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구조물 기울기의 영향이 반영된 잔존수명 평가 모델
Cho(2017)(6)가 제안한 잔존수명평가모델은 부재별 소요강도가 공칭강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잔존수명이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각변위의 영향을
부재의 공칭강도에 반영함으로써 부등침하가 구조물 잔존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구조물의 각변위에 따른 공칭강도 ($\phi R_{n}'$)는
앞서 제시한 Eq. (2)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phi R_{n}$은 각변위의 영향이 반영 되지 않은 공칭강도이다. 부재의 잔존수명을 평가하기 위하여 Fig.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압축 강도, 물-결합재비, 균열폭, 표면 염소이온농도, 염소이온 확산계수, 콘크리트 탄산화 깊이 및 표면상태를 입력변수로
설정하여 ANFIS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각각의 입력변수를 아래와 같이 종형 소속함수를 이용하여 퍼지화 하였다.
여기서, $x$는 입력변수, $x_{c}$는 퍼지집합의 중앙값, $x_{w}$는 퍼지집합의 폭, $x_{q}$는 퍼지집합의 형상계수이다. 이 연구에서는
Macqueen(1967)(16)이 제시한 방법 (k-means clustering)을 이용하여 초기 값을 가정하였다. 총 7개의 입력변수에 대한 퍼지집합을 3개씩 구성하여 2187
(=$3^{7}$)개의 퍼지규칙을 구성하였으며, 각각의 퍼지규칙 ($fr_{i}$)은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y_{i}$는 복합열화가 반영된 콘크리트 탄산화 깊이를 의미하며, 콘크리트의 잔존수명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overline{w_{i}}$는
각 퍼지규칙에 대한 정규화된 소속함수이며, $x^{1}$은 물겹합재비, $x^{2}$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x^{3}$은 균열 폭, $x^{4}$는
콘크리트 표면염소이온농도, $x^{5}$는 염화물이온 확산계수, $x^{6}$은 표면노후 상태, $x^{7}$은 시간, $a_{i}\sim h_{i}$는
ANFIS 학습과정에서 최소제곱법을 통하여 산정되는 상수항으로써 ANFIS 결론부 인자로 활용된다.
퍼지규칙의 결과 값은 퍼지 값 (fuzzy values)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정량화된 크리스프 값 (crisp values)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비퍼지화 (defuzzification) 과정을 거쳐야 한다 (Cho et al., 2015)(6).
ANFIS는 Figur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출된 결과 값과 실측값의 오차가 최소가 될 때까지 최소제곱법과 역전파알고리즘으로 반복 학습을 한다.
구획의 잔존수명은 구획에 위치한 보, 기둥 및 슬래브 부재의 잔존수명에 각 부재별 중요도를 반영하여 산정한다. Cho(2017)(6)는 구획의 잔존수명 평가 시 기둥 (C), 내력벽 (W), 큰보 (G), 작은보 (B), 슬래브 (S)에 대한 중요도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구조물의 열화 또는 각변위에 따른 부재의 구조성능 감소를 고려한 수정 중요도 ($\overline{g_{i}}$)는 중요도 수정계수 ($\alpha_{1}$,
$\alpha_{2}$)를 반영하여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alpha_{1}$은 구조성능 저하를 고려한 중요도 수정계수이며,
으로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beta_{m}$은 부재의 신뢰도 지수 (reliability index), $\beta_{t}$는 목표신뢰도
지수로써 휨 지배 부재일 경우에는 3.0, 전단 및 축력 지배 부재일 경우에는 3.5를 적용한다. 부재의 신뢰도 지수는 부재의 파괴확률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기둥 (C), 내력벽 (W), 큰보 (G), 작은보 (B), 슬래브 (S) 각각에 대해서
와 같이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mu_{R}$과 $\mu_{Q}$는 각각 공칭강도 및 작용하중의 평균, $\sigma_{R}$과 $\sigma_{Q}$는
각각 공칭강도 및 작용하중의 표준편차이다. 부등침하로 인해 발생되는 구조물의 각변위가 부재의 공칭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Equation 2를 공칭강도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인 $\mu_{R}$ 및 $\sigma_{R}$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구조물의 각변위의 영향이 반영된 공칭강도의
평균 ($\mu_{R}'$)과 표준편차 ($\sigma_{R}'$)는
으로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R_{nomal}$는 부재의 공칭강도를 의미한다. 작용하중 및 공칭강도의 bias factor ($\lambda$)
및 COV (V)는 Table 3 및 Table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Nowak and Szerszen(2003)(19)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적용하였다.
Table 3. Bias factors and COV depending on member types ((Nowak and Szerszen, 2003)(19))
Type of structure and limit state
|
$\lambda$
|
$V$
|
Reinforced concrete beam, cast-in-place, flexure
|
1.114
|
0.119
|
Reinforced concrete beam, precast, flexure
|
1.128
|
0.113
|
Reinforced concrete beam, cast-in-place, shear
|
1.159
|
0.120
|
Reinforced concrete beam, precast, shear
|
1.170
|
0.116
|
Reinforced concrete slab, cast-in-place
|
1.052
|
0.169
|
Reinforced concrete slab, precast
|
1.146
|
0.116
|
Reinforced concrete column, cast-in-place, stirrup
|
1.107
|
0.136
|
Reinforced concrete column, precast, stirrup
|
1.102
|
0.134
|
Reinforced concrete column, cast-in-place, spiral hoop
|
1.163
|
0.124
|
Reinforced concrete column, precast, spiral hoop
|
1.156
|
0.122
|
Plain concrete, flexure, shear
|
1.004
|
0.082
|
Table 4. Bias factors and COV depending on types of loads ((Nowak and Szerszen, 2003)(19))
Type of load
|
$\lambda$
|
$V$
|
Dead load (cast-in-place)
|
1.05
|
0.10
|
Dead load (precast)
|
1.03
|
0.08
|
Live load
|
1.00
|
0.18
|
Snow load
|
0.82
|
0.26
|
Wind load
|
0.78
|
0.37
|
Seismic load
|
0.66
|
0.56
|
Eq. (8)에서 $\alpha_{2}$는 내구성능 저하를 고려한 중요도 수정계수이며, 다음과 같이
으로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RSL_{m}$은 부재의 잔존수명이며 $RSL_{t}$는 구조물의 목표수명이다. 결과적으로, 구획의 잔존수명평가방법은
구획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의 잔존수명 평가결과와 각 부재의 중요도를 사용하여 산출한 기댓값 (expectation value)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댓값은 퍼지측도 (Banon, G. 1981, Grabisch et al., 2007)(2) 및 퍼지적분 (Choquet, 1954)(7)을 사용하여 산정할 수 있으며, 퍼지측도는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lambda$는 측도값으로, 모든 중요도의 합을 1로 정규화 시키는 계수이며, $\overline{g'_{C}}$,
$\overline{g'_{G}}$, $\overline{g'_{B}}$, $\overline{g'_{S}}$는 각각 수정된 기둥, 큰보, 작은보
및 슬래브의 중요도이다. 그러나, 퍼지측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중치 ($g_{1},\: g_{2},\: g_{3}$)와 부재 잔존수명을 곱한 값들의
가법성이 성립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기댓값 산정방법으로 가중평균값을 도출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Fig.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Choquet 적분법을 적용하여 가중평균값을 산출하였다. Eq. (13)에 나타낸 퍼지측도법으로 산정한 측도값 ($\lambda$)을 사용하여 가중치 ($g_{1},\: g_{2},\: g_{3}$)들의 합집합을 구한
후 Fig. 7에 나타낸 $①$~$④$의 각 면적을 산정하고 이를 더해주면 가중평균값이 산정되며, 이것이 곧 구획의 잔존수명이 된다.
Fig. 7. Choquet integral method(Cho, H. C., 2017)(6)
층 및 구조물 전체의 잔존수명도 구획의 잔존수명 산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퍼지측도 및 Choquet 적분을 이용하여 산정할 수 있으며, 구획 ($I_{c}'$)
및 층 ($I_{f}'$) 중요도는 다음과 같이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_{c}$는 구획이 속한 층 면적에 대한 구획의 면적 비율, $\alpha_{1,\:\max}$는 해당 구획에
위치한 부재들의 값 중 최대값, $\alpha_{1,\:\max f}$은 해당 층에 위치한 부재들의 $\alpha_{1,\:\max}$값 중 최대값이며,
$I_{f}$는 층의 중요도로써
으로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지하층을 포함한 구조물의 전체 층수, n은 지하층을 포함한 해당 층수이다. $\alpha_{3}$ 및 $\alpha_{4}$는
각각 구획 및 층의 내구성능을 고려한 중요도 수정계수이이며
으로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RSL_{c}$는 구획의 잔존수명이며, $RSL_{f}$는 층의 잔존수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