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 한밭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2. 정회원, 한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철근콘크리트, 확대머리 철근, 인발강도, 고강도 철근
reinforced concrete, headed bar, pullout strength, high strength bar

1. 서 론

최근 국내외에서 초고층 건물 및 원전구조물 등 대형 구조물의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로 인하여 확대머리철근을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확대머리철근을 사용할 경우 부재의 단면적을 감소 및 정밀시공 증가, 공기단축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지만, 철근의 정착측면에서는 철근의 항복강도 증가로 인한 정착길이의 증가가 요구된다.

확대머리철근에 대한 기계적 정착에 대하여 미국 Thomas et al.(2006)(3)의 연구를 기반으로 미국 콘크리트구조기준(ACI318-08)(4)에서 정착길이 산정방법이 제시된 이 후, 현재 미국 콘크리트구조기준(ACI318-14)(7) 및 한국 콘크리트구조기준(KDS 14 20, KCI2012)(6,14)등에서 확대머리철근의 정착방법에 대한 설계식을 제시하고 있다. ACI318-14(7) 및 KCI2012(6)에서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가 각각 420MPa, 400MPa 등으로 제한되어 있다.

국내에서 확대머리 철근에 관하여 Lee et al.(2008, 2017)(5,16), Kim et al.(2014, 2015, 2016)(8,10,13), Chun et al.(2015, 2016, 2018)(9,12,18) 등의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한국 콘크리트구조학회기준 2017에서 기계적 정착설계 방법이 개선되었다. 한국 콘크리트구조학회기준 2017에서 600MPa이하로 철근 상한 항복강도로 확대되었으며, 최상층을 제외한 보-기둥접합부에서 피복두께 및 보강상세에 따른 영향계수를 고려한 정착길이를 제시하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의 비해 압축강도가 증가하면서 낮은 인장강도와 휨강도는 다소 약해지고 취성적인 성질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때문에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휨강도, 전단강도 등 강도의 증가와 함께 균열제어 및 인성, 연성 피로 및 충격에 대한 저항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적용이 활성화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강도와 변형성능 증가에 큰 효과가 나타나는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C)의 현장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건조수축 저항성 증대, 유지·보수비용 최소화, 인장강도 증가, 콘크리트 균열 제어, 연성능력 향상 등 장점이 크다. 또한 강섬유 사용에 따른 콘크리트에 대한 부착성능 및 균열 제어 등으로 철근의 기계적 정착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이에 관련 연구가 초기에 있어 강섬유 보강콘크리트를 대상으로 한 기계적 정착에 관한 성능 평가 실험 및 이론적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정착공간이 제한되어 고강도 확대머리 철근의 기계적 정착 상세 적용성이 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접합부에서 거동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부재에 수직으로 기계적 정착된 고강도 확대머리철근의 정착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초적인 인발실험을 실시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강섬유 혼입률, 확대머리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 정착길이, 전단보강근 등이다.

2. 기계적 정착 설계식

ACI318-14(7), KCI2012(6)에서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길이($l_{dt}$) 설계식은 식 (1)과 동일하다. 최근 한국콘크리트구조학회기준(KCI2017)에서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길이 설계식을 적용상세에 따라 다르게 개정하면서 최상층을 제외한 부재 접하부에 정착된 경우 식 (2), 그 외의 경우 식 (3)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1)
$$l_{dt KCI 2012}=0.19\dfrac{\beta f_{y}d_{b}}{\sqrt{f_{ck}}}$$

(2)
$$l_{dt KCI 2017}=0.22\dfrac{\beta f_{y}d_{b}}{\psi\sqrt{f_{ck}}}$$

(3)
$$l_{dt KCI 2017}=0.24\dfrac{\beta f_{y}d_{b}}{\sqrt{f_{ck}}}$$

여기서, 식 (1) ~식(3)에서 $\beta$는 에폭시 도막철근으로 1.2, 다른 경우는 1.0이며, $f_{y}$는 확대머리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MPa), $d_{b}$은 확대머리철근 지름(mm), $f_{ck}$은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MPa) 등을 공통적으로 나타낸다. 식 (2)에서 $\psi$는 측면피복과 횡보강철근에 의한 영향계수로 식 (4)와 같이 산정된다.

(4)
$$\psi =0.6+0.3\dfrac{c_{so}}{d_{b}}+0.38\dfrac{K_{tr}}{d_{b}}$$

여기서, $c_{so}$는 철근표면에서의 측면피복두께, $K_{tr}$은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횡구속한 경우로 직선형 철근의 정착길이 산정방식과 동일하며 상한값은 1.0$d_{b}$이다.

확대머리철근이 배근되는 보 부재의 접합면에서 유효춤이 정착길이의 1.5배보다 큰 경우 콘크리트브레이크아웃파괴에 의해 파괴된다. 이러한 경우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길이를 기존의 인장을 받는 앵커 설계식을 적용할 수 있다. KCI2012(6)의 부록Ⅱ에서는 식 (5)와 같이 인장을 받는 앵커그룹의 콘크리트브레이크아웃파괴에 의한 파괴강도($N_{cbg}$)를 규정하고 있다.

(5)
$$N_{cdg}=\dfrac{A_{NC}}{A_{NCO}}\psi_{ed}\psi_{c,\:N}N_{b}$$

여기서 $A_{NC}$는 단일앵커 혹은 앵커그룹의 콘크리트파괴면 투영면적, $A_{NCO}$는 연단거리나 간격의 제한을 받지 않는 단일 앵커의 콘크리트 파괴면 투영면적, $\psi_{ed,\:N}$은 연단거리 영향에 따른 인장강도에 대한 수정계수, $\psi_{c,\:N}$은 수정계수, $N_{b}$는 단일앵커의 기본 콘크리트 파괴강도이다.

3. 정착성능 실험

3.1 실험개요

Fig. 1. Detailed view of the specimen

../../Resources/ksm/jksmi.2020.24.1.148/fig1.png

본 실험에서는 실제 고강도 확대머리철근 정착상세를 가지는 SFRC 수직부재-보 접합부의 실험에 앞서 Fig. 1과 같이 수직부재의 크기 및 배근을 단순화한 실험체를 계획하였다.

실험체는 보 부재를 제작하지 않고 보의 유효춤을 고려한 지점 계획을 하고 보의 확대머리 철근에 직접적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인발실험으로 계획하였다. 확대머리철근이 접합되는 부재의 주철근은 상하부 각각 두 개의 SD400의 D16 이형철근을 사용하였으며, 확대머리철근의 인발에 의한 휨파괴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였다. 전체 철근비는 0.80~1.0%이다.

확대머리철근의 직경은 D22이며, 순 피복두께가 확대머리철근 직경의 두 배가 되도록 실험체 폭을 계획하였다.

인발실험에 의한 확대머리철근의 인장력과 지점의 압축반력에 의한 확대머리철근 접합부의 전단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재 전단강도 및 접합부 전단강도를 검토하였다. 접합부 전단강도는 식 (5)와 같이 ACI352-02(1) 식으로 산정하였다. 접합부 전단강도 계수, $\gamma$는 보통모멘트골조에 해당하는 Type 1의 중간층 모서리 접합부에 적용하는 15를 사용하였다.

(6)
$$V_{n}= 0.083\gamma\sqrt{f_{ck}}b_{j}h_{c}$$

여기서, $f_{ck}$는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MPa) 이고, $b_{j}$는 기둥 접합부 유효 폭(mm), $h_{c}$는 기둥의 너비(mm)이다.

3.2 실험 변수

실험체는 강섬유 혼입률, 콘크리트 설계기준 압축강도, 확대머리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 정착길이, 전단보강근 등을 변수로 Table 1과 같이 총 14개를 계획하였다. 실험변수에 따라 실험체의 명칭을 콘크리트 종류-정착철근 강도-정착길이에 따른 부재 전체춤-전단보강근 유무 등으로 계획하였다.

콘크리트 종류는 강섬유 혼입률에 대한 기호와 압축강도로 표시하였다. 강섬유를 보강하지 않는 보통 콘크리트 실험체는 NC, 강섬유를 1% 보강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실험체는 SC로 명명하였다. 콘크리트 설계기준 압축강도 (24MPa, 40MPa)에 따라 24, 40을 숫자로 표기하였다.

확대머리철근의 강도는 설계기준 항복강도를 기준으로 SD500, SD600에 대하여 각각 S5, S6으로 명명하였다.

정착길이에 따른 부재 전체춤은 KCI2012(6)의 확대머리철근 정착길이에 관한 식 (1)로 산정한 정착길이를 토대로 확대머리 뒷부분에서의 연단거리를 고려한 80mm를 더하여 산정하였다. 실험체명에서 H250, H350, H450 등은 각각 정착길이에 따른 부재 전체 춤 250mm, 350mm, 450mm 등을 나타낸다.

전단보강근 유무에 따라서 C0, C1 등으로 실험체 명칭을 부여하였다. C0는 전단보강근이 배근되어있지 않으며, C1은 SD400 D10 이형철근으로 80mm 간격으로 전단보강한 것이다.

Table 1. List of specimens

Specimens

Volume ratio of steel fiber

(%)

$f_{ck}$

(MPa)

Headed bar

$l_{dt}$

(mm)

NC24-S6-H350-C0

0 %

24

SD600

270

NC40-S5-H250-C0

0 %

40

SD500

170

NC40-S5-H350-C0

0 %

40

SD500

270

NC24-S5-H350-C1

0 %

24

SD500

270

NC40-S5-H250-C1

0 %

40

SD500

170

SC24-S5-H450-C0

1 %

24

SD500

370

SC24-S6-H350-C0

1 %

24

SD600

270

SC40-S5-H250-C0

1 %

40

SD500

170

SC40-S5-H350-C0

1 %

40

SD500

270

SC40-S6-H350-C0

1 %

40

SD600

270

SC40-S6-H450-C0

1 %

40

SD600

370

SC24-S5-H450-C1

1 %

24

SD500

370

SC40-S5-H250-C1

1 %

40

SD500

170

SC40-S6-H350-C1

1 %

40

SD600

270

3.3 실험체 설치 및 가력

본 실험체는 보의 유효춤을 고려한 보 모멘트 팔거리를 0.7$l_{dt}$로 가정하여 확대머리철근에서 한 쪽 지점까지의 거리로 계획하고, 등가압축응력블럭을 고려한 강재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지점을 형성하였다. 또한 확대머리철근의 다른 한 쪽 지점은 확대머리철근 중심에서 1.5$l_{dt}$위치에 힌지를 두었다. 이는 수직부재에서 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른 정착강도 영향을 최소화하고 수직부재의 휨모멘트 변곡점을 고려한 것이다.

Fig. 2에 실험체 설치 및 가력상황을 나타내었다.

Fig. 2. Test setup

../../Resources/ksm/jksmi.2020.24.1.148/fig2.png

실험체 가력은 2000kN 만능 인장 시험기(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coordinate system, UTM)를 이용하였으며, 확대머리 철근에 직접적으로 인발하중을 가하였다.

확대머리에 작용하는 지압응력과 철근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Fig. 1에서 각각 WSG2(확대머리 하부 10mm 지점), WSG4(콘크리트 연단에서 외부로 10mm 지점)의 철근변형률 게이지(Wire Strain Gauge, WSG)를 부착하였다.

4. 실험 결과분석

4.1 재료시험 결과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은 KS F 2403에 따라 100×200mm의 원주형 표준공시체를 제작하여 타설 28일 후에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Table 2. Test results of concrete materials

Series

$f_{ck}$(MPa)

1

2

3

Mean

NC24

34.5

35.8

36.8

35.70

NC40

49.9

51.8

54.3

52.00

SC24

36.6

36.6

36.8

36.67

SC40

54.3

54.9

55.3

54.83

철근의 인장강도 시험은 KS B 0802(KSA 2003)(20)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가력속도는 철근응력 변화율 3MPa/sec를 표준으로 가력 하였다. 실험체에 사용된 철근의 시험결과를 정리하여 Table 3에 나타내었다.

Table 3. Results of tensile test

Series

$f_{y}$

(MPa)

$f_{u}$

(MPa)

$f_{y}/f_{u}$

(%)

$E_{s}$

(GPa)

$\varepsilon_{elo}$

(%)

D22 (SD500)

514

642

80

181

38

D22 (SD600)

639

784

82

190

17

D16 (SD400)

428

585

73

198

16

D10 (SD400)

501

611

82

184

15

Notation: $f_{y}$ means a yield strength, and $f_{u}$ means a tensile strength, $E_{s}$ means a modulus of resilience, $\varepsilon_{elo}$ mean a extensibility

4.2 균열 및 파괴양상

Fig. 3에 실험체 최종파괴시 균열상황을 나타내었으며, 실험체명 뒤에 파괴모드(C: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 및 전단파괴, R: 철근 인장파단파괴)를 나타내었다.

Fig. 3. Failure patterns of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0.24.1.148/fig3_1.png../../Resources/ksm/jksmi.2020.24.1.148/fig3_2.png../../Resources/ksm/jksmi.2020.24.1.148/fig3_3.png

콘크리트 파괴가 나타난 실험체들은 크게 두가지 패턴의 균열양상을 보였다. 첫째로 정착길이가 비교적 적은 실험체들에서 보 유효춤 구간에 해당하는 확대머리철근과 0.7$l_{dt}$지점 사이에 경사균열이 발생하였다. 이는 보-기둥 접합부에서 접합부 전단파괴와 유사한 파괴형상이다. 둘째로 확대머리 철근을 중심으로 0.7$l_{dt}$지점 구간과 1.5$l_{dt}$지점 구간 모두 경사균열을 보임으로써, 콘형의 콘크리트브레이크아웃파괴 유형을 나타내었다.

철근이 인장파단 된 실험체들은 모두 강섬유가 보강된 실험체들로서 정착구간의 중간부분에서 콘형 균열이 발생 하였으며, 대부분 확대머리가 있는 부위에서 균열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4.3 하중-변위곡선

Table 4에 각 실험체의 최대내력 ($P_{\max}$), 최대내력 시 철근의 최대응력 ($f_{T,\:\max}$), 파괴유형 등을 나타내었다. Fig. 4에 실험체별 인발하중과 변위의 관계 곡선을 비교하였다.

Table 4. Test results

Specimens

$P_{\max}$

(kN)

$f_{T,\:\max}$

(MPa)

Failure

Mode

NC24-S6-H350-C0

185.2

477.9

C

NC40-S5-H250-C0

100.2

258.6

C

NC40-S5-H350-C0

203.1

524.1

C (Yield)

NC24-S5-H350-C1

212.3

547.9

C(Yield)

NC40-S5-H250-C1

145.6

375.7

C

SC24-S5-H450-C0

258.1

666.1

R

SC24-S6-H350-C0

270.3

697.5

C(Yield)

SC40-S5-H250-C0

163.4

421.7

C

SC40-S5-H350-C0

257.7

665.0

R

SC40-S6-H350-C0

258.1

666.1

C(Yield)

SC40-S6-H450-C0

316.5

816.8

R

SC24-S5-H450-C1

259.9

670.7

R

SC40-S5-H250-C1

176.0

454.2

C

SC40-S6-H350-C1

262.4

677.2

C(Yield)

Fig. 4(a)와 (b)에서 강섬유를 보강하지 않은 NC계열 실험체는 전단보강근이 배근됨에 따라 14.6%~45.3%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4(c)에서 강섬유가 보강된 SC24계열 실험체는 정착길이가 370mm를 가지는 SD500 확대머리철근 실험체에서 전단보강근 유무에 관계없이 하중이 증가하면서 수직 배근 된 확대머리철근이 항복을 하면서 철근인장파단이 일어났다. 정착길이가 270mm를 가지는 SC24-S6-H350-C0 실험체도 항복을 한 후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파괴를 나타내었다. 이는 강섬유가 보강되어 있지 않은 NC24-S6-H350-C0 실험체가 철근이 항복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괴되었고 최대 인발강도 또한 46.0% 증가되어 강섬유 보강에 따른 효과가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Fig. 4(d)와 (e)는 강섬유를 보강한 SC40계열의 고강도 콘크리트 실험체들($f_{ck}$=54.83MPa)의 하중-변위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Fig. 4(d)에서 정착길이 170mm를 가지는 SD500 확대머리철근을 사용한 실험체의 경우 전단보강근에 따른 최대인발강도 증가는 7.7%로 나타났다. 정착 길이 270mm인 SD500 확대머리 철근을 사용한 SC40-S5-H350-C0 실험체는 철근의 인장파단으로 최종파괴 되었다.

Fig. 4(e)에서 정착길이 270mm를 가지는 SD600 확대머리철근을 사용한 실험체들은 모두 철근이 항복 후 콘크리트 파괴를 나타내었다. 전단보강에 따른 보강효과는 1.7%로 크지 않았지만 최종 파괴시 변위 증가효과는 크게 나타났다. 정착길이 370mm를 가지는 SC40-S6-H450-C0 실험체는 철근이 인장파단되었다.

Fig. 4. Comparison of load-displacement curves

../../Resources/ksm/jksmi.2020.24.1.148/fig4_1.png../../Resources/ksm/jksmi.2020.24.1.148/fig4_2.png../../Resources/ksm/jksmi.2020.24.1.148/fig4_3.png

Fig. 5에 실험변수에 따른 주요 실험체들의 최대 인발하중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Fig. 5(a)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정착길이 170mm를 가지는 실험체들에 대하여 강섬유 보강에 따른 효과는 전단보강근이 배근되어 있지 않은 실험체에서 63.1% 인발강도 증가 효과가 나타났으며, 전단보강근이 배근되어 있는 실험체들에 대해서는 강섬유 보강시 20.9%의 인발강도 증가를 나타내었다. 일반강도 콘크리트로 정착길이 270mm를 가지는 NC24-S6-H350-C0 실험체와 SC24-S6-H350-C0 실험체의 비교에서, 앞서 4.3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강섬유보강에 따른 46.0%의 정착강도증진으로 나타나 정착길이 170mm 실험체들에 비해 정착강도 증진효과가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강섬유보강에 따른 콘크리트 압축강도 증가량이 2.7~5.4%임을 고려할 때, 강섬유보강에 따른 정착성능 강도 증대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강섬유 보강효과는 전단보강근이 배근되어 있지 않은 실험체들에 대하여 더 크게 나타났다.

Fig. 5(b)에서 정착길이에 대하여 고강도 콘크리트 실험체들($f_{ck}$=54.83MPa)에서 H350 실험체가 H250 실험체에 비하여 정착길이가 58.8% 증가된 반면, 정착강도는강섬유 보강시 57.7% 증가를 나타나 정착길이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하지만 강섬유 보강되어 있지 않을 경우 102.7% 증가를 나타내어 정착길이 증가에 따른 강도 증가 효과가 매우 컸다.

Fig. 5(c)에서 정착길이 170mm를 가진 실험체들의 전단보강근 배근에 따른 정착강도 효과는 강섬유를 보강하지 않을 시 45.3%, 강섬유 보강시 7.7%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정착길이 270mm를 가진 SC40-S6-H350 계열 실험체들은 전단보강근 증대에 띠른 1.7%의 정착강도 증가를 보였다. 이를 볼 때 전단보강근은 정착길이가 적은 일반 콘크리트에 배근된 확대머리 철근의 정착강도 증가효과가 크지만 강섬유 보강 및 정착길이가 큰 실험체들에 대해서는 정착강도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Fig. 5(d)에서 정착길이 370mm를 가진 NC계열 실험체들에서 콘크리트 강도 증가에 따른 정착강도는 9.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콘크리트 강도 제곱근의 증가율이 20.7%임을 고려할 때 이와 정비례하여 정착성능이 증가하지는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Fig. 5. Comparison of $P_{\max}$

../../Resources/ksm/jksmi.2020.24.1.148/fig5_1.png../../Resources/ksm/jksmi.2020.24.1.148/fig5_2.png

4.4 철근 변형률 곡선

Fig. 1에 나타난 확대머리 하부에 부착한 철근게이지(WSG2)로부터 측정된 변형률을 사용하여 재료시험으로부터 평가된 응력-변형률곡선으로부터 지압응력을 산정하였다. Fig. 6은 인발하중 50kN 단위로 실험체별 지압응력을 비교한 것이다.

Fig. 6에서 전반적으로 강섬유가 보강되지 않은 NC 계열실험체에 비하여 강섬유가 보강된 SC 계열 실험체들은 하중이 증가할수록 지압응력부담률의 증가기울기가 더큰 것으로 나타났다. Fig. 6(c)에서 정착길이가 적은 실험체가 정착길이가 긴 실험체 비하여 지압응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많은 실험체들에서 전단보강근이 배근 된 C1계열 실험체가 전단보강근이 없는 C0계열 실험체들에 비하여 지압응력 부담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6. Bearing stress

../../Resources/ksm/jksmi.2020.24.1.148/fig6_1.png../../Resources/ksm/jksmi.2020.24.1.148/fig6_2.png

4.5 이론내력과 실험내력의 비교

식 (5)로부터 앵커 콘크리트 파괴식에 의한 $N_{cdg}$으로부터이론내력 $P_{th}$을 산정하여 실험내력 $P_{\max}$와 비교하여 Table 5에 나타내었다. 전체 실험체들에 대한 $P_{\max}/P_{th}$는 평균 6.93로 나타나 이론내력이 실험내력을 매우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준편차 또한 1.69로 크게 나타났다.

Table 5에서 실험전단내력 $V_{\max}$을 식 (6)의 접합부 전단강도로 산정된 이론전단내력 $V_{th}$과 비교한 결과 $V_{\max}/V_{th}$가 평균 0.61, 표준편차 0.11로 나타나 접합부 이론전단강도가 실험강도를 과대평가하였다.

Table 5. Comparison of Theoretical Strength and Experimental Strength

Specimens

$P_{\max}$

(kN)

$P_{th}$

(kN)

$\dfrac{P_{\max}}{P_{th}}$

$V_{\max}$

(kN)

$V_{th}$

(kN)

$\dfrac{V_{\max}}{V_{th}}$

$\dfrac{l_{dt}}{l_{dt KCI 2012}}$

$\dfrac{l_{dt}}{l_{dt KCI 2017}}$

NC24-S6-H350-C0

185.2

27.6

6.71

126.3

222.9

0.57

0.52

0.53

NC40-S5-H250-C0

100.2

29.2

3.43

68.3

169.4

0.40

0.50

0.52

NC40-S5-H350-C0

203.1

35.6

5.71

138.5

269.1

0.51

0.80

0.83

NC24-S5-H350-C1

212.3

27.6

7.69

144.8

222.9

0.65

0.62

0.64

NC40-S5-H250-C1

145.6

29.2

4.99

99.3

169.4

0.59

0.50

0.52

SC24-S5-H450-C0

258.1

27.6

9.35

176.0

309.8

0.46

0.85

0.88

SC24-S6-H350-C0

270.3

27.6

9.79

184.3

226.1

0.82

0.52

0.53

SC40-S5-H250-C0

163.4

29.2

5.60

111.4

174.0

0.64

0.50

0.52

SC40-S5-H350-C0

257.7

35.6

7.24

175.7

276.2

0.64

0.80

0.83

SC40-S6-H350-C0

258.1

35.6

7.25

176.0

276.2

0.64

0.67

0.69

SC40-S6-H450-C0

316.5

41.1

7.70

215.8

378.5

0.70

0.91

0.95

SC24-S5-H450-C1

259.9

31.8

8.17

177.2

378.5

0.57

0.85

0.88

SC40-S5-H250-C1

176.0

29.2

6.03

120.0

174.0

0.69

0.50

0.52

SC40-S6-H350-C1

262.4

35.6

7.37

35.6

378.5

0.65

0.67

0.69

실험체에 사용된 실제 재료강도를 반영하여 식 (2)식 (4)로부터 KCI2017에 의한 정착길이($l_{dt KCI 2017}$)와 현재 KDS 기준에 적용되는 식 (1)의 KCI2012(6)에 의한 정착길이($l_{dt KCI 2012}$)를 산정하여 실험체 정착길이($l_{dt}$)와 비교하였다. 강섬유가 보강된 SC 계열 실험체들에서 확대머리철근이 인장파단된 경우, $l_{dt}$/$l_{dt KCI 2017}$, $l_{dt}$/$l_{dt KCI 2012}$ 값이 각각 0.83~0.95, 0.80~0.91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고강도 확대머리 철근의 정착길이가 KCI2017, KCI2012(6) 등에 의하여 산정된 정착길이의 최소 83%, 80%를 확보하면 철근이 인장파단시까지 충분한 정착성능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체 상세의 경우 정착길이 설계식의 안전율을 고려할 때 현행 설계식의 적용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파악된다.

강섬유가 보강되지 않은 NC 계열 실험체는 최대 $l_{dt}$/$l_{dt KCI 2017}$, $l_{dt}$/$l_{dt KCI 2012}$ 값이 각각 0.83, 0.80 등으로 나타났으나, 실험체 최대 인발강도가 인장파단시 강도의 82%로 나타나 안전율을 고려하더라도 현행 설계식이 충분히 안전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와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한 수직부재에 기계적 정착된 고강도 확대머리철근의 정착 성능을 단순화 모델로 제작된 실험체들에 대하여 인발성능평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제한된 실험체에 대한 실험결과분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실험체는 확대머리에서 정착길이의 0.7배 거리에 설치된 지점까지의 경사균열이 나타났다. 최종적으로는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파괴 및 접합부 전단파괴와 같은 콘크리트파괴와 접합부가 충분한 정착강도를 확보할 시 나타나는 확대머리철근의 인장파단 등을 나타내었다.

(2) SC계열 실험체가 동일한 변수의 NC계열 실험체보다 인발강도가 20.9~63.1% 크게 나타나, 강섬유 보강에 따른 콘크리트 압축강도 증가효과가 2.7~5.4%임을 고려할 때 강섬유 보강에 따른 정착강도 증가가 매우 컸다. 강섬유 보강효과는 정착길이가 적을수록, 전단보강근이 없는 경우 더 크게 나타났다.

(3) 전단보강근을 보강함에 따라 NC계열과 SC계열 실험체들의 인발강도가 정착길이에 따라 각각 14.6~45.3%, 1.7~7.7% 크게 나타났다. 확대머리철근과 평행한 방향의 전단보강근 배근은 정착길이가 적은 실험체에서 정착강도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강섬유 보강 시에는 전단보강근 보강효과가 감쇄되어 콘크리트 압축강도 증가를 고려할 때, 정착성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4) 강섬유가 보강된 SC 계열 실험체들에서 하중 증가에 따른 지압응력부담률의 증가기울기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강섬유보강이 지압강도 증진에 큰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정착길이가 적을수록, 전단보강근이 배근되지 않은 실험체일수록 정착응력 중 지압응력 부담율이 더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5) 본 실험체 상세와 같이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부재에 수직정착된 SD600의 확대머리철근 정착설계는 KCI2017, KCI2012(6)의 정착길이 설계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2019학년도 한밭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았음(과제번호: 201901690001)

References

1 
ACI Committee 352, (2002), Code requirements for nuclear safety related concrete structures, (ACI352-02)Google Search
2 
ACI Committee 349, (2007), Code requirements for nuclear safety related concrete structures, (ACI349-07)Google Search
3 
Thompson, M.K., Jirsa, J.O., Breen, J.E. (2006), CCT nodes anchored by headed bars-Part 2 : Capacity of nodes, ACI structural Journal, 103(1), 65-73.Google Search
4 
ACI Committee 318, (2008), Code requirements for nuclear safety related concrete structures, (ACI318-08)Google Search
5 
Lee, Yong-Taeg, Kim, Seung-Hum, Chea, Seo-Ho, Bahn, Byong-Youl (2008),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lap strength of headed steel reinforcements with lap-splice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24(3), 87-94.Google Search
6 
KCI Committee, (2012), Concrete Design Code and Commentar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2012)Google Search
7 
ACI Committee 318, (2014), Code requirements for nuclear safety related concrete structures, (ACI318-14)Google Search
8 
Kim, Seung-Hum (2014), Experimental study on lap splice of h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s in tens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8(5), 59-67.DOI
9 
Chun, Sung-Chul, Bae, Min-Seo, Moon, Ki-Hoon, Ha, Tae-hun (2015), Comparison of code provisions on transverse reinforcement of exterior beam-column joint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67-268.Google Search
10 
Kim, Seung-Hum (2015),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confinement details for lap splice of h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s in grade sd400 and sd500,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9(1), 62-71.DOI
11 
Moon, Jeong-Ho, Oh, Young-Hun (2015), Development length effects of high strength headed ba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9(5), 75-082.DOI
12 
Chun, Sung-Chul, Sim, Hye-Jung, Bae, Min-Seo, Kim, Mun-Gil, Lee, Byung-Sool (2016), Anchorage strength of high-strength large-diameter headed bar in CCT node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8(1), 753-754.Google Search
13 
Kim, Seung-Hum (2016), Lap details using headed bar and hooked bars for flexural members with different depth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9(1), 62-71.DOI
14 
KDS Center 14 20, (2016), Korea Design Standard, Korea Construction Standards Center, (KCSC)Google Search
15 
Sim, Hye-Jung, Chun, Sung-Chul, Choi, Sokhwan (2016), Anchorage strength of headed bars in steel fiber-reinforced UHPC of 120 and 180 MPa,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8(3), 365-373.DOI
16 
Kim, Seung-Hun., Lee, Kyu-Seon., Lee, Yong-Taeg. (201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valuation of shear performance of PVA fiber reinforced RC deep beam with high strength headed rebar, Architectual research, 19(4), 109-115.Google Search
17 
KS F 2405, (2017), Standard test method for con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Google Search
18 
Sim, Hye-Jung., Chun, Sung-Chul. (2018), A reevaluation of anchorage strength of headed bars in exterior beam-column joint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0(2), 207-216.Google Search
19 
Kim, Seunghun, Peak, Sungchol, Lee, Changyong, Yuk, Hyunwoong, Lee, Yongtaeg (2018), Development strength of headed reingorcing bars for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by pullout test, Architevtural research, 20(4), 129-135.Google Search
20 
KS B 0802, (2018), Method of tensile test for metallic material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