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훈
(Jeong-Hoon Yoon)
1
최윤철
(Yun-Chul Choi)
2*
이은진
(Eun-Jin Lee)
3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보-기둥 접합부, 도래걷이주먹장맞춤, 통넣고주먹장맞춤, 도래걷이장부맞춤
Key words
Beam-column joint, Doraegeoji dovetail, Doraegeoji mortise, Tongneoko dovetail
1. 서 론
우리나라 전통목조 건축물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이음 및 맞춤으로 구성되는 가구식 구조로써 접합부 형태에 따라 치목 및 조립 작업의 난이도가 다르고,
이러한 치목특성은 결 구부의 변형 능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서양 목조 건축물과 달리 전통목조 건축물에서 기둥머리 결구는 지붕 하중이 직 접 전달되는
곳이기 때문에 건축물 전체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둥머리 부분은 수직재인 기둥과 창방, 평방 등의 수평재가 체결되는 곳으로 결구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다포계 건축물은 주심포 건축물에 비해 건물 규모 가 크기 때문에 기둥머리 결구에서 창방의 단면이 크고, 창방 과 기둥의
접합방식이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기둥 결구 형태에 따라 변형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기둥과 창방 의 결구 형태 및 치목의 정밀도는 결구 부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전통 목구조에서 기둥머리 결구부분은 서양 목구 조 방식에 차이가 있는데, 순수 목재와 목재 이외의 부속재료 를 얼마나 사용하는가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서양식 목구조 는 단면이 작은 부재를 힘의 흐름에 대응하도록 배치하고, 접 합재는 각종 철물(못, 듀벨, 볼트 등)을 사용하여 축조한다.
이 에 반해 우리나라 전통 목구조는 서양식 목구조에 비해 단면 이 큰 구조부재를 이용하고, 구조부재는 마름질 및 바심질 등 의 가공을 거쳐 부재 단면
내에서 이음 및 맞춤으로 엮어서 짜 임새 있게 연결된다. 주요 구조부의 결구는 부재 자체에 의해 구성되고 철물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보조적 인 수단으로만 이용된다.
따라서 전통목조 건축물 중 다포계 건축물에서 기둥머리 결구는 구조적 안전성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이에 대한 성능 검증은 역학적 접근과 이해도
필요하지만 무엇보 다 제작 시 여건을 고려한 합리적 형태에서 출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둥-창방의 결구 유형과 창방의 어깨 형태 에 따른 특성과 구조 성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 전통 건축물을 수리, 보수할 때와
전통 건축물이 대형화 또는 다층 화 될 때 고려해야 할 기둥머리 결구기법을 도출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2. 결구형태의 분석
전통 목조 건축물 외진주의 평주 상부에서 창방과의 맞춤 방법은 종방향과 횡방향 부재의 유무에 따라 ‘양갈 튼 맞춤’, ‘사갈 튼 맞춤’, ‘주먹장맞춤’으로
나뉜다.
양갈 튼 맞춤 방법은 조선 중기 이전에 보편적으로 쓰였는 데 기둥 상부 마구리의 횡단면 할렬과 창방 폭의 수축 등으로 인해 부재 간의 결속력은 떨어지지만
ㅡ자형으로 장부 홈을 파내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면이 있다.
사갈 튼 평주 상부는 상부에서 좌우 창방과 종방향 포재(헛 첨차, 초익공, 계량 등)가 +자형으로 짜맞춤하였고 아래와 같 은 맞춤방법이 사용되었다.
맞춤과 이음은 목구조의 시작점 인 동시에 하중전달 흐름의 절점으로 건물 건립 당시 장인들 의 구조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알 수 있어 앞으로도 기술사적
인 측면에서 연구가치가 높다.
주먹장맞춤은 기둥 상부가 트여있지 않아 할렬로 인한 부 재 간 틈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조선 후기에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창방의 형태적 분류에서는 크게 도래걷이, 소매걷이, 통넣기로 분류할 수 있다.
‘도래걷이1)’란 보가 기둥에 짜여지는 어깨에 기둥을 싸고 있게 하는 방식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반면, 창방의 어깨 형태 에서 소매걷이라 함은 기둥과 창방의 결구되는
부분에서 주 먹장 목부분(또는 장부 목부분)의 어깨면을 지나 창방 옆면쪽 으로 비교적 큰 호를 그리면서 깎아낸 형태를 말한다. 기둥과 접촉되는 면에서
창방 단부 부분을 도드라진 포물선 형태로 깍아내어 의장성을 강조한 형태이다.
Table 1은 본 연구에 활용된 기둥에 창방이 직접 맞춤한 사 례이다. 화암사 극락전은 창방의 어깨 면이 도래걷이 형태로 되고 기둥과 결구되는 창방부분에서 긴
장부형태로 하며, 장 부 형태의 기둥의 장부 홈은 양갈 형태로 바심질된 형태를 보 이는데, 이를 도래걷이 장부맞춤(Doraegeoji mortise
joint)으 로 표기하기로 한다. 미황사 응진당은 기둥에 접하는 창방 어 깨면이 기둥에 감싸지는 형태이며, 본 연구에서는 ‘도래걷이 주먹장맞춤’(Doraegeoji
dovetail joint)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운문사 대웅보전은 기둥에 창방이 얹혀지는 걸침턱이 있는 특징이 있는데, ‘통넣고 주먹장맞춤(Tongneoko
dovetail joint) 이라는 용어로 표기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Table 1
For example of mortise joint and dovetail joint
3. 실험계획
3.1 사용재료 및 시험
건축재료로 사용되는 목재는 참나무, 느티나무, 전나무 등 다양하게 쓰일 수 있으나 조선시대 이후 대부분 소나무가 건 축용 목재로 쓰이게 된다. 생태적으로는
인구증가로 인해 활 엽수가 빠르게 고갈되어 갔고, 토질이 척박해지면서 생명력 이 강한 소나무가 살아남게 되었다. 또한 소나무가 대체로 연 안과 강가에
다량으로 자라고 있어 운송이 용이하였던 점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목재는 연륜이 53년이며, 직경 37cm 가 량인 강원도산 소나무로써 무게, 비중, 밀도 등의 특성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Weight and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흡수량 시험은 유기적이고 다공질 재료인 목재의 흡수량이 크고, 흡수에 따른 뚜렷한 성질의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 에 따른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흡수면의 총면 적에 대한 침수전후 공시체 중량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본 연 구에 사용된 목재의 물성치는 Table 3과 같다. 각 시험은 KS 규격에 따라 6개씩 실시하였으며,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목 구조물의 구조설계 및 구조성능 평가시 필요한 값으로, 목재 가
이방향성 재료이므로 섬유방향에 평행과 직각방향으로 실 시하였다.
3.2 결구형태별 치수
실험체 제작 시 주요부재는 기둥, 창방, 평방, 주두로 구성 된다. 기둥 상하부의 지름이 일률적인 경우에는 치목 시에 맞 춤되는 부위에 장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구를 사용하여 바 심질 작업으로 완성한다. 본 실험체 제작 시에는 치목의 조건 을 동일하게 하고자 하였다. 기둥머리 결구부 형태 변화에
따 른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기둥에 흘림이 있는 형태는 배제하 였다.
구조적인 특징은 도래걷이 주먹장맞춤은 축력에 보강되는 형태이고, 통넣기 주먹장맞춤된 형태는 전단력에 보강된 형 태로 보이며, 도래걷이 장부맞춤된 형태는
기둥이 할렬파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창방 치목은 기둥에 접하는 창방의 어깨면 형태에 따라 소 매걷이, 도래걷이, 통넣기 형태로 분류되는데, 이러한 형태에 따라 치목의 난이도가 다르다.
따라서 결구 형태별 실험체 규 격은 Fig. 1과 같이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Fig. 1
Size of Beam-to-Column Joint
3.3 실험체 설치 및 측정계획
하중은 Fig. 2와 같이 하중가력장치를 이용한 수평하중으 로, 층간변위비 0.5% (10mm)부터 시작하여 10%가 될 때까지 각 단계마다 0.5%씩 증가하였으며,
각 단계마다 3회씩 반복 하여 가력하였다. 기둥의 축력은 지붕하중을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기둥부재의 모멘트 저항능력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 한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기둥내력의 10%가량 부과한다. 본 실험에서는 목재 기둥에 대한 사전해석을 실시한 결과, 축력 의 변화에 따라 모멘트 저항성능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체의 축력은 10∼70kN의 범위 로 부과하였다.
하중가력장치에서 측정되는 하중과 변위를 포함하여, 실험 체에 설치된 변위측정기(LVDT) 15개, 변형률측정계(Strain Gauge) 8개, 로드셀(Load
cell)4개를 이용하여 총 29개의 항목 을 측정하였다. 하중가력위치와 기둥의 중심, 창방 및 평방 위 치에 수평변위계를 설치하였다. 창방과 평방의
상대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수직변위계를, 접합부의 회전각을 위한 대각 선 방향의 변위계도 설치되었다. 스트레인게이지의 위치는 횡력을 가할 때 기둥머리의
할렬 파괴를 예상하고 파괴진행 방향에 직교하도록 부착하였고, 이 게이지를 부착하려고 표 면을 3mm 파내었다.
4. 실험결과 및 분석
4.1 균열 및 손상현황
Table 4는 각 실험체의 기둥, 평방, 창방 그리고 결구부분의 탁본을 나타낸 것이다.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에서는 우측 주먹장 결구부의 하단부에 주먹장
목부분과 머리 부분 에 2개소의 균열이 존재하였다. 실험 후 기둥 마구리면에서 균열발생현황은 실험 시 반복가력에 의해 균열이 진전되어 완전하게 파괴된
현상을 보인다. 이는 치목 중에 생성된 목재 부위의 균열, 특히 접합부 위치에서는 영향이 있음을 나타내 는 결과이다. 균열에 의한 피해정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결구부 면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부위에는 재료의 수축 균열이 없는 곳에 결구부를 바심질하는 것이 접합부 강성 확 보에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 기 둥 표면의 균열은 접합부 주변 균열이 실험과는 연관관계의 현상을 보였다. 실험 중 균열 폭이 2mm 증대되었으며, 균열
길이는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한 정도이다.
좌측 창방의 마구리면은 목재의 나이테가 원형이 아닌 C형 의 나이테 모양이 나타나고, 이를 세로방향으로 치목하여 결 구하였다. 우측창방 마구리의 나이테
형태는 원형으로서 목 재의 핵부분, 심재, 변재부분이 모두 조합된 부재로 치목되었 다. 실험 후 창방 양쪽의 균열 진행정도를 분석한 결과, C형의
나이테 형상을 가진 좌측 창방에 비해 원형 형태의 나이테를 가진 우측 창방에 균열이 더 많이 진행되었다. 이로 볼 때 나이 테의 형상도 부재 강성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통넣고 주먹장맞춤 실험체의 기둥 상부의 마구리면은 횡력 이 가해지는 실험 중 균열이 1mm 증대되었고, 해체 후는 기둥 상면의 균열이 호상갈램파괴가
나타났으며, 전면 좌측은 호 상갈램 길이가 45mm 방사방향은 30mm 우측은 호상갈램 길 이가 30mm 방사 방향의 균열 길이는 65mm가 발생되었다.
후 면 좌측은 호상갈램길이가 25mm 발생되었고, 방사방향 균열 은 길이 30mm가 발생되었다. 타 실험체에 비하여 균열의 발 생 정도가 많음을 알
수 있다. 통넣고 주먹장맞춤 실험체의 창 방 및 평방의 표면균열은 실험 전, 후와 크게 달라진 것이 없었 다. 다만 주먹장 머리 마구리 부분의 균열이
우측 창방에서 호 상갈램 파괴 현상이 확실하게 보이고 있으며, 창방 하부의 지 압파괴 현상은 좌측 창방은 1.5mm, 우측 창방이 2.6mm로 나
타났다. 호상갈램파괴 정도의 차이는 좌측 창방의 경우 나이 테의 촘촘한 정도가 3mm 미만으로 밀실하고 우측 창방의 경 우 5mm 미만으로 나타났다.
통넣고 주먹장맞춤 실험체의 좌측 창방은 기둥원형마구리 상부의 접합부면과의 차이가 1.5mm의 지압파괴현상을 보이 고 있다. 상대적으로 이 값이 적은
이유는 창방의 기둥 내측에 통넣기로 조립되어 그 저면의 접합 면적이 넓은 이유에서이 다. 또한 우측 창방 하부는 기둥면 접촉부위에서 2.6mm의 지
압파괴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 또한 다른 실험체에 비하여 파 괴의 깊이가 적다.
도래걷이 장부맞춤 실험체 기둥 상부의 균열정도는 우측 아 래 장부면까지 균열이 진행되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실험 중의 기둥 겉면에 부착된 균열게이지에는
변화가 없었고, 실험 후 해체를 하여 위와 같은 내부의 균열을 관찰할 수 있었다.
기둥 표면의 균열은 실험 시의 가력 정도에 따른 균열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하단부 양갈 우측부분 기둥의 균열이 실험 전에 비하여 양갈 내면까지
진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창 방의 어깨부분이 기둥과 감싸지게 된 도래걷이 형상이다. 그로 인해, 창방 어깨 하단부와 기둥 접촉면에서 목꺾임현상이
발생 하여 양갈의 단부에 균열이 확산되는 모습을 보인다.
창방의 표면 균열은 실험 시 가력정도에 따른 영향은 없었 고 다만 창방 하부면과 기둥 가장자리면의 접합되는 부위에 서 지압파괴현상을 보이고, 숫창방은
5.1mm의 지압파괴현상 이 발생되었고, 암창방은 4.8mm의 지압파괴 현상이 발생되 었다. Fig. 3
Fig. 3
Cycle of specimen (3 times repetition)
4.2 최대강도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의 최대하중은 Fig. 4와 같이 층 간변위각 5%(100mm변위)를 기준으로 +24.18kN, -24.31kN으 로 나타났다. 최대변위는 실험체의 최상단에서 발생하지만,
주 두는 구조부재로서의 역할이 미미하므로, 창방 하단의 기둥점 에서의 변위와 평방 좌측점에서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Fig. 4
Load-displacement curve of Doraegeoji dovetail joint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는 하중가력점 위치에서 ±100mm 일 때 창방하단의 위치에서는 최대 +133mm, -135mm, 평방 위치 에서는 +208mm,
-193mm까지 변위가 발생하였다. 이는 평방의 미끄러짐 현상으로 정(+)방향으로의 변위가 상대적으로 커졌 음을 알 수 있다.
통넣고 주먹장맞춤 실험체의 최대하중은 Fig. 5와 같이 +21.4kN, -24.1kN로써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에 비해 약 11.5%(정가력), 0.9%(부가력)로 평균 6.2%가량 작게 나타
났다. 최대변위는 실험체의 최상단에서 발생하지만, 주두는 구조부재로서의 역할이 미미하므로, 창방하단의 기둥점에서 의 변위와 평방 좌측점에서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하중가력 점 위치에서 ±100mm일 때 창방하단의 위치에서는 최대 +134mm, -138mm, 평방 위치에서는 +207mm, -202mm까지
변위가 발생하였다.
Fig. 5
Load-displacement curve of Tongneoko dovetail joint
도래걷이 장부맞춤 실험체는 23.2kN, -21.9kN으로 도래걷 이 주먹장맞춤 실험체에 비해 약 4%(정가력), 10%(부가력)로 평균 7%가량
작게 나타났다. Fig. 6
Fig. 6
Load-displacement curve of Doraegeoji mortise joint
또한 하중가력점 위치에서 ±100mm일 때 창방하단의 위치 에서는 최대 +137mm, -138mm, 평방 위치에서는 +209mm, -202mm까지
변위가 발생하였다. 이는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과 비교할 때 거의 유사한 값으로 장부맞춤은 주먹장맞춤은 강도는 약간 작은 값을 가지고, 변위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 음을 알 수 있다. Fig. 7
Fig. 7
displacement-stiffiness curve
4.3 강성변화율
강성은 하중(kN)/변위(mm)로 계산하여 전체 구조물의 변 형에 대한 저항성능을 평가하였다. 도래걷이 주먹장맟춤의 경우 초기 첫 번째 사이클에서의
강성은 약 0.7가량으로 나타 났으나, 두 번째 사이클에서는 약 0.5 이후 마지막 사이클에서 는 약 0.25로 초기에 비해 약 36%의 강성을 보유함을
알 수 있 다. 부가력에서는 첫 번째 사이클에서 약 0.5, 마지막 사이클 에서 약 0.2로 초기에 비해 약 40%의 강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넣고 주먹장맞춤의 경우 초기 첫 번째 사이클에서의 강 성은 약 0.5가량으로 나타났으나, 두 번째 사이클에서는 약 0.4, 이후 마지막 사이클에서는
약 0.19로 초기에 비해 약 38% 의 강성을 보유함을 알 수 있다. 전체 강성은 도래걷이 주먹장 맞춤에 비해 작은 값을 가지지만, 마지막 사이클에서의
강성 보유비율은 거의 같은 값을 가진다. 이는 목재의 뛰어난 강성 감소 저항능력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부가력에 대해서도 첫 번째 사이클에서 약
0.5, 마지막 사이클에서 약 0.19로 초기 에 비해 약 38%의 강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래걷이 장부맞춤 실험체의 경우 초기 첫 번째 사이클에 서의 강성(정가력과 부가력의 평균값)은 약 0.4가량으로 나타 났으나, 두 번째 사이클에서는
약 0.39, 이후 마지막 사이클에 서는 약 0.19로 초기에 비해 약 48%의 강성을 보유함을 알 수 있다. 전체 강성은 도래걷이 주먹장맞춤에 비해
작은 값을 가 지지만, 마지막 사이클에서의 강성 보유비율은 더 큰 값을 가 진다. 이는 장부맞춤이 주먹장맞춤에 비해 강성감소가 적게 일어나 파괴 시
안전성을 확보하기에 유리하다는 의미로 사 료된다.
5. 결 론
기존 전통 건축물을 수리, 보수할 때와 전통 건축물이 대형화 또는 다층화 될 때 고려해야 할 기둥머리 결구기법을 위해 기둥 -창방의 결구 유형과 창방의
어깨 형태에 따른 특성과 구조 성 능을 파악하고자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전체적으로 실험체는 항복 후에도 계속하여 강도가 서서 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하중가력 초기부터 장부 의 이격이 발생되고 재하 후에도 발생된
이격이 제자리로 돌 아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클에 따른 강 성저하 현상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는데 목구조 결구형태는 장부의 이격으로
인한 핀칭과 잔류변형이 존재하기는 하나, 이는 재료의 항복으로 인한 잔류변형이 아닌 부재 내부의 위 치변동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는 창방의 나이테 형상이 C 형인 부분에 비해 원형인 부재에서 균열이 더 많이 진전되었 다. 최대강도는 가장 높은 값을 보여
가장 우수한 강도성능을 발휘하였다. 항복점은 가장 작은 값을 보여 연성 능력이 탁월 한 결구형태로 볼 수 있다.
-
통넣고 주먹장맞춤 실험체의 균열형상은 도래걷이와 유 사한 경향을 보이나, 균열부위의 폭과 길이는 매우 크게 나타 났다. 최대강도는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에 비해 약 6% 가량 작은 값을 가진다. 항복점은 파괴점에 더 가까워 항복 이 후 파괴 시까지의 구간이 짧아 연성능력이 떨어진다. 강성값 은
초기부터 작은 값을 가지지만, 최종단계에서 강성 보유비 율은 도래걷이 주먹장맞춤과 별 차이가 없었다.
-
도래걷이 장부맞춤 실험체의 제작 시에 기둥의 양갈 부 분에서 할렬 파괴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실험 결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압파괴에 의한 균열발생
정도는 주먹장 맞춤 실험체보다 작게 나타났다. 이는 각 부재 단면 내에서 압 밀 변형되는 형태로 변형되려고 하는 현상을 흡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최대강도는
3개 실험체 중 가장 작은 값을 가지며, 통넣고 주먹장맞춤과는 큰 차이가 없으나, 도래걷이 주먹장 맞춤에 비해서는 약 7%가량 작은 값을 가진다.
강도에 대한 성능은 장부맞춤이 주먹장맞춤보다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