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해상풍력, 연결부 설계안, 콘크리트 중력식 지지구조물, 수직도 조정, 유한요소해석
Offshore wind turbine, Design of T.P., Concrete G.B.S., Vertically adjustable, F.E.A.

1. 서 론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은 해양에 위치하여 파랑 및 풍하중과 같이 반복되는 하중과 부식에 취약한 환경에 노출된다. 그러 므로 강재에 비해 피로 저항성 및 부식 저항성이 뛰어난 콘크 리트를 이용한 중력식 지지구조물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 이 사용되는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형식 중 하나이다. 해상풍 력 지지구조물은 설치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공 오차와 해저 지반의 경사로 인해 수직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 해 해상풍력 타워의 수직도가 확보되지 않으면 하중의 편심 을 유발하여 풍력발전기 전체 구조의 안전성이 저하된다 (Pisanò and Gavin, 2017).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해 상풍력 지지구조물에서는 허용 수직도 오차를 0.5°로 제한하 고 있으며, 이 중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직도 오차는 0.2 ~ 0.25°로 제한하고 있다(DNV-OS-J101, 2014; Malhotra, 2011). 따라서 해상풍력 타워와 중력식 지지구조물을 연결하 는 연결부에서 수직도를 보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들 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수직도를 조정하기 위한 방안 으로는 ‘Thornton Bank 1’과 같이 연결부의 인장 볼트와 레벨 링 플랜지를 이용하여 타워 설치 시 기울기를 조정하는 방법 (Peire et al, 2009), Gravitas에서 개발한 타워 하단부에 어댑터 링을 설치하여 기울기를 조정하는 방법(Ruiz de Temino Alonso, 2013) 등이 존재한다. Vici Ventus(2010)에서도 타워 와 연결된 강재 케이싱을 지지구조물 콘크리트 샤프트에 위 치시키고 그라우트로 고정시키는 연결부 구조를 개발하였다. 수직도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방안은 중력식 지지구조물에 국한되지 않고, 기타 형식의 지지구조물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졌다. 대표적으로 중력식 지지구조물과 함께 가장 많 이 사용되는 모노파일 지지구조물에서는 연결부에 고성능 그 라우트를 주입하여 수직도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 구가 다수 수행되었다(Dallyn et al, 2015; Lotsberg et al, 2012).

본 논문에서는 중력식 지지구조물에서 타워를 연결하기 위 해 사용하는 인장볼트 형식과 모노파일 지지구조물에서 수직 도 오차를 보정하고 구조물을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그라우트 형식에 착안하여, PS 앵커 부재와 그라우트를 이용 하여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새로운 콘크리트 중력식 해상 풍력 연결부 구조형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연결부는 5MW 급 해상풍력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며 발생한 기울기에 대해 최대 0.5°의 수직도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해상풍력 구조물 에서 0.5°의 수직도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5MW급에서 사용 하는 5.5m 직경의 해상풍력 타워 양 끝단에서는 4.8cm의 높 이차가 발생하므로, 기존의 심플레이트(Shim plate) 등으로 보정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다. 따라서 0.5°의 수직도 조정 이 가능한 연결부에 대해 부재별 설계안과 연결부 설계절차 를 제안하였고, 제주도 해상지역을 대상으로 설계안에 따라 부재별 설계를 진행하였다. 그 후, 설계 결과에 대해 비선형 3 차원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Analysis; F.E.A.)을 수행 하여 설계안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2. 수직도 조정이 가능한 연결부 개념

본 논문에서 제안한 연결부(Transition piece; T.P.)는 Fig. 1(a) 에 도시된 점선 부분을 뜻하며, 이 연결부에 해상풍력 타워 (Offshore wind turbine tower)가 설치된다. 제안한 연결부는 최대 0.5°까지 수직도 오차를 보정할 수 있으며, PS 앵커(PS Anchor)를 통해 수직도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수 직도 조정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수행한다. 먼저 PS 앵커가 거 치되는 앵커체결구(Anchor socket)는 Fig. 1(a)와 같이 지지구 조물을 설치하는 현장까지 내부가 비워져있는 상태로 운송된 다. 타워를 조립하기 전 Fig. 1(b)와 같이 PS 앵커의 수직도를 조정한 후, Fig. 1(c)와 같이 현장에서 그라우트(Grout)를 주입 하여 앵커체결구 내부를 충진한다. 그라우트의 설계기준 압 축강도가 확보되면 Fig. 1(d)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를 제거하고 해상풍력 타워를 설치한다.

Fig. 1

Construction process of vertically adjustable transition piece

JKSMI-22-42_F1.jpg

타워 하단부는 PS 앵커를 통해 지지구조물에 일체로 체결 되므로 하중은 타워에서 플레이트, PS 앵커, 전단 보강 철근 및 콘크리트 지지구조물 순으로 전달된다. 연결부 설계 시 타 워 하단부, 앵커플레이트(Anchor plate)와 PS 앵커는 작용 하 중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였으며, PS 앵커가 위치하는 앵커 체결구는 수직도 조정 성능을 고려하였다. Fig. 2

Fig. 2

Load per unit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ower

JKSMI-22-42_F2.jpg

3. 해상풍력 연결부 구조의 설계안

3.1 타워 원주 방향 단위 길이 당 최대 작용력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설계하기 전 공기역학 및 유체동역 학을 포함한 통합하중 해석을 실시한다. 연결부 설계는 통합 하중 해석을 통해 산출한 지지구조물 상단의 하중 조건 중 연 결부에 지배적인 하중을 도출하여 수행하였다. 이때, 설계 과 정의 편의성과 연결부 구조가 원형인 점을 고려하여 연결부 중심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설계 모멘트 하중(Mu) 및 수 직 하중(Pu)은 타워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ower) 단위 길이 당 최대 작용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고,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설계 수평 하중 및 비틀림 모멘트는 변환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단위 길이 당 최대 압축력( P c max ), 최대 인장력( P t max )은 식 (1), (2)와 같이 계산하였다.

(1)
P c max = ( M u Z t + P u A t ) × t t w

(2)
P t max = ( M u Z t P u A t ) × t t w

여기서, Zt는 타워 단면 계수, At는 타워 단면적, ttw는 타워의 두께이다.

3.2 타워 하단부, 베이스 플레이트 및 앵커 플레이트

타워 하단부는 그라우트 경화 후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거 하고 교체 설치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 앵커 플레이트(이하 플레이트라 칭한다)와 동일 제원으로 설계하였다. 플레이트 (Plate)는 AISC Steel Design Guide 1(2006)을 참고하여 플레 이트를 지지하는 콘크리트가 압축 파괴하는 경우와 플레이트 가 휨 변형하는 경우를 방지하였다. 플레이트에 작용하는 최 대 압축력은 식 (1)의 외력에 의한 최대 압축력( P c max )과 PS 앵커 체결력( P p max )의 동시 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플레이 트를 지지하는 콘크리트가 두 압축력으로 발생한 최대 압축 력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플레이트의 폭(Bp)은 식 (3)과 같이 결정하였다.

(3)
P c max + P p max 0.85 ϕ b f c k A 2 / A 1 < B p

여기서, A 2 / A 1 는 콘크리트 지지력 산정 시 고려할 수 있 는 면적 확산 비이다. A1은 플레이트 하단 면적, A2는 플레이 트와 기하학적으로 유사하고, 지지력 산정 시 고려할 수 있는 플레이트 하단의 콘크리트 최대면적으로 AISC 기준에 따라 A1의 4배를 초과할 수 없다. ϕb는 콘크리트 지지력 안전계수 0.65, fck는 지지구조물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이며, P p max 는 프리스트레스로 인한 PS 앵커의 단위 길이 당 체결력 으로 n a n c σ p A a n c / π D t w 이다. nanc는 PS 앵커의 개수, σ p 는 PS 앵 커에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스 응력, Aanc는 PS 앵커의 단면적, Dtw는 타워의 중심 직경이다.

플레이트에 작용하는 하중은 플레이트의 휨 변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두께(tp)는 최대 압축력으로 인한 항복 및 휨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식 (4)와 같이 결정하였다.

(4)
( B p 0.95 t t w 2 ) × 2 ( P c max + P p max ) ϕ f f y , p B p < t p

여기서, ttw는 해상풍력 타워 두께, ϕf는 휨 안전계수 0.9, fy,p는 플레이트 사용 강재의 항복 강도이다.

3.3 PS 앵커

인장력은 타워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PS 앵커를 통해 지지 구조물로 전달되므로, EN 1993-1-8(2005)을 참고하여 개별 PS 앵커에서의 인장 파괴와 PS 앵커로 인한 펀칭 전단이 발생 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전단 파괴에 대해서도 확인하였다. 개 별 PS 앵커에 재하되는 최대 인장력은 식 (2)의 단위 길이 당 최대 인장력( P t max )을 통해 산출할 수 있으며, 앵커에 작용하 는 인장력이 PS 앵커의 항복 강도(fy)에 대해 안전하도록 식 (5)와 같이 인장 파괴를 방지하였다. PS 앵커 제원이 결정되 면, 앵커를 정착하는 너트의 제원이 결정되므로, PS 앵커의 펀 칭 전단에 저항하는 플레이트 두께(tp)와 너트의 직경(dn)을 고려하여 식 (6)과 같이 펀칭 전단을 방지하였다.

(5)
π D t w P t max n a n c < ϕ t f y A a n c

(6)
π D t w P t max n a n c < ϕ p π d n t p f y , p

여기서, ϕt는 인장 안전계수 0.9, ϕp는 펀칭 전단 안전계수 0.6이다.

설계 수평 하중(H)과 비틀림 모멘트(T)로 인해 발생하는 전단력은 PS 앵커를 통해 타워에서 지지구조물로 전달되므 로, PS 앵커는 전단력으로 인한 파괴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개별 앵커의 전단 저항성능이 수평 하중, 비틀림 모멘 트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최대 전단력에 대해 안전 하도록 식 (7)과 같이 확인하였다.

(7)
H n a n c + T ( 2 × π D t w 2 / 4 ) × s a n c < ϕ s f y A a n c

여기서, Sanc는 PS 앵커가 위치하는 앵커체결구 중심 간격, ϕs는 앵커 전단 안전계수 0.6이다.

3.4 수직도 조정을 위한 앵커체결구

PS 앵커가 위치하는 앵커체결구는 부재 간의 기하학적 간 섭이 발생하지 않고 목표로 하는 수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Fig. 3과 같이 직경 Danc인 PS 앵커가 기울기 θ로 길이 L의 앵커체결구 내에 설치될 경우, 앵커 체결구 직경 (Dhole)은 식 (8)과 같이 결정하였다.

Fig. 3

Anchor socket

JKSMI-22-42_F3.jpg

(8)
D a n c cos θ + L t a n θ < D h o l e

PS 앵커는 타워의 내경 측과 외경 측에 각각 배치하여 지지 구조물과 해상풍력 타워 연결의 안전성을 강화하였다. 즉, 하 나의 앵커체결구에 2개의 PS 앵커가 위치하도록 Fig. 3과 같 이 설계하였으며, 앵커는 해상풍력 타워 두께(ttw)와 플레이 트 폭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3.5 연결부의 안전성 검토

연결부의 축력 및 모멘트 저항성능은 작용 하중(Applied load)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Bengar and Maghsoudi(2012)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연결부를 PSC 중공원형 기둥으로 이상화한 후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Figs. 4(a)와 4(b) 같이 단면 내에서 중립축의 위치(X)를 임의로 가 정하고 PS 앵커의 프리스트레스를 고려하여 콘크리트 단면 의 압축력(C)과 PS 부재의 인장력(T)을 계산하였다. 이를 반 복하여 중립축 위치에 따른 단면의 축력 및 모멘트 저항성능 을 도출한 후, 안전계수를 적용하여 Fig. 4(c)와 같이 P-M 상관 도(P-M interaction curve)로 도시하였다. 안전계수는 Bengar and Maghsoudi(2012)의 연구에서 참고한 ACI 설계기준에 따 라 압축 및 인장 파괴에 대해 각각 0.65, 0.9를 사용하였으며 압축 지배구간 및 인장 지배구간에서는 선형보간법을 적용하 였다(ACI 318-08, 2008). 연결부의 안전성 검토 시, Fig. 4(c) 와 같이 작용 하중이 안전계수를 적용한 P-M 상관도 내부에 위치하면 연결부는 하중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Fig. 4

Safety evaluation of T.P. with P-M interaction curve

JKSMI-22-42_F4.jpg

3.6 전단 보강 철근

연결부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직 하중과 모멘트 하 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 하중조합으로 인해 식 (1), (2)와 같은 최대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지지구조물로 전달된다. 타 워에서 전달되는 최대 인장력은 PS 앵커를 통해 지지구조물 로 전달되도록 설계하였으므로, PS 앵커가 극한 인발 하중에 도달하기 전에 지지구조물에서 뽑혀 나오는 것을 방지하였 다. 즉, Fig. 5(a)와 같이 앵커 주변 전단 보강 철근(Shear reinforcement)의 직접 마찰력이 앵커의 극한 인발 하중보다 항 상 크도록 식 (9)와 같이 전단 보강 철근량(Asd)을 설계하였다.

Fig. 5

Design of shear reinforcement

JKSMI-22-42_F5.jpg

(9)
α f u A a n c ϕ υ μ E s s < A s d

여기서, α는 PS 앵커 극한 인발 하중보다 철근의 마찰저항 력이 1.5배 크도록 하는 안전계수 1.5, fu는 PS 앵커의 극한 강 도, ϕ v 는 전단 안전계수 0.75, μ는 철근 마찰계수 1.4, Es는 철 근의 탄성계수, єs는 철근의 허용 변형률이다. (ACI 318-08, 2008)

타워를 통해 압축력이 전달되는 경우, Fig.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코벨 거동(Corbel behavior)으로 인한 파괴 를 방지하였다. 즉, 단면 내에서 최대 압축력( P c max )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멘트가 전단 보강 철근의 저항력(ti)으로 지지되 도록 기준점(O)에 대해 식 (10)과 같이 전단 보강 철근을 설계 하였다. 이때, Fig.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단 보강 철근 에서는 기준점에서의 거리에 따라 선형 증가하는 저항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식 (11), (12)를 통해 전단 보강 철근에서 발 생하는 최대 응력이 철근의 항복 강도에 대해 안전하도록 설 계하여 단면의 코벨 거동으로 인한 파괴를 방지하였다.

(10)
P c max d < i = 1 n t i h i

(11)
t i = σ max h i h n A i

(12)
P c max d i = 1 n h i 2 h n A i = σ max < ϕ υ f y , r

여기서, d는 기준점(O)으로부터 하중 재하점의 거리, ti는 각 전단 철근의 단위 길이 당 저항력, hi는 기준점으로부터 각 전단 철근까지의 거리, hn은 기준점으로부터 최대 응력이 발 생하는 최상단부 철근까지의 거리, Ai는 각 전단 철근 단면적, σmax는 전단 보강 철근에서 발생하는 최대 응력, fy,r는 철근 의 항복 강도이다.

배력 철근은 식 (9)-(12)를 이용하여 설계한 전단 보강 철근 량의 25% 이상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으며, 수직 방향 (Vertical)과 타워 원주 방향(Circular)으로 배치하였다.

3.7 연결부 설계 절차

본 논문에서 제안한 연결부의 설계절차를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먼저 연결부 중심에 작용하는 하중으로부터 단위 길 이 당 최대 압축력 및 인장력을 도출하고, 압축력에 대해 지지 구조물 콘크리트가 안전하도록 타워 하단부, 베이스 플레이 트, 앵커 플레이트를 설계한다. 인장력에 대해서는 PS 앵커 가 인장 파괴 및 펀칭 전단에 대해 안전하도록 설계하며, 전단 력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한다. 그 후, 최대 기울기 조정 성능 을 고려하여 앵커체결구를 설계하고 PSC 중공원형 기둥의 축력 및 모멘트 저항성능으로 P-M 상관도를 도시하여 연결 부의 안전성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하중이 지지구조물로 안전하게 전달되도록 PS 앵커의 인발을 고려하여 전단 보강 철근을 설계한 후, 압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면의 코벨 거 동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연결부 설계를 완료한 다. 이러한 연결부 설계절차는 Fig.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 6

Design flow chart of T.P.

JKSMI-22-42_F6.jpg

4. 수직도 조정이 가능한 해상풍력 연결부 설계안 검토

제주도 해상지역을 대상으로 설계안에 따라 수직도 조정이 가능한 해상풍력 연결부를 설계하고, 비선형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설계안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유한요소해 석은 상용 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였다.

4.1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연결부 설계 예제

적정성 검토를 위한 제주도 해상지역 설계 조건은 해상풍력 콘크리트 중력식 기초구조물 설계예제 및 시공지침서(2017) 를 참고하였으며, Table 1 and 2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 작용 하중(Applied load at T.P.)은 통합하중 해석결과 연결 부 중심에 작용하는 하중을 사용하였다. 제안 설계안에 따른 연결부 설계 결과는 Table 3과 같다. PS 앵커는 2개씩 40개소 에 80개가 위치하며, 보강 철근은 앵커 1개 당 철근량을 명시하 였다. 배력 철근은 타워 원주 방향 단면이 넓은 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후프 철근(Circular reinforcement)을 추가적으로 배 근하였으며, 설계 제원 산출은 부록 1에 첨부하였다.

Table 1

Applied load at T.P.

JKSMI-22-42_T1.jpg
Table 2

Design condition of T.P.

JKSMI-22-42_T2.jpg
Table 3

Design size of transition piece member

JKSMI-22-42_T3.jpg

4.2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을 통한 연결부 설계안 검토

4.2.1 유한요소모델 및 해석결과

제안한 연결부 설계안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비선형 3 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 및 앵커체결구 그라우트, 플레이트는 4절점 고체요소를 사용하였으며 철근 및 PS 부재는 빔 요소를 사용하였다. 유한요소 해석에 사용한 비선형 재료 모델은 ‘Bi-linear model’과 완전 탄·소성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부록 2에 첨부하였다. 해석 시간의 감축을 위 해 Fig. 7과 같이 y축에 대한 대칭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설계 시 연결부 중심에 작용하는 하중을 사용하였으므로 해석 모 델에서도 연결부 상단 중심에 참조점을 생성하여 하중을 재 하하였다. 유한요소 해석결과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요 소 크기에 따른 해의 수렴성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 다. 연결부에는 모멘트 하중이 지배적으로 작용하므로, 민감 도 분석은 PS 앵커가 항복하는 모멘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 다. 굵은 골재 최대 직경을 고려하여 요소 크기 40mm의 결과 에 대해 오차율 1% 미만을 수렴 기준으로 판단하였으며, 해의 수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요소 크기는 80mm로 결정하였 다. 이와 같은 유한요소해석 결과, 수직도 조정이 수행되지 않 은 기준 모델(standard model)에서 각 부재의 최대 발생 응력 은 Table 4와 같다.

Fig. 7

Standard model for F.E.A. of T.P.

JKSMI-22-42_F7.jpg
Table 4

F. E. A. result of standard model

JKSMI-22-42_T4.jpg

제안한 연결부는 수직도 조정을 목표로 설계하였으므로 최 대 수직도 조정 각도인 0.5°를 보정한 모델(tilted model)에 대 해서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은 기준 모델과 동일한 방법 으로 진행되었으며, Fig. 1과 같이 그라우트를 통해 수직도 오 차를 보정하였다. 동일 하중 조건에서 수직도 조정을 수행한 연결부의 부재별 최대 발생 응력은 Table 5와 같으며, 수직도 조정이 연결부 발생 응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때, 그라우트 부와 플레이트에서는 각각 17.7% 와 15.0%로 다른 부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응력 변화가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응력 변화는 수직도 조정을 위해 플레 이트 하단에 추가된 그라우트가 하중을 분담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수직도 조정의 영향을 고려하여도 제안 설계안은 각 부재의 설계기준 압축강도와 항복 강도에 대해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Table 5

F. E. A. result of tilted model

JKSMI-22-42_T5.jpg

4.2.2 하중 전달 메커니즘 확인

본 논문에서는 작용 하중이 Fig. 5(b)와 같이 선형적인 저항 력을 통해 지지구조물로 전달되는 연결부 단면 거동을 고려 하였다. 이러한 하중 전달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 (10), (11)의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전단 보강 철근의 단위 길 이 당 저항력(ti)과 유한요소해석 결과 발생하는 단면의 저항 력을 Fig. 8에 도시하였다. 해석결과 발생하는 단위 길이 당 단 면의 저항력은 보강 철근과 지지구조물 콘크리트에서 발생하 는 응력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Fig. 8

Verification of load transfer mechanism

JKSMI-22-42_F8.jpg

유한요소 해석결과, 설계안에서 고려한 Fig. 5(b)와 같이 선 형적으로 증가하는 저항력 분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최하단 부에서의 저항력 분포 차이는 연결부 형상이 변화하는 지점 에서 발생한 응력 집중에 기인한다. 유한요소해석 결과, Fig. 8 의 저항력 비교를 통해 연결부 설계 시 고려한 하중 전달 메커 니즘의 타당성을 확인하였고, 발생 응력 검토를 통해 연결부 각 부재의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므로, 제안한 연결부 설계안 이 적정하다고 판단하였다.

5. 결 론

본 논문은 수직도 조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중력식 해상풍력 연결부의 설계에 관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콘크리트 중력식 해상풍력 구조물에서 수직도 오차를 0.5°까지 보정할 수 있는 연결부 구조형식과 주요 부재별 설계안을 제안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제안 설 계안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 본 논문에서 제안한 설계안은 중공원형 PSC 기둥의 P-M 상관도를 통해 작용 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는 방 법을 도입하였으며, 타워에서 전달되는 하중으로 인해 지지구조물에서 선형적인 저항력이 발생하는 하중 전달 메커니즘에 대해 고려하였다.

  • 제안 설계안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제주도 해상지역 을 대상으로 연결부를 설계하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부재별 발생 응력과 하중 전달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유한요소해석 결과, 연결부에서 선형적인 저항력이 발 생하였으므로 설계안에서 고려한 하중 전달 메커니즘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단면의 최하단부에서 연결 부의 형상 변화로 인해 응력 집중이 발생하였지만, 연결 부의 안전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연결부 부재별 발생 응력을 확인한 결과, 수직도 조정을 수행하여도 연결부 각 부재는 설계 기준 압축강도 및 항복 강도에 대해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안 설계안에 따라 연결부를 설계할 경 우, 설치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직도 오차를 0.5°까지 보정 하여도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nbsp;감사의 글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 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과제(No. 2016 3030024260)입니다.

 

1 
ACI 318-08 (200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nd Commentary, American Concrete Institute.Google Search
2 
AISC Steel Design Guide 1 (2006), Base Plate and Anchor Rod Design, Second edition,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Google Search
3 
Bengar, H.A., Maghsoudi, A.A. (2012), Ultimate Axial Load and Moment Interaction Diagrams for Prestressed HPC Thin-Walled Short Columns, International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Ultimate Axial Load and Moment Interaction Diagrams for Prestressed HPC Thin-Walled Short Columns, International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0(4), 263-273.2278-9987, 10(4), 263-273.Google Search
4 
Model Code, CEB-FIP (1993), Design Code, Comite Euro-International Du Beton.Google Search
5 
Dallyn, P., El-Hamalawi, A., Palmeri, A., Knight, R. (2015), Experimental Testing of Grouted Connections for Offshore Substructures; A Critical Review, Structures, 3, 90-108.DOI
6 
Design & Construction Guidelines (2017), Offshore Wind Concrete Gravity Based Substructure-Design & Construction Guidelines, Offshore Wind Concrete Gravity Based Substructure-Design & Construction Guidelines, Daewoo E&C.Google Search
7 
(2014), Design of Offshore Wind Turbine Structures. DetNorskeVeritas.Google Search
8 
(2005), Eurocode 3: Design of Steel Structures Part 1-8: Design of Joints, CEN.Google Search
9 
Lotsberg, I., Serednicki, A., Lervik, A., Bertnes, H. (2012), Design of Grouted Connections for Monopile Offshore Structures, Stahlbau, Design of Grouted Connections for Monopile Offshore Structures, Stahlbau, 81(9), 695-704. 10.1002/stab.2012015980038-9145, 81(9), 695-704.DOI
10 
Malhotra, S. (2011), Selection, 231-264.
11 
Peire, K., Nonneman, H., Bosschem, E. (2009), Gravity Base Foundations for the Thornton Bank Offshore Wind Farm, Terra et Aqua, Gravity Base Foundations for the Thornton Bank Offshore Wind Farm, Terra et Aqua, 115, 19-29., 115, 19-29.Google Search
12 
Pisan , F., Gavin, K.G. (2011), General Report for TC 209 Offshore Geotechnics, Proceedings of the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General Report for TC 209 Offshore Geotechnics, Proceedings of the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International Society for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London, 1-8., 1-8.Google Search
13 
Ruiz de Temino Alonso, I. (2013), Gravity Base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Farms., Gravity Base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Farms.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ntabria, Spain.Google Search
14 
Ventus, Vici (2010), Offshore Wind Turbines, Offshore Wind Turbines: Concrete Foundations, Norway.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