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건설재료센터 연구원
  2. 정회원,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건설재료센터 책임연구원, 교신저자
  3. 정회원,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건설재료센터 선임연구원
  4. 정회원,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건설재료센터 센터장



시멘트 원료, 화학성분 분석, 매립회, 염화물, 미연탄소
cement raw material,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pond ash, chloride, unburned-carbon

1. 서 론

화력 발전소에서 석탄을 연소시키고 남은 석탄회는 크게 비회(Fly ash)와 저회(Bottom ash)로 구분되며, 국내의 경우 2019년 기준 약 940만 ton/년이 배출되고 있다. 전체 석탄회 발생량 중 약 70%는 재활용되고 있으나,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나머지는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Cho et al., 2017; Hyun et al., 2010)(1,2). 일반적으로 비회는 콘크리트의 경제성 및 내구성 확보를 목적으로 혼화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Jung et al., 2013)(13). 그러나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되는 석탄회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2016년 기준 화력 발전소의 총 매립용량은 10,086만 ㎥, 잔여용량은 3,535만 ㎥으로 조사되고 있다. 일부 발전소의 경우 80 ~ 90%의 매립비율을 나타내고 있어 매립장이 부족한 상태이며, 해안에 위치한 매립장의 지리적 특성상 해양 생태계의 환경오염 발생이 우려되어 대량의 재활용이 가능한 용도 개발이 필요하다(Maeng, 2015; Nam, 2016)(4,6).

한편, 시멘트는 산화칼슘(CaO), 실리카(SiO$_2$), 알루미나(Al$_2$O$_3$) 및 산화철(Fe$_2$O$_3$) 원료를 적정 비율로 배합하여 1,450 ℃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한 후 석고 등의 첨가제와 함께 분쇄하여 제조된다(Cho et al., 2019)(6). 시멘트 제조를 위한 원료는 석회석, 규석, 철광석 및 점토 등이 사용되며, 이 중 일부는 각종 산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산업부산물을 사용하여 대체된다.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회는 시멘트의 주요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실리카와 알루미나 함량이 높아 천연 점토질, 규산질 원료의 대체재로 사용이 가능하다(Lee and Jeon, 2006)(7). 그동안 수급의 용이성, 일정한 품질, 경제성이 우수한 일본산 석탄회를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정부차원에서 일본산 석탄회 수입 규제를 추진함에 따라 국내 대체가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일본산 석탄회를 대체하고, 국내 매립 석탄회의 대량 재활용을 위해서는 국내 매립 석탄회 원료사용 및 시멘트 품질 관리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초적 단계로 국내 매립 석탄회의 화학성분 분석과 일본 석탄회와 비교 분석을 통해 시멘트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2. 이론적 고찰

2.1 시멘트 원료

Fig. 1과 같이 시멘트 제조를 위해서 CaO, SiO$_2$, Al$_2$O$_3$ 및 Fe$_2$O$_3$의 4대 성분에 해당되는 각 원료를 혼합 분쇄하여 소성 공정에 투입한다. CaO의 원료는 석회석으로 전체 원료의 약 90%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며, SiO$_2$ 원료는 규석으로 약 4%, Al$_2$O$_3$ 원료는 점토류가 약 3%, Fe$_2$O$_3$ 원료는 제철소 부산물인 슬래그류가 약 3% 사용되고 있다. 최근 SiO$_2$, Al$_2$O$_3$의 원료로 발전소의 부산물인 석탄회가 대체 사용되고 있으며, 원료 중 SO$_3$ 공급원으로는 석고류가 소량 투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Fig. 1 Raw materials for cement manufacturing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1.png

2.2 화력 발전소 매립 석탄회

시멘트 제조를 위한 점토의 순도는 SiO$_2$ 60 ~ 70%인 것이 바람직하며, 부족한 경우 규석을 첨가하여 보충한다. 기존에 사용되는 점토는 석영, 장석 등 천연재료로서 광산에서 채취되고 있었으나, 산림 황폐화 등의 이유로 현재 광산의 개발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화력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석탄회가 점토의 대체재로 사용되고 있다(Arai, 1990).

석탄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국내 13개소(59기) 화력 발전소는 각각 2 ~ 3개의 매립장을 운영하며, 화력 발전소가 해안에 위치함에 따라 매립장도 발전소 인근의 해안에 설치되고 있다. 매립장에는 입형이 불규칙하고, 다공질 특성을 지닌 저회가 주로 매립되고 있으며, 건설경기나 발전소 상황에 따라 일부 비회도 매립되고 있다. 매립 석탄회는 일반적으로 바닷물과 혼합하여 슬러리 상태로 만든 후 펌프를 통해 매립장까지 이송되며, 해안에 매립되는 특성으로 인해 다량의 염화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염화물량이 높은 매립 석탄회를 시멘트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휘발 및 코팅 현상 등을 발생시켜 공정 불안정 요소로 작용하며(Fig. 2), 시멘트의 염화물량 증가로 인해 품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Gwon et al., 2011; Chae et al., 2014)(9,10). 따라서 매립 석탄회를 시멘트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염화물량 증가가 시멘트 제조공정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공정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Fig. 2 Coating inside the kiln due to chloride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2.png

2.3 석탄회 발생 및 처리현황

Fig. 3 Annual amounts of domestic coal ash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3.png

Fig. 3는 국내 석탄회 발생 현황을 나타낸다. 석탄회 발생 국내 화력 발전소에서 2015년까지 약 800만 ton/년의 석탄회가 발생하고 있으며, 2016년 기준 약 900만 ton/년 이상 발생하고 있다. 2019년 기준 발생한 석탄회는 약 940만 ton/년이며, 2009년과 비교하면 10년간 약 100만 ton이 증가하였다. 최근 석탄회 발생량은 매년 900만 ton/년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9년까지 화력 발전소 14기의 추가 증설에 따라 이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Fig. 4) (Maeng, 2015)(4).

국내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회의 재활용 수준은 약 70%이고, 대부분 콘크리트 및 시멘트 분야에 재활용되고, 일부 성토용, 배수층, 콘크리트 2차 제품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Fig. 5). 나머지 약 25%는 매립 처리되고 있으며, 증가하는 석탄회 발생량과 함께 매립장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매립장의 용량한계와 석탄회 재활용률이 정체 상태이므로 매립 석탄회의 다량 재활용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Maeng, 2015; Suh and Maeng, 2015)(4,11).

Fig. 4 Deomstic coal-fired power plants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4.png

Fig. 5 Recycling rate or domestic coal ash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5.png

2.4 국내 매립 석탄회의 활용 방안

시멘트 광물은 C$_3$S, C$_2$S, C$_3$A, C$_4$AF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토질 원료는 광물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C$_3$A와 C$_4$AF는 간극상이라 부르며, C$_3$S와 C$_2$S의 결정 사이를 채우는 역할을 한다. 시멘트 제조 시 C$_3$S는 1,300 ~ 1,400 ℃에서 C$_2$S와 CaO의 고상반응(solid-phase reaction)에 의해 생성되며, 그 반응속도는 대단히 느리다. CaO-SiO$_2$계에 Al$_2$O$_3$나 Fe$_2$O$_3$이 첨가되면 액상의 생성온도는 1,260 ℃ 정도까지 떨어지며, C$_3$S의 생성을 촉진한다. 결과적으로 점토질 원료는 클링커의 주요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소성 반응을 용이하게 돕는 역할을 가지므로 매우 중요한 원료이다(Arai, 1990)(8).

그러나 클링커 제조 시 원료에 포함된 염화물은 휘발되어 킬른(kiln)과 예열기 내에서 순환 및 코팅되어 설비의 열효율 및 안정성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장기 강도 저하 및 철근 부식과 같은 콘크리트 내구성 저하에 영향을 미치므로 시멘트 소성 공정에서 염화물 제어는 필수적인 관리 항목이다(Lee et al., 1990)(12).

국내 매립 석탄회는 매립 지역 특성 상 다량의 염화물을 포함하므로, 국내 매립 석탄회를 시멘트 원료(점토질 대체)로 활용하기 위해서 염화물 제어를 통한 시멘트 제조 공정의 개선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매립 석탄회에 함유된 염화물 등 화학성분의 함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기존 사용되는 일본산 석탄회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동일한 시멘트 구성 광물을 얻기 위한 원료의 배합비 조정(규산질, 철질 등) 방안을 제시하였다.

3. 실험계획 및 방법

3.1 실험계획

본 연구에서는 국내 7개 화력 발전소 매립장을 대상으로 석탄회를 채취하였으며, 비교군으로서 일본산 석탄회를 사용하여 총 15개의 시료를 평가하였다.

특히 매립 석탄회를 시멘트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염화물량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빗물 등의 영향으로 매립 높이에 따른 염화물량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매립지 표면에서 10 cm 이내의 표층부와 1 m 이상의 심층부로 구분하여 채취하였다.

여기서, 일본산 석탄회는 JPN, 국내 매립회는 채취 장소에 따라 A ~ G, 채취 깊이에 따라 표층부는 U, 심층부는 L로 명시하였다(Table 1).

Table 1 Sampling details of coal ash

Sampling index

Details

Sampling location

Japan(JPN), Dangjin, Donghae, Samcheonpo, Yeongheung, Hadong, Boryeong, Taean (A ~ G)

Depth of sampling from landfill area

Upper layer(U), Lower layer(L)

3.2 분석재료

Fig. 6는 일본산 석탄회 및 매립 석탄회를 나타냈다. 육안 관찰 시 일본산 석탄회 및 매립 석탄회는 화력 발전소마다 다양한 색상을 보이며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이는 화력 발전소 내 사용하는 석탄의 종류, 발전기의 가동상태 등이 다르고, 같은 화력 발전소라고 해도 사용하는 석탄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이다(Kim et al., 2019)(13).

Fig. 6 Coal ash samples collected from coal-fired power plants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6.png

3.3 실험방법

매립 석탄회의 입형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Fig. 7 Lab Color Space in CIE standard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7.png

또한 색상을 보다 시각적,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분광측색계를 사용하여 색차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명도를 표시하는 L 값은 검정색을 0, 흰색을 100으로 표현하며, 색도환은 a와 b를 색좌표 지수로 하여 a 값은 적녹색, b 값은 황청색으로 표현된다(Fig. 7).

분말도는 「KS L 5106 공기 투과 장치에 의한 포틀랜드 시멘트의 분말도 시험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화학성분은 XRF(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를 활용하여 「KS L 5222 시멘트의 형광 X선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주요 분석항목은 CaO, SiO$_2$, Al$_2$O$_3$, Fe$_2$O$_3$, 강열감량(LOI, Loss of Ignition) 및 염화물(Cl) 등을 측정하였다.

4. 실험결과 및 분석

4.1 석탄회의 입형, 색상 및 분말도

Fig. 8은 일본산 석탄회 및 매립 석탄회를 500배 확대한 SEM 이미지이다. 일본산 석탄회는 둥근 형태를 가진 비회가 주로 관찰되는 반면, 국내 매립 석탄회는 불규칙한 형태의 저회와 둥근 형태의 비회가 함께 관찰되었다. 특히, B 화력 발전소의 매립 석탄회는 다른 매립 석탄회와는 달리 비회는 관찰되지 않고, 부정형의 입자만 관찰되었다.

Table 2는 석탄회의 색차를 L, a, b 값으로 나타냈다. 일본산 석탄회와 D, G 화력 발전소의 매립 석탄회는 L 값이 40 이상으로 회백색을 띄었으며, 그 외에는 30 ~ 37의 범위를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을 나타냈다. E 화력 발전소의 심층부 매립 석탄회는 가장 낮은 L값(30)을 나타냈으며, 실제 육안으로 관찰 시 검은색 입자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실제 강열감량 측정결과 L값이 낮을수록, 즉 색상이 검은색에 가까울수록 강열감량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녹색을 표현하는 a 값은 –0.1 ~ 1.0의 범위이고, 황청색을 표현하는 b 값은 2.6 ~ 10.6의 범위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산 석탄회의 분말도는 3,098 cm$^{2}$/g이고, 매립 석탄회의 분말도는 1,875 ~ 3,105 cm$^{2}$/g 범위를 나타냈다. 채취 장소 및 깊이에 따른 경향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매립 석탄회의 평균 분말도는 2,528 cm$^{2}$/g으로 일본산 석탄회와 비교하여 약 500 cm$^{2}$/g 낮은 값을 나타냈다. 이는 일본산 석탄회의 경우 대부분 입자 크기가 작은 비회로 이루어진 반면, 매립 석탄회는 상대적으로 입자 크기가 큰 저회가 다량 포함된 이유로 판단된다.

4.2 석탄회의 화학성분 분석

Table 3는 일본산 석탄회와 매립 석탄회의 화학성분을 나타냈다. 석탄회의 주요 화학성분은 SiO$_2$, Al$_2$O$_3$, Fe$_2$O$_3$, CaO이며, 각각의 성분비는 33.9 ~ 56.2%, 14.6 ~ 26.2%, 4.5 ~ 13.9%, 3.1 ~ 11.2%로 전체 성분의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Fig. 9은 일본산 석탄회 및 매립 석탄회의 SiO$_2$, Al$_2$O$_3$, Fe$_2$O$_3$, CaO 함량을 나타냈다.

SiO$_2$ 함량은 일본산 석탄회가 56.2%로 가장 높고, 매립 석탄회는 33.9 ~ 53.5%의 범위로 다소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Al$_2$O$_3$은 일본산 석탄회가 23.6%를 나타냈고, 매립 석탄회는 18.6 ~ 26.2%의 범위를 나타냈다. 매립 석탄회는 일본산 석탄회와 비교하여 SiO$_2$ 함량은 적지만 Al$_2$O$_3$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시멘트 점토질 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Fe$_2$O$_3$ 함량은 일본산 석탄회가 5.0%인 반면 매립 석탄회는 4.5 ~ 13.9%의 범위를 나타내어 대부분의 매립 석탄회는 일본산 석탄회에 비해 비교적 높은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Fig. 8 SEM images of coal ash samples (×500)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8.png

시멘트 내에는 약 3 ~ 4%의 Fe$_2$O$_3$이 함유되어 있는데 석회질 원료와 점토질 원료만으로는 Fe$_2$O$_3$ 성분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이를 보충하기 위해 철질 원료를 투입한다. 매립 석탄회는 Fe$_2$O$_3$ 함량이 높아 철질 원료 사용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aO 함량은 일본산 석탄회가 4.3%를 나타냈고, 매립 석탄회는 3.1 ~ 11.2%의 범위를 나타냈다.

Table 2 Color differences of coal ash samples

Sample

Color differences

L

a

b

JPN

41.8

‒ 0.2

5.6

A-U

37.4

0.0

4.2

A-L

37.0

0.2

4.1

B-U

37.2

1.0

3.8

B-L

36.8

1.2

4.2

C-U

35.3

0.0

3.2

C-L

35.2

0.2

4.1

D-U

40.9

0.5

8.8

D-L

41.6

0.7

10.6

E-U

35.3

0.0

3.7

E-L

30.0

0.1

2.8

F-U

37.6

0.0

3.4

F-L

36.7

‒ 0.1

2.6

G-U

40.3

0.0

6.1

G-L

40.5

0.0

6.3

한편, B 화력 발전소의 매립 석탄회의 표층 및 심층 CaO 함량은 8.7%, 11.2%, SO$_3$ 함량은 3.4%, 4.3%, 강열감량은 13.1%, 19.0%로 다른 매립 석탄회에 비해 다소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SEM 이미지를 3,000배 확대하여 일반 매립 석탄회와 B 화력 발전소의 매립 석탄회를 비교한 결과(Fig. 10), 비회는 전형적인 구형, 저회는 불규칙한 형태로 관찰되었으나(Fig. 10(a), (b)), B 화력 발전소의 매립 석탄회는 입자 표면에 에트린자이트(Ettringite)로 판단되는 침상형 입자가 관찰되었다(Fig. 10(c), (d)).

기존 연구에 따르면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석탄회는 강열감량이 높고 물과 반응하여 C-S-H(Calcium Silicate Hydrate)와 에트린자이트를 형성시켜 자기 수경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Sheng et al., 2012; Li et al., 2014; Kang et al., 2018). 따라서 B 화력 발전소의 매립 석탄회는 일반적인 미분탄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석탄회가 아니라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석탄회로 판단된다.

클링커 제조 시 저융점 화합물의 코팅은 킬른 및 예열기의 순환 성분인 Cl 뿐만 아니라 S도 관여한다고 보고되었다(Lee et al., 1990). 따라서, SO$_3$ 함량이 높은 순환 유동층 보일러 석탄회는 시멘트 원료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coal ash samples (%)

Sample

SiO$_2$

Al$_2$O$_3$

Fe$_2$O$_3$

CaO

MgO

SO$_3$

TiO$_2$

Na$_2$O

K$_2$O

P$_2$O$_5$

MnO

SrO

BaO

Cl

LOI

Total

JPN

56.2

23.6

5.0

4.3

1.2

0.5

1.3

0.6

1.6

0.5

0.1

0.1

0.1

-

5.0

100

A-U

45.4

21.8

7.5

4.4

2.4

0.5

1.0

0.9

1.3

1.8

0.1

0.1

0.2

0.07

12.4

100

A-L

48.5

20.4

7.4

3.1

1.9

0.5

1.2

0.8

1.2

1.1

0.1

0.1

0.1

0.22

13.4

100

B-U

40.6

23.7

4.8

8.7

1.2

3.4

1.5

0.2

2.1

0.3

0.1

0.1

0.1

0.03

13.1

100

B-L

33.9

22.0

4.5

11.2

1.2

4.3

1.6

0.1

1.6

0.4

0.1

0.1

0.1

0.05

19.0

100

C-U

49.6

18.6

7.2

3.8

2.5

0.5

1.0

0.7

1.4

0.9

0.1

0.1

0.2

0.02

13.4

100

C-L

49.8

21.5

8.1

5.6

2.5

0.3

1.1

1.9

1.4

1.8

0.1

0.2

0.2

0.67

5.1

100

D-U

47.9

26.2

13.9

3.9

1.2

0.5

1.4

1.0

1.3

0.4

0.2

0.1

0.1

0.03

2.0

100

D-L

51.7

24.9

9.2

4.3

1.6

0.6

1.4

1.3

1.3

0.6

0.1

0.2

0.2

0.03

2.7

100

E-U

46.6

19.5

8.1

3.6

1.1

0.7

1.1

0.7

1.1

0.5

0.1

0.1

0.2

0.01

16.7

100

E-L

40.7

14.6

12.6

4.7

1.4

1.9

0.9

0.7

0.8

0.4

0.2

0.1

0.1

0.10

21.0

100

F-U

49.9

20.2

7.8

4.3

3.8

0.6

1.1

1.4

1.2

0.7

0.1

0.1

0.2

0.56

8.0

100

F-L

48.8

18.9

6.5

3.2

5.0

0.8

1.1

1.5

1.3

0.6

0.1

0.1

0.1

0.90

11.0

100

G-U

53.5

22.4

7.3

3.4

1.7

0.4

1.2

0.6

1.7

0.8

0.1

0.1

0.1

0.03

6.6

100

G-L

49.7

23.2

6.1

3.8

2.1

0.7

1.3

1.4

1.6

0.8

0.1

0.1

0.1

0.80

8.1

100

4.3 염화물량 비교 분석

Fig. 9 Representative oxide composition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9.png

염화물은 시멘트 제조 시 코팅으로 인한 킬른의 열효율 및 안정성을 저하시키고, 시멘트 내에 염화물이 일정 수준 이상 포함되면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클링커를 제조할 때 염화물의 농도는 필수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Fig. 10 SEM images of selected coal ash samples (×3,000)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10.png

Fig. 11 Chloride contents of coal ash samples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11.png

Fig. 11은 일본산 석탄회 및 매립 석탄회의 염화물량을 나타냈다. 일본산 석탄회는 염화물량이 검출되지 않은 반면, 매립 석탄회는 0.01 ~ 0.90%의 범위로 검출되었다. 일본산 석탄회는 공정상 염화물량이 검출될 수 없으나, 매립 석탄회는 해수를 이용한 이송방식과 해안에 위치한 매립장의 지리적 특성상 염화물이 검출되었다. 다만, 담수를 이용한 이송 방식을 적용한 B, D, E 화력 발전소에서 채취한 매립 석탄회 경우 0.01 ~ 0.10% 범위로 미량 검출되었다. 따라서 매립장이 해안에 위치하더라도 이송에 사용되는 용수에 따라 염화물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12는 표층부와 심층부의 염화물량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심층부가 표층부에 비해 평균 약 0.3% 높게 검출되었는데, 이는 빗물에 의해 표층부의 염화물이 심층부로 이동하여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매립 석탄회를 시멘트 원료로 활용 시 가능한 표층에 가까운 원료를 채취하는 것이 품질관리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4.4 강열감량 비교 분석

Fig. 12 Correlation of chloride contents between upper layer and lower layer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12.png

Fig. 13 LOI of coal ash samples
../../Resources/ksm/jksmi.2020.24.6.180/fig13.png

강열감량의 경우 일본산 석탄회는 5.0%를 나타냈고, 매립 석탄회는 2.0 ~ 21.0%로 큰 차이를 나타냈다(Fig. 13). 석탄회의 강열감량은 대부분 미연탄소량과 관련이 있는데, 실제 석탄회의 미연탄소량과 강열감량 값은 차이가 있으나 각국 표준에서는 강열감량을 미연탄소량의 척도로 활용하고 있다(Lee, 2017)(17). 그러므로 일본산 석탄회와 비교하여 매립 석탄회는 다량의 미연탄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미연탄소는 비결정 다공질 물질로 흡착특성이 있어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하면 공기연행제를 흡착하여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특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Indrek et al., 2003)(18), 본 연구에서는 혼화재의 목적이 아닌 석탄회를 원료로 사용하기 위함으로 클링커 제조 시 약 1,450 ℃에서 소성공정이 이뤄지기 때문에 미연탄소는 모두 제거되므로 품질상의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사료된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매립 석탄회의 대량 재활용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국내 매립 석탄회의 화학성분 분석을 수행하여 시멘트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SiO$_2$ 및 Al$_2$O$_3$ 함량은 전체적으로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 규산질 원료 및 점토질 물질의 사용량 증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는 반면, Fe$_2$O$_3$ 함량은 전체적으로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 철질 원료의 사용량 감소가 가능하다.

2) 국내 매립 석탄회는 전체적으로 염화물을 포함하고 있으나, 담수로 이송시키는 경우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표층부가 심층부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염화물을 함유한 매립 석탄회를 사용하는 경우 염소 By-pass 설비에 의한 소성공정에서의 염화물 관리가 필요하며, 시멘트 품질 및 소성설비의 유지관리 측면을 고려하면 담수 이송 및 표층부 매립 석탄회 사용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3) 강열감량은 비교적 높게 나타나 다량의 미연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다만, 클링커 제조 시 약 1,450 ℃에서 소성공정이 이뤄지므로 미연탄소는 모두 제거되어 시멘트 특성에 크게 영향이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4) 순환 유동층 보일러 석탄회는 SO3 함량이 높아 코팅 생성에 의한 소성공정의 불안정 및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최종적으로 국내 매립 석탄회는 시멘트 원료 배합비 조정 및 염소 제거공정을 통해 기존 일본산 석탄회 사용을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국내 매립 석탄회를 사용한 클링커 제조 및 광물 분석을 통해 매립 석탄회의 시멘트 원료 사용 시 최적 배합비를 도출하고자 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20년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된 것으로 이에 감사를 드립니다(No.1415168863).

References

1 
Cho, H.. N., Maeng, J. H., Kim, E. Y. (2017), Studies on Expanding Application for the Recycling of Coal Ash in Domestic, 26(6), 563-573.DOI
2 
Hyun, H. G., Kim, H. G., Chun, B. S. (2010), Characteristics of the Freezing and Thawing for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 Using Pond Ash, 11(7), 51-56.Google Search
3 
Jung, S. H., Kim, J. H., Kwon, S. J. (2013), Experimental Study on Evaluation of Material Properties in Cement Mortar with Pond Ash, 17(3), 108-117.DOI
4 
Maeng, J. H. (2015), Plan to revitalize the recycling of coal ash from thermal power plants, 20(4), 1-19.Google Search
5 
Lee, N. H. (2016), Research on install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exceptional landfill facilities, Se Jong, 34-35.Google Search
6 
Cho, Y. K., Kim, C. S., Nam, S. Y., Cho, S. H., Lee, H. W., Ahn, J. W. (2019), Characterization of Foamed Concrete Using Calcium sulfaluminate, 28(1), 10-16.DOI
7 
Lee, J. Y., Jeon, B. Y. (2006), Cement industry and environment - Efforts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rough waste recycling, Ceramist, 9(3), 7-15.Google Search
8 
Arai, Y. (1990), Materials Chemistry of Cemen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Gwang Ju, 23-149.Google Search
9 
Gwon, U. T., Kim, Y. H., Kim, S. R. (2011), Green technology in the cement industry, 14(2), 41-57.Google Search
10 
Chae, D. H., Kim, K. O., Shin, H. Y., Cho, W. J. (2014), Dynamic Characteristics of Liquidity Filling Materials Mixed with Reclaimed Ash, 15(4), 5-11.DOI
11 
Suh, D. H., Maeng, J. H. (2015), A Study on Expanding the Recycling of Coal Ash for Minimizing Environmental Impact Impos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rmal Power Plant Ash Ponds, 24(5), 472-486.DOI
12 
Lee, S. H., Na, J. Y., Kim, C. E. (1990), By-products generated when waste is used in the cement industry and its utilization plan -Focusing on By Pass Dust, 2(2), 22-28.Google Search
13 
Kim, D. S., Han, G. S., Lee, D. K. (2019), Recycling of useful Materials from Fly Ash of Coal-fired Power Plant, 25(3), 179-188.DOI
14 
Sheng, G., Li, Q., Zhai, J. (2012), Investigation on the hydration of CFBC fly ash, 98, 61-66.DOI
15 
Li, X. G., Chen, Q.B., Huang, K.Z., Ma, B. G., Wu, B. (2012), Cementitious properties and hydration mechanism of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CFBC), desulfurization ashes, s(36), 182-187.DOI
16 
Kang, Y. H., Lim., G. H., Kim, S. J., Choi, Y. C. (2018), Feasibility Study on the Use of CFBC Ash as Non-sintered Binder, 22DOI
17 
Lee, S. H. (2017), Revised Provision of KS L 5405 "Fly Ash" for CFBC Fly Ash to Applying Concrete, 12(2), 20-25.Google Search
18 
Indrek, K., Alex, H., Robert, H. H., Eric, M. S. (2003), Adsorption of surfactants on unburned carbon in fly ash and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foam index test, 33(12), 2091-2099.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