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잉여 페이스트 이론에 근거한 개질 페이스트의 피막두께 모델
Miyake 등은 Fig. 4와 같이 1940년의 C.T, Kennedy의 잉여 페이스트의 피막두께 이론8)과 골재의 평균입경을 이용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트 중의 액상을 페이스트, 고상을 골재로 구 분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변형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는
‘평 균 잉여 페이스트 피막두께 / 골재입자의 비표면적 평균 입경’ 으로 정의하고 있다9). 이 때, 평균 잉여 페이스트의 피막두께 가 일정하며, 실제 잉여 페이스트의 평균 피막두께는 동일한 것으로 가정했다. 한편, 잉여 페이스트 피막두께는
골재 입자 간의 윤활효과에 기여하는 유효 페이스트의 피막두께와 골재 표면에 부착하여 골재 입자와 함께 거동하는 부착 페이스트 의 피막두께의 2종류로
정의하고 있다8,9).
Fig. 4
Conceptual diagram of coating thickness of surface modified aggregate
본 연구에서는 개질 페이스트에 의해서 원골재 표면을 코 팅 하는 것으로 Miyake 등이 제안한 평균 잉여 페이스트의 피 막두께 이론과 골재의 평균
입경을 이용하기로 한다. 이 때 C.T, Kennedy의 페이스트 피막이론에 근거하여 모든 입경의 원골재 및 개질 페이스트 입형을 구체로 가정8)하고, 개질 페 이스트의 피막두께는 Fig. 4(b)와 같이 유효 페이스트의 피막 두께를 제외한 부착 페이스트의 피막두께만을 원골재로에 피 복되는 개질 페이스트 피막두께로 정의한다.
한편, 원골재 표면에 피복되는 개질 페이스트의 피막두께는 유체역학과 도료의 유동학의 개념에 근거한 개질 페이스트 거 동 및 피막두께 형성에 의해 변동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10). 특 히, 도료의 유동학에 있어서, 유체의 항복치에 따라 뉴턴유체 의 특성을 가지는 흐름현상(도료가 선형으로 흘러내리는 현상, 이하 Curtaining
현상)과 비뉴턴 유체의 특성을 가지는 흐름현 상(도료가 파형으로 흘러내리는 현상, 이하 Sagging 현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6). 여기서, 개질 페이스트의 정량적인 피막두께 를 계산하기 위해서 본문에 제시하고 있는 식 (1)에서 식 (4)와 같이 TEMPLE C.PATTON의 도료의 유동과 안료분산 (1971) 의 ‘Curtaining 현상’과 ‘Sagging 현상’의 관계를 적용한다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질 페이스트의 피막두께를 계산하기 위해서, 먼저 뉴턴 유체의 유동으로 발생되는 ‘Curtaining 현상’ 에 대해 고찰한
후, 비뉴턴 유체인 개질 페이스트의 유동 특성 을 파악하여 개질 페이스트의 피막두께를 산정하기로 한다.
‘Curtaining 현상’의 유동학에서 균일한 두께 X의 습윤 피 막두께는 dx의 박막으로 구성되어 dx의 박막층이 수직면상 에 다량으로 겹쳐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Fig. 5와 같이 표면에 있는 1장의 dx의 박막층은 외측에 겹쳐 있는 다 량의 박막층에 의해 하부로 흘러 내리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 다. 이 힘은 외측에 겹쳐있는 박막층의 총중량과 동일하게
되 고, 그 때에 뉴턴 유체에서는 용제의 증발이 없고 온도의 변화 도 없는 이상 조건이 적용된다. 여기서, 박막층의 길이를 L, 폭을 B로 하면, x보다 외측부분의 체적 V는 식(1)에서 나타 낼 수 있다.
이때, 유체의 밀도를 ρ라고 하면 이 위치로부터 하부로 움 직이려고 하는 힘 F는 식(2)로부터 요구할 수 있다.
이 힘에 저항하는 힘이 유체의 점성이며, 그것이 ‘Curtaining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한편, 점도에 관한 기본식으로부터 이 저항력 F ′은 식(3)에서 주어진다.
또한, ‘Curtaining 현상’을 크게 지배하고 있는 또 다른 중요 한 원인은 유체의 비뉴턴 성질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비 뉴턴 유체는 항복치가
있으며, 중력에 의한 전단응력이 그 유 체의 항복치를 넘지 않는 한 문제가 되는 ‘Curtaining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Fig. 5
Fig. 5
Behavior of Newton and non-Newton fluid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개질 페이스트는 시멘트계 재료의 페 이스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비교적 항복치가 큰 유체로 분류할 수 있으며, 비뉴턴의 점성유체
(빙엄유체)로 생각하면, 원골재 의 수직평면에 비교적 두껍게 피복 했을 경우, ‘Sagging 현상’ 이 발생하게 된다. 즉, 어느 정도의 항복치를
가지고 있는 비뉴 턴 유체에서는 박막층 x의 위치에서 ‘Sagging 현상’이 발생한 다. 이 때, 발생하는 ‘Sagging 현상’은 식 (4)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만약 항복치가 충분히 큰 개질 페이스트일 경우 는 식 (4)에서의 x값은 X값과 동일하게 되고, 그 때는 개질 페 이스트의 하부로의 이동은 완전히 구속되게 된다.
따라서, 개질 페이스트의 피막두께는 Fig. 6과 같이 개질 페 이스트가 골재의 상부 90°지점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흐르는 경우, 도료의 유동학과 유체역학에 의한 수직항력의 관계를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 즉, 각도 θ가 A점으로부터 B점의 거 리까지 유동할 때, 피막두께는 x1로부터 x2로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개질 페이스트의 항복치에 의한 부착 페이스트의 피 막두께는 유체역학에 있어 중력에 의한 수직항력이 발생하 여, 이 때
각도 θ의 변화에 의해서 피막두께도 변화하게 되어, 식 (4)는 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개질 페이스트의 피 막두께는 각도 θ가 90°인 지점에서 최대 피막두께를 가지고, 각도 θ가 0°인 지점에서 최소 피막두께를 가지게 된다.
Fig. 6
Changes of the coating thickness of modified paste on surface modified aggregate
한편, 본 연구에 있어서, 개질골재의 제작은 원골재를 강제 적으로 회전시키면서 골재의 표면을 개질 페이스트로 피복하 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개질골재의 피막두께는 원 골재의 수직면(90°)에 대한 피막두께만이 작용되어, 구형으 로 가정하고 있는 개질골재 전면의 피막두께는 원골재의 수 직면에
작용되는 개질 페이스트의 항복치와의 관계로부터 표 현할 수 있다.
따라서, 원골재의 전면에 코팅되는 개질 페이스트의 피막 두께는 Fig. 6의 MIN (최소 피막두께) 만을 이용하여 Fig. 7의 (a) 및 (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때의 개질골재의 피막두 께 계산은 식 (5)에서 cosθ가 수직인 면(90°)에 대해서만 작용 되기 때문에 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 7
Coating thickness of surface modified aggregate produced by rotating
여기서, 중력에 의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으며, 항복치만 에 의해 피막두께가 결정되기 때문에 모델골재와 원골재의 표면상태가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회전방식에
의한 개질 골 재를 제작할 경우, 개질 페이스트는 모델골재와 원골재의 표 면에 모두 균일하게 피복되며, 이 때의 모델골재 및 원골재의 피막두께는 동일해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