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중공슬래브 열확산 경로s
본 연구에서는 중공슬래브의 열확산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 여 중공슬래브에 대한 과도상태 열전달 해석을 수행하였다. 중공의 유/무를 변수로 하여 과도상태
열전달 해석을 수행한 결과는 Fig. 2와 같다.
Fig. 2
Results of Heat transfer Analysis
중공슬래브에 대한 과도상태 열전달 해석결과 동일 가열시 간에서 비가열면의 최대 온도가 솔리드슬래브 모델에 비해 중공슬래브 모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공부 비가 열면의 온도가 솔리드 부분의 비가열면의 온도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솔리드 모델이 슬래브 두께방향 으로 1방향 형태의
온도변화를 보이는데 반해, 중공슬래브 모 델의 경우 온도변화가 중공부 공기층을 중심으로 X축, Y축, Z 축의 세 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석 결과를 통해 중공슬래브의 온도변화에 중공부 공기층이 영향 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슬래브에 적용 되는
전도만을 고려한 기존의 1방향 열전달 모델은 중공슬래 브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석결과 화재 시 중공슬래브의 내화성능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 온도가 발생하는 부분이 공기층을 포 함하고 있는 중공부인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중 공슬래브의 중공부가 슬래브 면적의 80% 이상임을 고려하였 을 때 중공슬래브의 상부와 하부 슬래브를 연결하는 복부 콘 크리트가 중공부의
온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 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석상 편의를 위해 중공슬래브의 상부와 하부 슬래브를 연결하는 복부 콘크리트를 무시하고 중공부의 공기층만을 고려하여 Fig.
3와 같이 하부콘크리트, 공기층, 상부콘크리트 3개의 요소로 구성된 1방향 열전달 경 로로 간략화 하였다. 또한, 각 요소에서의 열전달 경로의 경우
상/하부 콘크리트 층 내부에서는 전도에 의해서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공기층에서는 공기의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무시하고 대류 및
복사에 의해서만 열이 전달 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간략화 하였다.
Fig. 3
Heat transfer Path of Voided Region
3.2 중공슬래브 열전달 모델 및 내부온도 추정식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T.T. Lie의 모델을 기반으로, 중공슬 래브 공기층에 의해 발생하는 경계면의 경계조건을 고려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였다.
T.T. Lie 등(T.T. Lie et al, 1979)은 각 층 사이의 평균 열전도율(kaυe)의 개념을 도입하여 기존 이론식을 간략화 시킨 모델을 제안하였다. 해당 모델은 주어진 시간대에서 반복계산 없이 직접적으로 슬래브 층의 온도를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중공슬래브 내부의 공 기층의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공부의 공기층을 고려하여 화재 시 중공슬래브의 온도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중공부 단면을 Fig. 3과 같이 하부콘크리트, 공기층, 상부콘크리트 3개의 요 소와 4개의 경계면(가열면, 중공하부면, 중공상부면, 비가열 면)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모델링하였다.
또한, 중공슬래브 중 공부의 열전달 경로를 앞서 가정한 바와 같이 1방향 열전달만 을 고려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4개의 특정면을 제외한 각 콘크리트
층에서는 전도를 통해서만 열전달이 발생하는 것으 로 가정하였으며, 중공 공기층에서의 열전달은 복사와 대류 를 통해서만 전달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유한차분법을 기반으로 화재 시 중공슬래브 내부의 온도 추정식을 도출하기 위해, 공기층 상부 및 하부의 콘크리트를 Fig.4와 같이 각각 유한개(M)의 층으로 분할하여 모델링하였 으며, 공기층의 경우 전도를 무시하였으므로 단일 층인 것으 로 가정하였다. 각 층의 두께는 경계면에서 0.5∆x, 콘크리트 내부에서 1.0∆x의 두께를 가지도록 분할하였으며, 각 층에서 의 콘크리트 온도는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시간 변화에 따른 각 층의 온도추정식은 양해법에 근거하여
유도하였으 며, 재료의 열적 비선형성이 고려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Fig. 4
Heat transfer Model of Voided Slab by Finite difference method
3.2.1 가열면 열전달 경계조건 및 온도추정식
중공슬래브 가열면에서 열에너지는 전도, 대류, 복사에 의 해 전달되며, 가열면의 온도(Tb1)는 가열면에서의 열전달 경 계조건 및 에너지평형조건을 통해 산정할 수 있다. 가열면 (Pb1)의 열에너지 변화를 살펴보면 열에너지의 유입은 열원과 가열면 사이에서의 복사 및 대류에 의해서 발생하게 되며, 열 에너지 방출은 인접한 상부 콘크리트층(Pb2)으로의 전도를 통 해 발생한다. 최종적으로 에너지평형조건에 의해 가열면 콘 크리트층(Pb1)은 흡수된 열에너지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다. 중공슬래브 가열면에서의 열전달 경계조건 및 에너지평형조 건을 기반으로 시간에 따른 가열면 온도(
T
b
1
i
+
1
)를 식 (10)과 같 은 양해법 형태의 열전달 방정식으로 유도 할 수 있다.
여기서,
T
f
i
는 시간에 따른 열원 온도이며,
T
b
1
i
및
T
b
2
i
는 시 간에 따른 해당 층의 온도이다. kb1 및 kb2는 온도에 따른 해당 층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이다. 열원의 방사율(∈f)은 1.0으로 가 정하였으며, 가열면 콘크리트의 방사율(∈c)은 0.9로 가정하였 다. 열원에서 가열면으로의 관측계수(F)는 서로 평행한 무한 평면으로 가정하여 1.0의 값을 사용하였다. 가열로의 대류계 수(hf)는 강제대류로 가정하여 40W/m2K를 사용하였다.
3.2.2 중공하부면 열전달 경계조건 및 온도추정식
중공하부면은 하부콘크리트층 최상부면과 중공의 공기층 이 만나는 면으로 정의되며, 공기층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중 공하부면에서의 열전달 또한 전도,
복사, 대류 3가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공하부면(PbM) 으로의 열에너지 유입은 인접한 하부층 콘크리트(Pb,M-1)에 서의 전도에 의해서만 발생하며, 열에너지 손실은 중공하부 면과 중공상부면 사이의 복사 및 중공하부면과 공기층 온도 차이에 의한 대류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여기 서,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유발하는 공기층의 온도를 중공상 부면 온도(Tu,1)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중공하 부면의 열전달 경계조건을 통해 시간에 따른 중공하부면 온 도(
T
b
M
i
+
1
)를 다음 식 (11)을 통해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내부 공기층의 대류계수(hυoid)는 폐공간에서 의 자연대류로 가정하여 10 W/m2K를 사용하였다.
3.2.3 중공상부면 열전달 경계조건 및 온도추정식
중공상부면은 상부콘크리트층 최하부면과 중공의 공기층 이 만나는 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중공상부면(Pu,1)으로의 열 에너지 유입은 중공하부면(Pb,M)에서 방출되어 중공상부면 (Pu,1)까지 도달 후 흡수되는 복사 에너지와 공기층의 대류에 의해 중공상부면으로 전달되는 열에너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중공상부면(Pu,1)에서의 열에너지 손실은 인접한 상부 콘크 리트층(Pu,2)으로 전도에 의한 열에너지 손실만을 고려하였 다. 이러한 경계조건을 통해 시간에 따른 중공상부면 온도 (
T
u
1
i
+
1
)를 다음 식 (12)를 통해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하부면에서 중공상부면으로의 관측계수(F) 는 유한한 크기를 가지는 평행한 면으로 가정하여, 중공의 높 이, 폭, 너비 등을 통해 산정할 수 있다.
3.2.4 비가열면 열전달 경계조건 및 온도추정식
비가열면은 슬래브 최상부면으로 대기와 직접 접하는 면 으로 정의할 수 있다. 비가열면(Pu,M)으로의 열에너지 유입은 인접한 하부층 콘크리트(Pu,M-1)과의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 하는 전도 열에너지 유입만을 고려하였다. 비가열면(Pu,M)에 서의 열에너지 손실은 비가열면에서 대기층으로 방출하는 복 사 열에너지 및 비가열면과 대기의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하 는 대류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대기의 온도 (Tair)는 시간에 상관없이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경계조건을 통해 시간에 따른 비가열면 콘크리트층 온도 (
T
u
M
i
+
1
)를 다음 식 (13)을 통해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층의 대류계수 (hair)는 자연대류로 가정하여 25 W/m2K를 사용하였다.
3.2.5 콘크리트층 열전달 경계조건 및 온도추정식
중공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한 콘크리트층 내부에서의 열전 달은 인접한 콘크리트층 간의 온도차에 의한 전도를 통해서 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임의의 콘크리트 내부층 (Pb,m)에서의 열전달은 인접한 하부층(Pb,m-1)에서의 전도를 통한 유입과 인접한 상부층(Pb,m+1)으로의 전도를 통한 열손 실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계조건을 통해 시간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콘크리트 내부층 온도(Tbm 혹은 Tum)를 다 음 식 (14)를 통해 산정할 수 있다.
3.2.6 안정성(stability) 조건
제안 모델은 양해법 형태로 유도되었으므로 수렴성 확보를 위해 변수간의 상대적인 크기가 제한되어야 한다. 안정성 문 제는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속도가
높은 가열면에서 발생 하기 쉽기 때문에, 식 (9)를 준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T.T. Lie 는 식 (9)를 기반으로 간략화 하여 각 층별 두께(Δx)와 가열 시간 증분(Δt)과의 관계로 정리하였으며, 다음 식 (15) 및 (16)과 같은 안정성 조건을 제안하였다. (T.T. Lie et al, 1979)
여기서, hmax는 가열면을 통해 유입되는 열에너지에 대한 최대 열전달 계수이며, Tf,max는 열원의 최대온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