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스마트시티공학과 석사과정
  2. 정회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3. 정회원, 한양대학교 ERICA 연구원
  4. 정회원, 한양대학교 ERICA 건축학부 교수, 공학박사, 교신저자



흡수성, 공기량, 압축강도, 유/무기 복합 발수제, 염화물 침투 저항성
Absorption, Air content, Compressive strength, Organic/Inorganic combined water-repellent, Resistance of Cl- penetration

1. 서 론

철근콘크리트(RC)는 건축물 및 토목구조물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건설재료이다. 그러나, 콘크리트는 내부에 공극이 많은 다공성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CO2, Cl- 등 다양한 열화 인자들이 침투하기 쉽고, 이러한 열화인자들이 상시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콘크리트의 pH저하에 의한 탄산화현상이나 철근주위의 염소이온 농도가 한계상태보다 높아 최종적으로 철근 부식에 의한 콘크리트 균열 발생으로 내력이 저하되는 심각한 내구성 저하 문제를 가지고 있다 (Shim and Lee, 2004)(1). 특히, Cl-와 같은 열화인자는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할 경우, 내부로 확산되는 침투 속도가 비교적 느리지만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이동하는 경우, 침투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Song et al., 2007)(2).

따라서, 다공성의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해 콘크리트 표면에 표면함침제 또는 발수제를 도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표면 도포 및 함침공법은 코팅공법과 달리 피막이 박리 또는 박락하는 문제점이 적어 최근에는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Shim, 2002)(3). 그러나, 콘크리트 자체의 균열이나 박리로 인해 열화가 진행된 경우에는 함침 표면층이 손상되어 기대하는 내구성을 확보할 수가 없다 (Jang et al., 2003)(4).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방수 및 발수재료들을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내부에 혼입하여 콘크리트 자체의 박리 또는 균열이 진행되어도 균열 내부에서도 발수성을 나타내게 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기물인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를 혼입할 경우, 매우 높은 발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성이 개선된다. 또한, 실란의 영향으로 염화물 침투 저항성능이 SCM계 재료들의 비해 효과적으로 내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모르타르의 경우 발수제 혼입 시 많은 공기가 연행되며, 압축강도가 크게 저하하는 단점이 있다. 무기물인 분말형 금속염을 혼입한 시험체는 공기량을 감소시켜주며 소수성 재료임에도 불구하고, 미세분말에 의해 압축강도의 저하가 수성 발수제에 비해 비교적 작은 장점이 있지만, 작업성이 저하되며, 발수성능이 크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Zhu et al., 2003; Chari et al., 2019; Zhu et al., 2013; Kim et al., 2018; Maryouo, 2017)(6-9).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은 소수성 재료 혼입 시 경화지연에 의한 압축강도의 저하이며, 실제 유기계 실리콘계 발수재료를 혼입하는 경우, 발수성능이 우수하며 작업성도 증가 하였지만 압축강도는 약 30~40% 저하를 나타내며, 무기계 금속염을 넣을 경우도 역시 공기량이 감소하고 발수성능을 발현하는 장점을 나타내었지만, 역시, 압축강도가 약 10~20% 저하되는 것으로 예비실험 결과 확인을 하였다. 이는 소수성재료를 모르타르 내부에 혼입하였을 경우 시멘트의 수화를 방지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아직까지 유기물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와 무기물인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를 동시에 사용하여, 각 재료의 장점과 단점을 이용하여 발수성능을 확보하면서 압축강도 저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기량 증가 및 압축강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물인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와 무기물인 분말형 금속염계 칼슘스테아레이트와 징크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하여 장점과 단점을 상호 보완하는 유무기 복합 발수제를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유무기 복합 발수제가 혼입된 모르타르를 대상으로 물리적 성능 및 발수성능을 평가하였다.

2. 기존문헌 고찰

2.1 유기물 실리콘계 발수제 혼입 콘크리트의 성능

Asamoto(2018)(19)는 표면도포형 발수제만으로는 콘크리트내로 침투하는 수분의 억제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유기물 실리콘계 발수제를 직접 콘크리트에 혼입하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실리콘계 발수제는 배합수의 25%를 발수제로 중량 치환하여 사용하였으며, 보통포틀랜드시멘트와 밀도 2.61 g/m3, 흡수율 2.12%의 모래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재령에 따라 발수제 혼입 콘크리트는 발수제 무혼입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높은 흡수 저항성을 보였고, 시험체 건조 유무에도 상관없이 높은 흡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재령 7일의 압축강도를 살펴보면, 발수제 무혼입(OPC) 대비 실리콘계 재료를 3% 혼입한 콘크리트(A-3, D-3)는 약 40%의 압축강도 저하를 나타내었다.

Zhao, T., et al(2011)(17)는 해양 환경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이 줄어들기 때문에 발수제를 콘크리트 표면에 함침 시키지만, 최소한의 건조시간과 경화된 콘크리트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는 점 등 다양한 단점 때문에 일체형 콘크리트 생산을 위한 실란 화합물을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압축강도의 경우, 4% 혼입 시 압축 강도가 평균적으로 약 1/3 감소하였다. 그러나, 실란 화합물 첨가 시 모세관 흡수가 크게 감소하였고, 2% 첨가하였을 때, 염화물 침투 저항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다른 실란 혼입 비율에 비해 가장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면 함침된 발수제보다 효율적이고 더 긴 내구수명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2.2 무기물 금속염계 발수제 혼입 콘크리트의 성능

W.Li(2011)(18)는 표면함침에 의한 종래의 방법은 침투 깊이가 10mm 이하이기 때문에, 징크스테아레이트, 칼슘스테아레이트 등 4가지의 금속염을 콘크리트에 혼입하여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무혼입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높은 염화물 침투 저항성을 보였으며, 단위 면적당 물 흡수율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재령 28일 압축강도를 살펴보면, 발수제 무혼입 대비 금속염계 재료 혼입 콘크리트는 약 36%의 압축강도 저하를 나타내었다. 이는 과량 혼입 된 금속 비누에 의해 시멘트 수화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Naeseroleslami, R.,& Chari, M. N.(2019)(16)는 SCC를 포함한 콘크리트의 장,단기 불투과성을 개선하기 위해 CS를 혼입하여 SCC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CS 혼입 시, 염화물 이동 테스트에서 SCM재료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모세관 기공을 따라 형성된 발수층에 의해서 모세관 수분 흡수 역시 상당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분석 결과, CS혼입은 미세균열을 발생하며, 밀도를 감소시켜 압축강도는 감소되지만, W/B비를 내리거나, 실리카 흄(SF)을 혼입하여 강도 손실을 보상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3. 실험재료 및 방법

3.1 사용재료

Table 1는 본 실험에서 사용한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화학적 성분을 나타낸다. Table 2는 잔골재의 특성을 나타내며, 잔골재는 KS L ISO 679 규격에 부합하는 표준사를 사용하였다. Table 3은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의 특성을 나타내며, Table 5는 사용된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인 칼슘 스테아레이트와 징크 스테아레이트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리콘계 실란&실론산의 경우, 유백색을 띄며, 알칼리성

Table 1. Chemical composition of cement

Density

(g/cm3)

Fineness

(cm2/g)

Chemical composition(%)

$Al_{2}O_{3}$

$SiO_{2}$

$C_{a}O$

$M_{g}O$

$F_{e2}O_{3}$

$SO_{3}$

3.15

3,450

5.3

19.7

61.7

3.8

3

2.5

Table 2. Characteristic of Fine aggregate

Maximum size(mm)

Density

(g/cm3)

Absortion

(%)

Fineness modulus

(F.M)

5.0

2.6

1.45

2.16

Table 3. Characteristic of Water soluble water-repellent

Appearance

Active

content(%)

Density

(g/cm3)

pH

milky, white

50

1.01 - 1.05

11.5 - 12

Table 4. Characteristic of metallic salts

Calcium stearate

Zinc stearate

Chemical formula

$C_{36}H_{70}C_{a}O_{4}$

$C_{36}H_{70}O_{4}Z_{n}$

Density

(g/cm3)

1.08

1.1

pH

7 - 9

6 - 8

Melting point(˚C)

147 - 149

121 - 124

Molecular weight(g/mol)

607

632

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고형분이 50%이기 때문에 배합수에 대한 보정이 필요한 재료이다.

스테아레이트는 시멘트의 비해 낮은 밀도를 가지고 있는 미분말의 분체이다. 또한,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을 보유하고 있다.

3.2 실험계획

Table 5는 유무기 복합 발수제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실험에 관한 실험수준 및 인자를 나타내며, Table 6은 사용된 발수제 혼입 시험체의 분류를 나타낸다. Table 7은 본 실험에 사용된 모르타르 배합표를 나타내었다.

유무기 복합 발수제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물리적 성능평가를 위해 플로우, 공기량, 압축강도 실험을 실시하였고, 발수 성능평가를 위해 물 흡수성과 염화물 침투 저항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발수제는 기존문헌 및 예비실험결과 압축강도 저하와 발수성의 변화가 비교적 크게 나타난 시멘트 중량대비 2%를 첨가하였고,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의 경우 예비실험을 통해 발수성능이 우수하며, 압축강도 저하가 가장 낮게 나타난 Ca:Zn=9:1 비율을 적용하였다.

Table 5. Experiment factor and level

Division

Experiment factor

Experiment level

Standards

Fresh

Flow

-

KS L 5105

Air-content

-

KS F 2421

Hardening

Compressive strength

3,7,14,28 days

KS L ISO 679

Absorption

10,30,60,360

minutes

KS F 2609

RCPT

60v, 6hours

KS F 2711

Table 6. Classification of specimens

Classification

Specimens

-

OPC

Original Water-repellent

Powder

Liquid

Organic/Inorganic Combine Water-repellet

P3L1

P4L1

P5L1

P6L1

또한,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의 고형분이 50%인 것을 고려해 배합수의 양을 조절하였다. 유무기 발수제의 혼합비율은 압축강도 저하를 고려하여, 압축강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의 양을 조절하였다. 시험체 P와 L은 각각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Powder)와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Liquid)를 나타내며, P3L1의 경우, Powder(무기물)와 Liquid(유기물)의 3:1 비율을 나타낸다.

3.3 실험방법

3.3.1 굳지않은 모르타르의 시공 성능 평가

공기량 실험은 KS F 2421에 의거하여 진행하였다. 플로우 실험은 KS L 5105를 기준으로 진행하였으며, W/C 50%, 발수제 무혼입 모르타르를 기준으로 200±15mm와 7±1%를 목표성능범위로 설정하여 플로우 및 공기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3.3.2 압축강도

KS L ISO 679를 기준으로 제작된 시험체를 탈형 후, 기건양생을 실시하였다. 3, 7, 14, 28일 재령에서 30Ton UTM을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수준별 3개 공시체의 압축

Table 7. Mix proportion of cement mortar

Name

W/C(%)

Unit weight(kg/m3)

Water

Cement

Sand

Water repellent

Liquid

Powder

Ca

Zn

OPC

50

254

508

1522

-

-

-

Powder

254

-

9.14

1.02

Liquid

245

20.32

-

-

P3L1

251.75

5.08

6.86

0.76

P4L1

252.2

4.06

7.32

0.81

P5L1

252.5

3.38

7.62

0.85

P6L1

252.7

2.90

7.84

0.87

강도 측정 후, 평균 값을 압축강도로 산출하였다. 압축강도 실험은 50x50x50 입방형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3.3.3 흡수성

28일 기건양생 후, 경화 된 시험체의 옆면에 에폭시를 코팅하고 24시간 대기중에 건조하였다. 건조 후 시험체의 무게를 측정한 후, 시험체를 약 10mm 깊이로 수중침지 후, 10, 30, 60, 360분 시간 경과에 따라 시험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면적당 물 흡수율과 물 흡수계수를 도출하였다. 실험은 KS F 2609를 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4개 이상의 측정값을 통해 계산된 흡수계수가 선형관계이 있기 때문에, 360분에서 실험을 종료하였다.

3.3.4 염화물 침투 저항성(RCPT)

Fig. 1은 염화물 침투 저항성 실험(RCPT = Rapid Chloride Permeabillity Test) 절차를 나타낸다. 기건상태에서 28일 경화된 Ø100 x 200 원형 공시체의 중앙으로부터 타설면과 바닥면으로 각각 50mm 두께로 절단한 후, 일방향으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절단된 시험체 옆면에 에폭시 코팅을 진행하였고, 24시간 상온에서 경화하였다. 에폭시가 경화된 시험체를 데시케이터에 넣고 133Pa 이하의 압력으로 3시간 동안 진공상태를 유지한 뒤 증류수를 데시케이터 안에 시험체가 모두 잠길 정도로 채우고 18±2 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침지 후, 시험체를 염화물 침투 저항성 셀에 넣어 조립한 후 3.0% 염화나트륨과 0.3N 수산화나트륨을 조립된 셀안에 넣어준다. 정압 전원 공급 장치에 셀을 연결하고 60v를 6시간동안 공급하고 초기부터 30분 단위로 전류값을 기록하여 (1)식을 통해 통과전하량을 도출하였다.

(1)
$Q=900(I_{0}+2I_{30}+2I_{60}+ · · · ·+2I_{300}+2I_{330}+I_{360})$

식(1)에서 $Q$는 통과 전하량(C)이며, $I_{0}$는 전압을 가한 직후의 전류(A)이다. $I_{t}$는 전압을 가한 후 t분 경과 후의 전류(A)를 나타낸다. 염화물 침투 저항성 실험은 KS F 2711을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Fig. 1. Experimental procedure of RCPT

../../Resources/ksm/jksmi.2020.24.6.50/fig1.png

4. 실험결과 및 분석

4.1 발수제 혼입량에 따른 플로우와 공기량 변화

Table 8은 모르타르의 플로우와 공기량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를 제외한 모든 시험체가 본 연구에서 목표성능범위로 설정했던 플로우 200±15mm와 공기량 7±1%를 충족하였다.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의 경우 혼입 시 많은 공기를 내부로 연행시켜 작업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Felekoglu, 2012)(20). 그러나,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는 금속염의 혼입량 증가 시 공기량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는 분말형 금속염계 스테아레이트 첨가 시 모르타르 내부의 공극을 충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Lanzon et al., 2017)(1).

Table 8. Result of mortar flow & air content

Name

Target

flow(mm)

Flow

(mm)

Target

air content(%)

Air content(%)

OPC

200±15

201

7±1

7.0

Powder

188

6.5

Liquid

217.5

13.8

P3L1

195

7.5

P4L1

195

7.25

P5L1

195

6.8

P6L1

194

6.5

4.2 발수제 혼입량과 압축강도와의 관계

Fig. 2는 무혼입 모르타르, 기존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 및 유무기 복합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의 압축강도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모든 시험체가 시간 경과에 따라 압축강도가 증진되었고, 무혼입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재령 초반인 3일과 7일 각각 30, 36MPa로 높은 압축강도를 발현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재령 14일 이후 강도 증진이 크게 증가하였다.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의 경우 재령 14일까지는

Fig. 2. Compressive Strength o123f mortar mixed with water repellent by age

../../Resources/ksm/jksmi.2020.24.6.50/fig2.png

낮은 압축강도를 보였지만, 재령 28일 경과 후 39.5MPa로 무혼입 모르타르 대비 97.5%의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는 재령 28일 압축강도가 24MPa로 무혼입 모르타르 대비 42%의 압축강도 저하를 확인하였다. 이는 Table 9에 나타난 공기량의 증가와 골재와 시멘트의 접합면(ITZ : The Interfacial Transition Zone)에 소수성 물질들이 침투하여 수화반응을 지연 및 방해하여 압축강도가 저하된다고 판단된다.

유무기 복합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는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와 비교하였을 경우, 유무기 복합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가 재령일에 상관없이 높은 압축강도를 보였다. 재령 28일에 경우 약 38MPa로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 대비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냈다. P5L1는 38.5MPa로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대비 약 2.5%의 압축강도 저하를 보였으며, P6L1 시험체의 경우, 39.5MPa로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와 동일한 압축강도를 확인하였다. 이는 내부에 혼입

Fig. 3. SEM analysis result of OPC & Liquid surface

../../Resources/ksm/jksmi.2020.24.6.50/fig3.png

Fig. 4. SEM & EDS analysis result of Liquid ITZ

../../Resources/ksm/jksmi.2020.24.6.50/fig4.png

되었던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의 양이 감소하고, 금속염계 스테아레이트의 양이 증가하여, 공기량의 감소와 모르타르 내부에 스테아레이트가 filler로써 충전되는 것으로 판단되며(Quraishi et al., 2007), P6L1의 경우, 혼입 된 실리콘계 수성 발수제가 극소량이기 때문에 압축강도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Fig. 3은 무혼입 모르타르(OPC)와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내며, Fig. 4는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의 SEM&EDS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OPC에 비해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의 표면에 미세균열을 확인하였으며, 압축강도의 저하 원인으로 판단하였던 잔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의 접합면(ITZ) 분석결과, ITZ(The Interfacial Transition Zone)부분에 OPC대비 Si가 약 6배 정도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 두 가지 원인에 의해 압축강도가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4.3 발수제 혼입에 따른 단위면적당 물 흡수량 변화

Table 9는 무혼입 모르타르 시험체, 기존 발수제 혼입 시험체 및 유무기 복합 발수제 혼입 시험체의 시간경과에 따른 물 흡수계수를 나타내며, Fig. 5는 무혼입 모르타르 시험체, 기존 발수제 혼입 시험체 및 유무기 복합 발수제 혼입 시험체의 시간 경과에 따른 단위면적당 물 흡수량을 나타낸다.

무혼입 모르타르를 제외한 모든 시험체의 발수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혼입 모르타르의 경우 시간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면적당 물 흡수량이 증가하였으며, 6시간 경과 후 면적당 물 흡수량은 1.394kg/m2를 나타내었다.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를 혼입한 경우 무혼입 모르타르보다 92% 적은 0.12kg/m2이며,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의 경우, 물을 흡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무기 복합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의 경우 P6L1 > P5L1 > P4L1 > P3L1의 순서로 면적당 물 흡수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수력이 뛰어난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의 양이 혼합비율에 따라 적어져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유무기 복합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 중 가장 발수성능이 낮은 P6L1은 무혼입 모르타르보다 95% 적은 0.072kg/m2를 나타내었으며,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보다 40%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유무기 복합 발수제 모두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보다 높은 발수성능을 나타냈다.

물 흡수계수 역시 무혼입 모르타르를 제외한 모든 시험체가 시간 경과에 상관없이 0에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의 경우 약 0.06으로 일정한 물

Fig. 5. Result of Water absorption per area

../../Resources/ksm/jksmi.2020.24.6.50/fig5.png

Table 9. Result of water absorption coefficient

Name

10m

30m

1h

6h

OPC

1.54

1.04

0.83

0.57

Powder

0.06

0.06

0.06

0.05

Liquid

0.00

0.00

0.00

0.00

P3L1

0.00

0.00

0.00

0.00

P4L1

0.00

0.00

0.00

0.00

P5L1

0.00

0.00

0.00

0.00

P6L1

0.03

0.03

0.04

0.03

흡수계수를 보였고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의 경우 물 흡수계수가 0으로 나타났다.

유무기 복합 발수제의 물 흡수계수 역시 면적당 물 흡수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고 P6L1의 경우, 다른 유무기 복합 발수제와 다르게 물 흡수계수가 약 0.03으로 약간의 흡수성능을 나타냈다. 따라서, P5L1의 비율이 유무기 복합 발수제의 최소한계로 판단된다.

Fig. 6은 무혼입 모르타르인 OPC와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 표면을 500배 확대한 SEM 이미지를 나타내며, Fig. 7은 무혼입 모르타르인 OPC와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 표면을 10,000배로 확대한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Fig. 6 이미지를 보면, 무혼입 모르타르 표면과 다르게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의 표면 전반에 걸쳐 왁스성 물질이 코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10,000배 확대해본 결과, 시멘트 수화생성물 표면부에 왁스성 물질이 코팅된 것을 확인하였다. 시멘트 수화물 표면에 형성 된 코팅층에 의해 내외부에서 발수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발수력의 크기는 발수성이 강한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 시험체의 혼합 비율에 의해 조정되며,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 혼합 비율이 증가할수록 발수력이 감소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Fig. 6. SEM analysis result of OPC & Powder 500x

../../Resources/ksm/jksmi.2020.24.6.50/fig6.png

Fig. 7. SEM analysis result of OPC & Powder 10 kx

../../Resources/ksm/jksmi.2020.24.6.50/fig7.png

4.4 염화물 침투 저항성 실험 결과

Table 10은 본 실험에서 사용된 시험체의 염화물 침투 저항성 실험이 종료된 후, 질산은 용액을 분사해 나타난 염화물 침투 깊이의 평균을 나타낸다. Fig. 8은 발수제 혼입량에 따른 통과 전하량을 나타내며, Fig. 9은 침투 깊이 측정에 사용된 시험체의 절단면을 나타내었다.

무혼입 모르타르 대비 모든 시험체의 통과 전하량이 발수제 혼입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 혼입 시험체와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 혼입 시험체는 무혼입대비 48%, 56% 낮아진 약 7007과 5864 coulomb으로 나타났다.

유무기 복합 발수제 혼입 시험체들의 경우, 평균 약 7300 coulomb으로 무혼입 모르타르 대비 약 45% 낮게 나타났다.

특히, P3L1의 경우,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 혼입 시험체보다 3% 낮은 약 6807 coulomb을 나타났다 (Lanzon et al., 2017; Kong et al., 2015)(10-11). 그러나 유무기 복합 발수제 혼입 시험체의 경우,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 혼입 시험체와 동일한 물 흡수계수를 나타내어 낮은 통과 전하량을 예상했지만 P4L1, P5L1 시험체의 경우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 혼입 시험체 대비 20%, 30% 높은 약 7020, 7699 coulomb으로, 예상보다 높은 통과 전하량을 확인하였다.

Fig. 8. The charge passed from RCPT

../../Resources/ksm/jksmi.2020.24.6.50/fig8.png

염화물 침투 깊이도 발수제를 혼입한 시험체들이 전반적으로 낮은 염화물 침투 깊이를 나타내었다.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 혼입 시험체의 경우 21.77mm로 가장 낮은 침투깊이를 나타내었고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 혼입 시험체의 경우는 그 보다 약 5mm높은 26.47을 나타냈다.

유무기 복합 발수제 혼입 시험체의 경우, P4L1과 P5L1이

Fig. 9. Cutting surface of the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0.24.6.50/fig9.png

Table 10. Penetration depth from RCPT

Name

Penetration depth(mm)

OPC

49.35

Powder

26.47

Liquid

21.77

P3L1

25.61

P4L1

26.42

P5L1

27.25

P6L1

28.72

26.42, 27.25mm로 비교적 높은 침투 깊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발수성 물질에 의한 시험체 내부의 미세공극과 내부의 화학반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 결 론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를 시멘트계 재료에 혼입한 경우의 공기량 증가 및 압축강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무기 복합 발수제(Powder 발수제와 Liquid 발수제를 혼합)가 혼입된 모르타르를 대상으로 물리적 성능 및 발수성능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를 혼입한 경우의 재령 28일 모르타르 압축강도는 OPC의 42%로 강도가 크게 저하하며, 이는 공기량 증가와 함께 잔골재의 천이대(ITZ)에서 실란&실록산 등의 소수성물질이 시멘트수화반응을 지연시킨 영향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 및 P5L1, P6L1 유무기 복합 발수제의 28일 압축강도는 OPC와 비교하여 약 97%로서 압축강도 저하는 거의 없었다.

2)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의 우수한 발수성능 때문에,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를 혼입한 유무기 복합 발수제 시험체는 물흡수계수와 물흡수면적이 거의 0에 가까우며, 본 실험의 범위에서는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와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의 비율 5:1 이하에서는 모르타르의 발수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3)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는 내부로 혼입 시 만은 연행공기를 동반하여 공기량과 플로우가 증가하였으나,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는 스테아레이트가 미세공극을 충진하여 공기량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무기 복합발수제(PL)는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와 비교하여 플로우를 약 10%, 공기량을 약 50%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4) 유무기 복합 발수제 혼입 시험체들의 염화물 침투저항성을 나타내는 통과 전하량은 평균 7300 coulomb으로 OPC 13,432 couloumb에 비해 약 45%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의 발수성능과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의 충진효과로 판단된다.

5) 이상의 실험을 종합하면, 무기물 분말형 금속염계 발수제와 유기물 액체형 실리콘계 실란&실록산 수성 발수제를 5:1의 비율로 혼입한 P5L1 유무기 복합 발수제가 압축강도 저하 방지 및 발수 성능 확보를 위하여 가장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0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입니다(No.2015R1 A5A1037548).

References

1 
Shim, H. B., Lee, M. S. (2004), An Experimental Study on Water Resistance of Penetrating Water Repellency of Emulsified Silicon Type Exposed In The Outdoor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6(4), 477-484 (in Korean.DOI
2 
Song, H. W., Pack, S. W., Ann, K. Y. (2007), Time dependent chloride transport evaluation of concrete structures exposed to marine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9(5), 585-593.DOI
3 
Shim, S. M. (2002), The study on effect silane solution as protection agent of absorption for the durability in concrete surface lay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66pGoogle Search
4 
Jang, S. H., Woo, J. T., Nam, Y. H., Kim, S. S. (2003), Evaluation on Performance of Penetrative Water-repellent for Durability Progress of Concrete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7(1), 289-296.Google Search
5 
Zhu, H., Li, Q., Ma, R., Yang, L., Hu, Y., Zhang, J. (2020), Water-repellent additive that increases concrete cracking resistance in dry curing environment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49(118704)DOI
6 
Chari, M. N., Naseroleslami, R., Shekarchi, M. (2019), The impact of calcium stearate on characteristics of concrete, As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0(7), 1007-1020.DOI
7 
Zhu, Y. G., Kou, S. C., Poon, C. S., Dai, J. G., Li, Q. Y. (2013), Influence of silane-based water repellent on the durability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35(1), 32-38.DOI
8 
Kim, D. H., Lee, H. N., Hong, S. H., Chun S. M., Jeong. Y. (2018), Effect on properties of mortar according to type and amount of water repellent, Proceedings of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30, 475-476.Google Search
9 
Maryoto, A. (2017), Resistance of concrete with calcium stearate due to chloride attack tested by accelerated corrosion, Procedia Engineering, 171, 511-516.DOI
10 
Kong, X. M., Liu, H., Lu, Z. B., Wang, D. M. (2015), The influence of silanes on hydration and strength development of cementitious system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67, 168-178.DOI
11 
Lanzón, M., Martínez, E., Mestre, M., Madrid, J. A. (2017), Use of zinc stearate to produce highly-hydrophobic adobe materials with extended durability to water and acid-rai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39, 114-122.DOI
12 
Maryoto, A., Gan, B. S., Hermanto, N. I. S., Setijadi, R. (2018),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Resistivity toward Corrosion Attacks by Chloride Ion of Concrete Containing Type I Cement and Calcium Stearate, International Journal of CorrosionDOI
13 
Atla, S. B., Huang, Y. H., Yang, J., Chen, H. J., Kuo, Y. H., Hsu, C. M., Lee, W. C., Chen, C. C., Hsu D. W. Chen, C. Y. (2017), Hydrophobic calcium carbonate for cement surface, Crystals, 7(12), 371DOI
14 
Maranhao, F. L., John, V. M., Loh, K., Pileggi, R. G., De Clercq, H., Charola, A. E. (), The influence of silicone based water repellents as admixtures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cement slurry, In Hydrophobe V,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ater Repellent Treatment of Building Materials, Aedificatio(Brussels), 255-258.Google Search
15 
Quraishi, M. A., Kumar, V., Abhilash, P. P., Singh, B. N. (2011), Calcium stearate: A green corrosion inhibitor for steel in concrete environment, J. Mater. Environ. Sci, 2(4), 365-372.Google Search
16 
Naseroleslami, R., Chari, M. N. (2019), The effects of calcium stearate on mechanical and durability aspects of self-consolidating concretes incorporating silica fume/natural zeoli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25, 384-400.DOI
17 
Zhao, T., Wittmann, F. H., Jiang, R., Li, W. (2011), Application of silane-based compounds for the production of integral water repellent concrete, In HVI,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r treatment of building materials(), 137-144.Google Search
18 
Li, W., Wittmann, F. H., Jiang, R., Zhao, T., Wolfseher, R. (2011), Metal soaps for the production of integral water repellent concrete, In Proceedings of Hydrophobe VI,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ater repellent treatment of building materials(aedificatio publisher), 145-154.Google Search
19 
, 浅本晋吾., , 古田悠佳., , 欒堯., , & 米田大樹. (2018), 撥水材を混入したセメント系材料の内部撥水性と材料特性の検討, コンクリート工学論文集, 29, 11-19.DOI
20 
Felekoğlu, B. (2012), A method for improving the early strength of pumice concrete blocks by using alkyl alkoxy silane (AA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8(1), 305-310.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