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E-PAD, 안전점검, 상태평가, 외관조사
E-PAD, Safety inspection, Condition evaluation, Visual survey

1. 서 론

시설물의 안전점검은 Fig. 1과 같이 시설물의 물리적⋅기 능적 결함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 하기 위하여 구조적 안전성과 결함 원인 등을 조사, 측정, 평 가하고 보수보강 등의 방법을 제시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 중 시설물의 물리적⋅기능적 결함을 초기에 발견하는 외관조 사의 중요성이 국내외로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과 매뉴얼 등이 제시되고 있다(Park and Sun, 2015).

Fig. 1

Flow chart of safety inspection

JKSMI-23-4-1_F1.jpg

현재 외관조사 과정은 자료처리 및 다양한 형식의 보고서 제출을 위한 중복작업으로 매우 비효율적이다. 또한, 외관조 사 결과를 한국시설안전공단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 부지침’에 따라 시설물에 발생한 손상 평가를 하고 있으나 적 용기준이 일부 명확하지 못한 경우가 있어서 안전진단 전문 기관과 책임기술자의 주관에 따라 평가 방식을 다르게 적용 함으로써 평가 결과에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 기도 하다. 그럼에도 외관조사 단계의 시스템 개발 연구는 아 직까지 극히 미미한 실정이며 한국시설안전공단, 한국건설기 술연구원 등에서 선행 연구를 수행한 적이 있으나 실무에 거 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그간의 연구가 주로 보고서 작성을 목적으로 한 내업 위주로 진행되어 상대적으 로 외관조사를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이 취약하다.

따라서 시설물 외관조사 시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일련의 과정을 간소화하고 손상정보를 효과적으로 취득 및 관리할 수 있는 E-PAD 기반 상태평가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1.1 동향 및 사례

시설물 상태평가를 위한 정형화된 안전점검 매뉴얼은 우리 나라에만 존재하고 있어, 본 연구와 관련된 국외 기술을 확인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주요국을 중심으로 스마트 건 설기술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 Big data, IoT, Wearable 장비 등을 개발하여 현 장관리에 활용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생산성⋅안전성을 향상 하고 있으며, 영국의 경우 ‘Construction 2025’를 통해 건설 산 업 혁신방안으로 건설 산업의 스마트화 강조 및 디지털기술 활 용 확대를 제시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전설과정에 ICT장비 등 신기술을 활용해 건설 자동화 및 무인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선진국은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건설 분야에서 그 효과를 확인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건설 분야 중 공정관리에 첨단 기술 기반 건설사업관리시스템(PMIS)을 구 축하여 이를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KT의 경우 모바일 기반 건설사업관리시스템(Mobile PMIS)을 개발하여 Office와 Field가 하나로 통합된 영역으로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Fig 2는 KT Mobile PMIS 개념도이다.

Fig 2

KT Mobile PMIS Concept

JKSMI-23-4-1_F2.jpg

또한, 앞서 언급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모바일 기반 현장조사 프로그램(Mobil App. for Bridge Inspection; MABI) 을 개발하였으나 단순히 점검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수준 에 머물러 있다. 이는 현장에서 점검결과를 시특법 평가기준 에 의해 자동 상태평가 하는 E-PAD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다. Fig 3은 모바일 기반 현장조사 프로그램 개념도이다.

Fig 3

Mobil App. for Bridge Inspection

JKSMI-23-4-1_F3.jpg

1.2 시설물 점검제도 현황

우리나라는 국토교통부 소관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시특법)과 행정안전부 소관재난 및 안전관 리 기본법(이하, 재난안전법)에 따라 ‘1⋅2종 시설물’과 ‘특정관리대상시설’로 시설물을 구분하여 안전점검 및 유지 보수 업무를 수행해 왔다.

그러나 산업화와 도시화로 시설물의 종류가 늘어나고 그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시설물 안전관리에 사각지대가 발생하 였고, 이에 정부는안전혁신 마스터플랜(2015년 3월 30일 공표) 수립을 통해 시설물 안전관리 일원화 방안을 제시하였 다. 이를 통해 기존 시특법을 전부 개정한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시설물안전법)을 2018년 1 월 18일 시행해 재난안전법상의 ‘특정관리대상시설’을 시설 물안전법상의 ‘3종 시설물’로 편입시켰으며, 안전점검 업무 를 국토교통부로 일원화하였다(Song and Park, 2016).

이처럼 국가 주요 시설물의 안전점검 업무가 일원화됨에 따라 업무 효율성과 전문성 강화 등의 효과가 기대되고 있으 나, SOC 관련 예산의 지속적 감소와 시설물 노후화가 진행되 고 있어 시설물 안전 확보를 위한 기술적 대책이 필요한 상황 이다(Kim, 2018).

1.3 문제점 분석

종래의 외관조사는 시설물을 구성하는 각 부재별로 외관조 사망도(이하, 망도)를 인쇄하고 현장에서 점검자가 부재에 발 생한 손상을 망도에 기록한다. 추후 내업을 통해 손상 망도를 전자파일로 도면화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현장에서 망도에 수기로 기 입하고, 내업에서 도면화하는 작업에서 손상 규모 및 위치 오 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균열 및 손상에 대하여 조사자의 주관 적 견해가 반영될 수 있다.

또한, 각 점검 차수마다 기록된 손상 정보의 관리가 어려워 점검자가 발견한 구조물의 손상이 이전 점검 일시와 당해 점 검 일시 사이에 생성된 것인지 또는 이전 점검 일시에 이미 생 성되었으나 기록이 누락된 것인지에 대한 관리가 어려운 문 제점이 있다. 또한, 점검자가 종이로 인쇄한 망도에 손상 내용 을 기록하고, 손상 관리를 위해 이를 다시 전자 망도에 옮겨 기 록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손상의 종류에 따라서 일일이 서로 다른 모양의 손상 전자 망도를 수작업으로 도면화해야 하므 로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지자체 담당 공무원의 잦은 인사 이동 및 비전문가가 시설물 관리를 담당하게 되는 경우가 있 어 시설물 관리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외관조사의 비효율성, 점검자의 전문성 부 족, 점검 기록 누락, 오류 등의 문제 극복이 필요하다.

1.4 안전점검 방법 및 개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설물 안전관리 일원화로 시설물 의 전문적 관리가 기대되고 있으나, 기존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외관조사 방법은 전문성이 부족하고 비효율적이며, 데 이터 오류 및 데이터 보존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외관조사 방법의 문제와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태블릿 PC를 활용한 E-PAD 기반 상태평가 시스템을 Fig 4와 같이 제안하였으며, 기존 방법과 제안 방법을 비교하였다. 기존방법은 사전준비(시설정보 확 인 및 도면인쇄 등)단계, 외관조사(종이망도 작성, 사진촬영) 단계, 내업을 통한 결과 도출(망도 도면화 작업 및 상태평가) 단계로 정리된다. 제안 방법은 사전 준비과정이 필요 없으며,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결과 및 손상평가가 가능하며, 내업을 최소화하여 안점점검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Fig 4

Comparison of existing method and proposal method

JKSMI-23-4-1_F4.jpg

Fig 5는 E-PAD 상태평가 시스템 실시 단계로 외관조사 전 안전점검 시설물 도면에 부재 ID를 부여하고 서버에 업로드 하여 외관조사를 실시하며, 부재에 기입된 손상을 알고리즘 에 의해 평가하여 상태평가 결과를 산출한다.

Fig 5

Stage enforcement of E-PAD system

JKSMI-23-4-1_F5.jpg

2. E-PAD 기반 상태평가 시스템

2.1 시스템 적용 시설물 표준화

현행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은 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기준에 따라 교량, 터널, 수리, 옹벽/ 절토사면 등 시설물 유형별 실시범위를 구분하고 있으며, 이 를 기준으로 외관조사 등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시 설물의 상태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실시 범위에 따라 분류된 부재를 기 준으로 이루어지므로 E-PAD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시설 물의 구성과 그 구조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량 시설물에 대한 부재 표준화를 실시하였으며, Table 1과 같이 교량 시설물 각 부재에 대한 식별정보(ID)를 부여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적용하였다.

Table 1

Standardization of bridge facilities

JKSMI-23-4-1_T1.jpg

2.2 시스템 개발환경

E-PAD 기반 상태평가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개발환경은 Table 2와 같다. E-PAD 기반 상태평가 시스템은 내업을 없앤 외관조사라는 개발 특성에 따라 CAD 기반으로 구성된다. 2 차원 CAD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그래픽 커널을 제작하여 야 하므로 JavaScript를 사용하였다. 2차원 CAD 시스템의 기 능을 가지고 있는 외관조사 프로그램은 Windows Win32 API framework를 기반으로 개발하였으며 AutoCAD와의 정보교환 을 위해서 DWG Component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였다.

Table 2

System Development environment

JKSMI-23-4-1_T2.jpg

E-PAD 기반 상태평가 시스템은 다양한 사용자가 통합적 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닌 사용자 개인의 태블릿 PC에 서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방식이므로 MySQL Database를 사용 하였다.

2.3 시스템 주요 기능

E-PAD 기반 상태평가 시스템은 현장에서 외관조사 실시 및 조사 데이터를 통한 즉각적인 상태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Fig. 6에서 9와 같이 시설개요, 작업목록, 외관 조사, 결함표의 총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Fig. 6 시설개요는 시설물의 기본정보와 시설물 점검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기본구성을 한국시설안전공단의 시설 물정보관리 종합시스템(FMS: Facility Management System; 이하 ‘FMS’)과 동일하게 하여 향후 FMS와 연동이 가능하다. Fig. 7 작업목록은 점검자가 시설물 외관조사 실시 및 완료를 위해 서버로부터 망도를 다운 및 업로드하며, 이때 차수 (Project)에 따라 도면을 달리 선택할 수 있어 손상 이력 관리 가 가능하다. Fig. 8 외관조사는 2차원 CAD 기능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조사된 손상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로 상태평가의 기 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Fig. 9 결함표는 알고리즘을 통해 외관 조사에서 입력된 손상정보를 평가하고 전체 상태평가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이다.

Fig. 6

Facilities overview of E-PAD system

JKSMI-23-4-1_F6.jpg
Fig. 7

Task list of E-PAD system

JKSMI-23-4-1_F7.jpg
Fig. 8

Visual survey of E-PAD system

JKSMI-23-4-1_F8.jpg
Fig. 9

Defect table of E-PAD system

JKSMI-23-4-1_F9.jpg

3. 시스템 검증 및 분석

3.1 검증 기준 정립

E-PAD 상태평가 시스템 검증을 위해 3종 시설물에 해당하 는 교량 10개소의 외관조사 결과를 E-PAD 시스템에 입력하 여 안전등급 평가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기존(Excel) 안전등 급 평가결과와 비교하였다.

안전등급 평가는 한국시설안전공단 ‘제3종시설물 안전등 급 평가 매뉴얼’(이하, 매뉴얼)에 따라 Table 3과 같이 16개로 분류된 체크리스트 항목에 ‘양호’, ‘주의’, ‘불량’, ‘해당없음’ 을 체크하고, 여기서 산출된 값을 Table 4의 안전등급 기준에 따라 A~E등급으로 평가한다.

Table 3

Safety rating evaluation result

JKSMI-23-4-1_T3.jpg
Table 4

Scope of Safety rating

JKSMI-23-4-1_T4.jpg

Fig. 10는 기존 안전등급 평가 결과로 교량 1개소의 안전등 급은 C(72.0)등급으로 평가되었다. Table 5는 교량 10개소에 대한 기존 안전등급 평가 결과이다. 이를 기준으로 E-PAD 시 스템에서 산출된 안전등급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Fig. 10

Safety rating evaluation result

JKSMI-23-4-1_F10.jpg
Table 5

Calculation of visual survey result

JKSMI-23-4-1_T5.jpg

3.2 E-PAD 상태평가 시스템 데이터(손상) 입력

시스템 검증을 위하여 E-PAD 상태평가 시스템에 각 교량 부재별 망도에 손상 데이터를 입력하였다. Photo 1은 실제 교 량 바닥판 사진이며, Fig. 1112는 교량 바닥판 망도에 손상 을 입력한 것으로 ① 입력할 손상(균열)을 선택하고 ② 망도에 손상 기록 후 ③ 손상정보(균열 폭)를 입력하여 ④ 손상물량표 에 입력한 데이터를 확인하였다.

Photo 1

Slab

JKSMI-23-4-1_P1.jpg
Fig. 11

Data entry step

JKSMI-23-4-1_F11.jpg
Fig. 12

Data entry step (Detail)

JKSMI-23-4-1_F12.jpg

부재별 망도에 데이터 입력 후 결함표 단계에서 안전등급 산출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Fig. 13과 14는 교량 결함표 단계 로 ① 3종 시설물 평가항목에 따라 ② 각 손상 개별평가 등급 이 산출되고 이중 가장 낮은 값이 ③ 종합평가 결과로 도출되 었다. ④ 안전등급은 C등급(72.0)으로 상태평가 결과가 산출 되었다. Fig. 14

Fig. 13

Calculation of safety rating

JKSMI-23-4-1_F13.jpg
Fig. 14

Calculation of safety rating (Detail)

JKSMI-23-4-1_F14.jpg

3.3 결과 비교 검증

교량 10개소의 손상 데이터를 E-PAD 상태평가 시스템에 입력하여 안전등급을 평가하였으며, Table 6과 같이 기존 안 전등급 평가결과와 동일하게 산출되었다.

Table 6

Verification of safety rating result

JKSMI-23-4-1_T6.jpg

3.4 타당성 분석

E-PAD 기반 상태평가 시스템 산출 결과 검증뿐만 아니라, AHP기법을 통해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교량조건은 RC 단순교 기준 4차로, 2경간, 50m로 하였으며, 30년간 정기점검 을 진행할 경우 Table 7과 같이 E-PAD기반 상태평가 시스템은 기존 방법 대비 기능은 10% 증가, 비용은 36% 감소, 가치는 30%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7

AHP result

JKSMI-23-4-1_T7.jpg

5. 결 론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설물 관리를 위해 안전점검 시 외관 조사 수행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고, 데이터의 신 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태블릿 PC를 활용한 E-PAD 기반 상 태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 였다.

  • 1) E-PAD 시스템은 시설물 기본정보와 점검이력 확인이 가능하여 외관조사를 위한 자료수집 및 확인 과정이 간소화 될 수 있으며, 시스템에 Project별로 도면을 업/다운로드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 2) 또한, 외관조사 시 E-PAD 시스템에 손상정보를 입력하 여 상태평가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 안전등급을 바로 산출 하여 현장에서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

  • 3) E-PAD 시스템 검증을 위하여 교량 10개소에 대한 기존 안전등급 평가결과와 E-PAD 시스템을 통해 산출된 안전등급 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안전등급이 동일하게 도 출되어 E-PAD 시스템을 검증하였다.

  • 4) 또한, AHP기법을 통해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하였다. 분 석결과 E-PAD 기반 상태평가 시스템은 기존 방법 대비 기능 은 10% 증가, 비용은 36% 감소, 가치는 30%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E-PAD 기반 상태평가 시스템을 통해 외관조사 이 후 추가적인 내업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되며, E-PAD 시스템 활용을 통해 실제적인 현장 점검의 수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더욱 효율적인 점검이 수행되도록 다 양한 정보지원이 가능하여 교량 관리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E-PAD 기반 상태평가 시스템을 통해 체계적으로 축 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향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손상추정, 수명추정 등 보다 효율적인 교량 유지관리를 위한 정보 분석 을 위한 시스템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사업 ICT 기반 3종 시설물 전자야장 플랫폼 개발(19TBIP-C125406- 03-000000)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과제입니다.

References

1. 
Park, K. H., Sun, J. W. (2015), Development of Real-time Bridge Inspection Application connected with Bridge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893-7901.DOI
2. 
Kim, J. S. (2018), Status and Future Tasks of Safety Inspection of Major Facilities in Korea,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Google Search
3. 
Song, C. Y., Park, S. H. (2016), The Study on Unification of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in Korea, J. Korean Soc. Hazard Mitig., 16(5), 1-9.DOI
4. 
Park, K. H., Sun, J. W., Hwang, Y. G., Gong, J. S., Baek, H. S. (2016),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System for Life-Cycle Management of Bridges,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29(1).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