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박사 후 연구원
  2. 정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3. 정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유체 출렁임 형상, 출렁임 높이, S.P.H기법, 내진설계
Fluid-Structure interaction, Fluid Fluctuation Shape, Sloshing height, S.P.H method, Seismic Design

1. 서 론

내부유체와 저장구조물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유류저장탱크, 유조선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Kim et al., 1999). Housner가 초기에 제안한 직사각형과 원통형 유체 저장구조물에 대한 지진해석은 구조물의 벽체를 유연성이 없는 강체로 가정하고 유체의 동적거동을 산정하였다. 이러한 유체의 동적거동은 벽체와 동일한 움직임을 가지는 충격성분(Impulsive component)과 벽체의 거동에 따른 유체의 자유표면운동인 대류성분(Convective component)로 구분하여 계산하도록 제안되었다(Housner, 1957, 1963)(2-3). 그러나 1964년 Alaska지진에 의해 이러한 방법에 의해 설계된 많은 저장탱크들이 손상을 입었고, 이 후 많은 연구들이 벽면의 유연성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는 해석방법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Lee and Yun, 1987)(4). 초기에는 원형 저장탱크를 전단력과 모멘트를 전달하는 단순보로 이상화하여 해석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Veletsos, 1974, Veletsos and Yang, 1977)(5-6), 근래에 Haroun에 의해 부가질량행렬 개념과 경계적분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유연성을 가진 벽면의 거동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유체동수압의 상호관계가 규명되었다(Haroun, 1983)(7).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유체의 자유표면거동과 관계된 유체의 대류성분에 대해서 벽체의 유연성의 영향이 고려되지 않았다(Lee and Yun, 1987)(4).

유체 저장구조물에 지진 하중이 작용할 때 구조물 벽체에 작용하는 유체의 동수압은 지진의 강도, 구조물의 폭, 유체의 높이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유체 저장 구조물에 지진하중이 작용할 때 유체 저장 구조물의 폭과 유체의 높이의 비율에 따른 유체의 출렁임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아크릴 수조에 유체를 담아 실지진파를 작용시킨 후 유체의 출렁임 특성을 분석하고,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상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여 해석과 실험의 유사성을 확인하기 위한 검증 해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유체 저장 구조물의 폭과 유체의 높이의 비율이 유체의 출렁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체 저장 구조물의 폭을 고정하고 유체의 높이을 변수로 추가적인 해석을 수행하여 유체의 출렁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2.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실험 및 해석

2.1 진동대 실험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해석(Fluid-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FSI)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hoto. 1에 보인 바와 같이 아크릴 수조를 제작하고, 아크릴 수조 안에 유체를 담아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크릴 수조의 크기는 폭×높이×두께를 500mm×400mm×10mm로 제작하였고, 유체의 높이는 아크릴 수조 높이의 35%인 140mm와 50%인 200mm를 적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진동대는 변위제어를 통하여 구조물에 지진하중을 재하하므로 Fig. 2에 보인 실지진파의 시간-변위 데이터(Chalfant Valley earthquake, 1986)를 적용하여 진동대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때 실험체에 적용된 시간-가속도 데이터는 진동대의 바닥판에 가속도계를 부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시간-가속도 그래프는 Fig. 3과 같다.

Photo 1 Specimen of Fluid-Structure Interaction

../../Resources/ksm/jksmi.2020.24.5.126/photo1.png

Fig. 1 Layout and Dimension of Fluid-Structure Interaction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1.png

Fig. 2 Chalfant Valley(1986) Time-Displacement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2.png

Fig. 3 Measured Time-Acceleration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3.png

Fig. 3에 보인 측정 지진파의 최대 지진가속도(Peak Acceleration)는 0.388g 이며, 시간 간격은 실험 시 진동대에 적용시킨 시간-변위 데이터의 간격과 동일한 0.02초로 적용하였고, 전체 시간은 39.34초이다. Fig. 4에 보인 바와 같이 측정된 시간-가속도 데이터를 최대 지진가속도 0.30g에 해당하는 설계응답스펙트럼과 310개의 주기(Hz)에 대하여 비교하면, 지진파에 의해 계산된 스펙트럼 가속도가 설계응답스펙트럼 가속도에 비하여 과대 혹은 과소한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에 적용된 유체의 고유주기에 따라 유체에 전달되는 지진의 에너지량이 과대 혹은 과소하게 작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설계기준에서는 실지진을 통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할 경우 장·단 주기의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7개 이상의 지진파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지진파에 의해 계산된 응답스펙트럼 가속도가 설계응답스펙트럼 가속도를 모든 주기에서 포괄하여, 구조물의 특정 주기에서 구조물이 과소평가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 적용된 실험의 경우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수행되었으므로, 이러한 기준을 배제하고 실험과 해석의 유사성만을 비교하였다.

Fig. 4 Design Response Spectral and Measured Time-Acceleration Response Spectral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4.png

2.2 SPH(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기법

SPH 기법은 메쉬가 없는 Lagrangian 수치해석 기법으로써 개별적인 입자들의 집합을 사용하여 연속체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입자들의 물리적인 변형을 통하여 압력, 속도, 밀도 등과 같은 동수압의 특성 인자들을 산출해 낼 수 있으며, SPH의 함수 f(x)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f(x)=\int_{\Omega}f(\acute x)W(x-\acute x ,\:h)d\acute x$

여기서, f(x)는 x의 3차원 위치 벡터의 스칼라 함수이고, Ω는 x를 포함하는 적분의 체적, $W(x-\acute x ,\:h)$는 완화 함수(smoothing kernel function), h는 완화거리(supporting radius)를 나타낸다.

2.3 검증 해석

실험과 해석의 비교를 위하여 상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여 Fig. 5에 보인 유한요소모델로 유체-구조물 상호작용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에 사용된 요소 및 재료 특성은 Table 1에 보인 바와 같다. 아크릴의 경우 Abaqus의 솔리드 요소인 C3D8R을 적용하였으며, 유체는 Particle 요소인 PC3D를 적용하였다. 또한 각 재료들의 재료특성은 기존 연구(Matej Vesenjak et al., 2004)(10) 및 Abaqus 매뉴얼을 참조하여 작성하였다.

Fig. 5 FE Model for Analysis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5.png

Table 1 Material Properties and Elements using FE Model

Model

Type

Material Properties

Acrylic

C3D8R

Density

1,180 kg/m3

Elasticity

3,000 MPa

Poisson's Ratio

0.35

Water

PC3D

Density

1,000 kg/m3

Bulk Modulus

2,150 MPa

Speed of sound

1467 m/sec

본 연구에서는 유체의 자유수면 출렁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체저장 구조물 좌·우측에서 유체 자유수면 출렁임이 최대로 발생할 때 실험과 해석의 값을 비교·분석하였다. Fig. 7은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동안 구조물 좌·우측 유체에서 발생하는 자유표면의 변위를 나타낸 것이고, Photo 2, Fig. 6은 실험 및 해석에서 유체 자유수면이 최대 출렁임 높이(Sloshing Height)를 나타낼 때 유체의 표면을 도시한 것이다.

Table 2 Comparison of Experiment and Analysis Results

H/B

Type

Experiment

(mm)

Analsysis

(mm)

Diff.

(%)

0.35

Max. Height

247.0

249.0

0.810

Min. Height

95.0

97.0

2.105

0.50

Max. Height

308.0

317.0

2.839

Min. Height

168.0

160.0

5.000

Photo 2 Specimen of Fluid-Structure Interaction

../../Resources/ksm/jksmi.2020.24.5.126/photo2.png

Fig. 6 Maximum Sloshing Height in Analysis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6.png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실험 및 해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체 자유수면의 최대 높이와 최소 높이를 비교하면 유체의 높이와 유체 저장 구조물 폭의 비(H/B)가 0.5일 때, 최대 높이는 2.839%, 최소 높이는 5.0%의 오차를 보였으며, H/B가 0.35일 때, 최대 높이는 0.810%, 최소 높이는 2.105%의 오차를 보여 모든 경우에 대하여 5.0%이내의 오차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적용한 SPH기법이 유체-구조물 상호작용을 모사하기에 충분한 신뢰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3. 유체 높이와 구조물 폭의 비에 따른 유체의 출렁임 특성

3.1 해석 적용 인공지진파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해석에 적용된 인공지진파는 U.S NRC Regulatory Guide 1.122(1978)(14), 1.60(1973a)(12), 1.61(1973b)(13),

Fig. 7 Comparison of Experiment and Analysis result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7-1.png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7-2.png

도로교 설계기준(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및 전력산업기술기준(Korea electric association, 2005)에서 제안하고 있는 설계응답스펙트럼(Multi-Design Response Spectral)을 만족하도록 작성되었다. 이러한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설계응답스펙트럼을 만족하지 못하는 임의로 작성된 인공지진파에 Lilhanand and Tseng(1988)등이 제안한 Non-stationary spectral matching 기법을 적용하여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렇게 수정된 인공지진파는 Fig. 8과 같다.

Fig. 8 Modified Artificial Time-Acceleration Curve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8.png

Fig. 8에 보인 인공지진파의 최대 지진가속도(Peak Acceleration)는 0.30g이며, 시간 간격은 0.005초, 전체 시간은 20.48초로 적용하였다. 또한 인공지진파의 응답스펙트럼 계산 주기(Hz)는 310개를 적용하여 유체-구조물 상호작용의 해석상에서 유체의 주기가 어떠한 값을 가지더라도 설계기준에서 제안하는 응답스펙트럼을 만족하도록 계산 주기의 폭을 정하였다. 설계응답스펙트럼은 TID-7024를 참조하여 유체의 재료 감쇠비 0.5%를 적용하였으며, 인공지진파에 의해 계산된 스펙트럼과 설계응답스펙트럼의 비교는 Fig. 9Table. 3에 보인 바와 같다.

Fig. 9 Design Response Spectrum and Modified Artificial Time-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9.png

Table 3 Comparison of Design Response Spectrum and Modified Artificial Time-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Number of Modified Artificial Time-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smaller than Design Response Spectrum

0 EA

Max. Difference from Design Response Spectrum and Modified Artificial Time-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17.847%

Table 3에 보인바와 같이 수정된 인공지진파에 의해 계산된 응답스펙트럼은 총 310개의 주기(Hz)에서 모두 설계응답스펙트럼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지진파가 수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정된 인공지진파에 의해 계산된 응답스펙트럼이 설계응답스펙트럼보다 큰 값의 범위가 최대 18%인 것으로 확인되어, 지진파의 응답스펙트럼이 설계응답스펙트럼보다 30%이상 크지 않아야 한다는 기준을 만족하였다.

3.2 유체 높이와 구조물 폭의 비에 따른 유체의 출렁임 특성

본 연구에서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해석을 위해 채택한 유체저장 구조물은 검증 해석에 적용한 구조물과 모든 재원을 동일하게 적용하고 높이만을 500mm로 변경하였으며, 유체 높이와 구조물의 폭 비(h/B)에 대한 변수를 0.4, 0.5, 0.6, 0.7, 0.8로 적용하여 유체의 높이를 200mm, 250mm, 300mm, 350mm, 400mm로 적용하였다. 구조물의 형상은 Fig. 10에 보인바와 같으며, 최대 지진가속도가 0.30g인 인공 지진파를 Fig. 10에 보인 구조물에 적용시켜 상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여 SPH기법으로 유체구조물 상호작용해석을 수행한 후 유체 표면의 최대 높이, 최소 높이 및 자유 수면의 형상을 정리하여 Fig. 11Table. 4에 나타내었다.

Fig. 10 Analytical Model for Evaluating Influence of Fluid Height and Structure Width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10.png

Table 4 Maximum and Minimum Sloshing Height of the Fluid according to h/B

h/B

0.4

0.5

0.6

0.7

0.8

Min.(mm)

156

206

240

287

338

Max.(mm)

287

338

398

453

500

유체 높이와 구조물 폭 비(h/B)에 대해서 h/B가 0.4일 경우 유체의 최대 높이는 287mm, 최소 높이는 156mm, h/B가 0.5일 경우 최대 높이는 338mm, 최소 높이는 206mm로 측정되었다. 또한 h/B가 0.6의 경우 최대 높이는 398mm, 최소 높이는 240mm이며, h/B가 0.7인 경우 최대 높이가 471mm, 최소 높이가 287mm로 측정되었다. h/B가 0.8인 경우 최대 높이가 500mm로 측정되었지만, 유체가 상부 슬래브에 접촉되어 정확한 최대 높이를 측정할 수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체 높이와 구조물의 폭 비(h/B)와 초기 유체 높이와 최대 출렁임 높이 비(h'/h)를 확인하면 Table.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able 5 Ratio of the Fluid Height to the Maximum Sloshing Height according to h/B

h/B

0.4

0.5

0.6

0.7

0.8

h'/h

1.435

1.352

1.327

1.294

1.250

h/B의 값이 작을수록 즉 유체의 폭 대비 저장 유체의 높이가 낮을수록 유체의 최대 출렁임 높이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유체 높이와 구조물 폭의 비(h/B)와 초기 유체 높이와 최대 출렁임 높이 비(h'/h)를 식으로 표현하면 식(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dfrac{h'}{h}=-0.376\left(\dfrac{h}{B}\right)+1.568$

또한 유체 높이와 구조물의 폭 비(h/B)와 초기 유체 높이와 최소 출렁임 높이 비(h''/h)를 확인하면 Table.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able 6 Ratio of the Fluid Height to the Minimum Sloshing Height according to h/B

h/B

0.4

0.5

0.6

0.7

0.8

h''/h

0.780

0.824

0.800

0.820

0.845

h/B의 값이 작을수록 즉 유체의 폭 대비 저장 유체의 높이가 낮을수록 유체의 최소 출렁임 높이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유체 높이와 구조물의 폭 비(h/B)와 초기 유체 높이와 최소 출렁임 높이 비(h''/h)를 식으로 표현하면 식(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dfrac{h''}{h}=0.126\left(\dfrac{h}{B}\right)+0.738$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체 자유수면의 형상을 선형함수로 가정하면 식(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f(x)=\alpha ·x+\beta$

Fig. 11 Analysis Result of Time-Sloshing Height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11-1.png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11-2.png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11-3.png

여기서, α는 유체 표면의 출렁임에 의한 진폭(Amplitude)계수, β는 유체 표면의 초기 높이와 관련된 계수로 Table. 5, Table. 6Table 7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체 자유수면의 형상 함수를 유도하면 식(5)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이를 해석 결과의 유체 표면과 비교하면 Fig. 14Table. 7과 같다.

Fig. 12 Correlation between h/B and h′/h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12.png

Fig. 13 Correlation between h/B and h″/h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13.png

(5)
$f(x)=\left\{0.502\left(\dfrac{h_{0}}{B}\right)^{2}-0.83\dfrac{h_{0}}{B}\right\}x+\left\{-0.376\dfrac{h_{0}}{B}+1.568\right\}h_{0}$

Table 7 Maximum and Minimum Sloshing Height predicted by the Proposed Equation according to h/B

h/B

0.4

0.5

0.6

0.7

0.8

Max. Diff.(%)

1.213

2.071

1.186

3.040

1.376

Min. Diff.(%)

1.077

2.791

1.700

0.756

0.734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해석 및 제안식에 의한 유체 자유수면의 최대 높이 및 최소 높이를 비교하면 최대 높이는 1.186%∼3.040%의 차이를 보이며 최소 높이는 0.734%∼2.791%의 차이를 보여 유사함을 보였다. 그러나 Fig. 14에 보인바와 같

Fig. 14 Comparison of Water Surface Shape Derived from Analysis and Proposed Equation

../../Resources/ksm/jksmi.2020.24.5.126/fig14.png

이 유체 자유수면의 전체 형상에서는 제안식이 선형방정식으로 가정하였으므로, 해석결과에 의한 자유수면과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제안식에 의한 형상이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해석 결과를 포괄하므로 보수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유체-구조물 상호작용에 대한 실험과 해석을 비교하여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체 높이와 구조물의 폭 비를 변화시키면서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해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해석에 적용된 S.P.H(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기법이 지진시 유체의 동적거동을 모사하기에 충분한 신뢰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2) 본 연구에 적용된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실험과 검증해석이 자유수면의 최대 높이, 최소 높이 및 자유수면 형상에 대하여 높은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3) 유체 표면의 출렁임에 의한 진폭(Amplitude)및 유체 표면의 초기 높이를 고려한 유체 자유수면의 형상 함수를 예측할 수 있는 식을 제안하였다.

4) 이 연구에 의해 제안된 유체 자유수면 형상 예측식은 자유수면을 1차원으로 단순화시켜 실제 유체의 거동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나, 유체의 동적 하중 산정시 보수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본 연구를 통하여 유체 높이와 구조물의 폭 비(h/B)의 변화에 따라 유체의 최대 출렁임 높이와 최소 출렁임 높이를 유추할 수 있는 상관관계식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적용된 지진의 최대 강도가 0.3g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진의 최대 강도가 유체의 자유수면에 미치는 영향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행정안전부의 방재안전분야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References

1 
Kim, Y.S., Kim, J.M., Choun, Y.S., Yun, C.B. (1992), Seismic Analysis of Rectangular Liquid Storage Structures Using Fluid Elements,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6(2), 206-214.Google Search
2 
Housner, George W. (1957), Dynamic Pressure on Accelerated Fluid Container,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47(1), 15-35.Google Search
3 
Housner, George W. (1963), The Dynamic Behavior of Water Tank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53(1), 381-387.Google Search
4 
Lee, C.G., Yun, C.B. (1987), Seismic Analysis of Liquid Storage Tanks Considering Shell Flexi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7(4), 21-29.Google Search
5 
Veletsos, A. S. (1974), Seismic Effects in Flexible Liquid Storage Tanks, Proc. Int. Assoc. for Earthquake Eng., Rome, Italy, 1, 630-639.Google Search
6 
Veletsos, A. S., Yang, J. Y. (1977), Earthquake Response of Liquid Storage Tanks, Adv. Civil Eng. Through Eng. Mech, ASEC, 1-24.DOI
7 
Haroun, M. A. (1983), Vibration Studies and Test of Liquid Storage Tanks,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 11, 119-206.DOI
8 
Lay, K. S. (1993), Seismic Coupled Modeling of Axisymmetric Tanks Containing Liquid, Journal of the Technical Council of ASCE, 747-763.DOI
9 
U. S. Atomic Energy Commision, (1963), Nuclear Reactors and Earthquakes, TID-7024, Washington, D. C., 367-390.DOI
10 
Matej, Vesenjak, Heiner, Müllerschön, Alexander, Hummel, Zoran, Ren (2004), Simulation of Fuel Sloshing – Comparative Study, LS-DYNA Anwenderforum, Bamberg.Google Search
11 
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Code, (2005), Seismic Analysis and Seismic Capacity Evaluation of Nuclear Facilities, 2005 Edition and 2008 Supplement.Google Search
12 
U.S NRC, (1973a),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Regulatory Guide 1.60, Rev. 1.Google Search
13 
U.S NRC, (1973b), Damping Values for Seismic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Regulatory Guide 1.60, Rev. 1.Google Search
14 
U.S NRC, (1978), Development of Floor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Design of Floor Supported Equipment or Components, Regulatory Guide 1.122, Rev. 1.Google Search
15 
Kim, Y.I., Nam, B.W., Kim, Y.H. (2007), Study on the Effects of Computation Parameters in SPH Method,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44(4), 398-407.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