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보-기둥 접합부, 도래걷이주먹장맞춤, 통넣고주먹장맞춤, 도래걷이장부맞춤
Beam-column joint, Doraegeoji dovetail, Doraegeoji mortise, Tongneoko dovetail

1. 서 론

우리나라 전통목조 건축물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이음 및 맞춤으로 구성되는 가구식 구조로써 접합부 형태에 따라 치목 및 조립 작업의 난이도가 다르고, 이러한 치목특성은 결 구부의 변형 능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서양 목조 건축물과 달리 전통목조 건축물에서 기둥머리 결구는 지붕 하중이 직 접 전달되는 곳이기 때문에 건축물 전체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둥머리 부분은 수직재인 기둥과 창방, 평방 등의 수평재가 체결되는 곳으로 결구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다포계 건축물은 주심포 건축물에 비해 건물 규모 가 크기 때문에 기둥머리 결구에서 창방의 단면이 크고, 창방 과 기둥의 접합방식이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기둥 결구 형태에 따라 변형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기둥과 창방 의 결구 형태 및 치목의 정밀도는 결구 부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전통 목구조에서 기둥머리 결구부분은 서양 목구 조 방식에 차이가 있는데, 순수 목재와 목재 이외의 부속재료 를 얼마나 사용하는가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서양식 목구조 는 단면이 작은 부재를 힘의 흐름에 대응하도록 배치하고, 접 합재는 각종 철물(못, 듀벨, 볼트 등)을 사용하여 축조한다. 이 에 반해 우리나라 전통 목구조는 서양식 목구조에 비해 단면 이 큰 구조부재를 이용하고, 구조부재는 마름질 및 바심질 등 의 가공을 거쳐 부재 단면 내에서 이음 및 맞춤으로 엮어서 짜 임새 있게 연결된다. 주요 구조부의 결구는 부재 자체에 의해 구성되고 철물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보조적 인 수단으로만 이용된다.

따라서 전통목조 건축물 중 다포계 건축물에서 기둥머리 결구는 구조적 안전성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이에 대한 성능 검증은 역학적 접근과 이해도 필요하지만 무엇보 다 제작 시 여건을 고려한 합리적 형태에서 출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둥-창방의 결구 유형과 창방의 어깨 형태 에 따른 특성과 구조 성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 전통 건축물을 수리, 보수할 때와 전통 건축물이 대형화 또는 다층 화 될 때 고려해야 할 기둥머리 결구기법을 도출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2. 결구형태의 분석

전통 목조 건축물 외진주의 평주 상부에서 창방과의 맞춤 방법은 종방향과 횡방향 부재의 유무에 따라 ‘양갈 튼 맞춤’, ‘사갈 튼 맞춤’, ‘주먹장맞춤’으로 나뉜다.

양갈 튼 맞춤 방법은 조선 중기 이전에 보편적으로 쓰였는 데 기둥 상부 마구리의 횡단면 할렬과 창방 폭의 수축 등으로 인해 부재 간의 결속력은 떨어지지만 ㅡ자형으로 장부 홈을 파내 가공과 조립이 용이한 면이 있다.

사갈 튼 평주 상부는 상부에서 좌우 창방과 종방향 포재(헛 첨차, 초익공, 계량 등)가 +자형으로 짜맞춤하였고 아래와 같 은 맞춤방법이 사용되었다. 맞춤과 이음은 목구조의 시작점 인 동시에 하중전달 흐름의 절점으로 건물 건립 당시 장인들 의 구조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알 수 있어 앞으로도 기술사적 인 측면에서 연구가치가 높다.

주먹장맞춤은 기둥 상부가 트여있지 않아 할렬로 인한 부 재 간 틈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조선 후기에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창방의 형태적 분류에서는 크게 도래걷이, 소매걷이, 통넣기로 분류할 수 있다.

‘도래걷이1)’란 보가 기둥에 짜여지는 어깨에 기둥을 싸고 있게 하는 방식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반면, 창방의 어깨 형태 에서 소매걷이라 함은 기둥과 창방의 결구되는 부분에서 주 먹장 목부분(또는 장부 목부분)의 어깨면을 지나 창방 옆면쪽 으로 비교적 큰 호를 그리면서 깎아낸 형태를 말한다. 기둥과 접촉되는 면에서 창방 단부 부분을 도드라진 포물선 형태로 깍아내어 의장성을 강조한 형태이다.

Table 1은 본 연구에 활용된 기둥에 창방이 직접 맞춤한 사 례이다. 화암사 극락전은 창방의 어깨 면이 도래걷이 형태로 되고 기둥과 결구되는 창방부분에서 긴 장부형태로 하며, 장 부 형태의 기둥의 장부 홈은 양갈 형태로 바심질된 형태를 보 이는데, 이를 도래걷이 장부맞춤(Doraegeoji mortise joint)으 로 표기하기로 한다. 미황사 응진당은 기둥에 접하는 창방 어 깨면이 기둥에 감싸지는 형태이며, 본 연구에서는 ‘도래걷이 주먹장맞춤’(Doraegeoji dovetail joint)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운문사 대웅보전은 기둥에 창방이 얹혀지는 걸침턱이 있는 특징이 있는데, ‘통넣고 주먹장맞춤(Tongneoko dovetail joint) 이라는 용어로 표기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Table 1

For example of mortise joint and dovetail joint

JKSMI-23-4-8_T1.jpg

3. 실험계획

3.1 사용재료 및 시험

건축재료로 사용되는 목재는 참나무, 느티나무, 전나무 등 다양하게 쓰일 수 있으나 조선시대 이후 대부분 소나무가 건 축용 목재로 쓰이게 된다. 생태적으로는 인구증가로 인해 활 엽수가 빠르게 고갈되어 갔고, 토질이 척박해지면서 생명력 이 강한 소나무가 살아남게 되었다. 또한 소나무가 대체로 연 안과 강가에 다량으로 자라고 있어 운송이 용이하였던 점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목재는 연륜이 53년이며, 직경 37cm 가 량인 강원도산 소나무로써 무게, 비중, 밀도 등의 특성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Weight and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JKSMI-23-4-8_T2.jpg

흡수량 시험은 유기적이고 다공질 재료인 목재의 흡수량이 크고, 흡수에 따른 뚜렷한 성질의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 에 따른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흡수면의 총면 적에 대한 침수전후 공시체 중량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본 연 구에 사용된 목재의 물성치는 Table 3과 같다. 각 시험은 KS 규격에 따라 6개씩 실시하였으며,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목 구조물의 구조설계 및 구조성능 평가시 필요한 값으로, 목재 가 이방향성 재료이므로 섬유방향에 평행과 직각방향으로 실 시하였다.

Table 3

Material properties

JKSMI-23-4-8_T3.jpg

3.2 결구형태별 치수

실험체 제작 시 주요부재는 기둥, 창방, 평방, 주두로 구성 된다. 기둥 상하부의 지름이 일률적인 경우에는 치목 시에 맞 춤되는 부위에 장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구를 사용하여 바 심질 작업으로 완성한다. 본 실험체 제작 시에는 치목의 조건 을 동일하게 하고자 하였다. 기둥머리 결구부 형태 변화에 따 른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기둥에 흘림이 있는 형태는 배제하 였다.

구조적인 특징은 도래걷이 주먹장맞춤은 축력에 보강되는 형태이고, 통넣기 주먹장맞춤된 형태는 전단력에 보강된 형 태로 보이며, 도래걷이 장부맞춤된 형태는 기둥이 할렬파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창방 치목은 기둥에 접하는 창방의 어깨면 형태에 따라 소 매걷이, 도래걷이, 통넣기 형태로 분류되는데, 이러한 형태에 따라 치목의 난이도가 다르다. 따라서 결구 형태별 실험체 규 격은 Fig. 1과 같이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Fig. 1

Size of Beam-to-Column Joint

JKSMI-23-4-8_F1.jpg

3.3 실험체 설치 및 측정계획

하중은 Fig. 2와 같이 하중가력장치를 이용한 수평하중으 로, 층간변위비 0.5% (10mm)부터 시작하여 10%가 될 때까지 각 단계마다 0.5%씩 증가하였으며, 각 단계마다 3회씩 반복 하여 가력하였다. 기둥의 축력은 지붕하중을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기둥부재의 모멘트 저항능력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 한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기둥내력의 10%가량 부과한다. 본 실험에서는 목재 기둥에 대한 사전해석을 실시한 결과, 축력 의 변화에 따라 모멘트 저항성능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체의 축력은 10∼70kN의 범위 로 부과하였다.

Fig. 2

Setting of specimen

JKSMI-23-4-8_F2.jpg

하중가력장치에서 측정되는 하중과 변위를 포함하여, 실험 체에 설치된 변위측정기(LVDT) 15개, 변형률측정계(Strain Gauge) 8개, 로드셀(Load cell)4개를 이용하여 총 29개의 항목 을 측정하였다. 하중가력위치와 기둥의 중심, 창방 및 평방 위 치에 수평변위계를 설치하였다. 창방과 평방의 상대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수직변위계를, 접합부의 회전각을 위한 대각 선 방향의 변위계도 설치되었다. 스트레인게이지의 위치는 횡력을 가할 때 기둥머리의 할렬 파괴를 예상하고 파괴진행 방향에 직교하도록 부착하였고, 이 게이지를 부착하려고 표 면을 3mm 파내었다.

4. 실험결과 및 분석

4.1 균열 및 손상현황

Table 4는 각 실험체의 기둥, 평방, 창방 그리고 결구부분의 탁본을 나타낸 것이다.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에서는 우측 주먹장 결구부의 하단부에 주먹장 목부분과 머리 부분 에 2개소의 균열이 존재하였다. 실험 후 기둥 마구리면에서 균열발생현황은 실험 시 반복가력에 의해 균열이 진전되어 완전하게 파괴된 현상을 보인다. 이는 치목 중에 생성된 목재 부위의 균열, 특히 접합부 위치에서는 영향이 있음을 나타내 는 결과이다. 균열에 의한 피해정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결구부 면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부위에는 재료의 수축 균열이 없는 곳에 결구부를 바심질하는 것이 접합부 강성 확 보에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 기 둥 표면의 균열은 접합부 주변 균열이 실험과는 연관관계의 현상을 보였다. 실험 중 균열 폭이 2mm 증대되었으며, 균열 길이는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한 정도이다.

Table 4

Crack of specimen

JKSMI-23-4-8_T4.jpg

좌측 창방의 마구리면은 목재의 나이테가 원형이 아닌 C형 의 나이테 모양이 나타나고, 이를 세로방향으로 치목하여 결 구하였다. 우측창방 마구리의 나이테 형태는 원형으로서 목 재의 핵부분, 심재, 변재부분이 모두 조합된 부재로 치목되었 다. 실험 후 창방 양쪽의 균열 진행정도를 분석한 결과, C형의 나이테 형상을 가진 좌측 창방에 비해 원형 형태의 나이테를 가진 우측 창방에 균열이 더 많이 진행되었다. 이로 볼 때 나이 테의 형상도 부재 강성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통넣고 주먹장맞춤 실험체의 기둥 상부의 마구리면은 횡력 이 가해지는 실험 중 균열이 1mm 증대되었고, 해체 후는 기둥 상면의 균열이 호상갈램파괴가 나타났으며, 전면 좌측은 호 상갈램 길이가 45mm 방사방향은 30mm 우측은 호상갈램 길 이가 30mm 방사 방향의 균열 길이는 65mm가 발생되었다. 후 면 좌측은 호상갈램길이가 25mm 발생되었고, 방사방향 균열 은 길이 30mm가 발생되었다. 타 실험체에 비하여 균열의 발 생 정도가 많음을 알 수 있다. 통넣고 주먹장맞춤 실험체의 창 방 및 평방의 표면균열은 실험 전, 후와 크게 달라진 것이 없었 다. 다만 주먹장 머리 마구리 부분의 균열이 우측 창방에서 호 상갈램 파괴 현상이 확실하게 보이고 있으며, 창방 하부의 지 압파괴 현상은 좌측 창방은 1.5mm, 우측 창방이 2.6mm로 나 타났다. 호상갈램파괴 정도의 차이는 좌측 창방의 경우 나이 테의 촘촘한 정도가 3mm 미만으로 밀실하고 우측 창방의 경 우 5mm 미만으로 나타났다.

통넣고 주먹장맞춤 실험체의 좌측 창방은 기둥원형마구리 상부의 접합부면과의 차이가 1.5mm의 지압파괴현상을 보이 고 있다. 상대적으로 이 값이 적은 이유는 창방의 기둥 내측에 통넣기로 조립되어 그 저면의 접합 면적이 넓은 이유에서이 다. 또한 우측 창방 하부는 기둥면 접촉부위에서 2.6mm의 지 압파괴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 또한 다른 실험체에 비하여 파 괴의 깊이가 적다.

도래걷이 장부맞춤 실험체 기둥 상부의 균열정도는 우측 아 래 장부면까지 균열이 진행되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실험 중의 기둥 겉면에 부착된 균열게이지에는 변화가 없었고, 실험 후 해체를 하여 위와 같은 내부의 균열을 관찰할 수 있었다.

기둥 표면의 균열은 실험 시의 가력 정도에 따른 균열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하단부 양갈 우측부분 기둥의 균열이 실험 전에 비하여 양갈 내면까지 진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창 방의 어깨부분이 기둥과 감싸지게 된 도래걷이 형상이다. 그로 인해, 창방 어깨 하단부와 기둥 접촉면에서 목꺾임현상이 발생 하여 양갈의 단부에 균열이 확산되는 모습을 보인다.

창방의 표면 균열은 실험 시 가력정도에 따른 영향은 없었 고 다만 창방 하부면과 기둥 가장자리면의 접합되는 부위에 서 지압파괴현상을 보이고, 숫창방은 5.1mm의 지압파괴현상 이 발생되었고, 암창방은 4.8mm의 지압파괴 현상이 발생되 었다. Fig. 3

Fig. 3

Cycle of specimen (3 times repetition)

JKSMI-23-4-8_F3.jpg

4.2 최대강도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의 최대하중은 Fig. 4와 같이 층 간변위각 5%(100mm변위)를 기준으로 +24.18kN, -24.31kN으 로 나타났다. 최대변위는 실험체의 최상단에서 발생하지만, 주 두는 구조부재로서의 역할이 미미하므로, 창방 하단의 기둥점 에서의 변위와 평방 좌측점에서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Fig. 4

Load-displacement curve of Doraegeoji dovetail joint

JKSMI-23-4-8_F4.jpg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는 하중가력점 위치에서 ±100mm 일 때 창방하단의 위치에서는 최대 +133mm, -135mm, 평방 위치 에서는 +208mm, -193mm까지 변위가 발생하였다. 이는 평방의 미끄러짐 현상으로 정(+)방향으로의 변위가 상대적으로 커졌 음을 알 수 있다.

통넣고 주먹장맞춤 실험체의 최대하중은 Fig. 5와 같이 +21.4kN, -24.1kN로써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에 비해 약 11.5%(정가력), 0.9%(부가력)로 평균 6.2%가량 작게 나타 났다. 최대변위는 실험체의 최상단에서 발생하지만, 주두는 구조부재로서의 역할이 미미하므로, 창방하단의 기둥점에서 의 변위와 평방 좌측점에서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하중가력 점 위치에서 ±100mm일 때 창방하단의 위치에서는 최대 +134mm, -138mm, 평방 위치에서는 +207mm, -202mm까지 변위가 발생하였다.

Fig. 5

Load-displacement curve of Tongneoko dovetail joint

JKSMI-23-4-8_F5.jpg

도래걷이 장부맞춤 실험체는 23.2kN, -21.9kN으로 도래걷 이 주먹장맞춤 실험체에 비해 약 4%(정가력), 10%(부가력)로 평균 7%가량 작게 나타났다. Fig. 6

Fig. 6

Load-displacement curve of Doraegeoji mortise joint

JKSMI-23-4-8_F6.jpg

또한 하중가력점 위치에서 ±100mm일 때 창방하단의 위치 에서는 최대 +137mm, -138mm, 평방 위치에서는 +209mm, -202mm까지 변위가 발생하였다. 이는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과 비교할 때 거의 유사한 값으로 장부맞춤은 주먹장맞춤은 강도는 약간 작은 값을 가지고, 변위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 음을 알 수 있다. Fig. 7

Fig. 7

displacement-stiffiness curve

JKSMI-23-4-8_F7.jpg

4.3 강성변화율

강성은 하중(kN)/변위(mm)로 계산하여 전체 구조물의 변 형에 대한 저항성능을 평가하였다. 도래걷이 주먹장맟춤의 경우 초기 첫 번째 사이클에서의 강성은 약 0.7가량으로 나타 났으나, 두 번째 사이클에서는 약 0.5 이후 마지막 사이클에서 는 약 0.25로 초기에 비해 약 36%의 강성을 보유함을 알 수 있 다. 부가력에서는 첫 번째 사이클에서 약 0.5, 마지막 사이클 에서 약 0.2로 초기에 비해 약 40%의 강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넣고 주먹장맞춤의 경우 초기 첫 번째 사이클에서의 강 성은 약 0.5가량으로 나타났으나, 두 번째 사이클에서는 약 0.4, 이후 마지막 사이클에서는 약 0.19로 초기에 비해 약 38% 의 강성을 보유함을 알 수 있다. 전체 강성은 도래걷이 주먹장 맞춤에 비해 작은 값을 가지지만, 마지막 사이클에서의 강성 보유비율은 거의 같은 값을 가진다. 이는 목재의 뛰어난 강성 감소 저항능력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부가력에 대해서도 첫 번째 사이클에서 약 0.5, 마지막 사이클에서 약 0.19로 초기 에 비해 약 38%의 강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래걷이 장부맞춤 실험체의 경우 초기 첫 번째 사이클에 서의 강성(정가력과 부가력의 평균값)은 약 0.4가량으로 나타 났으나, 두 번째 사이클에서는 약 0.39, 이후 마지막 사이클에 서는 약 0.19로 초기에 비해 약 48%의 강성을 보유함을 알 수 있다. 전체 강성은 도래걷이 주먹장맞춤에 비해 작은 값을 가 지지만, 마지막 사이클에서의 강성 보유비율은 더 큰 값을 가 진다. 이는 장부맞춤이 주먹장맞춤에 비해 강성감소가 적게 일어나 파괴 시 안전성을 확보하기에 유리하다는 의미로 사 료된다.

5. 결 론

기존 전통 건축물을 수리, 보수할 때와 전통 건축물이 대형화 또는 다층화 될 때 고려해야 할 기둥머리 결구기법을 위해 기둥 -창방의 결구 유형과 창방의 어깨 형태에 따른 특성과 구조 성 능을 파악하고자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적으로 실험체는 항복 후에도 계속하여 강도가 서서 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하중가력 초기부터 장부 의 이격이 발생되고 재하 후에도 발생된 이격이 제자리로 돌 아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클에 따른 강 성저하 현상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는데 목구조 결구형태는 장부의 이격으로 인한 핀칭과 잔류변형이 존재하기는 하나, 이는 재료의 항복으로 인한 잔류변형이 아닌 부재 내부의 위 치변동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2.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는 창방의 나이테 형상이 C 형인 부분에 비해 원형인 부재에서 균열이 더 많이 진전되었 다. 최대강도는 가장 높은 값을 보여 가장 우수한 강도성능을 발휘하였다. 항복점은 가장 작은 값을 보여 연성 능력이 탁월 한 결구형태로 볼 수 있다.

  3. 통넣고 주먹장맞춤 실험체의 균열형상은 도래걷이와 유 사한 경향을 보이나, 균열부위의 폭과 길이는 매우 크게 나타 났다. 최대강도는 도래걷이 주먹장맞춤 실험체에 비해 약 6% 가량 작은 값을 가진다. 항복점은 파괴점에 더 가까워 항복 이 후 파괴 시까지의 구간이 짧아 연성능력이 떨어진다. 강성값 은 초기부터 작은 값을 가지지만, 최종단계에서 강성 보유비 율은 도래걷이 주먹장맞춤과 별 차이가 없었다.

  4. 도래걷이 장부맞춤 실험체의 제작 시에 기둥의 양갈 부 분에서 할렬 파괴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실험 결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압파괴에 의한 균열발생 정도는 주먹장 맞춤 실험체보다 작게 나타났다. 이는 각 부재 단면 내에서 압 밀 변형되는 형태로 변형되려고 하는 현상을 흡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최대강도는 3개 실험체 중 가장 작은 값을 가지며, 통넣고 주먹장맞춤과는 큰 차이가 없으나, 도래걷이 주먹장 맞춤에 비해서는 약 7%가량 작은 값을 가진다. 강도에 대한 성능은 장부맞춤이 주먹장맞춤보다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다.

References

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4), Cultural properties repair standard specifications .Google Search
2. 
Chung, Y. S. (2006), A study on the joint and splice method of wooden architecture in joseon dynasty, Sungkyunkwan University doctoral thesis.Google Search
3. 
Pack, C. Y. (2011), Influence factors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traditional wooden dovetail joi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Google Search
4. 
Lee, S. Y. (2010), Mechanical Modeling of dovetail joint in traditional wooden structures,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Google Search
5. 
Computers and Structures (1995), Inc, SAP2000 Integrated Finite Element Analysis and Design of Structures, Analysis Reference 1.Google Search
6. 
Roy, F. Pellerin, Robert, J. Ross (2002),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Wood, Forest Products Society Madison, Wl.Google Search
7. 
Jeong-Moon, Seo, In-Ki1, Choi, Jong-Rim, Lee (1999), Static and Cyclic Behavior of Wooden Frames With Tenon Joints Under Lateral Load,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25(3), 344-349.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