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탄소섬유, 유리섬유, PET 섬유, 기준실험체, 항복 단면, 극한 단면, 모멘트-곡률 곡선, 보강효과
Carbon fiber, Glass fiber,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standard specimen, elastic cross section, ultimate cross section, moment-curvature curve, strengthening effect

1. 서 론

극한강도 설계법으로 설계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실 제 작용하는 하중이 설계하중을 초과하게 되면 그 구조물은 구조적으로 불안전한 상태에 도달되어 적절한 보강이 이루어 져야 한다. FRP 시트를 이용한 보강방법은 주로 휨을 받은 보 또는 휨과 압축을 동시에 받는 기둥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휨을 주로 받는 보의 경우, 휨보강과 전단보강으로 구분하고, 휨보강은 다시 세분화하여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보 단부의 상부면에 휨보강(상부 주철근과 동일방향)하는 경우와 정모 멘트가 발생하는 보 중앙부의 하부면에 휨보강(하부 주철근 과 동일방향)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보의 전단보 강은 전단력이 크게 발생되는 보 단부의 측면(스터럽과 동일 방향)을 보강함으로써 부족한 전단력에 저항 할 수 있도록 보 강하였다.1) 보와 달리 휨과 압축을 동시에 받는 기둥의 경우 는 대부분 기둥주위를 시트로 감싸는 방식으로 보강이 이루 어졌는데, 이는 띠철근이나 나선철근의 역할과 같이 기둥의 주철근을 구속함으로써 강도 및 연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 강 방법이다.2)∽4) 건설현장에서 구조물의 보강은 크게 2가지 경우로 나누어 이루어지고 있다. 첫 번째는 구조물의 증축이 나 리모델링, 용도변경, 내진성능 확보 등으로 인하여 기존의 설계하중이 증가하여 보강하는 경우이며, 두 번째는 기존구 조물이 환경적인 영향이나 물리적인 하중에 지속적으로 노출 되면서 구조물에 균열이나 변형이 발생되어 구조물이 가지고 있는 구조성능이 저하되어 보강이 필요한 경우이다. 전자의 경우는 보강하기 전에 구조물에 구조적 손상이 발생되기 전 에 이루어지는 경우이고, 후자의 경우는 구조물에 손상이 어 느 정도 진행된 상태이거나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우 이므로 동일한 보강방법이라 할지라도 전자와 후자의 보강효 과는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실제 건설현장에서의 보강은 후 자인 경우로서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된 경우에 보강이 이루 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증축이나 리모델링 등 설계하중의 증 가로 보강하는 경우는 보강의 개념보다는 FRP 시트 공법이 아닌 단면증설법이나 강판보강 등 다른 공법을 적용하거나 기둥이나 전단벽 등의 구조부재를 신설함으로써 추가된 하중 에 저항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경제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대부분의 보강에 대한 기존문헌이나 관련기준은 손상되지 않은 온전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진행해 오고 있는 실정이 며, 손상이 진행된 상태에서의 보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 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RP 시트로 보강된 휨부재 가 상단면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손상 전과 손상 후를 보 강했을 때 보강효과를 비교하고, 보강재 종류, 보강재 물성, 보강량 등 다양한 변수가 휨보강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 이론 연구계획

2.1 보강부재 선정

본 연구에 사용하고자 하는 기준실험체를 선정하기 위해 Fig.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간격이 8.1m이고, 큰 보 중간 에 작은 보 2개가 설치되어 있는 골조시스템의 기준평면을 이용하였다. 설계하중은 활하중과 고정하중의 하중조합으로 가정하였으며, 활하중은 3kN/m2, 고정하중은 자중 및 칸막 이벽 등을 고려하여 5kN/m2로 가정하였다. 콘크리트 설계기 준 압축강도 및 철근의 항복강도는 각각 24MPa, 400MPa를 적용하였다. Fig. 1에 표시된 A부재와 B 부재는 본 연구에 서 기준실험체를 결정하기 위해 선정한 것이며, 각 부재의 최대 휨모멘트(Mu)에 대한 단면크기 및 배근에 따른 설계모멘트 (ϕMn)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부재는 큰 보에 설치된 작은 보로 양단부에 모멘트가 발생 되지 않는 단순보로 가정하여 중앙부에서의 최대 휨모멘트 (Mu)는 wu ×l2/8(Fig. 2 참조)으로 산정하였으며, B부재는 기 둥과 강접합 된 고정보로 보 단부에서의 부모멘트와 보 중앙 부에서의 정모멘트 값은 각각 -2×Pu ×l/9, Pu ×l/9 (Fig. 3 참조)로 산정하였다.

Fig. 1

Standard plane for target flexural members

JKSMI-22-100_F1.jpg
Table 1

Design bending moment of selected members

JKSMI-22-100_T1.jpg
Fig. 2

Moment diagram of A member

JKSMI-22-100_F2.jpg
Fig. 3

Moment diagram of B member

JKSMI-22-100_F3.jpg

A 부재는 단순보 형태이므로 지점을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정모멘트가 발생하고, B 부재는 양단 고정보 이므로 양 단부 에서 부모멘트가 발생하고, 중앙부에서는 정모멘트가 발생한 다. 따라서 A, B 부재에 휨 보강이 필요한 경우에는 A 부재에 서는 정모멘트가 발생하는 보 하부에 휨 보강(Fig. 2 참조)을 실시하고, B 부재에서는 보 단부와 중앙부로 나누어 단부에 는 보 상부에 보강하고, 중앙부에는 보 하부에 휨 보강(Fig. 3 참조)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Fig. 2와 Fig. 3에 설계하중을 초 과하는 하중에 의해 추가된 모멘트 빗금 친 부분으로 나타내 었으며, 추가된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적절한 보강이 이 루어져야 한다.

2.2 보강 재료물성

본 연구에 사용한 보강재 및 에폭시의 재료물성은 Table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논문5)∽7)에 발표된 값을 적용하였으 며, 보강재별 응력도-변형률 관계 그래프는 Fig. 4와 같다.

Table 2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s and Epoxy

JKSMI-22-100_T2.jpg
Fig. 4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fibers5)

JKSMI-22-100_F4.jpg

2.3 기준실험체 선정 및 단면성능

2.1절에 기술한 A 부재와 B 부재 중에서 단순보인 A 부재 를 기준실험체로 하여 2.2절에 기술한 보강재의 재료물성을 적용하여 휨 보강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휨 보강 효과를 정 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강하지 않은 기준실험체의 휨 성 능과 보강한 실험체들의 휨 성능을 각각 비교하여야 한다. 본 절에서는 보강하지 않은 기준실험체에 대한 휨 성능을 파악 하기 위한 것으로 인장철근이 항복하기 전과 항복 이후의 모 멘트-곡(을 제시하고, 기준실험체의 휨 성능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파악하여 보강실험체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Fig. 5 는 기준실험체가 항복단면 일 때와 극한단면 일 때로 각각 구 분하여 각 단면에 대한 이론분석에 적용되는 값을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항복단면이란 인장철근이 항복변형( (єy)에 도달할 때 압축콘크리트는 압괴가 발생하지 않은 단계 를 말하며, 극한 단면이란 압축콘크리트가 극한변형((єcu)에 도달할 때 인장철근이 항복단면을 훨씬 지나 연성거동을 나 타내는 단계를 의미한다.

Fig. 5

Cross section and input data for theoretical analysis

JKSMI-22-100_F5.jpg

Fig. 6은 기준실험체가 항복단면일 때,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 응력도 및 하중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단계에서 인 장철근의 변형률(єs)과 콘크리트의 변형(єc)은 중립축(c)으 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고 가정하고, 철근과 콘크리트에 발 생하는 응력은 각 재료시험으로부터 얻은 응력-변형률 곡선 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Fig. 6

Strain, stress, and internal forces distribution in elastic state

JKSMI-22-100_F6.jpg

그러나 철근과 달리 콘크리트의 응력 변형률 분포는 비선 형거동을 보이기 때문에 특정 위치에서의 콘크리트의 변형률 크기, 압축응력도 및 압축력의 크기를 정확하게 산정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ig.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Hognestad8) 에 의해 제시된 응력도-변형( 곡선을 적용하였 다. 이 이론에 따르면 변형(과 응력도가 동시에 증가하면서 포물선 형태를 가지는 구간과 변형(이 증가하면서 응력이 선형으로 감소되는 구간으로 구분하며, 최대응력(fck)에 대응 하는 변형((єo = 1.8fck/Ec , Fig. 7 참조)을 제안하고, 제안식 을 이용하여 압축영역에 있는 콘크리트의 응력을 식 (1)과 같 이 구할 수 있다.

Fig. 7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modified general concrete by Hognestad8)

JKSMI-22-100_F7.jpg

(1)
f e = f c k [ 2 ( c o ) ( c o ) 2 ]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인장철근의 변형(єs)과 콘크리트 의 변형((єc)은 중립축(c)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하고, 힘의 평 형으로부터 압축력과 인장력이 같아지는 점이 중립축 길이이 다. Fig. 8은 기준실험체가 항복단면일 때 중립축 길이를 나타 낸 것으로, 인장영역에 있는 철근의 인장력(Ts)과 압축영역 에 있는 철근에 의한 압축력(Cs) 및 콘크리트에 의한 압축력 (Cc)의 합이 같아지는 점을 표시한 것으로 중립축 길이는 145.4mm로 계산되었다.

Fig. 8

Neutral axis in the elastic area(when єs =єy)

JKSMI-22-100_F8.jpg

극한단면은 KBC 20169) 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설계법과 동 일한 개념으로 Fig.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와 철근의 변형률 관계는 선형을 유지하며, 압축콘크리트 응력분포는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으로 가정하여 휨강도를 산정하였다. 항복단면에 비해 극한단면은 콘크리트의 압축변형률이 극한 변형률인 0.003에 도달되는 것으로 가정하며, 콘크리트의 응 력분포가 항복단면에서는 삼각형 형태로 가정한 반면에 극한 단면에서는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으로 가정하여 계산하였 다.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 깊이(α)는 중립축 거리(c)와 콘크 리트 압축강도 계수(β1 )의 곱으로 표현된다.

Fig. 9

Strain, stress, and internal forces distribution in ultimate state

JKSMI-22-100_F9.jpg

Table 3은 기준실험체에 대한 항복단면 일 경우와 극한단 면일 경우의 중립축 길이(c), 면일 경우의 중립축 길이 (єc, єt), 공칭모멘트(Mn) 및 곡((ϕ), 그리고 연성비(η) 등을 식 과 함께 나타내었으며, 항복단면 및 극한단면에서의 휨모멘 트에 대한 산정식은 식 (2)∼식 (5)에 자세하게 나타내었다.(3)(4)

Table 3

Theoretical values for non-strengthened specimen

JKSMI-22-100_T3.jpg

(2)
M n = ( 1 2 ( f c ) b c ( 2 3 ) ) + ( σ s ) ( A s ) ( c d ) + ( f y ) ( A s ) ( d c )

(3)
M n = C c ( d a 2 ) + C s ( d d )

(4)
C c = 0.85 f c k a b C s = ( E s s A s )

(5)
a = B + ( B 2 4 A C 2 A , A = 0.85 f c k B = ( 0.003 E s A s A s f y ) , C = 0.003 E s A s β 1 d

여기서, b; 보 폭, d; 보 유효춤, fc;압축 연단에서의 콘크리 트 응력, c;중립축 길이, s =압축철근의 압축변형률, σ s ;압축 철근의 응력, As=인장철근양, A s ;압축철근양, d′ ;압축연단 에서 압축철근까지의 길이, fck=콘크리트 설계압축강도, fy; 인장철근의 항복강도, β1=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 계수, a=등 가직사각형 응력블록, Es=철근의 탄성계수 이다.

압축철근을 고려한 복근보로 하여 산정하였으며, 분석결 과 압축철근의 상태는 항복하기 전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 10은 기준실험체의 항복단면과 극한단면의 모멘트-곡 (M-ϕ)곡선과 각 단면에서의 중립축 및 변형률 등을 같 이 나타내었으며, Table 3과 Fig.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극한 상태(186.1kN.m)에서의 휨 강도는 항복단면(179.4kN.m)에 비해 약 3.7% 높게 나타났으며, 극한상태에서의 곡((ϕu)은 38.4××10-6/mm)로 나타나 항복단면 에서의 곡( (ϕy = 6.8× 10-6/mm)에 비해 약 5.6배 높게 나타났다.

Fig. 10

Moment-Curvature curve of standard specimen

JKSMI-22-100_F10.jpg

3. 휨 보강 단면의 이론적 분석

3.1 보강 실험체의 보강 개요

보강하기 않은 기준단면에 FRP 시트로 보강했을 때 휨보 강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변수를 선정한 후 이 론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4는 이론적 분석에 사용된 총 11개 실험체의 단면크기, 보강재 종류, 보강겹수 등을 정리하 여 나타낸 것이다. Table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재 종류는 3종(CFS, GFS, PET)이며, 보강겹수는 보강재의 두께를 고려 하여 CFS와 GFS인 경우는 1겹, 2겹, 3겹으로 보강 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PET의 경우는 5겹, 7겹, 10겹, 15겹 으로 보강하였다. 연성거동을 고려하여 인장철근과 보강재의 보강근비는 최소보강근비와 최대보강근비 이내가 되도록 하 였다. Fig. 11은 항복단면일 때 모멘트와 곡률을 산정하기 위 하여 철근과 콘크리트 및 보강재에서의 변형률, 응력도 및 하 중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Fig. 12는 극한단면일 때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4

Theoretical values for the specimens

JKSMI-22-100_T4.jpg
Fig. 11

Strain, stress, and internal forces distribution in elastic state of strengthening cross section

JKSMI-22-100_F11.jpg
Fig. 12

Strain, stress, and internal forces distribution in ultimate state of strengthening cross section

JKSMI-22-100_F12.jpg

3.2 보강 실험체의 변수 해석 결과

Fig. 11과 Fig. 12에 나타낸 콘크리트의 압축하중(Cc), 압축 철근의 압축하중(Cs ), 인장철근의 인장하중(Ts ), 보강재료의 인장하중(Tf)과 중립축(c) 거리, 압축연단에서의 콘크리트 변 형률(єc) 등을 이용하여 각 실험체의 휨모멘트와 곡(을 산정 하였다.

Table 5는 항복단면, 극한단면, 보강시 실제 단면으로 나누 어 c, Cc + s, Ts + f, єc, ϕ, ϕ, Cs , Ts , Tf, c 등을 각 실험체 별로 정리 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13은 보강하지 않은 실험체(N-S)와 CFS로 보강한 실험체의 모멘트-곡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CFS로 보강한 실험체의 휨보강 효과 는 1.18∽1.50로 나타났으며, 연성은 0.82∼0.61로 감소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4는 보강하지 않은 실험체(N-S)와 GFS로 보강한 실험체의 모멘트-곡(을 비교한 그래프로 휨보 강 효과는 1.15∽1.35로 나타났으며, 연성은 0.85∼0.70 나 타났다. Fig. 15는 보강하지 않은 실험체(N-S)와 PET로 보강 한 실험체의 모멘트-곡률을 비교한 그래프로 휨보강 효과는 1.01∽1.03로 나타났으며, 연성은 0.99∼0.96 나타났다. SC-2, SG-1, SP-7 실험체(Table 5의 음영 부분)들은 보강량이 모두 동일한 실험체로 보강근비(ρf)가 0.77%인 실험체들로 휨강도는 CFS > GFS > PET 순으로 우수하고, 연성은 PET > GFS > CFS 순으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Fig. 13∽ Fig. 15의 비교그래프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Table 5에 극한단면 일 때 휨모멘트와 실제 보강이 이루어지는 단면에서의 휨모멘트 비(Ma/Mu ) 및 곡(비 (ϕa/ϕu)는 각각 1.00∼1.07, 1.00∼0.94로 나타나 현장에 서 균열이 발생한 후에 보강을 실시했을 때와 균열이 발생하기 전에 보강했을 때 결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Theoretical values of strengthened specimen for various variables

JKSMI-22-100_T5.jpg
Fig. 13

Comparison of Moment-Curvature by CFS strengthening

JKSMI-22-100_F13.jpg
Fig. 14

Comparison of Moment-Curvature by GFS strengthening

JKSMI-22-100_F14.jpg
Fig. 15

Comparison of Moment-Curvature by PET strengthening

JKSMI-22-100_F15.jpg

4. 결 론

무보강 실험체(N-S)에 CFS, GFS, PET 섬유로 보강하여 다 양한 변수 해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1) 보강하지 않은 기준실험체(N-S)의 항복단면 및 극한단 면에서의 휨모멘트는 각각 179.4kN.m, 186.1kN.m 로 거의 유 사하게 나타났으나, 곡률은 항복단면(6.8××10-6/mm)에 비 해 극한단면(38.4×10-6/mm)에 약 5.6배 크게 나타났다.

  • 2) CFS로(1겹∽3겹) 보강한 실험체(SC-1, SC-2, SC-3)의 휨 모멘트 및 곡률은 보강하지 않은 기준실험체(N-S)에 비해 휨보강 효과는 1.18∽1.50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연성은 0.82∼0.61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 GFS(1겹∽3겹) 보강한 실험체(SG-1, SG-2, SG-3)의 휨 모멘트 및 곡률은 보강하지 않은 기준실험체(N-S)에 비해 휨 보강 효과는∽1.35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연성은 0.85∼0.70 나타났다.

  • 4) PET(5겹∽15겹)로 보강한 실험체(SP-5, SP-7, SP-10, SP-15)의 모멘트 및 곡률은 보강하지 않은 기준실험체(N-S) 에 비해 휨보강 효과는 1.01∽1.03로 나타났으며, 연성은 0.99∼0.96 나타났다.

  • 5) 보강량이 모두 동일할 경우, 휨보강 효과는 파괴시 강도 가 우수한 CFS > GFS > PET 순으로 우수하고, 연성은 PET > GFS > CFS 순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 6) 극한단면 일 때 휨모멘트와 실제 보강이 이루어지는 단 면 일 때 휨모멘트 비(Ma/Mu ) 및 곡(비(ϕa/ϕu )는 각각 1.00∼1.07, 1.00∼0.94로 로 나타나 현장에서 균열이 발생 한 후에 보강을 실시했을 때와 균열이 발생하기 전에 보강했 을 때의 결과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6 학년도) 강남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 해 수행된 결과로써 이에 감사드립니다.

 

1 
(2008), Guild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Externally Bonded FRP Systems for Strengthening Concrete Structures, ACI Committee 440, American Concrete Institute, Detroit, Michigan, pp. 24-34.Google Search
2 
Aggawidjaja, D., Ueda, T., Dai, J., Nakai, H. (2006), Deformation capacity of RC piers wrapped by new fiber-reinforced polymer withlarge fracture strain,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Deformation capacity of RC piers wrapped by new fiber-reinforced polymer withlarge fracture strain,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28, 914-927. 10.1016/j.cemconcomp.2006.07.0110958-9465, 28DOI
3 
Choi, Donguk (2015), Ductile Fiber Wrapping for Seismic Retrofit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Journal of Asian Concrete Federation, Ductile Fiber Wrapping for Seismic Retrofit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Journal of Asian Concrete Federation, 1(1), 37-46. 10.18702/acf.2015.09.1.37, 1(1)DOI
4 
Hognestad, Eivind, Hanson, Norman W., McHenryc, Douglas (1995), Concrete Stress Distribution in Ultimate Strength Design, ACI Journal, Proceedings, Concrete Stress Distribution in Ultimate Strength Design, ACI Journal, Proceedings, 52(4), 475-479., 52(4)Google Search
5 
6 
Mander, J.B., Priestly, M.J.N, Park, R. (1988), Theoretical stress-strain model for confined concret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DOI
7 
Richart, F.E., Brandtzaeg, A., Brown, R. L. (1928), A study of the failure of concrete under combined compressive stresses, Bulletin, A study of the failure of concrete under combined compressive stresses, Bulletin 185, Univ. of Illinois Engineering Experimental Station, Champaign, III.Google Search
8 
Ha, Sang-Su (2017), Experimental Study on Reinforcement Effects of PET shee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Experimental Study on Reinforcement Effects of PET shee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0(3), 163-169., 20(3)Google Search
9 
Vachirapanykun, S., Lim, M. K., Choi, D. U. (2016), Seismic Performance of Circular RC Retrofitted Using Ductile PET Fiber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Seismic Performance of Circular RC Retrofitted Using Ductile PET Fiber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8(3), 289-298. 10.4334/JKCI.2016.28.3.289, 28(3)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