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해석 적용 인공지진파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해석에 적용된 인공지진파는 U.S NRC Regulatory Guide 1.122(1978)(14), 1.60(1973a)(12), 1.61(1973b)(13),
Fig. 7 Comparison of Experiment and Analysis result
도로교 설계기준(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및 전력산업기술기준(Korea
electric association, 2005)에서 제안하고 있는 설계응답스펙트럼(Multi-Design Response Spectral)을 만족하도록
작성되었다. 이러한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설계응답스펙트럼을 만족하지 못하는 임의로 작성된 인공지진파에 Lilhanand and Tseng(1988)등이
제안한 Non-stationary spectral matching 기법을 적용하여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렇게 수정된 인공지진파는 Fig. 8과 같다.
Fig. 8 Modified Artificial Time-Acceleration Curve
Fig. 8에 보인 인공지진파의 최대 지진가속도(Peak Acceleration)는 0.30g이며, 시간 간격은 0.005초, 전체 시간은 20.48초로 적용하였다.
또한 인공지진파의 응답스펙트럼 계산 주기(Hz)는 310개를 적용하여 유체-구조물 상호작용의 해석상에서 유체의 주기가 어떠한 값을 가지더라도 설계기준에서
제안하는 응답스펙트럼을 만족하도록 계산 주기의 폭을 정하였다. 설계응답스펙트럼은 TID-7024를 참조하여 유체의 재료 감쇠비 0.5%를 적용하였으며,
인공지진파에 의해 계산된 스펙트럼과 설계응답스펙트럼의 비교는 Fig. 9 및 Table. 3에 보인 바와 같다.
Fig. 9 Design Response Spectrum and Modified Artificial Time-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Table 3 Comparison of Design Response Spectrum and Modified Artificial Time-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Number of Modified Artificial Time-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smaller than Design
Response Spectrum
|
0 EA
|
Max. Difference from Design Response Spectrum and Modified Artificial Time-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
17.847%
|
Table 3에 보인바와 같이 수정된 인공지진파에 의해 계산된 응답스펙트럼은 총 310개의 주기(Hz)에서 모두 설계응답스펙트럼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지진파가
수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정된 인공지진파에 의해 계산된 응답스펙트럼이 설계응답스펙트럼보다 큰 값의 범위가 최대 18%인 것으로 확인되어,
지진파의 응답스펙트럼이 설계응답스펙트럼보다 30%이상 크지 않아야 한다는 기준을 만족하였다.
3.2 유체 높이와 구조물 폭의 비에 따른 유체의 출렁임 특성
본 연구에서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해석을 위해 채택한 유체저장 구조물은 검증 해석에 적용한 구조물과 모든 재원을 동일하게 적용하고 높이만을 500mm로
변경하였으며, 유체 높이와 구조물의 폭 비(h/B)에 대한 변수를 0.4, 0.5, 0.6, 0.7, 0.8로 적용하여 유체의 높이를 200mm,
250mm, 300mm, 350mm, 400mm로 적용하였다. 구조물의 형상은 Fig. 10에 보인바와 같으며, 최대 지진가속도가 0.30g인 인공 지진파를 Fig. 10에 보인 구조물에 적용시켜 상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여 SPH기법으로 유체구조물 상호작용해석을 수행한 후 유체 표면의 최대 높이,
최소 높이 및 자유 수면의 형상을 정리하여 Fig. 11 및 Table. 4에 나타내었다.
Fig. 10 Analytical Model for Evaluating Influence of Fluid Height and Structure Width
Table 4 Maximum and Minimum Sloshing Height of the Fluid according to h/B
h/B
|
0.4
|
0.5
|
0.6
|
0.7
|
0.8
|
Min.(mm)
|
156
|
206
|
240
|
287
|
338
|
Max.(mm)
|
287
|
338
|
398
|
453
|
500
|
유체 높이와 구조물 폭 비(h/B)에 대해서 h/B가 0.4일 경우 유체의 최대 높이는 287mm, 최소 높이는 156mm, h/B가 0.5일 경우
최대 높이는 338mm, 최소 높이는 206mm로 측정되었다. 또한 h/B가 0.6의 경우 최대 높이는 398mm, 최소 높이는 240mm이며, h/B가
0.7인 경우 최대 높이가 471mm, 최소 높이가 287mm로 측정되었다. h/B가 0.8인 경우 최대 높이가 500mm로 측정되었지만, 유체가
상부 슬래브에 접촉되어 정확한 최대 높이를 측정할 수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체 높이와 구조물의 폭 비(h/B)와 초기 유체 높이와
최대 출렁임 높이 비(h'/h)를 확인하면 Table.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able 5 Ratio of the Fluid Height to the Maximum Sloshing Height according to h/B
h/B
|
0.4
|
0.5
|
0.6
|
0.7
|
0.8
|
h'/h
|
1.435
|
1.352
|
1.327
|
1.294
|
1.250
|
h/B의 값이 작을수록 즉 유체의 폭 대비 저장 유체의 높이가 낮을수록 유체의 최대 출렁임 높이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유체 높이와 구조물 폭의 비(h/B)와 초기 유체 높이와 최대 출렁임 높이 비(h'/h)를 식으로 표현하면 식(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유체 높이와 구조물의 폭 비(h/B)와 초기 유체 높이와 최소 출렁임 높이 비(h''/h)를 확인하면 Table.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able 6 Ratio of the Fluid Height to the Minimum Sloshing Height according to h/B
h/B
|
0.4
|
0.5
|
0.6
|
0.7
|
0.8
|
h''/h
|
0.780
|
0.824
|
0.800
|
0.820
|
0.845
|
h/B의 값이 작을수록 즉 유체의 폭 대비 저장 유체의 높이가 낮을수록 유체의 최소 출렁임 높이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유체 높이와 구조물의 폭 비(h/B)와 초기 유체 높이와 최소 출렁임 높이 비(h''/h)를 식으로 표현하면 식(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체 자유수면의 형상을 선형함수로 가정하면 식(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 11 Analysis Result of Time-Sloshing Height
여기서, α는 유체 표면의 출렁임에 의한 진폭(Amplitude)계수, β는 유체 표면의 초기 높이와 관련된 계수로 Table. 5, Table. 6 및 Table 7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체 자유수면의 형상 함수를 유도하면 식(5)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이를 해석 결과의 유체 표면과 비교하면 Fig. 14 및 Table. 7과 같다.
Fig. 12 Correlation between h/B and h′/h
Fig. 13 Correlation between h/B and h″/h
Table 7 Maximum and Minimum Sloshing Height predicted by the Proposed Equation according
to h/B
h/B
|
0.4
|
0.5
|
0.6
|
0.7
|
0.8
|
Max. Diff.(%)
|
1.213
|
2.071
|
1.186
|
3.040
|
1.376
|
Min. Diff.(%)
|
1.077
|
2.791
|
1.700
|
0.756
|
0.734
|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해석 및 제안식에 의한 유체 자유수면의 최대 높이 및 최소 높이를 비교하면 최대 높이는 1.186%∼3.040%의 차이를 보이며
최소 높이는 0.734%∼2.791%의 차이를 보여 유사함을 보였다. 그러나 Fig. 14에 보인바와 같
Fig. 14 Comparison of Water Surface Shape Derived from Analysis and Proposed Equation
이 유체 자유수면의 전체 형상에서는 제안식이 선형방정식으로 가정하였으므로, 해석결과에 의한 자유수면과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제안식에 의한 형상이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해석 결과를 포괄하므로 보수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