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비내력벽, 내화유리, 스틸 커튼월, 내화성능 시험
Non-bearing Wall, Fire Resistant Glass, Steel Curtain-Wall,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est

1. 서 론

국내 건축법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인 건축물 벽체를 내화 구조로 설치하도록 법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구획 내 화 재 발생시 화재 확산을 방지하고자 일정한 바닥 면적, 층수, 용도 등에 따라 방화구획 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방화구획의 벽체를 구성하는 구조물은 콘크리트, 방화석고보 드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닫힌 공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시 각적, 미적 관점을 고려하는 것에 어려움이 컸다(Park et al.).

근래에 들어 건축물에 대한 공간의 미관이나 활용성을 중 요시하여 시각적으로 열린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유리창 및 유리 벽체, 커튼월 등의 사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Lee, 2002) 유리 자체의 높은 열전도율에 따른 현저히 낮은 내화성능으로 인해 유리가 적용된 구조물을 방화구획 및 벽 체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국외의 경우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고자 내화성능을 지 닌 유리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 며 특정 제품의 경우 국외 건축물의 내화성능 기준을 준수하 여 방화구획 및 벽체로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유리 벽체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간혹 방화유리 재료 자체에 관한 연구 및 일반 유리가 적용된 비내 력벽에 소방시스템을 적용한 연구만 수행되었을 뿐 내화성 능을 지닌 유리 적용 방화구획 및 벽체에 과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열, 차염성능을 갖는 내화유리를 방화구획 에 사용 가능한 비내력벽에 적용하여 국내 건축물의 내화기준 에 따라 내화성능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내화성능을 평가하 기에 앞서 유리로 구성된 벽체에 관한 국내 법규 분석 및 국외 시장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시험체에 대한 시험 기준은 KS F 2257-1건축 부재의 내화 시험방법-일반 요구사항, KS F 2845유리구획 부분의 내화 시험방법에 따라 성능을 평가 하였으며, 시험체의 경우 90분 내화성능을 지닌 외벽과 60분 내화성능을 지닌 내벽으로 구성되었다. 외벽과 내벽은 각각 앞 /뒷면에 대하여 1회씩 내화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내화성능 시험 및 평가의 경우 시험체 제작 및 고온 시험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내화성능 시험 전 대상 시험 체에 대한 내화성능을 1차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 라서 추가적으로 각 시험체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결과 값과 시험에 의한 결과 값을 비교·분석하였다.

2. 국내 법규 및 국외 시장분석

2.1 국내 법규

방화구획은건축법 시행령 제46조에 따라 건축물을 일 정면적, 단위별, 층별 및 용도별 등으로 구획함으로써 화재시 일정범위 이외로의 연소를 방지하여 피해를 국부적으로 한정 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화구조의 바닥, 벽, 갑종방화문, 자동방 화셔터 등으로 방화구획을 구성해야만 한다. 방화구획 중 경 계벽에 대한 세부 사양 기준은건축물 피난 방화기준에 관 한 규칙 제19조에서 제시하고 있으나 유리를 적용한 경계 벽의 사양기준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제2항 4 (제1 호 내지 제3호의 것 외에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자 또는 한국건설기 술연구원장이 실시하는 품질시험에서 그 성능이 확인된 것) 에 따라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통과한 경우 내화구조로 사 용할 수 있도록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재료(콘크리트 및 보드)로 구성되어 있는 비내력 벽의 경우 KS F 2257-8 건축부재의 내화 시험방법-비내력 수직 구획 부재의 성능조건에 따라 내화시험 및 성능을 평 가해야 되나, 해당 규정의 경우 비내력 벽이 유리 및 강재로 구 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내력 성능 평가 기준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대상 시험체의 경우 비내력 구조물에 해당되나 KS F 2845의 유리구획 성능 평가 방법을 통해 내화성능을 평가하 였다. KS F 2845의 평가 대상 적용범위는 “건축물에 설치되 는 유리구획 부분의 한 면이 화재에 노출될 때의 내화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방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KS F 2845 규정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며, 비내력 구조물이 적용되는 부위 별로 요구되는 내화성능시간이 결정된다. 건 축물에 사용되는 비내력은 건축물 피난 방화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외벽 및 내벽으로 구 분되어 일반시설, 주거기설, 산업시설로 구분되어 최소 30분 에서 최대 120분까지 내화성능시간이 요구되고 있다.

이상 국내 법규를 분석한 결과, 국내 건축법 이하 관련 규정 에서는 유리를 적용한 비내력벽 및 경계벽에 대한 사양기준 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단, 정해진 내화성능 평가 기준에 따 라 해당 성능이 확인된 경우 해당 제품에 한하여 건축물에 적 용할 수 있으며, 시험 방법은 KS F 2845 “유리구획부분의 내 화시험방법”에서 제시하는 성능시험 방법을 통해 내화성능 을 평가하여야 한다.

2.2 국외 시장분석

국외의 경우 방화유리를 적용한 벽체를 구획 내 사용하여 기존 벽체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 있는 있으며, 방화문, 외벽, 커튼월 등 다양한 건축 재료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칸막이 벽 또는 경계벽에 콘크리트 벽체, 건식벽체, 조립식 패 널 벽체 등 일반 벽체에 사용하는 건축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 및 유리를 사용한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30 분에서 120분까지 차염성능 및 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유 리를 개발함과 동시에 고온에서 구조 프레임으로 인한 열전 달을 차단하는 기술까지 함께 개발하고 있다. Table 1은 국외 에서 개발된 유리가 적용된 경계벽 제품의 적용 사례 및 관련 규정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1

Related Code and Application of Glass walls

JKSMI-22-72_T1.jpg

3. 시험개요

3.1 시험계획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법 기준에 적합한 유리가 적용된 비내력 벽체를 실제 건축물에 적용하기 위해 실대형 내화성 능 시험을 수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평가 대상 시험체는 내 부 비내력(칸막이) 벽, 외부 비내력 벽으로 구분되며 내화성 능 시간은 60분, 90분으로 구분된다. 시험체 명에 따라 PCE는 외부 비내력벽을 의미하며 PCI는 내부 비내력벽을 의미한다. 또한 시험체 명 뒤에 표기된 60/90은 요구되는 내화성능 시간 을 의미하며 내화성능 평가 기준에 따라 시험체의 앞면과 뒷 면에 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F, B로 표기하였다. 평가 대상인 시험체 및 표기방법은 Table 2와 같이 나타내었다.

Table 2

Transcription Methods

JKSMI-22-72_T2.jpg

Fig. 1는 각 시험체의 수직 부재 상세도 및 앞/뒷면 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Fig. 2(a)는 PCE-60의 입면 및 최대온도/평 균온도 열전대를 나타내고 있으며, Fig. 2(b)는 PCE-90의 입 면 및 최대온도/평균온도 열전대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평가 대상 시험체는 크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강재 프레임과 내화 유리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내력 벽체의 유형 및 내 화시간에 따라 각기 다른 두께의 내화유리가 적용되었다. 내 부 비내력벽 중 60분 내화성능이 요구되는 시험체의 경우 29mm의 내화유리가 적용되었으며, 외부 비내력벽 중 90분 내화성능이 요구되는 시험체의 경우 58mm의 내화유리가 적 용되었다. 특이사항으로는 90분 내화성능인 시험체의 경우 내화 유리 제작 여건상 1,500mm×3,000mm의 크기로 제작이 불가하여 2단으로 분리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Fig. 1

Section of Specimens

JKSMI-22-72_F1.jpg
Fig. 2

Elevation and thermocouple positions of specimens

JKSMI-22-72_F2.jpg

PCE-90 시험체의 프레임 간 접합부에는 화재 발생시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전달을 차단해주는 방화 석고보드를 프레임 사이에 삽입한 후 볼트를 체결하여 프레임을 고정시켰다. PCI-60 시험체의 경우, 프레임 자체 내부 공간에 방화 석고보 드를 삽입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열전달을 차단해주는 방화 석고보드를 프레임 사이에 삽입하였다.

평가 대상 시험체에 사용한 내화유리는 일반유리와 달리 내화성능 및 단열성능을 지닌 유리로써 구조체 역할을 하는 강재와 함께 비내력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제품을 사용하였 다. 외부 비내력벽에 사용되는 내화유리는 요구내화성능시간 에 따라 2겹~4겹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단열성능 을 확보하기 위해 1개의 Low-E 유리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 서 사용된 외부 비내력벽의 경우 4겹의 내화유리가 적용되었 으며, 내부 비내력벽의 경우 3겹의 내화유리가 적용되었다. 내화유리 1겹은 열팽창 성능이 매우 높은 특수 유리 사이에 차열성능을 지닌 화학성분을 주입하여 상온 시 투명한 상태 로 존재하다 온도 상승 시 내부에 주입된 화학 성분이 발포하 여 비가열면으로 열을 차단한다. Fig. 3는 본 시험체에 적용된 내화유리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Fig. 3

Diagram of Fire Resistance glass

JKSMI-22-72_F3.jpg

3.2 시험 방법

대상 시험체의 내화성능 평가하고자 ISO 3009 Fire-resistance tests -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 - Glazed elements및 KS F 2845유리구획 부분의 내화시험 방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능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내화 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평가에 사용된 가열 곡선은 KS F 2257-1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준 시간-온도 가열곡선을 사용 하였으며 식 (1)과 같다.

(1)
T = 345 log 10 ( 8 t + 1 ) + 20

여기서, T는 가열온도(℃), t는 시간(min)이다.

차열성능 측정을 위한 열전대는 KS F 2845에 준수하여 위 치 등을 선정하였다. 평균온도 측정은 유리구획 윗면에 적용 한 열전대를 통해 결정되며 최고온도 측정은 시험체에 적용 된 모든 열전대를 통해 결정된다. Fig. 2은 KS F 2845에서 제 시하고 있는 열전대 설치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 대상 시험체 에 적용한 열전대를 나타내고 있다.

내화성능 평가 기준은 KS F 2845에서 제시하는 차염성능 및 차열성능으로 구분된다. 비차열 구조의 경우 차염성능만 요구되며 차열 구조의 경우 차염성능 및 차열성능을 동시에 만족하여야 한다. 차염성능은 건축 구조 부재의 한쪽 면이 가 열될 때, 화염이나 고온/가스 등의 통과 또는 이면에서의 화염 을 방지하는 성능을 의미하며 비가열면의 화염노출 및 면패 드의 착화, 균열 게이지의 관통 등으로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차열성능은 건축 구조 부재의 한쪽 면이 가열될 때, 그 건축 부 재 이면 온도가 제한값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하는 성능으로 비가열면에 적용되는 평균온도/최대온도 열전대를 통해 성능 을 평가할 수 있다. Table 3은 KS F 2845에 따른 내화성능 평 가 기준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3

Fire Resistanc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JKSMI-22-72_T3.jpg

4. 시험 결과

4.1 차염성능

내화유리가 적용된 외부/내부 비내력 벽의 내화성능 시험 을 수행하였으며 시험체 별 차염성능을 비교하기 앞서 온도 상승에 따른 내화유리의 반응 단계 및 두께에 따른 내화성능 을 분석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화유리(Contraflam) 는 내화성능 시간에 따라 적합한 두께의 유리를 적용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내화유리 한겹(유리-Interlayer)의 경우 약 30 분의 차열·차염(EI-30)성능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Interlayer에는 온도 상승시 발포하여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열재료가 주입되어 있다. PCE-90에 적용된 시험체 유리구 획의 내화성능을 예측하면 Fig. 4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 4

Analysis of fire resistance of each layer of Fire Glass

JKSMI-22-72_F4.jpg

성능 평가 시 온도 상승에 따른 내화유리의 대표적인 반응 은 Table 4와 같이 정리할 수 있으며, 각 Layer별로 거의 동일 한 반응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단계는 Interlayer에 주입 되어 있는 차열재료가 온도상승에 의해 반응하여 팽창하기 시작한다. 2단계는 차열재료의 팽창에 의해 가열면의 유리에 크랙이 발생한다. 3단계는 유리에 크랙이 발생하고 화염이 차 열재료에 직접 면하는 순간 차열재료가 급격히 발포됨과 동 시에 해당 층 전체로 변색이 시작된다. 4단계는 변색된 차열 재료가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기포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 는 기포는 차열재료의 내화성능이 한계에 도달한 것을 의미 한다. 4단계 이후 다음 층의 내화유리가 반응하기 시작하며 1 단계~4단계의 반응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Table 4

Reaction sequence of fire resistant glass by test

JKSMI-22-72_T4.jpg

유리구획의 경우 내화유리 내부에서 다양한 반응이 지속 적으로 발생하였으나, 차염성능 기준인 면패드 착화, 화염발 생, 균열 게이지 관통 등의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강재 프 레임의 경우에도 내부 및 접합부에 적용된 차열재료(방화석 고보드 및 차열재)에 의해 차염성능 기준에 따른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Table 5는 시험체 별 시간에 따른 차염성능 에 관한 특이사항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5

Test results for each specimen

JKSMI-22-72_T5.jpg

4.2 차열성능

본 시험체의 경우 비내력 구조부재로써 KS F 2845 기준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대상 구조체의 적용 범위 에 따라 차열성능의 측정 유/무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시험체 의 경우 비내력벽 기준에 의거하여 차염성능과 차열성능을 함께 측정하였다. 차열성능을 위한 열전대는 Fig 2과 같이 시 험 기준에 따라 비가열면에 부착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4.2.1 PCE-90F 차열성능

PCE-90F 시험체는 90분 내화성능이 요구되는 외부 비내력 벽에 적용 가능한 시험체로서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 로 가정하여 시험체 앞면을 가열하여 내화성능을 평가하였 다. PCE-90 앞면의 경우 뒷면에 비해 화염에 노출되는 프레임 의 면적이 5배 이상 적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높은 강재에 의 한 프레임 온도 상승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PCE-90F의 내화성능 시험 결과, 최대온도 및 평균온도의 온 도 상승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며 시험체의 최대온도는 15 번 열전대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평균/최대 온도 모두 평가기 준의 1/2이하의 온도 상승을 기록하였기 때문에 본 시험체의 경우 추가적인 내화성능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PCE-90F 시험체에 대한 차열성능 결과 값은 Fig. 5과 같다.

Fig. 5

Unexposed Surface Temperature of PCE-90F

JKSMI-22-72_F5.jpg

4.2.2 PCE-90B 차열성능

PCE-90B 시험체는 PCE-90F와 같이 외부 비내력 벽에 적 용 가능한 시험체로서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 하여 시험체 뒷면을 가열하여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PCE-90B 시험 결과, 최대 온도 및 평균온도의 온도 상승 기준 을 초과하지 않았으며 시험체의 최대온도는 16번 열전대에서 발생하였다. 시험 시작 후 15분 경과 후 16번 열전대에서 온도 가 급상승하여 약 80~90℃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80분까지 완 만한 온도 상승을 기록하였다. 시험 시작 80분 이후 온도가 상 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0분 시험 종류 시점에서는 최대 온도 118℃를 기록하였다. 본 시험체의 경우 PCE-90F와 달리 온도 급상승 구간이 약 25분 빠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화염에 많은 프레임 면적이 노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PCE-90B 시험체에 대한 차열성능 결과 값은 Fig. 6과 같다.

Fig. 6

Unexposed Surface Temperature of PCE-90B

JKSMI-22-72_F6.jpg

4.2.3 PCI-60F 차열성능

PCI-60F 시험체는 60분 내화성능이 요구되는 내부 비내력 벽에 적용 가능한 시험체로서 Fig.2 (b)와 같이 시험체 앞면과 뒷면을 임의로 지정하여 내화성능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PCI-60 시험체의 앞면과 뒷면은 접합부의 구속 여건상 비대 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PCI-60F의 내화성능 시험 결과, 최대 온도 및 평균온도의 온도 상승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며 시 험체의 최대온도는 13번 열전대에서 발생하였다. 시험 시작 후 8분 경과 후 13번 열전대에서 온도가 급상승하여 약 25분 이후 100℃를 기록하였으며 시험 종료 60분 경과 시 122℃를 기록하였다. PCI-60F 시험체의 경우, PCE-90 시험체와 달리 내부 프레임 내부에도 차열재료인 방화 석고보드가 삽입되어 있어 적은 단면적에도 불구하고 낮은 온도 상승을 기록하였 다. PCI-60F 시험체에 대한 차열성능 결과 값은 Fig. 7과 같다.

Fig. 7

Unexposed Surface Temperature of PCI-60F

JKSMI-22-72_F7.jpg

4.2.4 PCI-60B 차열성능

PCI-60F 시험체는 PCI-60B와 동일하게 60분 내화성능이 요구되는 내부 비내력벽에 적용 가능한 시험체로서 PCI-60B 의 내화성능 시험 결과, 최대 온도 및 평균온도의 온도 상승 기 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며 시험체의 최대온도는 13번 열전대에 서 발생하였다. 시험 시작 후 8분 경과 후 13번 열전대에서 온 도가 급상승하여 약 12분 이후 100℃를 기록하였다. 이후 완 만한 온도 상승이 나타났으며 시험 종료 60분 경과 시 144℃ 를 기록하였다. PCI-60F 시험체에 대한 차열성능 결과 값은 Fig. 8과 같다.

Fig. 8

Unexposed Surface Temperature of PCI-60B

JKSMI-22-72_F8.jpg

4.3 종합 내화성능 평가

내화유리를 적용한 내/외부 비내력벽의 내화성능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차염성능 및 차열성능 측정을 통해 각 시험체 에 대한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총 4회의 시험 결과 모두 차 열 비내력벽 내화성능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를 종합하면 Table 6과 같다.

Table 6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ime of Specimens

JKSMI-22-72_T6.jpg

5. 전열해석을 통한 내화성능 예측

비내력벽의 경우 건축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용도 및 높 이에 따라 30분에서 2시간까지 내화성능을 요구하게 된다. 본 연구 대상 시험체의 경우 유리로 구성되어 있어 기존 건축법 에 의한 사양적 내화 기준의 적용이 불가하기 때문에 실대형 내화성능 시험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대 형 내화시험의 경우 막대한 비용과 평가 및 제작에 수일의 시 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모든 변수에 관한 내화성능 시험을 수 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각 시험체에 대한 내화성능을 예측하기 위한 전열해석을 수 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존 내화성능 시험 결과 값과 비교·분 석하여 해석기법의 정합성을 검증하였다. 비내력 유리 벽체 의 최적 내화성능 확보를 위한 해석기법은 유한요소해석이 가능한 사용 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였으며 비내력 구조의 특성상 전열해석을 통해 각 시험체에 대한 내화성능 을 예측하였다.

5.1 고온재료물성 및 해석가정조건

5.1.1 고온재료물성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전열해석에 사용된 강재의 고온영역 재료물성 데이터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오로코드의 물성값을 사용하였으며 Table 7과 같다(Eurocode 3).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거나 접합부에 적용된 방화석도보드의 온도에 따른 열 특성 값은 기존 연구에서 실제로 수행한 데이터를 적 용하여 수치해석 입력 데이터로 활용하였으며 Table 8과 같다 (Kim et al.).

Table 7

Thermal Properties of Steel

JKSMI-22-72_T7.jpg
Table 8

Thermal Properties of Fire Resistant Board

JKSMI-22-72_T8.jpg

5.1.2 해석 가정조건

내화유리 구획의 경우 유리 내부에 적용된 차열재료에 의 해 매우 낮은 열전도율을 값을 갖고 있어 시험 결과 강재에 비 해 낮은 온도 상승을 기록하였다. 또한, 유리 내부에 적용된 차열재료의 경우 해석에 필요한 정확한 비열, 밀도, 열전도율 을 등 열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다. 따라서 본 해석에서 는 유리구획에 대한 해석을 제외하고 시험체의 내화성능을 결정짓는 강재 프레임의 단면 조건을 변수로 하여 해석을 수 행하였다.

화재에 의한 열전달은 전도, 대류, 복사의 세 가지 과정으로 나타나며, 이 과정들은 주변 환경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복 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열원 으로부터 대류 및 복사에 의해 구조물 표면부근의 온도가 상 승하고, 온도가 상승된 구조물 표면으로부터 열전도에 의해 구조물 내부로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해석에는 열전 달의 세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종방향 단면에 균 일하게 화재에 노출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해석모델의 종방 향 단면은 표준화재에 균일하게 노출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 접합부의 경우 완전접합으로 열전달 및 열유량의 손실이 없 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전열해석에서 적용된 화재 시나리오는 식(1)의 표준화 재곡선을 적용하였으며 모델 해석에 사용되는 대류 열전달 계수는 기체의 자연대류에 사용되는 2.5×10 -6을 사용하였다. 사전정의 영역(Pre-defind field)은 ABAQUS에서 선행된 해 석 결과를 이용하여 다른 해석을 수행할 경우에 사용하는 도 구이다. 본 해석에서는 초기 온도를 정하는 방법으로 사용하 였으며 초기온도는 상온인 15℃를 절대 온도로 변환하여 입 력하였다. 이상과 같은 조건으로 열전달 해석을 위한 요소의 정의와 자료를 입력하여 열전달 해석을 수행하였다.

과도상태(Transient) 열전달 해석 시 요소 타입으로는 ABAQUS에서 주로 사용되는 요소 중 8절점 열전달 해석요소 (DC3D8)를 사용하여 모델링하였다. DC3D8은 온도에 대한 자유도를 가진 8개 절점으로 이루어진 3차원 입방체로서 등 질성(Homogeneous)과 등방성(Isotropic)으로 가정한 강재와 석고보드의 구성요소로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열전달 해 석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시간에 따라 온도가 변화하는 과도상태의 기능을 사용하여 단계를 결정하였다.

5.2 열전달 해석 및 비교·분석

상기에 언급한 조건을 토대로 유한요소기법을 통한 열전달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내화성능에 영향을 주는 각 시험체 프 레임에 관한 해석 결과는 Table 9와 같다. 열전달 해석결과, PCE-90F의 경우 가열면의 프레임-프레임 연결 철물-결합부 석고보드-비가열면 프레임 순으로 온도가 전달되었으며, PCE-90B의 경우 PCE-90F의 역방향으로 온도가 전달되었다.

Table 9

Analysis Results by ABAQUS

JKSMI-22-72_T9.jpg

PCI-60F의 경우 가열면의 프레임- 프레임 내부 석고보드- 프레임 연결 철물-결합부 석고보드-비가열면 프레임 순으로 온도가 전달되었으며, PCI-60B의 경우 PCI-90F의 역방향으 로 온도가 전달되었다. 실대형 시험 결과 각 시험체의 최대온 도 발생 지점에서의 해석 결과와 시험 결과 값을 비교하여 해 석기법의 정합성을 검증하였으며 Fig. 9와 같다.

Fig. 9

Heat Transfer Results VS Test Results

JKSMI-22-72_F9.jpg

비교·분석결과, PCE-90F 시험체의 경우 시험 시간 40~50 분 구간에서 시험 결과 및 해석 결과의 오차가 약 30℃ 발생하 였으나, 시험 종료시점에서는 비가열면 프레임에서 큰 오차 가 발생하지 않았다. PCE-90B시험체의 경우 시험 시작 후 약 40분까지 약 10℃의 오차가 발생하였으나, 이후 시험 종료시 점까지는 큰 오차가 발생하지 않았다. PCE-90 시험체는 시험 시작 후 약 50분까지 완만한 온도 상승을 나타내며 이후 온도 가 급상승하여 100℃ 도달 후 방화석고보드의 차열성능에 의 해 완만한 온도 상승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CE-90 시험체에 나타난 해석 및 시험 결과값의 오차는 강재 프레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층의 온도상승(복사열)으로 인한 영향 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최대 40℃ 이상의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단, 본 연구에서는 내부 공기층에 의한 열 전달은 비가열면의 온도상승에 미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이를 배제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PCI-60의 경우 프레임 두께가 PCE-90보다 얇기 때문에 좀 더 빠른 온도 상승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PCI-60F 및 PCI-60B에 대한 해석결과 시험 시작 후 약 10분 후 온도가 급 상승하여 약 100℃ 도달한 후 방화석고보드의 차열성능에 의 해 완만한 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시험 및 해석결과를 비교한 결과 큰 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1차적인 해석결과 값을 통해 시험체의 내화성능을 예측할 수 있어 합 리적으로 단면 형상 및 차열재료 등을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6. 결 론

현재 건축물을 구성하고 있는 비내력벽의 경우, 콘크리트 및 보드 등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재료를 사용하여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비내력벽에 대한 시 각적·미적 관점에 대한 요구가 점차적으로 증가 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 및 실 건축물 적용사례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내화 유리를 적용한 비내력벽을 제작하고 내화시험을 통한 성능 검증 및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전열해석을 수행하여 비내력벽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1) 내화유리가 적용된 외부, 내부 비내력벽 시험 결과 요구 내화시간 60분 및 90분에 적합한 내화성능을 갖고 있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특히 외부 비내력벽인 PCE-90 시험체의 경우 시험 종료 90분 경과 시 차열성능 평가 기준 온도에 약 1/2에 도달하여 추가적인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되었다. 또한 본 시험체에 적용한 내화유리의 화재시 반응 단 계를 분석·정리하여 90분 이후 시험체 적용 시 필요한 유리의 두께를 1차적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 2) 전열해석을 통해 각 시험체의 시험결과 값과 비교하였 으며 그 결과 온도-시간에 따른 시험체의 비가열면 상승 온도 경향을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PCE의 경우 90분 시험 경과 후 온도 오차가 약 10℃ 내외로 미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후 개발되는 120분 시험체에 대한 온도 예측이 가능하여 보다 경제성 있는 제품의 단면 및 차열재 등 재료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도시건축연구사업의 연구비 지원 (과제번호:18AUDP-B100356-04)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1 
(2005), Design of Steel Structure Part 1.2: General Rules Structural fire design, 20-26Google Search
2 
Hwang, K. J. (2013), Determination of the Fire Protection Thickness of CFT Column Using Heat Transfer Analysi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Determination of the Fire Protection Thickness of CFT Column Using Heat Transfer Analysi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9(6), 65-72, 29(6), 65-72.Google Search
3 
Kim, H. J. (2009), An Analytical Study on Optimal Shape Condition of Modular Beam Using Fireproof Boar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An Analytical Study on Optimal Shape Condition of Modular Beam Using Fireproof Boar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5(7), 3-12 10.5659/JAIK_SC.2014.30.7.3, 25(7), 3-12.DOI
4 
(2013), Fire Resistance Test for Glazed ElementsGoogle Search
5 
(1999), Fire resistance tests -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 - Part8 : Specific requirements for load non-bearing vertical separating elementsGoogle Search
6 
(2014), Methods of Fire Resistance Test for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 General RequirementsGoogle Search
7 
(2015), Method of Fire Resistance for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 Specific Requirements for Non-loadbearing Vertical Separating ElementsGoogle Search
8 
Lee, D. Y. (2002), A Study on Visual Standards for Aesthetic Beauty Evaluation of Man-Made Creatures : A Case Study on Residential Housing Scen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A Study on Visual Standards for Aesthetic Beauty Evaluation of Man-Made Creatures : A Case Study on Residential Housing Scen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8(4), 89-98, 18(4), 89-98.Google Search
9 
Park, S. Y. (2012), The Study for the Fire Resistance on the Window Walls with Fire Resistance Glass and Fram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The Study for the Fire Resistance on the Window Walls with Fire Resistance Glass and Fram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8(9), 67-74, 28(9), 67-74.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