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보강부재 선정
본 연구에 사용하고자 하는 기준실험체를 선정하기 위해 Fig.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간격이 8.1m이고, 큰 보 중간 에 작은 보 2개가 설치되어 있는 골조시스템의 기준평면을 이용하였다. 설계하중은 활하중과 고정하중의 하중조합으로 가정하였으며,
활하중은 3kN/m2, 고정하중은 자중 및 칸막 이벽 등을 고려하여 5kN/m2로 가정하였다. 콘크리트 설계기 준 압축강도 및 철근의 항복강도는 각각 24MPa, 400MPa를 적용하였다. Fig. 1에 표시된 A부재와 B 부재는 본 연구에 서 기준실험체를 결정하기 위해 선정한 것이며, 각 부재의 최대 휨모멘트(Mu)에 대한 단면크기 및 배근에 따른 설계모멘트 (ϕMn)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부재는 큰 보에 설치된 작은 보로 양단부에 모멘트가 발생 되지 않는 단순보로 가정하여 중앙부에서의 최대 휨모멘트 (Mu)는 wu ×l2/8(Fig. 2 참조)으로 산정하였으며, B부재는 기 둥과 강접합 된 고정보로 보 단부에서의 부모멘트와 보 중앙 부에서의 정모멘트 값은 각각 -2×Pu ×l/9, Pu ×l/9 (Fig. 3 참조)로 산정하였다.
Fig. 1
Standard plane for target flexural members
Table 1
Design bending moment of selected members
Fig. 2
Moment diagram of A member
Fig. 3
Moment diagram of B member
A 부재는 단순보 형태이므로 지점을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정모멘트가 발생하고, B 부재는 양단 고정보 이므로 양 단부 에서 부모멘트가 발생하고, 중앙부에서는
정모멘트가 발생한 다. 따라서 A, B 부재에 휨 보강이 필요한 경우에는 A 부재에 서는 정모멘트가 발생하는 보 하부에 휨 보강(Fig. 2 참조)을 실시하고, B 부재에서는 보 단부와 중앙부로 나누어 단부에 는 보 상부에 보강하고, 중앙부에는 보 하부에 휨 보강(Fig. 3 참조)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Fig. 2와 Fig. 3에 설계하중을 초 과하는 하중에 의해 추가된 모멘트 빗금 친 부분으로 나타내 었으며, 추가된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적절한 보강이 이 루어져야
한다.
2.3 기준실험체 선정 및 단면성능
2.1절에 기술한 A 부재와 B 부재 중에서 단순보인 A 부재 를 기준실험체로 하여 2.2절에 기술한 보강재의 재료물성을 적용하여 휨 보강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휨 보강 효과를 정 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강하지 않은 기준실험체의 휨 성 능과 보강한 실험체들의 휨 성능을 각각 비교하여야 한다. 본 절에서는
보강하지 않은 기준실험체에 대한 휨 성능을 파악 하기 위한 것으로 인장철근이 항복하기 전과 항복 이후의 모 멘트-곡(을 제시하고, 기준실험체의 휨
성능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파악하여 보강실험체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Fig. 5 는 기준실험체가 항복단면 일 때와 극한단면 일 때로 각각 구 분하여 각 단면에 대한 이론분석에 적용되는 값을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항복단면이란
인장철근이 항복변형( (єy)에 도달할 때 압축콘크리트는 압괴가 발생하지 않은 단계 를 말하며, 극한 단면이란 압축콘크리트가 극한변형((єcu)에 도달할 때 인장철근이 항복단면을 훨씬 지나 연성거동을 나 타내는 단계를 의미한다.
Fig. 5
Cross section and input data for theoretical analysis
Fig. 6은 기준실험체가 항복단면일 때,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 응력도 및 하중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단계에서 인 장철근의 변형률(єs)과 콘크리트의 변형(єc)은 중립축(c)으 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고 가정하고, 철근과 콘크리트에 발 생하는 응력은 각 재료시험으로부터 얻은 응력-변형률 곡선 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Fig. 6
Strain, stress, and internal forces distribution in elastic state
그러나 철근과 달리 콘크리트의 응력 변형률 분포는 비선 형거동을 보이기 때문에 특정 위치에서의 콘크리트의 변형률 크기, 압축응력도 및 압축력의 크기를
정확하게 산정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ig.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Hognestad8) 에 의해 제시된 응력도-변형( 곡선을 적용하였 다. 이 이론에 따르면 변형(과 응력도가 동시에 증가하면서
포물선 형태를 가지는 구간과 변형(이 증가하면서 응력이 선형으로 감소되는 구간으로 구분하며, 최대응력(fck)에 대응 하는 변형((єo = 1.8fck/Ec , Fig. 7 참조)을 제안하고, 제안식 을 이용하여 압축영역에 있는 콘크리트의 응력을 식 (1)과 같 이 구할 수 있다.
Fig. 7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modified general concrete by Hognestad8)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인장철근의 변형(єs)과 콘크리트 의 변형((єc)은 중립축(c)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하고, 힘의 평 형으로부터 압축력과 인장력이 같아지는 점이 중립축 길이이 다. Fig. 8은 기준실험체가 항복단면일 때 중립축 길이를 나타 낸 것으로, 인장영역에 있는 철근의 인장력(Ts)과 압축영역 에 있는 철근에 의한 압축력(Cs) 및 콘크리트에 의한 압축력 (Cc)의 합이 같아지는 점을 표시한 것으로 중립축 길이는 145.4mm로 계산되었다.
Fig. 8
Neutral axis in the elastic area(when єs =єy)
극한단면은 KBC 20169) 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설계법과 동 일한 개념으로 Fig.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와 철근의 변형률 관계는 선형을 유지하며, 압축콘크리트 응력분포는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으로 가정하여 휨강도를 산정하였다.
항복단면에 비해 극한단면은 콘크리트의 압축변형률이 극한 변형률인 0.003에 도달되는 것으로 가정하며, 콘크리트의 응 력분포가 항복단면에서는 삼각형
형태로 가정한 반면에 극한 단면에서는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으로 가정하여 계산하였 다.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 깊이(α)는 중립축 거리(c)와 콘크 리트 압축강도 계수(β1 )의 곱으로 표현된다.
Fig. 9
Strain, stress, and internal forces distribution in ultimate state
Table 3은 기준실험체에 대한 항복단면 일 경우와 극한단 면일 경우의 중립축 길이(c), 면일 경우의 중립축 길이 (єc, єt), 공칭모멘트(Mn) 및 곡((ϕ), 그리고 연성비(η) 등을 식 과 함께 나타내었으며, 항복단면 및 극한단면에서의 휨모멘 트에 대한 산정식은 식 (2)∼식 (5)에 자세하게 나타내었다.(3)(4)
Table 3
Theoretical values for non-strengthened specimen
여기서, b; 보 폭, d; 보 유효춤, fc;압축 연단에서의 콘크리 트 응력, c;중립축 길이,
∈
′
s
=압축철근의 압축변형률,
σ
′
s
;압축 철근의 응력, As=인장철근양,
A
′
s
;압축철근양, d′ ;압축연단 에서 압축철근까지의 길이, fck=콘크리트 설계압축강도, fy; 인장철근의 항복강도, β1=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 계수, a=등 가직사각형 응력블록, Es=철근의 탄성계수 이다.
압축철근을 고려한 복근보로 하여 산정하였으며, 분석결 과 압축철근의 상태는 항복하기 전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 10은 기준실험체의 항복단면과 극한단면의 모멘트-곡 (M-ϕ)곡선과 각 단면에서의 중립축 및 변형률 등을 같
이 나타내었으며, Table 3과 Fig.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극한 상태(186.1kN.m)에서의 휨 강도는 항복단면(179.4kN.m)에 비해 약 3.7% 높게 나타났으며, 극한상태에서의 곡((ϕu)은 38.4××10-6/mm)로 나타나 항복단면 에서의 곡( (ϕy = 6.8× 10-6/mm)에 비해 약 5.6배 높게 나타났다.
Fig. 10
Moment-Curvature curve of standard speci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