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환
(Jung-Hwan Hyun)
1
방진욱
(Jin-Wook Bang)
2
이방연
(Bang-Yeon Lee)
3
김윤용
(Yun-Yong Kim)
4†
-
정회원, 한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연구원
-
정회원, 동양 기술연구소 팀장
-
정회원,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
정회원,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핵심용어
철근콘크리트, 콘크리트-ECC 복합, 보 실험체, 소성힌지
Keywords
reinforced concrete, concrete-ECC composite, beam specimen, plastic hinge
1. 서 론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건설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고층 및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따른 고성능 콘크리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콘크리트는 경제성과 내구성이 우수하여 강재와 함께 건설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설 재료이다. 그러나 인장강도 및 휨강도가
압축강도에 비해 낮은 공학적인 특성으로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유사취성 재료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본질적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섬유를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섬유보강 콘크리트(FRC, Fiber Reinforced Concrete)에 관한 연구 및 현장적용이 지속되고
있다(Balaguru et al. 1992; Bentur et al. 1990; Wille et al. 2014)(1,2). 일반적인 섬유보강 콘크리트(FRC)는 첫 번째 균열이 발생한 이후 일반 콘크리트와 달리 급격한 하중저하 및 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연화거동이 나타난다.
ECC(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로 불리는 고인성 섬유 복합체는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에 부피비로 2%
이내의 합성섬유를 혼입하여 인장하중 하에서 다중 균열과 변형경화현상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Kanda et al. 1999; Li 1993; Cho
et al 2011, Jin et al. 2019)(4-7). 이러한 재료 성능은 마이크로 역학과 안정상태균열이론을 바탕으로 재료가 선정되고 배합설계가 되어야 발현된다(Kim et al 2005)(8).
Fisher(2002, 2003)(9,10)는 기둥 부재의 반복가력 조건에서 ECC로 보강된 RC기둥의 실험을 통해 최대내력, 연성능력의 향상과 에너지흡수능력 증가로 인한 내진성능 향상을 확인한
바 있다. Salahuddin (2014)(11)은 보 기둥 접합부인 소성힌지부에 ECC를 보강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ECC와 전단연결재를 함께 적용할 경우 전단저항능력 증가, 에너지흡수능력
향상, 균열발생 저감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2012)(12), Zang(2019)(13)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소성힌지부에 프리캐스트 ECC를 적용하여 반복가력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소성힌지부에 프리캐스트 ECC를 적용할
경우 에너지흡수능력, 강성감소, 연성능력 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Cho et al. 2012; Zang et al. 2019)(12,13)에서는 기둥 전체를 ECC로 치환하거나 기둥과 기초부의 연결부를 ECC로 치환하였으며, 순수한 보 부재에서 ECC의 치환에 따른 휨 성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지간 중앙부를 ECC로 치환하였고, 치환길이 변화에 따른 보 부재의 휨 성능을 실험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2. ECC 사용재료 및 인장성능
2.1 사용재료 및 배합
ECC에는 밀도 3.15 g/cm$^{3}$의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를 사용하였고, 매트릭스의 파괴인성을 낮춰 다중 미세균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굵은골재를 사용하지 않았다. 혼화재료로는 F급 플라이애시(FA)를 사용하였다. 보강용 섬유로 사용한 PVA(Polyvinyl-alcohol)
섬유의 물성은 Table 1과 같고, 시멘트 페이스트와 과도한 화학적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처리가 되어 있다. Table 2는 ECC 배합을 나타낸다. 시멘트 매트릭스에 플라이애시의 치환율을 높임으로서 매트릭스의 강도 감소로 인한 파괴인성을 낮추어 다중균열 특성이 나타나도록
하였고, 결합재와 충전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시멘트 매트릭스에 혼입되는 PVA 섬유가 고루 분산되도록 시멘트 페이스트의 점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감수제(SP)와 셀룰로스 계열의 분리저감제(HPMC)를 혼화제로 첨가하였고, 공기량 조절을 위한 소포제(defoamer)를 사용하였다.
Table 1. Properties of PVA fiber
Fiber
|
Density
(g/mm$^{3}$)
|
Length
(mm)
|
Diameter
(㎛)
|
Tensile strength
(MPa)
|
Young’s modulus
(GPa)
|
Polyvinyl alcohol
(PVA)
|
1.30
|
12
|
39
|
1,620
|
40
|
Table 2. Mix proportion of ECC
W/C(%)
|
FA/C(%)
|
Unit: kg/m$^{3}$
|
W
|
OPC
|
FA
|
PCSP$^{1)}$
|
HPMC$^{2)}$
|
Defoamer
|
PVA
(vol.%)
|
88
|
280
|
362
|
411
|
1152
|
0.493
|
0.165
|
0.041
|
2
|
PCSP$^{1)}$ : polycarboxylic superplasticizer
HPMC$^{2)}$ :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2.2 고인성 섬유복합체의 인장성능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에 적용할 ECC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21 MPa로 나타났다. 1축 인장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Fig. 1과 같이 1축 인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는 단부의 파괴를 방지하면서 직접인장 실험체에 균일한 1축 인장하중이 가해지도록 아령 형상을 갖고 있다.
실험체는 탈형 후 재령 28일까지 수중양생을 실시하였다. 이후, 250 kN 용량의 UTM을 활용하여 1축 인장하중을 가력하였고, 0.2 mm/min
속도로 재하하였다. 실험체 중양부 80 mm 좌우 대칭인 구간에 10 mm변위계(LVDT)를 설치하여 하중과 함께 실험체에 발생한 변위를 데이터 로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실시간 하중과 변위는 인장응력과 변형률로 각각 환산하였고 그 결과를 인장응력-변형률 관계로 나타내어 Table 3 및 Fig.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초기 균열강도와 최대 인장변형률을 측정하여 인장 변형률 경화거동과 함께 실험체에 발생되는 균열 형태를 관찰하였다. ECC
실험체는 1축 인장조건 하에서 변형률의 증가와 함께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뚜렷한 변형률 경화거동을 나타내었으며, 100 μm 이하 균열폭을 가진 다수의
미세균열이 관찰되었다. 실험체의 최대 변형률은 ECC1, ECC2, ECC3 실험체가 각각 2.9 %, 3.0 %, 3.1 %로 측정되었고 평균 3.0
%의 최대 인장변형률로 측정되었다.
실험체의 파괴형태는 1축 인장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각 실험체의 균열강도에 도달하면서 첫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때의 균열강도는 ECC1, ECC2,
ECC3 실험체가 각각 2.2 MPa, 2.3 MPa, 2.5 MPa로 측정되었다.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변형구간에서는 안정상태의 미세균열이 실험편
중앙부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면서 변형률 경화거동이 관찰되었다. 이후, 응력이 실험체의 최대 인장강도를 초과될 때 발생된 균열에 응력이 집중되어 균열의
폭이 점차 증가하면서 실험체가 파단되어 실험을 종료하였다.
Fig. 1. Specimen dimension and setup for uniaxial tension test
Table 3. Material properties of ECC
Specimen
|
First cracking stress (MPa)
|
Ultimate tensile strength (MPa)
|
Maximum tensile strain (%)
|
ECC1
|
2.2
|
3.1
|
2.9
|
ECC2
|
2.3
|
3.3
|
3.0
|
ECC3
|
2.5
|
3.4
|
3.1
|
Ave. value
|
2.3
|
3.3
|
3.0
|
Fig. 2. Tensile stress and strain curves of ECC
3.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 제작 및 실험방법
ECC 치환 길이를 변화하여 제작한 보 실험체의 휨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4점재하 방식으로 휨실험을 수행하였다. 보강철근 종류 및 배근간격은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제작하였으며, 실험체 제작조건은 Table 4에 표기하였다. 모든 실험체는 각각 2개씩 제작되었고, ECC 치환 길이 변화에 따른 실험체의 거동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해 제작한 보
실험체는 철근콘크리트로 제작한 RC 실험체, 중앙부 800 mm를 ECC로 치환한 ECC5d 실험체, ECC로 전 구간(2,200 mm)을 타설한 ECCFull 실험체로서 총 6개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Table 4. Details of beam specimens
Specimen
|
ECC replacement length from the midspan
|
Longitudinal rebar (SD40)
|
stirrup near the support(SD30)
|
RC
|
-
|
3-D13
|
D6@100
|
ECC5d
|
400 mm
|
3-D13
|
D6@100
|
ECCFull
|
1,100 mm
|
3-D13
|
D6@100
|
3.1 Mechanical properties of rebar
실험체 제작을 위하여 사용된 콘크리트는 슬럼프 150 mm, 공기량 4.5 %, 압축강도 21 MPa의 물성을 나타내었다. ECC는 2.2절에 기술된
성능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보강 철근으로 사용된 재료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5와 같다. 철근콘크리트 보는 연성거동을 할 수 있도록 저보강으로 설계하였다.
Table 5. Mechanical properties of rebar
Classification
|
Yield strength
(MPa)
|
Diameter type
|
Nominal diameter (mm)
|
Longitudinal rebar
|
400
|
D13
|
12.7
|
Shear rebar
|
400
|
D6
|
6.35
|
3.2 실험체 제작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 형상 및 단면 상세를 Fig. 3에 나타내었다. 실험체의 총 길이는 2,200 mm이며, 단면치수는 110 mm × 180 mm의 직사각형 형상이다. 압축부에는 D13의 이형 철근
두개, 인장부에는 세 개의 D13의 이형철근을 배근하였으며 띠철근은 길이방향 전 구간에 100 mm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근하였다. 또한, 실험 중
변화하는 철근 변형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축부에 26개소, 인장부에 26개소 총 52개소에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하여 각 지점의 곡률을 분석하였다.
RC 실험체와 ECCFull 실험체의 경우 전단면을 각각 일반 콘크리트와 ECC로 타설하였고, ECC5d 실험체의 경우 중앙부 800 mm에 ECC를, 나머지 구간에 일반 콘크리트로 타설하였다. 실험체 제작과정은 Fig. 4에 도시하였다.
Fig. 3. Configuration and dimension of the beam specimen
Fig. 4. Manufacturing process of beam specimen
3.3 실험방법
Fig. 5는 휨 실험을 위한 실험체 설치 전경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은 250 kN 용량의 UTM을 사용하여 4점재하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체의 양 끝단으로부터
100 mm 위치에 회전단을 설치하여 순 지간이 2,000 mm가 되도록 단순지지 하였다. 하중은 UTM에 프레임을 연결하여 2점 가력을 하였고,
가력점의 간격은 400 mm로서 이 영역에서는 순수 휨이 작용하도록 하였다. 실험체의 처짐은 보의 중심부에서 레이져 변위측정기를 이용하였고, 압축철근
및 인장철근에 부착된 철근게이지를 분석하여 휨하중에 따른 실험체의 거동을 평가하였다. 하중 가력 시 콘크리트의 국부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부 콘크리트에
균일한 하중이 가력될 수 있도록 가력판을 설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Fig. 5. Set-up for beam bending test
4. 실험 결과 및 분석
4.1 균열 및 파괴양상
Fig. 6은 각 실험체의 실험종료 후 균열패턴을 나타낸다. 모든 단면을 일반 콘크리트로 사용한 RC-1과 RC-2 실험체의 초기 균열은 9.6 mm, 8.4
mm에서 각각 발생하였다. 또한, ECC5d-1, ECC5d-2 실험체는 10.9 mm, 10.3 mm, ECCFull-1, ECCFull-2 실험체의 경우 11.2 mm, 10.1 mm에서 각각 초기 균열이 발생하였다.
RC-1과 RC-2 실험체는 최대 내력에 도달 한 후, 인장부에서 발생한 균열이 압축부까지 도달하여 압축부 콘크리트가 압축파괴 되는 전형적인 휨 파괴
형태를 나타내었다. ECC를 중앙부에 800 mm 치환한 ECC5d-1, ECC5d-2 실험체와 ECC를 전단면에 적용한 ECCFull-1, ECCFull-2 실험체는 최대내력 이후 ECC가 적용된 인장단면에 다중 미세균열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ECC의 치환길이가 증가할수록 최대내력에서
인장부의 미세균열 발생과 함께 처짐이 증가하는 연성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ECC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보의 중앙점을 중심으로 휨균열이 분산되는 범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Fig. 6. Typical crack patterns of specimens
4.2 하중-변위 특성
Fig. 7은 각 실험체의 하중과 처짐 곡선을 나타내며, 특징이 되는 수치는 Table 6에 정리하였다. RC 시리즈 실험체의 경우 평균 21.5 mm의 처짐에서 인장철근이 항복한 이후 인장부에서 발생한 균열폭이 집중되었고 최대하중 이후
급격히 내력이 감소하였다. ECC를 중앙부에 800 mm 치환한 ECC5d 시리즈 실험체의 경우 인장철근의 항복은 평균 23.0 mm에서 발생하였고, ECC를 전단면에 적용한 ECCFull 시리즈 실험체는 평균 23.3 mm의 처짐에서 인장철근이 항복하였다.
인장철근 항복 시 RC 실험체의 하중은 평균 62.7 kN으로 측정되었다. 인장철근 항복 시 ECC5d시리즈 실험체의 하중 평균은 67.4 kN로 측정되었고 ECCFull 시리즈 실험체는 평균 68.8 kN으로 나타나 RC 시리즈 실험체 대비 각각 평균 7.5 %, 9.7 % 향상되었다. RC 시리즈 실험체의 최대내력은
평균 67.2 kN(최대변위 평균 80.2 mm)으로 측정되었다. ECC5d 시리즈 실험체의 최대내력은 평균 74.0 kN(최대변위 평균 93.9 mm), ECCFull시리즈 실험체의 최대내력은 평균 75.9 kN(최대변위 평균 120.3 mm)으로 측정되어 RC 시리즈 실험체와 비교할 경우 각각 10.0 %, 12.9
% 최대내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ECC 치환길이가 증가할수록 ECC의 변형률 경화거동 특성이 반영되어 변위의 증가와 함께 최대내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7. Load-displacement curves
Table 6. Result of bending test
Specimens
|
Initial crack
|
Re-bar yielding
|
Ultimate load
|
Deflection
(mm)
|
Load
(kN)
|
Deflection
(mm)
|
Load
(kN)
|
Deflection
(mm)
|
Load
(kN)
|
RC-1
|
9.6
|
24.6
|
21.2
|
62.2
|
83.1
|
68.2
|
RC-2
|
8.4
|
24.5
|
21.8
|
63.1
|
77.3
|
66.2
|
ECC5d-1
|
10.9
|
26.5
|
23.1
|
68.7
|
97.5
|
73.7
|
ECC5d-2
|
10.3
|
26.7
|
22.8
|
66.1
|
90.2
|
74.2
|
ECCFull-1
|
11.2
|
28.5
|
23.4
|
69.4
|
119.5
|
74.5
|
ECCFull-2
|
10.1
|
27.3
|
23.2
|
68.2
|
121.2
|
77.4
|
4.3 모멘트-곡률 특성
Fig. 8과 Table 7에는 각 실험체의 모멘트와 곡률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초기균열 모멘트($M_{i}$)는 RC 시리즈의 경우 평균 9.8 kN·m, ECC5d 시리즈의 경우 평균 10.7 kN·m, ECCFull 시리즈의 경우 평균 11.2kN·m로 측정되어 철근콘크리트 보에 ECC의 치환길이가 증가할수록 초기균열 모멘트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복
모멘트($M_{y}$) 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RC 시리즈 실험체의 극한 모멘트($M_{u}$)는 평균 26.9 kN·m로 측정되었고, ECC5d 시리즈와 ECCFull 시리즈는 각각 평균 29.6 kN·m, 30.4 kN·m로 측정되었다. 초기균열 모멘트와 항복 모멘트는 ECC의 치환길이가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극한 모멘트의 경우 ECC5d 시리즈와 ECCFull 시리즈는 평균 10.0%, 13.0% 향상되어 ECC 치환길이 증가에 따라 비례하는 경향은 뚜렷하게 보이지 않았고, 인장부에 동일하게 배근된 인장철근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치환길이가 순수모멘트 구간의 길이보다 작다면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극한곡률($\phi_{u}$)을 비교할 경우, ECC 시리즈(ECC5d, ECCFull) 실험체는 RC 시리즈 실험체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극한곡률에 있어서 ECC5d 시리즈의 경우 RC보다 17.8 % 증가하였고, ECCFull 시리즈의 경우 28.3 %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ECC 매트릭스 내부에 혼입된 보강섬유가 인장하중 조건에서 다중 미세균열을 발생시켜 균열폭 제어를
통한 변형률 경화거동 (strain-hardening behavior)을 보였고, 우수한 연성능력을 발휘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Fig. 8. Moment-curvature curves
Table 7. Test result of each beam specimen
Specimens
|
$M_{i}$
(kN·m)
|
$M_{y}$
(kN·m)
|
$M_{u}$
(kN·m)
|
$\phi_{i}$
(1/m)
|
$\phi_{y}$
(1/m)
|
$\phi_{u}$
(1/m)
|
RC-1
|
9.8
|
24.9
|
27.3
|
0.00913
|
0.02412
|
0.05824
|
RC-2
|
9.8
|
25.2
|
26.5
|
0.00921
|
0.02335
|
0.05611
|
ECC5d-1
|
10.6
|
27.5
|
29.5
|
0.00953
|
0.02664
|
0.06623
|
ECC5d-2
|
10.7
|
26.4
|
29.7
|
0.00987
|
0.02595
|
0.06852
|
ECCFull-1
|
11.4
|
27.8
|
29.8
|
0.01132
|
0.02614
|
0.07251
|
ECCFull-2
|
10.9
|
27.3
|
31.0
|
0.010647
|
0.02726
|
0.07416
|
4.4 소성힌지 특성
횡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는 휨에 의해 지배될 경우 위험단면에서 소성힌지가 발생하고 비탄성 변형이 집중된다. 항복곡률을 초과하는 비탄성 영역의
곡률 분포는 등가소성힌지 길이 구간의 면적과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등가 소성힌지 개념을 도입하였다(Park et al, 1975)(14).
Table 8에는 등가소성힌지 길이($L_{P}$) 및 곡률연성계수($\phi_{u}$/$\phi_{y}$)를 산정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Fig. 9에는 각 지점에서 측정된 곡률을 등가면적으로 환산하여 소성힌지 길이를 산정하였다. 여기서 가로축 h는 보의 중앙부에서 단부까지의 길이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각 지점에서의 곡률 분포를 나타낸다.
Table 8. Comparison of plastic hinge length
Specimen
|
ECC replacement length
(mm)
|
Plastic hinge length($L_{P}$)
(mm)
|
Curvature ductility factor
($\phi_{u}$/$\phi_{y}$)
|
RC-1
|
-
|
1.46d (234)
|
2.41
|
RC-2
|
-
|
1.31d (210)
|
2.40
|
ECC5d-1
|
800
|
2.04d (326)
|
2.49
|
ECC5d-2
|
800
|
2.14d (342)
|
2.64
|
ECCFull-1
|
2200
|
2.67d (427)
|
2.77
|
ECCFull-2
|
2200
|
2.91d (465)
|
2.72
|
Fig. 9. Estimated plastic hinge length of the specimens
RC 보 실험체의 소성힌지 길이는 RC-1, RC-2가 각각 1.31$d$(210 mm), 1.46$d$(234 mm)로 측정되어 평균 222 mm의
소성힌지 길이로 계산되었다. ECC를 800 mm 치환한 ECC5d-1, ECC5d-2의 소성힌지 길이는 각각 2.14$d$(342 mm), 2.04$d$(326 mm)로서 평균 334 mm의 소성힌지 길이가 측정되었다. ECC를
전체 적용한 ECCFull-1, ECCFull -2 실험체는 평균 446 mm의 소성힌지 길이를 보여 ECC의 치환길이 증가와 함께 소성힌지 길이도 함께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른 에너지
흡수능력 또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RC 실험체와 소성힌지 길이를 비교할 경우 ECC5d 시리즈는 평균 50 % 증가하였고, ECCFull 시리즈 실험체의 경우 101 % 향상되었다.
측정된 곡률연성계수는 RC 시리즈 실험체가 평균 2.41로 측정되었다. ECC5d 시리즈의 곡률연성계수는 평균 2.57이며, ECCFull 시리즈는 2.75로 측정되어 ECC 보강 길이가 증가할수록 곡률연성계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ECC를 소성힌지부에 적용할
경우, 소성힌지의 길이가 길어져서 연결부에 곡률이 집중되는 현상이 기존의 철근콘크리트에 비하여 줄어들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부재 설계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우수한 인장변형 성능을 갖고 있는 ECC를 철근콘크리트 보에 적용한 보의 휨성능 및 ECC 치환길이가 소성힌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ECC(ECC5d, ECCFull) 시리즈 실험체는 RC 시리즈 실험체와 비교할 경우 휨 균열이 발생된 이후, 균열 폭이 증가하지 않고 많은 미세균열이 분산되어 추가로 발생하였다.
ECC 치환길이가 증가할수록 보의 중앙점을 중심으로 휨균열이 분산되는 범위가 증가하였고, 이 결과는 ECC의 높은 연성과 우수한 균열제어능력에 기인하는
것이다.
2) 휨실험을 수행한 결과 ECC 시리즈(ECC5d, ECCFull) 실험체의 극한 곡률은 RC 시리즈 실험체보다 각각 17.8%, 28.3%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ECC 매트릭스 내부에 혼입된 보강섬유가 인장하중
조건에서 다중 미세균열을 발생시켜 균열폭 제어를 통한 변형률 경화거동(strain-hardening behavior)을 보였고, 우수한 연성능력을
발휘하였기 때문이다.
3) ECC 치환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ECC-RC 실험체의 소성힌지 길이는 증가하였다. ECC5d 실험체는 기준실험체 대비 평균 50.0 %, ECCFull 실험체는 평균 101 % 소성힌지 길이가 증가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ECC를 소성힌지부에 적용할 경우, 보의 에너지 흡수능력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5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2015R1A5A1037548)
References
Balaguru, P., Surendra, P. (1992),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s, Elsevier
Bentur, A., Mindess, S. (1990),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McGraw-Hill
Wille, K., El-Tawil, S., Naaman, A. E. (2014), Properties of strain hardening ultra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oncrete (UHP-FRC) under direct tensile loading,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48, 53-66.
Kanda, T., Li, V.C. (1999), A New Micromechanics Design Theory for Pscudo Strain 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 ASCE J of Engineering Mechanics, 125(4), 373-381.
Li, V.C. (1993), From Micromechanics to Structural Engineering the Design of Cementitious
Composites for Civil Engineering Applications, JSCE J. of Struc. Mechan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10(2), 37-48.
Cho, H.W., Bang, J.W., Han , B.C., Kim, Y.Y. (2011), Flexural Experiments on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ECC and High Strength Reba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3(4), 503-509. (In Korean).
Jin, Q., Li, V. C. (2019), Development of lightweight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
for durability enhancement of tall concrete wind tower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96, 87-94.
Kim, Y. Y., Kim, J. S., Kim, H. S., Ha, G. J., Kim, J. K. (2005), Mechanical Properties
of an ECC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 Designed Based on Micromechanical Principl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7(5), 709-716.
Fischer, G., Li, V.C. (2002), Effect of matrix ductility on deformation behavior of
steel reinforced ECC flexural members under reversed cyclic loading conditions, ACI
Struct J, 99(6), 781-90.
Fischer, G., Li, V.C. (2003), Deformation behavior of fiber- reinforced polymer reinforced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ECC) flexural members under reversed cyclic loading
conditions, ACI Struct J, 100(1), 25-35.
Salahuddin, Q., Mohamed, M. (2014), Application of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ECC) in interior beam–column connections for enhanced seismic resistance, Engineering
Structures, 69(15), 235-245.
Cho, C. G., Kim, Y. Y., Feo, L., Hui, D. (2012), Cyclic responses of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strengthened in the plastic hinge region by HPFRC mortar, Composite
Structures, 94(7), 2246-2253.
Zhang, R., Meng, Q., Shui, Q., He, W., Chen, K., Liang, M., Sun, Z. (2019), Cyclic
Response of RC Composite Bridge Columns with Precast PP-ECC Jackets in the Region
of Plastic Hinges, Composite Structures
Park, R., Paulay, T. (1975),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