Fig. 8

Force-displacement curves of specimens

JKSMI-22-141_F8.jpg

창호 내부 삽입형인 V-IN 실험체는 정가력 시 변위비 2% 에 도달 하였을 때 최대하중 466.68 kN을 나타내었으며, 골조 에 전단균열이 발생하여 진전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목표내 력에 도달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최대 하중발현 시까지 뚜 렷한 내력저하 없이 강도증가 추세가 지속되었는데, 이는 TS 댐퍼의 프레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창호 내부에 TS 댐퍼 를 삽입하는 시공방식을 통해 제진 뿐 아니라 강도보강의 효 과도 함께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외부 접합형인 V-EX 실험체의 경우 정가력 시 변위비 1.33% 에 도달 하였을 때 최대하중 342.375 kN을 나타내었으며, 이 후 골조에 발생한 전단균열이 진전되어 변위비 2%에 이르러 최종 파괴되었다. V-IN 실험체와 V-EX 실험체는 TS 댐퍼의 형상은 동일하나 시공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경우로 창호 내부 삽입 방식의 강도증진효과가 뛰어나게 나타났으나 , 외부에 부착하는 방식도 무보강 실험체에 비하여 제진 및 강도증진 의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창호 내부 삽입형인 D-IN 실험체의 경우 시공방식이 유사 한 V-IN 실험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변위비 1.33% 정가력 시 최대내력 471.31 kN에 도달하여 목표내력에 도달 함으로 인해 실험을 종료하였다. 최대 하중발현 시까지 뚜렷 한 내력저하 없이 강도증가 추세가 지속되었으며, 강도보강 의 효과가 탁월 하였다.

Fig. 9와 Table 4에 각 실험체의 성능을 비교하여 나타내었 다. 창호 내부 삽입형 V-IN 실험체와 D-IN 실험체는 기준 실 험체인 RC 실험체 대비 각각 1.92배, 1.93배의 내력 증가를 보 여주었고, 외부 부착형 V-EX 실험체는 1.4배의 내력 증가를 보여주었다. 더불어 무보강 골조 실험체와 TS 댐퍼 보강 골조 실험체의 누적에너지의 양에 2배 가까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 목표내력에 도달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던 창호 내 부 삽입형 실험체(V-IN, D-IN)와 기준 실험체의 누적 에너지 양의 비교는 제외하였다.

Fig. 9

Comparison of structural performances for specimens

JKSMI-22-141_F9.jpg
Table 4

Test results

V max (kN) V max V max δ max (mm) δ max δ max E

Case1* RC 243.7 1 20 1 2878.6
(243.7/243.7) (20.00/20.0)

Case2 V-IN 466.8 1.92 29.95 1.49 -
(466.8/243.7) (29.95/20.0)

Case3 V-EX 342.4 1.4 20 1 5374.6
(342.4/243.7) (20.00/20.0)

Case4 D-IN 471.3 1.93 19.87 0.992 -
(471.3/243.7) (19.84/20.0)

* : reference

V max : maximum load

V * max : maximum load of reference

δ max : displacement at Vmax

δ * max : displacement at V*max

E : accumulated energy

4. 결 론

TS 댐퍼 내진보강공법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구조실험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1) 기준 실험체인 RC 실험체는 정가력 시 변위비 1.33%에서 최대하중 243.7 kN에 도달하였으며, 전형적인 전단파괴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비내진 상세를 갖는 학교건물의 파괴모드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판단된다.

  • 2) 창호 내부 삽입형태의 시공방법을 적용한 V-IN 실험체와 D-IN 실험체는 TS 댐퍼의 강도증진 효과로 인하여 파괴 이전에 목표내력에 도달함으로써 실험이 종료되었다. 무 보강 골조 실험체인 RC 실험체와 외부 부착형 실험체인 V-EX 실험체 보다 강도, 강성, 균열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3) 외부 부착 방식의 시공방법을 적용한 V-EX 실험체는 정 가력 시 변위비 1.33%에 도달 하였을 때 최대하중 342.375 kN 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골조에 발생한 전단균열이 진전되 어 변위비 2%에 이르러 최종 파괴되었다. 창호 내부 삽입 방식에 비하여 강도, 강성의 측면에서 성능이 다소 낮게 나 타났으나, 기준 시험체인 RC 실험체에 비하여 강도, 강성, 균열, 에너지 소산 측면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TS 댐퍼 공법의 내진보강유 효성이 검증되었다고 판단된다.

  • 4) 내진 보수보강의 경우 공법 자체의 유효성과 더불어 다양한 현장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 법으로 시공 시 성능에 대한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TS 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 방법은 창호 내부 삽입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외부 부착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내진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우수한 공법으로 판단된다.

 

1 
(2015), A Study on Hysteresis Characteristics and Seismic Performance of Buckling Resistance Steel Damper.
2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4), Standard Test Method for Making and Curing Concrete Specimens.
3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7), Test Pieces for Tensile Test for Metallic Materials.
4 
(2012), Guideline on Seismic Evaluation and Upgrading of School Buildings, KORMARC.,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19(2), 22-25.
5 
(2001), The Principle of Earthquake Control System of Steel Framed Building and Application Method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47(2), 96-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