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선
(Ji-Sun Park)
1*
송태협
(Tae-Hyeob Song)
2
이정윤
(Jung-Yoon Lee)
3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GFRP 보강근, 외피형상, 부착성능, 부착 해석모델
Key words
GFRP rebar, Surface type, Bond performance, Analytical bond model
1. 서 론
Bertero, Popov 그리고 Eligenhausen(1983)이 제안한 이형 철근과 콘크리트에 대한 대표적인 부착 해석모델(이하, BPE 모델이라 한다.)은 실제 부착거동과 유사한 해석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실험
없이 콘크리트부재의 부착거동을 예측하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GFRP 보강근과 콘크리트의 부착거동은 GFRP 보강근이 구성재료, 배합방법,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외피형상과 물리·역학적인 특성을 지닐 수 있어 등방성의 이형 철근과 달리 각 보강근별로 상이하게 나타나 므로 통합된 부착 해석모델을
제안하는 데는 제약이 있다. 다 양한 GFRP 보강근의 부착거동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선 행 연구자들은 기존의 BPE 모델을 일부 수정하거나 수치해석
을 근거로 한 해석모델을 제안하였다. 전자는 다수의 매개변 수를 포함하고 있어 설계자가 적용하기 어렵고 후자는 수치 해석을 근거로 한 해석식으로 GFRP
보강근과 콘크리트의 부 착 메커니즘이 반영이 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부착 해석모델은 전술한 선 행 부착 해석모델의 단점을 보완하여 GFRP 보강근과 콘크리 트의 부착 메커니즘을 반영하되,
매개변수의 수를 줄여 상대 적으로 적용이 용이한 해석모델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 한 모델의 적합성은 정규화(normalized)한 부착실험값과
비 교를 통해 평가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부착 해석모델과 의 비교도 함께 수행하였다.
2. GFRP 보강근의 부착 해석모델
GFRP 보강근의 부착해석 모델은 Malvar(1994)가 콘크리 트 실린더에 구속압을 가하여 부착성능을 평가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수치해석한 Malvar 모델과 BPE 모델을 GFRP 보강 근의 재료적
특성에 맞춰 Faoro(1992), Alunno Rosetti 등 (1995), Cosenza 등(1996)이 제안한 수정 BPE 모델, 그리고 Cosenza, Manfrei 그리고 Realfonzo (1995)가 제안한 모델(이 하, CMR 모델이라 한다.) 및 Cosenza 등 (1997)이 다시 수정 하여 제안한 수정 CMR 모델이 있다.
2.1 Malvar 모델
Malvar(1994)는 4종류의 GFRP 보강근을 대상으로 횡구속 압을 변수로하여 직접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제안한 부착 해석모델은 식(1)과 같다.
여기서, τm, sm은 각각 최대 부착응력 및 최대 부착응력 도 달시의 미끌림값이다. F, G는 GFRP 보강근의 종류에 따라 고유의 값을 가지는 상수로서 실험값을 토대로 산정하는 값 이다.
2.2 BPE 모델 및 수정 BPE 모델
BPE 모델에서 제안하는 부착응력-미끌림관계는 Fig. 1과 같으며 구간별로 관계식은 식(2)와 같다.
Fig. 1
Bond stress-slip of BPE series and CMR series Model
여기서, s1은 최대 부착응력 도달시의 미끌림, s2는 최대 부 착응력 도달 후 최대 부착응력이 일정하게 지속된 후 부착응 력의 감소가 시작되는 미끌림, s3는 잔류부착응력이 시작되 는 미끌림이이다. α는 실험값을 토대로 수치해석한 매개변수 값으로써 1보다 작은 값이어야 하며 s2, s3 그리고 τ3 또한 실 험값에 따라 조정된다.
Cosenze 등(1996)은 식(2)의 부착 해석모델에서 GFRP 보 강근은 부착응력이 일정하게 발휘되는 구간을 배제하고 부착 응력의 하강구간에서 GFRP 보강근의 마디부에 대한 연화효
과를 고려하여 Fig. 2와 같은 부착응력-미끌림 관계를 제안하 고 부착 해석모델을 식(3)과 같이 수정제안 하였다.
Fig. 2
Chosen GFRP rebar in this study
여기서, p는 매개변수로 실험값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2.3 CMR 모델과 수정 CMR 모델
CMR 모델은 구조물의 구조적인 사항에 대한 고려는 대부 분 사용하중 상태에서 수행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최대 부착 응력에 도달하는 구간만을 고려하여
제안한 모델이다. 부착 응력-미끌림 관계는 Fig.3과 같다. 관계식은 식(4)와 같다. 수 정 CMR 모델은 CMR 모델에서 매개변수값을 일부 수정하여 제안하였으며 관계식은 식(5)와 같다.
Fig. 3
Bond behavior of spiral GFRP rebar
여기서, sr과 α, β는 실험값으로부터 구한 매개변수이다.
3. GFRP 보강근의 부착메커니즘 분석
GFRP 보강근의 부착거동은 화학적 접착력, 표면과의 마찰 력, 마디부의 지압력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저항력은 외 피형상에 따라 크기와 역할이
달라진다. GFRP 보강근은 재료 의 배합과 용도, 제조방법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상의 보강 근이 생산될 수 있다. 이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상용화 되어 사용중인 Fig. 2의 나선형과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을 대상으로 외피형상에 따른 부착메커니즘을 분석하고 부착 해석모델에 반영하고자 한다.
3.1 나선형 GFRP 보강근
나선형 GFRP 보강근은 Fig. 2(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 피에 tow 형태의 섬유가 감싸고 외곽으로 듬성듬성 모래알갱 이가 코팅되어 있다. Fig. 3은 Kim 등(2008)이 수행한 부착시 험 자료를 바탕으로 나선형 GFRP 보강근의 외피형상에 따른 부착거동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부착거동을 ①부착응 력 상승구간
②부착응력 하강구간 ③부착응력 잔류구간으로 구분하여 외피의 형상과 부착메커니즘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① 부착응력 상승구간
거동 초기에 화학적 접착력으로 부착력이 발휘되고, 다음 으로 외피에 코팅된 모래와의 마찰력, 이후는 외부 토우(tow) 로로 형성된 마디부에 의한
지압력으로 부착력이 발휘된다.
② 부착응력 하강구간
이형철근이 풀아웃 파괴시에 마디부의 손상 없이 보강근을 둘러싼 콘크리트가 파괴되는 것과는 달리, 나선형 GFRP 보강 근은 철근에 비하여 마디의 강도가
낮기 때문에 마디의 손상 이 주변 콘크리트의 파괴와 함께 진행된다.
이형 철근이 주변 콘크리트의 파괴로 인하여 급격하게 부 착 응력이 감소되는 것과 달리 GFRP 보강근의 주변 콘크리트 는 점진적으로 파괴하며 부분적인
마디 손상 또한 발생한다.
Fig. 4는 풀아웃 파괴된 나선형 GFRP 보강근과 주변 콘크 리트부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나선형 GFRP 보강근의 부분 적인 마디 손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주변 콘크리트의 일부 파 괴도 확인할 수 있었다. 콘크리트의 취성파괴로 인한 이형 철 근의 부착파괴 보다 GFRP 보강근이 낮은 전단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GFRP 보강근이 부분 손상이 발생시 부착 응력의 감소 는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게 된다.
Fig. 4
Spiral GFRP rebar condition after pullout test
③ 부착응력 잔류구간
이형철근의 부착거동과 동일하게 마찰력이 작용하는 구간 으로 정의하되 나선형 GFRP 보강근에서는 부착상승 구간에 서 발휘된 지압력을 제외한 나머지
응력으로 간주하였다.
Table 1은 Kim 등(2008)이 나선형 GFRP 보강근에 대하여 부착시험을 수행한 값이다. 모든 시험체는 슬립 파괴되었다. Table 1에서 잔류부착응력은 Fig. 3의 부착거동을 참조하여 부착응력 상승구간에서 발휘되는 지압력이 상쇄되는 지점에 서의 부착응력으로 산출하였다. 잔류응력의 분포 범위는 부 착강도 대비
약 67~88%의 범위에 분포하였다.
Table 1
Ratio of bond strength versus stress of spiral GFRP rebar
3.2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은 Fig. 2(b)에서와 같이 보강근 의 표면에 모래알갱이가 촘촘하게 코팅되어 있다. 따라서 모 재와 코팅된 모래알갱이 자체의 부착력과 코팅된 모래와 주 변 콘크리트
부착력의 크기에 따라 부착성능이 발휘된다.
Kim 등(2008)의 부착시험을 바탕으로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의 외피형상에 따른 부착거동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면 Fig. 5와 같다. 나선형 GFRP 보강근의 부착거동과 비교하여 부착강도 도달시의 미끌림 발생이 현저하게 낮고 부착응력 감소가 취성적인 거동을 나타내었다.
Fig. 5
Bond behavior of sand coated GFRP rebar
① 부착응력 상승구간
마디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압력을 제외한 접착력과 마찰력에 의하여 부착력이 발휘되었다.
②부착응력 하강구간
코팅된 모래입자의 박락과 주변 콘크리트의 전단파괴가 함 께 진행되기 때문에 나선형 GFRP 보강근과 비교할 때, 상대 적으로 급격한 기울기로 부착응력의
감소가 발생하게 된다. Fig. 6은 풀아웃 파괴후 시험체의 단면을 절단하여 모래분사 형 GFRP 보강근의 상태를 관찰한 것이다.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의 상태는 모래입자의 손상과
부분적으로 모재와 표면 코팅재를 입히기 위한 수지층이 일부 박리된 것을 동시에 확 인할 수 있다.
Fig. 6
Sand coated GFRP rebar condition after pullout test
③ 부착응력 잔류구간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의 부착응력 잔류구간은 이형철 근의 부착 해석모델에서와 동일하게 마디부 부분 파괴이후 콘크리트와 남은 잔존 마디와 파괴된
마디 부분과 콘크리트 와의 마찰력이 작용하는 구간이다. 따라서 잔류응력이 시작 되는 시점은 부착응력 상승구간에서 모래분사형 GFRP 보강 근의 마찰력이
발휘된 크기가 상쇄된 지점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근러로 잔류부착응력의 분포를 살펴보면 부착강도 대비 약 약 76~91%범위에 분포하였다. Table
2
Table 2
Ratio of bond strength versus stress of sand coated GFRP rebar
Table 4에서는 Kim 등(2008)이 수행한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에 대한 부착시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모든 시험체 는 슬립 파괴되었다.
Table 4
Parameter p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spiral GFRP rebar
4. 외피형상에 따른 GFRP 보강근의 부착 해석모델 제안
4.1 부착 해석모델제안을 위한 가정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부착 해석모델은 BPE 모델의 부착 거동과 같이 ①부착응력 상승구간 ②부착응력 하강구간 ③부 착응력 잔류구간으로 구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단, 각 구간 별 부착거동은 단순히 실험결과와 수치해석에 의한 제안이 아니라 GFRP 보강근의 외피형상에 따른 부착메커니즘을 고 려한 해석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부 착해석식 은 식(6)과 같다.
식(6.a)는 GFRP 보강근의 부착응력 또한 이형 철근과 마찬 가지로 화학적 접착력, 마찰력, 지압력이 발휘되는 동일한 메 커니즘으로 작용되므로 BEP 모델식에서의
부착응력 상승구 간 해석식과 유사하게 제안하였다. 다만, 매개변수 α값의 조 정을 통해 GFRP 보강근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CMR 모델과 같이 상대적으로 복잡한 지수방정식을 사용하 지 않더라도 부착상승구간에서의
부착저항 메커니즘을 표현 할 수 있다.
식(6.b)는 선행 BEP 모델 활용 부착 해석모델에서는 이형 철근과 같이 부착응력의 감소를 선형으로 감소하는 거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안하고 있으나 실제
GFRP 보강근의 부착 거동을 살펴보면 나선형 GFRP 보강근은 Fig.3처럼 완만한 곡 선형의 응력감소를 나타낸다. 따라서 매개변수 p와 β를 사용 함으로써 하나의 해석식으로부터 나선형과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의 거동을 포괄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식(6.c)는 기존의 해석모델식에서는 잔류응력에 대한 크 기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정규화한 부착응력값을 기준으로 잔류응력의 대략적인 범위를
제안 하였다.
4.2 보강근의 외피형상별 매개변수 제안
식 (6)에서 α, β, p는 매개변수이다. 이중 β는 식(6.a)에서
τ
τ
1
=
y
,
s
s
1
=
x
로 치환하면 식(6. a)는 y = 1 - p(x - 1)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나선형 GFRP 보강근은 부착 응력의 감소가 2차방정식의 곡선과 같이 포물선 형태로 감소 하므로 β = 2로 산정할 수 있다. 한편 모래분사형은 응력의 감소가 1차방정식의 곡선과 같이 직선형 감소구간을 나타내 므로 GFRP 보강근은 1차방정식의
곡선으로 간주하면 식(6) 에서 β = 1로 제안할 수 있다.
매개변수 α와 p는 특정 범위내의 값을 대입하여 산정한 부 착응력값과 실험값을 정규화(normalized)한 값을 비교하여 결정계수 R2이 가장 높은 값으로 산정하였다. 여기서 R2은 0 과 1사이의 값을 가지며 R2 = 1일 경우는 모든 표본 관측치 가 추정된 회귀선 상에만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R2 = 0은 추 정된 회귀선이 변수 사이의 관계를 전혀 설명해 주지 못함을 의미한다. 즉, 결정계수의 값이 높을 수록 높은 상관관계를 가 진다.
4.3 보강근의 외피별 매개변수
4.3.1 나선형 GFRP 보강근
매개변수 α는 0과 1사이의 값을 가지며 이 연구에서는 0.05 에서 0.80 사이의 값을 대입하였다. 대입한 매개변수에 대한 적합성은
τ
τ
1
과
(
s
s
1
)
α
의 상관관계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τ, τ1, s, s1은 Kim 등(2008)이 수행한 10개의 직접인발시험 값을 대 입하여 정규화하였다. Table 3에서는 대입한 매개변수별 R2 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부착시험체의 부착응력-미끌림 값 을 대상으로 α = 0.17에서 10개의 시험체중 7개의 시험체가 가장 높은 결정계수를 나타내었다. Fig.7은 부착시험값과 매 개변수 α를 대입하여 구한 해석값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α = 0.17일 때, 부착응력 및 미끌림 값은 시험값과 가장 유사 한 거동예측을 하였으며 α=0.05, 0.10, 0.15에서는 시험값보 다 상회하는 값을 α=0.20, 0.50, 0.80에서는 시험값보다 하회 하는 분포를 나타내었다.
Table 3
Parameter α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spiral GFRP rebar
Fig. 7
Parameter α compatibility checking of spiral GFRP rebar
매개변수 p는 0과 1.5사이의 값을 가지며 이 연구에서는 0.05에서 1.50 사이의 값을 대입하여 산정한
1
−
p
(
s
s
1
−
1
)
β
와
τ
τ
1
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최적의 β값을 도출하였다. Table 4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범위 내에서 대부분의 매개변수 에서 유사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Fig.8의 Kim 등 (2008)이 수행한 부착응력-미끌림 시험값과 매개변수 값을 대입하여 구한 부착응력-미끌림 해석값을 비교하면 p=0.150 에서 시험값에 가장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었다. p=0.150미만 의 값에서는 해석값이 시험값을 과대평가하였고 p=0.150를 초과하는 값에서는 해석값이 시험값을 과소 평가하였다. 따 라서 이 연구에서는 나선형 GFRP 보강근의 매개변수 p =0.150로 선정하였다.
Fig. 8
Parameter p compatibility checking of spiral GFRP rebar
4.3.2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의 최적의 매개변수를 구하는 방 법은 나선형 GFRP 보강근과 동일하다. 매개변수 α는 0 < α < 1사이의 값을 가지며 각 매개변수를 대입하여 산정 한
(
s
s
1
)
α
와
τ
τ
1
와의 결정계수를 이용하여 적합성을 비교하였 다. 나선형 보강근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2=0.61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결정계 수는 Table.5에서 음영으로 나타낸 바와 같다. R2=0.61 이상 의 값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α = 0.50, 0.80에서 가장 많은 횟 수를 나타내었다. Fig.9에서는 실험체와 매개변수 α값을 대 입하여 구한 해석값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Table 5
Parameter α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sand coated GFRP rebar
Fig. 9
Parameter α compatibility checking of sand coated GFRP rebar
매개변수 p는 0 < p ≤ 0.15 사이의 값을 가지며 각 매개변 수를 대입하여 산정한
1
−
p
(
s
s
1
−
1
)
β
와 실험값으로 구한
τ
τ
1
와의 결정계수를 이용하여 적합성을 비교하였다. R2=0.61 이 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결정계수는 Table 6에서 음영으 로 나타낸 바와 같다. R2=0.61 이상의 값을 기준으로 모든 범 위의 결정계수에서 동일한 횟수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Fig.10에서는 실험체와 매개변수 p값을 대입하여 구한 해석 값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이중 시험값보다 부착강도를 낮 게 예상하는 매개변수 값은 제외하고 나머지 매개변수 값 중 에서
동일한 R2을 가지는 매개변수 중 설계자가 적용하기에 용이한 값으로 p=0.10을 선정하였다.
Table 6
Parameter p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sand coated GFRP rebar
Fig. 10
Parameter p compatibility checking of spiral GFRP rebar
4.4 제안 부착 해석모델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GFRP 보강근별 해석모델은 부착거 동을 이형 철근과 같이 부착상승구간, 부착하강구간, 잔류응 력구간으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부착 해석모델에서 매개변 수는 α, β, p이며 β는 수치해석 없이 구할 수 있으며 나선형 GFRP 보강근과 같이 2차방정식의 포물선 곡선과 같이 감소 하는 경우에는 β=2이다.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과 같이 1 차방식의 직선형으로 감소하는 경우에는 β=1이다.
매개변수 α, p는 보강근의 부착거동으로부터 예상되는 매 개변수 값의 범위에서 분절하여 수치해석을 하고 시험값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값으로 선정하였
다. 나선형 GFRP 보강근의 α=0.15, p=0.15이며,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의 α=0.20, p=0.10이다. Fig. 11에 보강근별 부 착응력-미끌림 관계를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Fig. 11
Proposed analytical model
5. 제안 부착 해석모델의 적합성 검증
제안한 부착 해석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실험결과와 제안 부착 해석모델의 해석값을 비교하였으며 수 정 BPE 모델과 CMR 모델의 해석값도
함께 비교하였다. 적합 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한 대조용 시험값은 Park 등(2008) 과 Lim(2013)의 직접인발시험체의 부착응력-미끌림값이다. Park 등(2016)의 연구에서 사용한 부착시험체 재료는 D13의 나선형 GFRP와 모래분사형 GFRP 이며 콘크리트 압축강도 는 30 MPa이다. Lim(2013)의 연구에서 실험대상으로 한 GFRP 보강근은 D19의 나선형 GFRP와 모래분사형 GFRP 이 며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40 MPa이었다.
5.1 나선형 GFRP 보강근
나선형 GFRP 보강근에 대하여 실험값과 해석값에 사용된 매개변수값은 Table 7과 같다. 수정 BPE 모델과 CMR 모델에 사용한 매개변수값은 Cosenza 등(1995)의 연구에서 사용한 매 개변수 값을 적용하였다. 실험값과 해석값의 비교는 Fig.12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해석값이 실험값에 가장 근사하게 부착응력을 예측하였다.
Table 7
Parameter data of analytical for spiral GFRP rebar
Fig. 12
Bond behavior comparison of test and analytical models for spiral GFRP rebar
5.2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에 대하여 실험값과 해석값에 사 용된 매개변수값은 Table 8과 같다. 제안 모델에서의 매개변 수값은 α=0.10, p=0.03이며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은 부 착하강 구간에서 선형으로 감소하는 거동을 고려하여 β=1로 제안하였다. 수정 BPE 모델과 CMR 모델에 사용한 매개변수 값은 Cosenza 등(1995)의 연구에서 사용한 매개변수 값을 적 용하였다.
Table 8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의 해석모델에서 사용한 매개변수 값
실험값과 해석값의 비교는 Fig.13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해석값이 실험값에 가장 근사하게 부착응력을 예측하였다. 부착상승구간에서는 수정 BPE
모델과 제안식은 실험값과 유사하게 거동을 예측하 였다. 부착하강구간에서 제안 모델은 일부 실험체에 잔류응 력을 높게 예측하였으나 비교 대상 모델 중
실험값과 가장 유 사한 거동을 나타내었다. 수정 BPE 모델에서는 응력의 하강 의 기울기가 상당히 크게 발생하면서 유효범위 값을 벗어나 게 되었다.
CMR 모델은 부착강도를 약 80%정도로 과소평가 하는 예측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부착하강구간에 대한 해 석식이 부재하여 비교가 불가하였다.
Fig. 13
Bond behavior comparison of test and analytical models for sand coated GFRP rebar
6. 결 론
-
(1)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부착 해석모델은 부착상승구간에 서는 이형 철근의 부착거동과 동일하게
τ
τ
1
=
(
s
s
1
)
α
의 관 계를 가진다. 부착응력 하강구간에서는 이형 철근의 거동 과 기존 BPE 모델과 달리 모래분사형과 복합형 GFRP 보 강근과 같이 선형감소거동과
나선형 GFRP 보강근과 같이 완만한 감소거동을 포괄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τ
τ
1
=
1
−
p
(
s
s
1
−
)
β
과 같이 제안하였다. 여기서, 나선형 GFRP 보강근의 매개변수 값은 α=0.15, β=2, p=0.15, 모래 분사형 GFRP 보강근의 매개변수 값은 α=0.10, β=1, p =0.15, 복합형 GFRP 보강근의 매개변수 값은 α=0.20, β =1, p=0.03으로 제안하였다. 잔류 응력 τ3은 부착응력상승 구간에서 최종단계의 부착응력이 상쇄된 응력으로 가정하 였으며 부착강도를 기준으로 나타내면 나선형과 모래분사 형 GFRP 보강근 모두
τ3 ≈ 0.8τmax로 산정되었다.
-
(2) 제안 부착 해석모델의 적합성 검토를 위하여 제안 해석모 델과 수정 BPE 모델 및 수정 CMR 모델을 대상으로 타 연 구자의 부착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이 연구에 서 제안한 부착 해석모델이 시험결과와 가장 근사하게 예측 하였다. 그러나 향후 GFRP 보강근의 부착길이, 횡구속압 등을 포함한
GFRP 보강근의 부착에 영향을 끼칠수 있는 다 양한 요인을 고려한 해석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