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준
(Seung Jun Kwon)
1
조성준
(Sung Jun Cho)
2
임희섭
(Hee Seob Lim)
3*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EOS, GGBFS, 콘크리트, 촉진 염화물 확산계수
Key words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EOS),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GGBFS), Concrete, Accelerated chloride diffusion
1. 서 론
콘크리트는 건설 분야의 중요한 재료로 현대 문명의 최고 발명품 중 하나이다. 이는 콘크리트가 경제적이고 재료 수급 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생태계 파괴가 극심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환경 규제가 강화되어 섬진강 골재 채취 및 남해 EEZ 골재 채취를 중단하는 등으로 골재 부족 현상이
심 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순환골재, 산업부산물을 재활용하여 건설 재료로서의 대체 재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되고 있다(Kim et al., 2012; Tam et al., 2005). 특히 철강 산업 의 발전으로 인하여 철강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 로 철강 부산물이 발생되고 있다. 2015년 기준으로 국내 철강 부산물은
약 2,400만 톤이 발생되었으며, 고로 슬래그가 약 52%, 전로 슬래그가 28%, 전기로 슬래그가 약 20% 비중으로 발생되었다(Kwon et al., 2018). 고로 슬래그는 제철소 고로에 서 선철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SiO2와 Al2O3 등을 주성분으로 고온에서 석회와 반응하여 잠재수경성을 갖는 대표적인 콘크 리트 혼화재로 장기강도 개선, 수밀성 향상, 수화열 저감 등의 장점이 있어
건설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고로슬 래그 미분말(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GGBFS) 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염화물 이온의 침투에 대한 관점에서 잠재수경성으로 인하여 공극률의 감소를 통하여 염화물 확산 계수의 감소 등으로 고내구성 재료로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 되어 왔다(Song et al., 2003; Song et al., 2009; Kwon et al., 2013; Oh et al., 2016). 하지만 철강 부산물 중 대부분의 슬래 그는 저부가가치로 도로용 또는 성토용으로 재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Faraone et al., 2009). 전기로 산화슬래그(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EOS)는 생산되는 제강 종류에 따 라 3.0~3.8 kg/cm3의 높은 밀도로 방사선 차폐 콘크리트 등의 연구에 진행되었다(Lim et al., 2011). 또한 전기로 산화슬래그 는 콘크리트 혼입 시 압축강도 증진효과가 나타나 골재 대체 재료의 적용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Cho et al., 2009; Lee et al., 2013; Roslan et al., 2016; Sheen et al., 2015; Lim et al., 2017). 하지만 콘크리트 대체 골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열악한 환경에 노출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내구적인 성능 평가는 필수적이다. 특히 염해로 인한
염화물 이온의 침투에 따른 내부철근 부식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충분한 실험을 통 한 평가가 진행되어야 한다.
콘크리트의 대표적인 염화물 확산계수 평가 방법은 Fick's 2nd law의 일반해에 의한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를 평가하 는 방법이 있으며, 전기화학적
이론을 도입하여 전위차 구배 를 통한 염화물 이온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전기적 촉진 시험 방법이 있다. 특히 전기적 촉진 실험은 짧은 시간내에 염화물
확산계수를 평가할 수 있다(Chun et al., 2017; Yoo, 2010). 이 러한 전기적 촉진 시험방법은 주로 NT BUILD 492 방법으로 전기적 이동과 확산을 통하여 염화물 확산계수를 구할 수 있 다(Tang et al., 1992; Tang, 1996; NT BUILD 492, 1999).
본 연구에서는 EOS 잔골재를 치환하여, OPC 콘크리트 배 합과 GGBFS 콘크리트 배합을 대상으로 초기재령에서의 공 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GGBFS
혼입 시 초기재령에서 강도 발현이 늦다는 단점을 보완하고, EOS 골재가 콘크리트 대체 골재로서 기계적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염화물 확
산실험은 NT BUILD 492를 이용하여 촉진 염소이온 확산깊 이를 측정하여 염화물 확산계수를 도출하고 EOS 골재 치환 에 따른 내구성능을 평가하였다.
2. 실험 계획 및 방법
2.1 사용 재료
시멘트는 국내 H사의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 였으며, 시멘트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1에 나타냈다. 또한 GGBFS는 3종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하였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골재는 세척사,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 골재, 부순 굵은골재를 사용하였다. 전기로 산화슬래그는 H 사에서 배출되고 있는 잔골재로
KS F 2527(콘크리트용 골재) 에 만족하는 골재를 사용하였으며, Table 2에 사용 재료의 물 리적 특성을 나타냈다.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aggregate
전기로 산화슬래그와 세척사의 조립률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가 세척사에 비해 500 μm 이하의 미립분량이 많은 것으로
Fig 1에 나타났다. 콘크 리트 혼화제는 고성능 감수제로 A사 폴리카르본산계를 사용 하였으며, Table 3에 물리적 특성을 나타냈다.
Table 3
Physical properties of chemical admixture
Table 4는 사용 재료의 화학적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로 산화슬래그 잔골재의 주성분은 CaO, SiO2, Al2O3, Fe2O3로 나타났으며, Fe2O3의 함량이 약 35% 이상 나타남에 따라 골재 비중이 약 3.38 kg/cm3 으로 높은 밀도로 나타내고 있다.
Table 4
Chemical composition of used materials (%)
2.2 콘크리트 배합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물성 실험을 위하여 다음 Table 5와 같이 실험계획을 나타냈다. 실험은 물- 결합재비 60%의 수준으로 GGBFS를 시멘트 대비 40% 치환하 여 선정하였다. 전기로 산화슬래그(H사-당진)
잔골재를 대상 으로 치환율(0%, 30%, 50%)에 따른 OPC 콘크리트 배합 및 GGBFS 콘크리트 배합의 기계적 성능을 검토하였다. 실험 방
법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KS F 2402(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에 준하여 슬럼프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KS F 240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 용적 질량 및 공기량 시험 방법)의 콘크리트의 단위용적 질량 및 공기량 시험을 진행하였다. 경화 콘크리트에서는 ∅100×200 mm 원주형 공시체를
제작하여 재 령 3일, 7일, 28일에 수중 양생을 진행하여 각 재령별 공시체 3 개씩 압축강도 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촉진 염화물 확산 시험 을
진행하기 위하여 ∅100×200 mm 원주형 공시체를 제작하여 재령 28일까지 수중 양생 후 커팅하여 3개씩 실험을 진행하였 다. Table 6는 콘크리트 배합 사항을 나타낸 것이다.
Table 5
Experimental plan of concrete
Table 6
Mixing design of concrete
2.3 촉진 염화물 확산시험
EOS 잔골재 및 GGBFS 치환율에 따른 염화물 확산계수를 도출하기 위해서 NT BUILD 492에 의거하여 실험을 진행하 였다. 촉진 염화물 확산시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염화물 확산 Cell을 Fig 2와 같이 구성하였으며, NT BUILD 492의 실험조 건은 다음 Table 7에 나타냈다. 시험편은 각 배합에 ∅ 100×50mm의 크기의 디스크 시편을 3개씩 제조한 후, 음극액 저장소에 10% 염화나트륨(NaCl) 수용액,
양극용액에는 0.3 Mol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채운 후 8시간동안 30V 의 전압을 인가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전압을 인가한 후 시편
을 쪼개고, 쪼갠 부분에 0.1 M 질산은(AgNO3)용액을 분무한 다. 음극측 표면에서부터 은색으로 변한 지점까지의 깊이를 염소이온의 침투깊이로 측정하였다. 염소이온 침투깊이로부 터 염화물 확산계수는
식 (1), 식 (2), 식(3), 식(4)를 이용하여 식(5)에 의해 도출하였다(Song, et al., 2005; Yoon, et al., 2018; NT Build 492, 1999).
Table 7
Conditions for rapid chloride penetration test
여기서,
-
Dnssm = 비정상상태의 촉진 염소이온 확산계수 (m2/sec)
-
z = 염분에 대한 이온 균형의 절대치(1.0)
-
F = 패러데이상수 (96,500 J/V·mol)
-
U = 적용 전압 (30 V)
-
R = 기체 상수 (8.314 J/mol·K)
-
T = 양극용액의 초기온도 및 최종온도의 평균온도 (295 K)
-
L = 공시체 두께 (0.05 m)
-
xd = 비색법에 의한 침투깊이 평균값 (m)
-
t = 시험시간 (28,800 sec)
-
Cd = 비색법에 의한 염분농도 (mol/l)
-
C0 = 음극 용액의 염분농도 (mol/l)
3. EOS를 혼입한 OPC 및 GGBFS 콘크리트의 실험 결과 및 분석
3.1 굳지 않은 콘크리트
Fig. 3은 OPC 및 GGBFS 콘크리트에 EOS 잔골재 치환량 에 따른 슬럼프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EOS 잔골재 치환 량이 증가함에 따라 슬럼프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GGBFS 혼입 콘크리트 배합에서는 OPC 콘 크리트와 비교하여 슬럼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GGBFS의
입자 표면이 시멘트 입자 표면에 비해 치밀하여 슬럼프가 높 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Lee, et al., 2000).
Fig. 4는 OPC 및 GGBFS 콘크리트에 EOS 잔골재 치환량 에 따른 공기량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슬럼프 시험결과 와 비슷한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EOS 잔골재의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기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OPC 콘 크리트와 비교하여 GGBFS 콘크리트의 공기량이 높게
나타 났다. EOS 잔골재는 입자 표면이 거칠고, 세척사에 비해 미립 자율이 높아 슬럼프와 공기량 모두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미립분은
공기량을 흡착하여 콘크리트의 공기량 을 감소시키게 된다(Lee, et al., 2005).
Fig. 4
Test result of air content
Fig 5는 단위용적질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냈다. EOS 잔 골재의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위용적질량은 최대 2,440 kg/m3로 나타났다. GGBFS 콘크리트에서 전체적으로 단위용 적질량이 감소하였으며, G40-E50에서 2,350 kg/m3으로 OPC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Fig 5
Test result of unit volume weight
3.2 경화 콘크리트
3.2.1 재령별 압축강도 시험결과
Fig. 6은 재령별 압축강도 비교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OPC 콘크리트 배합에서는 재령 3일, 7일에서 EOS 잔골재 치환량 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 다. 하지만, 재령 28일에서 OPC 기준 콘크리트에서 26.4 MPa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O-E50에서 23.8
MPa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기로 산화슬래그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 강도가 소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6
Test result of compressive strength
GGBFS 콘크리트 배합에서는 재령 3일에서 OPC 콘크리트 배합과 같이 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재령 7일에서 G40-E30에서 강도가 16.4
MPa로 소량 감소하였고, G40-E50 은 17.5MPa, G40은 17.8 MPa로 비슷한 강도가 나타났다. 재 령 28일에서는 G40-E30이
24.5 MPa로 강도가 크게 증가하여 G40과 비슷한 강도가 나타난 반면, G40-E50에서 22.5 MPa로 강도가 소량 감소하였다. G40-E30
배합에서는 OPC 기준 콘 크리트 및 GGBFS 기준 콘크리트 배합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GGBFS 혼입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초기
재령에서 강도 발현이 낮은 단점이 있다(Lee, et al., 2000). 본 연구에서는 재령 3일까지는 EOS 잔골재 혼입으로 인하여 강 도 발현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EOS 골재가 혼입
된 콘크리트는 강도 증진효과가 나타났다(Lim, et al., 2017). 본 연구에서는 재령 28일에서 EOS 잔골재 혼입 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약 2 MPa 차이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3.2.2 촉진 염화물 확산시험
촉진 염화물 확산시험은 NT BUILD 492에 따른 실험을 진 행하였다. 각 시험체에 AgNO3 용액을 분무하여 염화물 이온 침투깊이를 측정하여 Fig 7에 나타냈다. 왼쪽 그림은 OPC 콘 크리트 배합을 나타냈으며, 오른쪽 그림은 GGBFS 콘크리트 배합 시편을 나타낸 것이다. OPC 콘크리트 배합에
비해 GGBFS 콘크리트 배합에서 염화물 이온 침투깊이가 확연히 적음을 확인 할 수 있다.
Fig 7
Chloride penetration depth measurement
Table 8은 각 배합의 염화물 침투깊이를 평균값으로 측정 하여 염화물 확산계수를 산정하였다. OPC 콘크리트 배합에 서는 O-E30에서 염화물 침투깊이가 18.71
mm로 가장 많은 침투를 나타냈으며, O-E50에서 16.04 mm로 가장 적은 침투 깊이를 나타냈다. GGBFS 콘크리트 배합에서도 G40-E30에
서 7.29 mm로 가장 깊은 침투깊이를 나타냈으며, G40-E50에 서 6.65 mm로 가장 적은 침투깊이를 나타냈다.
Table 8
Test result of chloride diffusion
Fig. 8은 각 배합의 염화물 확산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OPC 콘크리트 배합에서 EOS 잔골재 30% 치환 배합에서 가장 높 은 염화물 확산계수 21.6
× 10-12 m2/s로 평가되었으며, EOS 잔 골재 50% 치환 배합에서 OPC 기준 배합 대비 소량 감소하여, 20.3 × 10-12 m2/s으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Fig. 8
Test result of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GGBFS 콘크리트 배합에서도 EOS 잔골재 30% 치환 배합 에서 가장 높은 염화물 확산계수 8.63 × 10-12 m2/s로 나타났으 며, EOS 잔골재 50% 치환 배합에서 6.65 × 10-12 m2/s로 가장 낮은 확산계수를 나타냈다. OPC 콘크리트 배합과 비교하여 GGBFS 콘크리트 배합의 염화물 확산계수가 저감되었으며, 약 2.7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GGBFS의 혼입으로 인 하여 염화물 이온의 침투 저항성이 향상 된 것으로 판단된다(Song, et al., 2003). 또한 EOS 잔골재가 혼입 된 콘크리트는 일 반 골재 활용시와 비교하여 동등이상의 내구성능을 발현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Cho, et al., 2009). 본 연구에서는 EOS 잔 골재를 30% 혼입 배합에서 염화물 이온 침투에 대한 확산계 수가 소량 증가하였지만, 각 기준 콘크리트 배합과 비교하여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EOS 잔골재 및 GGBFS를 혼입한 초기 재령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 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OPC 콘크리트 배합 및 GGBFS 콘크리트 배합 모두에서 EOS 잔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슬럼프와 공기량 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EOS 잔골재가 세척 사에 비해 골재 표면이 거칠고 미립분이 많아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
EOS 잔골재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재령 3일, 7일에서 압축강도가 OPC 콘크리트 배합 및 GGBFS 콘크리트 배 합에서 높은 강도 발현을 확인하였다.
재령 28일에서는 각 기준 배합 콘크리트에 비해 약 2 MPa 차이로 강도가 소량 감소하게 나타났지만, GGBFS 콘크리트의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
30% 치환 배합에서 높은 강도 발현 을 보여 OPC 콘크리트 배합과 비슷한 강도 발현이 나타 났다.
-
촉진 염화물 확산시험을 평가한 결과 GGBFS 혼입 콘크 리트 배합에서 OPC 콘크리트 배합과 비교하여 EOS 잔 골재 0% 치환 배합에서 약 65%
감소하였으며, EOS 잔 골재 30% 치환배합에서 약 60% 감소, EOS 잔골재 치환 배합에서 약 67%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EOS 잔골재 50%
치환 배합에서 OPC 콘크리트 배합 및 GGBFS 콘크 리트 배합 모두에서 가장 낮은 염화물 확산계수가 나타 났다.
-
물-결합재비 60%의 OPC 콘크리트에 EOS 잔골재를 활 용시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질량 및 역학적 특성을 고려 하여 EOS잔골재를 30%까지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 며, GGBFS 콘크리트에서는 EOS 잔골재를 50%까지 활 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
EOS 잔골재를 활용하면 GGBFS 혼입 콘크리트의 초기 재령에서의 강도 발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EOS 잔골재가 콘크리트 골재 대체
재료로서의 가능성 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추후 장기재령에서의 압축강도 및 내구성능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 연구지원사 업 (NRF-2015R1A5A1037548) 및 기초연구사업(학문후속세 대양성 NRF-2018R1A6A3A01010614)
지원을 받아 수행되 었으며, 저자는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Kim, J. M., Park, H. I. (2012), Evaluation on Volume Stability of the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 by Hydro Thermal Condition, Journal of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29, 551-560.
Tam, V. W. Y., Gao, X. F., Tam, C. M. (2005), Microstructural analysi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produced from two-stage mixing approach,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5 1195-1203.
Kwon, S.J., Lim, H.S., and Lee, H.S. (2018), Quantitative evaluation of Free CaO
in electric arc furnace reduction slag using the ethylene glycol method,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8(4), 321-327.
Song, H. W., Kwon, S. J., Lee, S. W., Byun, K. J. (2003), A study on resistance
of chloride ion penetration in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5(3), 400-408.
Song, H. W., Kwon, S. J. (2009), Evaluation of chloride penetration in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neural network algorithm and micro pore structu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9, 814-824.
Kwon, S. J., Park, S. G. (2013), Analysis technique for chloride penetration in
high performance concrete behavior considering time-dependent accelerated chloride
diffusivity,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5(2), 145-153.
Oh, K. S., Mun, J. M., Kwon, S. J. (2016),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s in
cold joint concrete with GGBF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0(5), 44-49.
Faraone, N., Tonello, G., Maschio, S. (2009), Steelmaking Slag as Aggregate
for Mortars: Effects of Particle Dimension on Compression Strength, Chemophere, 77,
1152-1156.
Lim, H. S., Lee, H. S. (2011),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X-ray
Shielding Concrete Utilizing Electron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 125-132.
Cho, B. S., Lee, H. H., Yang, S. K., Lee, W. J., Um, T. S. (2009), Appraisal
of Concrete Performance and Plan for Stable Use of EAF Oxidizing Slag as Fine Aggregate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1, 367-375.
Lee, S. H., Lim, D. S., Lee, S. H., Lee, J. H. (2013), Mechanism of Strength
Development in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the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s Fine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5(1), 3-9.
Roslan, N. H., Ismail, M., Abdul-Majid, Z., Ghoreishiamiri, S., Muhammad,
B. (2016), Performance of steel slag and steel sludge in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04, 16-24.
Sheen, Y.D., Le, D. H., Sun, T.H. (2015), Innovative Usages of Stainless Steel
Slags in Developing Self-compacting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01, 268-276.
Lim, H. S., Lee, H. S. (2017),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crete using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1(4), 97-103.
Chun, J. H., Ryu, H. S., Yoon, Y. S., Kwon, S. J. (2017), Crack and time effect
on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in nuclear power plant concrete with 1 year curing
perio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1(6), 83-90.
Yoo, J. G. (2010), Durability Design of Concrete and Evaluation of Field Application
o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Exposed to Marine Environment, Ph.D. dissertation,
Daejeon, Chungnam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Tang, L., Nilsson, L.O. (1992), Rapid Determination of the Chloride Diffusivity
in Concrete by Applying an Electrical Field, ACI Materials Journal, 89(1), 49-53.
Tang, L. (1996), Electrically Accelerated Methods for Determining Chloride Diffusivity
in Concrete-Current Development,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48(176), 173-179.
NT BUILD 492. (1999), Chloride Migration Coefficient from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s, Denmark, Slettetoften: NORDTEST. 1-11.
Song, H. W., Kwon, S. J., Byun, K. J., Park, C. K. (2005), A Study on Analytical
Technique of Chloride Diffusi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Mixture Design for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Mineral Admix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5(1A), 213-223.
Yoon, Y. S., Kwon, S. J. (2018), Evaluation of time-dependent chloride resistance
in HPC containing fly ash cured for 1 yea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2(4), 52-59.
Lee, S. S., Won, C., Kim, DS., Park, S. J. (2000), A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blast-furnace slag powde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2(4), 49-58.
Lee, M. H., Lee, S. H., Shim, J. W. (2005),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recycled
concrete using recycled fine aggregates with different removal formulas of powder
in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7(1), 95-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