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 (주)유성테크 기업부설연구소 책임연구원)
  2. (정회원,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교신저자)
  3. (정회원, (주)유성테크 대표이사)
  4. (정회원,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책임연구원, 공학박사)
  5. (정회원, 우송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알파형 반수석고, 콘크리트, 압축강도, 건조수축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Drying shrinkage

1. 서 론

콘크리트는 경화 중의 온도변화나 수축에 의한 체적변화, 외부 힘의 작용, 시공불량 등에 의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균열은 수분이 침투 시 누수발생, 동결 시 균열폭의 확대, 철근 노출에 의한 부식, 구조물의 기능 및 내구성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Lee et al., 2015). 또한, 구조물의 고강도 및 고성능화의 궁극적인 목적은 내구성 확보에 있으며, 특히 현대사회의 대형 SOC 구조물은 엄청난 초기 건설비가 요구됨과 동시에 구조물 유지관리를 위해 매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다. 이에 따라 기존 건설재료에 다른 분야의 요소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형태의 재료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Woo et al., 2016; Woo et al., 2016).

현재 송배전 전력구, 전주 등의 전력구 구조물에 시공되는 콘크리트는 설계, 재료, 시공, 유지관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균열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균열보수 및 유지관리비용이 지속적으로 상승되는 문제점이 다수 보고되고 있다. 또한, 전력구 구조물의 경우 시공단계부터 노후화단계까지 균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시공된 위치에 따라 지하수 및 빗물, 해수 등의 침투로 인한 피해가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보수 및 관리 등이 필요한 실정이다(Shin et al., 2019; Chu et al., 2018).

한편, 탈황석고는 침상형으로 탈수성능이 뛰어나 소성이 용이하며 단순 열을 가하면 일부 또는 전체 결정수를 잃어 소석고가 되는 탈수과정이 진행되며, 소석고에 물을 가하면 고정경화를 거쳐 일부는 결정수 두 개를 가진 이수석고가 되고 일부는 결정수가 1/2개 있는 반수석고가 되는 재수화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파생된 알파형 반수석고는 연한미색 또는 백색을 띄고 있으며 적은 양의 물로써 경화되기 때문에 수축에 의한 균열을 억제할 수 있고 결합재로써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안정된 무수축성은 밀착성을 갖도록 하며 안정적인 장기 강도 유지 성능을 발현할 수 있고, W/B 제어에 의한 응결시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높은 초기유동성 확보를 통해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단면에서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다. 높지 않은 일정수준의 알칼리도가 내수 공극 확보에 의한 건습 반복 작용 및 동결융해 작용으로부터 안정적인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Lee et al., 2015; Jiang, G. et al., 2016; Guan, B. et al., 2011; Kim et al., 2012; Lee et al., 20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결과에서 알파형 반수석고 적용 시 압축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혼화제 및 실리카퓸의 첨가를 고려하였다(Shin et al., 2019). 이를 통해 제조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응결시간, 압축강도, 건조수축을 평가하였으며, 분석항목으로는 미소수화열, TGA(Thermo gravimetric analyzer),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XRD),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검토하였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used materials

Materials

Physical properties

OPC

Density : 3.15 $g/cm^{3}$, Blaine : 3,500 $cm^{2}/g$

A

Density : 2.72 $g/cm^{3}$, Blaine :1,400 $cm^{2}/g$

SF

Density : 2.32 $g/cm^{3}$, Blaine :250,600 $cm^{2}/g$

S

Density : 2.56 $g/cm^{3}$, Absorption ratio : 1.00 %

G

Density : 2.67 $g/cm^{3}$, Absorption ratio : 1.39 %

SP

Polycarboxylate Superplasticizer

1) OPC : ordinary Portland cement,

2) A :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3) SF : Silica fume, 4) S : Fine aggregate, 5) G : Coarse aggregate

Table 2. Chemical compositions of used materials

Materials

Chemical composition (%)

$SiO_{2}$

$Al_{2}O_{3}$

$Fe_{2}O_{3}$

$CaO$

$MgO$

$Na_{2}O$

$K_{2}O$

$SO_{3}$

$LOI$

OPC

20.70

6.20

3.10

62.20

2.80

0.10

0.84

2.10

1.96

A

2.57

0.88

0.41

39.99

0.32

-

-

55.79

0.04

SF

94.0

2.60

1.69

0.31

1.03

-

-

0.15

0.22

2. 실험계획 및 방법

2.1 사용재료

Table 1은 사용재료의 물리적 성질, Table 2는 사용재료의 화학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시멘트는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의 1종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알파형 반수석고는 밀도 2.72$g/cm^{3}$, 분말도 1,400$cm^{2}/g$인 것을 사용하였고, 실리카퓸은 밀도 2.32$g/cm^{3}$, 분말도 250,600$cm^{2}/g$인 것을 사용하였다. Fig. 1은 알파형 반수석고 및 실리카퓸의 입도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알파형 반수석고의 경우 분말도가 작은 영향으로 10㎛~100㎛ 정도의 입도가 큰 사이즈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실리카퓸은 높은 분말도로 인해 입도가 아주 작은 입자들이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2는 알파형 반수석고 및 실리카퓸의 미세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의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Fig. 1.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used materials

../../Resources/ksm/jksmi.2019.23.7.72/fig1.png

Fig. 2. SEM micrograph

../../Resources/ksm/jksmi.2019.23.7.72/fig2.png

2.2 실험계획

Table 3은 실험계획을 나타낸 것으로 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멘트 사용량은 동일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알파형 반수석고의 사용량을 9% 첨가하였다. 또한, 알파형 반수석고의 압축강도 저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단위수량을 감소시키고자 2번 배합에서는 감수제를 추가로 사용하였으며, 3번 배합에서는 실리카퓸을 3% 치환하여 압축강도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평가항목은 슬럼프, 응결시간, 압축강도, 건조수축이며, 분석을 위해 미소수화열, TGA, DSC를 측정하였다. 또한, 결정구조는 X-선 회절 분석(XRD), 미세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Table 4에 콘크리트 배합을 나타내었다. 콘크리트 배합은 기존 전력구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고 있는 27MPa이며, 목표슬럼프는 120±30mm, 물결합재비(W/B)는 49%, 잔골재율(S/a)은 48%로 설정하였으며, 단위수량은 168$kg/m^{3}$로 설정한 후 감수제의 사용량에 따라 조절하였다.

Table 3. Experimental plan

Experimental

variables

Experimental

level

Evaluation

items

Cement type

■ OPC

■ Slump

■ Setting time

■ Compressive strength

■ Drying shrinkage

■ Heat of microhydration

■ TGA, DSC

■ X-ray diffraction

■ SEM micrograph

Replacement ratio of

A

■ 0 (wt.%)

■ 9 (wt.%)

Replacement ratio of

SF

■ 0 (wt.%)

■ 3 (wt.%)

Replacement ratio of

SP

■ 0.6 (wt.%)

■ 0.9 (wt.%)

Table 4. Mix proportion of concrete

Specimens

ID

Slump

(mm)

W/B

(%)

S/a

(%)

Unit weight ($kg/m^{3}$)

$W$

$C$

$S$

$G$

$A^{1)}$

$SF^{2)}$

$SP$

OPC

120

±

30

49

48

168

340

865

967

0

0

2.04

A9

150

340

865

967

31

0

3.78

A9+SF3

150

340

865

967

31

10

3.78

1, 2) addition

2.3 시험체 제작 및 실험방법

콘크리트의 비빔은 2축 강제식 믹서를 사용하였으며, 슬럼프 시험은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방법」, 응결시간은 KS F 2436 「관입 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의 응결 시간 시험방법」, 압축강도는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준하여 진행하였다. 압축강도 시험체는 KS F 2403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체 제작방법」에 준하여 ∅100×200mm로 제작하였고, 건조수축 시험체는 KS F 2424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길이 변화 시험방법」에 준하여 □100×100×400mm로 제작하여 온도 20±3℃, 상대습도 50±5%의 항온·항습실에서 양생을 실시하였다.

미소수화열은 A사의 미소수화열 측정기를 이용하여 페이스트에 대한 수화발열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TGA(Thermo gravimetric analyzer)는 열무게 측정 분석으로 온도변화에 따른 시료의 무게변화를 측정하였고,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는 물질의 열적특성을 측정하는 기기로서, 시료의 열무게 분석 및 열적특성 측정, 물질의 반응열(흡열, 발열)의 열용량, 결정의 변형을 측정하였다. 시험체의 결정구조는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XRD)으로 회절 패턴은 5∼65° 2θ 구간, 0.01° 스텝, 스텝당 1초의 조건으로 재령 7, 28일에 샘플을 채취하여 분말형태로 제조 후 전처리 과정을 거쳐 측정하였다. 미세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활용하여 샘플을 백금으로 코팅한 후 가속전압 15 kV에서 관찰하였다.

Fig. 3. Slump measurement results of concrete

../../Resources/ksm/jksmi.2019.23.7.72/fig3.png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슬럼프 및 응결시간

Fig. 3은 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OPC의 경우 고성능 감수제 0.6% 첨가에 의해 슬럼프는 140mm로 측정되었다. A9 시험체는 고성능 감수제를 0.9% 사용하여 단위수량의 사용량을 감소시켰으며, 슬럼프는 150mm로 측정되었다. A9+SF3 시험체는 A9 시험체와 동일하게 고성능 감수제를 0.9% 사용하여 단위수량을 감소시켰으며, 슬럼프는 145mm로 측정되었다. 실리카퓸의 사용으로 슬럼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Fig. 4. Setting time measurement results of concrete

../../Resources/ksm/jksmi.2019.23.7.72/fig4.png

Fig. 5. Compressive strength measurement results of concrete

../../Resources/ksm/jksmi.2019.23.7.72/fig5.png

Fig. 4는 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응결시간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알파형 반수석고의 치환으로 인해 응결시간이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OPC 시험체에 3.2시간A9 시험체는 초결시간이 2.65 시간, A9+SF3 시험체는 초결시간 2.60으로 OPC 시험체에 비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A9+SF3 시험체는 실리카퓸의 영향으로 초결시점부터 영향을 주어 응결시간이 가장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종결시간에서도 OPC 시험체 7.5시간, A9 시험체 7.3시간, A9+SF3 시험체 7시간으로 측정되어 OPC 시험체에 비해종결시간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합 중 A9+SF3 시험체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알파형 반수석고는 재령 초기 높은 수화열을 나타내며, 1시간 이내에 경화하는 속경성의 특징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소량의 첨가로 응결시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3.2 압축강도

Fig. 5는 재령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OPC 시험체의 경우 재령 3일 압축강도는 15.2MPa, A9 시험체는 15.5MPa, A9+SF3 시험체는 16.1MPa로 측정되어 A9+SF3 시험체가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재령 7일에서도 OPC 22.1MPa, A9 23.7MPa, A9+SF3 시험체는 24.3MPa로 OPC에 비해 동등 이상의 수준의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재령 28일 압축강도의 경우 OPC 시험체는 30.1MPa로 측정되었으며, 알파형 반수석고를 9% 치환한 A9 시험체의 경우 30.5MPa로 측정되어 압축강도가 OPC에 비해 동등이상으로 측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9+SF3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32.2MPa로 OPC에 비해 약 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결과에서는 알파형 반수석고를 단독으로 9% 치환시 압축강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Shin et al., 2019), 알파형 반수석고를 치환이 아닌 첨가로 하였고, 감수제의 사용량을 0.3% 증가시켜 단위수량의 사용량이 약 18kg 감소하면서 압축강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리카 퓸의 사용으로 인한 압축강도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3 건조수축

Fig. 6은 재령에 따른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기존연구결과와 같이 알파형 반수석고의 사용으로 인해 수축이 저감되는 특징을 보였다. OPC 시험체 경우 측정일로부터 10일까지 급격한 수축변형이 발생하며, 이후에는 완만한 기울기로 변형이 감소하였다. 재령 6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변형 값은 -857×10-6를 나타내 변형이 상당히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시험체의 경우 재령 초기 약간의 팽창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OPC 시험체보다는 완만한 기울기가 수축변형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A9 시험체의 수축변형은 재령 60일에서 -583×10-6으로 OPC에 비해 약 33% 감소하였으며, A9+SF3 시험체도 -611×10-6으로 OPC에 비해 약 3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알파형 반수석고를 콘크리트에 적용시 기존 연구결과와 같이 수축변형에 있어 효과가 있을것으로 판단된다(Lee et al., 2019).

3.4 미소수화열

Fig. 7Fig. 8은 시험체의 경과시간에 따른 미소수화열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초기 3시간의 미소수화열을 측정한 결과 알파석고를 9% 적용한 A9+SF3 시험체의 경우 ettringite의 생성을 유도하는 $C_{3}A$의 급격한 수화반응에 의해 초기 1시간 내 수화발열량이 약 12cal/hrg로 급격히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또한, 10시간 이후부터는 OPC의 수화발열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24시간 이후부터는 유사한 수화발열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체적인 누적 수화발열량은 12시간까지 알파석고가 적용된 A9+SF3 시험체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다. 12시간 이후부터는 OPC의 수화발열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재령 초기에 ettringite의 생성반응이 활발히 일어나는 것을 반증하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Fig. 6. Drying shrinkage measurement results of concrete

../../Resources/ksm/jksmi.2019.23.7.72/fig6.png

Fig. 7. Heat of microhydration (24hours)

../../Resources/ksm/jksmi.2019.23.7.72/fig7.png

Fig. 8. Heat of microhydration (cumulative total)

../../Resources/ksm/jksmi.2019.23.7.72/fig8.png

따라서, 알파형 반수석고는 물과 접촉시 약 1시간 이내에 대부분의 반응이 완료되며, 10시간 이후에는 이수석고 결정 간의 재결정화로 발열피크나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OPC의 경우 재령 초기 반응은 수화발열량은 낮지만 10시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반응하여 누적 수화발열량은 가장 높아지는 특징을 보였다.

3.5 TGA, DSC

Fig. 9는 콘크리트 시험체 샘플의 TGA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50℃∼200℃ 구간의 기울기가 급격한 것은 시료의 질량이 급격히 감소한 것을 뜻하며, 기존 연구 결과와 같이 C-S-H의 $H_{2}O$ 손실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Lee et al., 2019). OPC의 경우 450℃ 구간에서는 6.5515mg으로 98.1886%를 나타냈으며, 750℃에서 6.3274mg으로 94.8302%를 나타냈다. A9 시험체는 450℃ 구간에서 시료의 질량은 6.9637mg으로 98.8550%, 700℃에서 6.7514mg으로 95.8402%를 나타내었다. A9+SF3는 450℃ 구간에서 시료의 질량은 6.3954mg으로 98.4846%, 750℃ 구간에서 6.1766mg으로 95.1150%를 나타내어 알파형 반수석고를 적용한 경우 온도증가에 따른 질량 감소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파형 반수석고를 적용한 시험체는 OPC와 달리 $C_{3}A$와 알파형 반수석고의 급격한 반응에 의한 약 300℃ 부근에서 자유수가 탈착되고, 400℃ 부근에서 미반응 알파형 반수석고의 결정수 탈착이 방생하였다. 또한, 600℃부근에서는 $C_{3}S$와 수화반응 지연으로 수화반응의 척도인 $C_{a}(OH)_{2}$로의 전이반응이 서서히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알파형 반수석고 적용 시 OPC와는 다른 거동의 열중량분석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10은 콘크리트 시험체 샘플의 DSC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OPC의 경우 흡열반응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흡열반응 시점은 75.79℃, 최고정점은 99.87℃과 시점은 440.45℃,최고정점 467.57℃에서 일어나고 있다. A9의 경우는 OPC와는 다르게 흡열반응이 더 많이 발생하고 발열반응도 일어나고 있다. 흡열반응은 크게 시점 77.01℃, 최고정점 103.39℃와 시점 124.24℃, 최고정점 141.68℃, 시점 240.05℃, 최고정점 262.40℃, 시점, 445.50℃, 최고정점 457.02℃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발열반응은 시점 310.58℃, 최고정점 314.92℃에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알파형 반수석고를 적용한 시험체는 자유수가 초기에 $C_{3}A$와 반응으로 생성된 ettringite에 소비됨에 따라 흡열량이 작아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C2S, $C_{3}S$와의 수화반응 지연으로 $C_{a}(OH)_{2}$의 생성량이 지연되어 흡열량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Fig. 9. TGA measurement results of concrete

../../Resources/ksm/jksmi.2019.23.7.72/fig9.png

Fig. 10. DSC time measurement results of concrete

../../Resources/ksm/jksmi.2019.23.7.72/fig10.png

3.6 X-선 회절 분석(XRD)

Fig. 11은 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X-선 회절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재령 7일에서 OPC 시험체의 경우 C-S-H, Portlandite 피크가 주로 나타났다. 한편, 알파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A9 시험체는 OPC 시험체에 비해 ettringite, Gypsum의 피크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9+SF3 시험체에서도 A9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C-S-H는 OPC에 비해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알파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시험체에서는 Gypsum 피크가 관찰되는 특징을 보였다. Gypsum 피크는 1/2 $H_{2}O$를 결정수로 갖는 알파형 반수석고가 수화작용에 의해 결정체로 전환되어 화합수의 생성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재령 28일에서도 재령 7일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며, 수화반응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되는 피크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OPC의 경우 C-S-H 피크는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며, Portlandite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Fig. 11. X-ray diffraction analysis measurement results of concrete

../../Resources/ksm/jksmi.2019.23.7.72/fig11.png

또한, 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시험체에서 C-S-H 피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ortlandit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A9+SF3 시험체에서는 실리카퓸의 영향으로 $C_{a}(OH)_{2}$과 반응하는 포졸란 반응으로 인해 압축강도에 영향을 준 것으포 판단된다.

3.7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SEM)

Fig. 12는 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OPC 시험체의 경우 대부분의 수화생성물은 C-S-H가 분포하고 있지만, 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A9, A9+SF3 시험체는 C-S-H 이외에 작은 침상형태의 ettringite가 부분적으로 발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굵은 막대형태의 석고 결정이 관찰되고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다량의 수화생성물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시험체의 경우 C-S-H 겔이 ettringite를 감싸며 재령이 경과함에 따라 수화생성물의 양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시험체의 내부공극을 충전시켜 압축강도가 향상되는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A9+SF3 시험체는 실리카퓸의 사용으로 시멘트 입자 주변의 공극을 충전하여 치밀한 구조를 만들고 골재와 결합재 간의 부착력의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Fig. 12. SEM micrographs of concrete (7days)

../../Resources/ksm/jksmi.2019.23.7.72/fig12-1.png../../Resources/ksm/jksmi.2019.23.7.72/fig12-2.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콘크리트를 제조한 후 역학적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알파형 반수석고를 9% 첨가하고 혼화제의 사용량을 0.3% 증가시켜 압축강도가 OPC와 동등이상의 수준으로 발현이 가능하였으며, 실리카퓸의 사용으로 인한 압축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알파형 반수석고의 사용으로 콘크리트의 수축이 저감하였으며, 알파형 반수석고를 9% 첨가시 OPC 대비 약 30% 이상의 수축이 저감되었다.

3) 수화 초기 3시간 이내에 알파형 반수석고를 적용한 시험체는 $C_{3}A$의 활발한 수화반응에 의하여 수화발열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4) 알파형 반수석고 적용시 온도증가에 따른 질량 감소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시멘트와는 달리 $C_{3}A$와 알파형 반수석와의 급격한 반응에 의한 자유수 소실, 미반응한 결정수의 탈락, $C_{3}S$와의 반응 지연으로 수화반응의 척도인 $C_{a}(OH)_{2}$로의 전이반응이 서서히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5) OPC 시험체의 경우 C-S-H, Portlandite 피크가 주로 나타났으며,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시험체는 OPC 시험체에 비해 ettringite, Gypsum의 피크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program was funded b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KEPCO-RI) of Korea, and its kind support is gratefully acknowledged.

References

1 
D. G. Lee, S. H. Han, Jeong Y. K. , 2016, Chemical admixture technology for reducing shrinkage of concret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8, No. 6, pp. 31-36Google Search
2 
S. K. Woo, K. J. Kim, Y. Lee, 2016, Reduction of drying shrinkage cracking of box culvert for power transmission with shrinkage reducing ag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0, No. 5, pp. 102-108DOI
3 
S. K. Woo, I. Y. Chu, K. J. Kim, Y. Lee, 2016, Cracking behavior of concrete box culvert for power transmission due to drying shrinkag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0, No. 1, pp. 1-8DOI
4 
K. S. Shin, G. Y. Kim, G. M. Sung, S. K. Woo, I. Y. Chu, B. K. Lee, 2019, Mechanical properties of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replaced concrete for application to box culvert power transmiss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19, No. 1, pp. 1-7DOI
5 
I. Y. Chu, S. K. Woo, B. J. Lee, 2018, Physical properties of self-healing concrete mixed with hydrogel carrier of microorganis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2, No. 6, pp. 24-29DOI
6 
K. H. Lee, G. Y. Kim, B. K. Lee, K. S. Shin, J. S. Nam, 2017, Setting Time, compressive strength and drying shrinkage of mortar with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1, No. 5, pp. 117-124DOI
7 
G. Jiang, H. Wang, Q. Chen, X. Zhang, Z. Wu, B. Guan, 2016, Preparation of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from FGD gypsum in chloride-free Ca(NO3)2 solution under mild conditions, Fuel, Vol. 174, pp. 235-241DOI
8 
B. Guan, L. Yang, H. Fu, B. Kong, T. Li, L. Yang, 2011, α-calcium sulfate hemihydrate preparation from FGD gypsum in recycling mixed salt solution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Vol. 174, No. 1, pp. 296-303DOI
9 
T. W. Kim, H. G. Hahm, 2012,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lkali-activated slag mortar with gypsu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16, No. 3, pp. 109-116DOI
10 
T. W. Kim, H. G. Hahm, 2012,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lkali-activated slag mortar with gypsu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16, No. 3, pp. 109-116DOI
11 
B. K. Lee, G. Y. Kim, J. S. Nam, K. H. Lee, G. T. Kim, S. K. Lee, K. S. Shin, 2019, Influence of α-calcium sulfate hemihydrate on setting, compressive strength, and shrinkage strain of cement mortar, Materials, Vol. 12, No. 1, pp. 163DOI
12 
S. H. Lee, H. J. Kim, Y. J. Lim, D. H. Kim, B. S. Park, 2019, Effect of Na2SO4 on autogenous healing in initial cracking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pas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1, No. 3, pp. 261-267Google Search
13 
S. H. Lee, G. H. Lee, D. W. Yoo, J. H. Ha, Y. G. Cho, 2015, Hydration and insulation characteristics of a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based non-sintered cement using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ash as a activato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7, No. 3, pp. 244-251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