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연구교수, 공학박
  2. 정회원,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3. 정회원, ㈜윈하이텍, 기술연구소 상무
  4. 정회원, 광장구조기술사사무소, 대표이사
  5. 정회원,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중공슬래브, 경량화, 사용성, 설계식, 중공재
Void slab, Weight reduction, Serviceability, Design equation, Hollow materials

1. 서 론

사회의 발전과 인구의 도시집중은 건축물의 규모를 점점 대형화하고 있으며, 내부 공간의 효율성을 위하여 장스팬건축물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는 토지비용의 상승과 이에 따른 공사비의 증가로 인한 필연적인 요구사항이다. 한편, 건축물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단순히 사람이 머물기 위한 공간의 창조에서 건설재료에 의해 발생하는 온실가스 및 환경파괴를 저감해야 하는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기존에 불과 30∼40년이었던 건축물의 수명을 100년까지 연장시키는 기술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즉, 사회 발전에 대응할 수 있는 건축물 수명 연장 기술의 개발이 수행되지 않으면 현 시대의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요구가 실현되기 어렵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와 기술적 해결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가변성 확보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즉, 공간의 가변성이 불가능한 기존의 벽식 구조로 건설되는 건축물로는 발전하는 사회현상 및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주거건축에 있어서 평면을 구성하는 기본 모듈은 Fig. 1과 같이 벽체(a)에서 보-기둥으로 구성되는 골조 형식(b)의 주거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형식의 변화는 건축물 내부 평면구성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나 기존 벽식 구조에서는 생략되었던 보가 추가되어 기존 시스템보다 층고가 더 커지게 된다(Jung et al, 2017)(1).

Fig. 1. Structure type of apartment

../../Resources/ksm/jksmi.2021.25.1.7/fig1.png

한편, 최근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으로 인한 상하층의 갈등은 사회적 문제까지 발전하고 있다. 담당부처인 국토교통부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동주택 표준바닥구조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즉, 구조적으로 문제가 없는 150㎜ 내외의 기존 바닥 슬래브를 210㎜이상으로 확장하여 표준바닥구조로 설정하고 표준바닥구조시스템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진동소음에 대한 성능 기준성적서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부분의 건설회사에서는 진동소음에 대한 성능 기준을 만족시키기보다는 표준바닥구조로 인정받는 방법을 택하고 있어 건축물 슬래브 중량이 약 40% 이상 증가되고 있다. 이는 콘크리트 물량 증가로 연결되어 친환경성과 경제성에 상당한 부정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래브 단면상 중앙부의 일정 부분을 콘크리트로 채우지 않는 중공슬래브가 대안이 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중공재의 형상에 따른 슬래브 성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Lee. et al, 2020, 2019, Park. et al, 2019, Cho. et al, 2018, Son. et al, 2018, Jung. et al, 2017, 2017, Choi. et al, 2015)(2-8).

국외에서 개발 및 사용 중인 중공슬래브 시스템은 스위스의 H사에서 개발한 완전구형의 플라스틱 볼을 중공재로 삽입하는 Cobiax Technologies AG공법, 이탈리아의 D사에서 개발한 사다리꼴 및 직육면체 모양의 중공재를 사용하는 U-boot 시스템 등이 있으며(Han et el. 2011), 국내에서 개발된 중공슬래브 시스템으로는 K사의 VOIDDECK SLAB시스템 (VDS : T형 DECK TYPE), H사의 HVS I(캡슐/와이어메쉬형), HVS II(땅콩/프레임형), HVS III(캡슐/모듈프레임형), HVS IV(캡슐/분리프레임형) 등이 있다. 사용되는 중공재의 형태나 배열 방법 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중공슬래브 시스템에 특성화되어 적용시키기 위한 설계 기준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아 기존의 일반 슬래브 기준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구조성능이나 소음 및 진동성능 등에 대해서도 연구에 의한 검증에 의존하고 있다(Kim et al 2009, Aldejohann and Schnellenbach- Held, 2002 2003)(13,11).

이에 이 연구에서는 기존 중공재의 형상을 개선한 거푸집용 중공슬래브(Void Plywood Slab, 이하 VPS)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VPS를 활용하여 휨 및 전단 실험을 수행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2. VPS 시스템의 특징

2.1 VPS 시스템 특징

VPS는 중공재의 형상을 최적화 하고 중공재의 부상 및 작업하중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기존 중공슬래브공법(Void Deck Slab, 이하 VDS)과 동일한 구조적 성능을 유지하면서 슬래브용 거푸집을 데크 플레이트가 아닌 일반 거푸집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Yoon, 2014, 2013)(14-15). VPS는 휨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의 콘크리트 단면을 중공재로 치환함으로서 중공재 부피만큼 콘크리트가 줄어들어 자중 감소 효과에 대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VPS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2.1.1 경량화, 사용성 및 공사비 절감

중공재의 부피만큼 콘크리트가 줄어들어 슬래브 내부의 빈 공간으로 대체하여 구조적 성능은 유지하나 자중은 감쇠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고, 이를 통해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 VDS 공법과 동일한 구조적 성능을 유지하면서, 데크 플레이트를 제외한 일반거푸집(합판 및 알폼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건축공사에 중공슬래브를 적용할 경우 중공재 배치로 인한 콘크리트 물량 저감 및 중공률에 따른 경제적인 구조설계가 가능하다.

2.1.2 시공성 개선, 내화구조 만족 및 부력 및 침하방지

중공재 배치 시 상부의 콘크리트 두께는 87㎜이고, 중공재와 중공재 사이의 간격은 160㎜의 공간을 확보하여 전선관의 배치가 자유롭고 시공성이 용이하다. 중공재 상하부의 콘크리트 피복 두께가 50㎜를 이상으로 내화구조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중공재 상부의 작업하중이 스페이서를 통해 하부 거푸집으로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중공재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2.2 VPS 구성 재료의 주요 기능

VPS는 중공재, 각관, 하부 스페이서, 고정앵커 및 상부앵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구성 재료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Fig. 2 참조).

Fig. 2. Details of VPS

../../Resources/ksm/jksmi.2021.25.1.7/fig2.png

중공재는 총 길이 1100㎜에 폭 440㎜로 중공률이 극대화된 연속 요철 모양으로 설계되었다. 중공재 하부를 각관사이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20×10㎜의 홈이 설치되어 있고, 모서리 부분에 응력집중을 최소화하고 부스러짐 방지를 위해 일정 곡률을 갖도록 하였다. 중공재 하부에 설치하는 각관은 중공재 위치 고정 및 상부앵글과 중공재를 결속하는 재료이다. 또한, 작업하중으로 인한 침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스페이서의 역할은 각관 받침 및 작업하중으로 인한 침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앵커는 각관과 결속된 중공재 부상 및 수평 이동 방지 역할을 하며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슬래브 하부 거푸집 제거 전 고정앵커 끝단을 제거하여 슬래브 바닥면을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상부앵글은 부상방지 역할을 수행하며, 중공재의 하부는 슬래브 하부 종방향 주철근의 배근에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Fig. 3참조).

Fig. 3. Construction of VPS

../../Resources/ksm/jksmi.2021.25.1.7/fig3.png

3. VPS의 휨 및 전단 성능 실험

거푸집용 중공슬래브는 기존 공동주택이 가지고 있는 가변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평면계획이 획일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회가 발전하면서 주거건축의 다양한 평면요구에 대응하기 어려운 벽식 구조의 독특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슬래브 구조이다. 특히 벽식 구조에서 층간소음이라는 한계가 있었던 슬래브 형식에서 중공슬래브는 중앙부에 중공부가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여 비용절감 및 사용성 개선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중공슬래브 장점에서 중공부의 시공성을 개선한 VPS 슬래브 시스템의 구조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휨 및 전단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계획하였다.

3.1 실험체 계획

VPS의 휨 성능에 대한 검토를 평가하기 위하여 Table 1과 같다. 중공재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는 것(FPS)과 직각방향으로 배치하는 것(FNS)을 검토하고,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중공부의 유닛을 연속적으로 연결한 경우와 중공부 유닛 하나를 다수 배치하는 것의 비교를 위한 실험을 계획하였다. 실험은 하나의 변수를 가진 실험체에 대하여 동일한 두 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Fig. 4에 FPS 실험체와 FNS 실험체의 형상을 나타내었다.

VPS의 전단 성능에 대한 검토는 Table 2와 같이 중공재를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에 대하여 계획하였다. 또한,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었을 경우(SNS-01), 중공부의 유닛을 연속적으로 연결한 경우(SNS-01)와 중공부 유닛 하나를 다수 배치(SNS-02)하는 것의 비교를 위한 실험을 계획하였다. 슬래브의 경우, 전단 성능은 크게 고려되지 않으나 중공부에 의한 콘크리트 체적감소가 일반 슬래브보다 높아 전단 성능이 부족할 수 있어 그 성능을 파악하는 실험을 계획하였다. 따라서 신뢰성에 대한 고려 없이, 각 변수별로 실험체는 1개씩 계획하였다. Fig. 5에 SPS-01, SNS-01 및 SNS-02 실험체의 형상을 나타내었다.

Table 1. Flexural specimens properties

Model

Size

(B×L×h, ㎜)

Installation shape of void materials

Main bar

FPS-00

1,200

×6,000

×280

Without hollow materials

HD13@300

(As=635㎟)

FPS-01-1

Longitudinal direction

(with hollow materials)

FPS-01-2

FNS-00

Without hollow materials

FNS-01-1

Transverse direction-01

(with void materials)

FNS-01-2

FNS-02-1

Transverse direction-02

(with hollow materials)

FNS-02-2

../../Resources/ksm/jksmi.2021.25.1.7/table1_1.png

Table 2. Shear specimens properties

Model

Size

(B×L×h, ㎜)

Installation shape of void materials

Main bar

SS-00

1,200

×2,400

×280

Without hollow materials

HD13@300

(As=635㎟)

SPS-01

Longitudinal direction

(with hollow materials)

SNS-01

Transverse direction-01

(with hollow materials)

SNS-02

Transverse direction-02

(with hollow materials)

3.2 실험체 제작

Fig. 6은 VPS의 휨 및 전단 실험체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체 제작은 ① 거푸집 설치, ② 하부철근 배근, ③ 하부레일 설치, ④ 중공재 배치, ⑤ 상부레일 설치, ⑥ 상부철근 배근, ⑦ 콘크리트 타설 순으로 제작되었다. 실험체는 콘크리트 타설 후 3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실험실로 반입하였으며, 28일 이후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확인 후 휨 및 전단 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Fig. 4. Model details of flexural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1.25.1.7/fig4.png

Fig. 5. Model details of shear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1.25.1.7/fig5.png

Fig. 6. Manufacturing of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1.25.1.7/fig6.png

3.3 재료시험

철근은 KS B 0801(금속재료 인장시험편 규정) 2호의 규정에 따라 시험편을 제작하여, KS B 0802의 금속재료 인장시험방법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다. Table 3에 철근의 인장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콘크리트의 설계 강도는 24 MPa로 KS F 2405(압축강도 실험방법)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결과 6개 공시체 평균값은 25.4 MPa로 나타났다. Table 4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3. Material properties of steel

Main

Bar

Yield strength

(MPa)

Yield strain

(×10-5)

Tensile strength

(MPa)

Elongation

(%)

D13

498.2

2960.3

587.6

22.5

Table 4. Characteristic value of concrete

No

Concrete strength (MPa)

Modulus of elasticity

(MPa)

fck

fck.ave

1

25.8

25.4

2.01×104

2

25.0

3

25.0

4

26.2

5

25.6

6

25.0

3.4 실험체 셋팅

VPS의 휨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은 Fig. 7Fig. 8과 같이 단순보로 가정하여 단순지지 중앙부 2점 가력에 의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력은 500 kN 용량의 가력기를 사용하였고, 하중측정 장치도 500 kN 용량의 로드셀을 사용하였다. 하중의 처짐은 중앙부와 1/4L 지점에서 100 ㎜의 LVDT를 이용하여 슬래브 처짐을 측정하였다. 또한, VPS의 전단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은 휨 실험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셋팅을 하였고, 전단 스팬비(a/d)를 2.5로 제한하여 가력을 수행하였다.

Fig. 7. Set-up

../../Resources/ksm/jksmi.2021.25.1.7/fig7.png

3.5 실험체 내력 검토

VPS 휨 실험체는 콘크리트 구조설계 기준(KCI2017)에 따라 식(1)식(2)에 의해 산정되었다. 실험체는 크기는 1,200 ×6,400×280㎜(b×L×h)이다. 실험체의 철근 배근은 인장 측과 압축 측 모두 5-D13($A_{s}$=$A_{s}^{'}$=635㎟)으로 배근하였다. 또한, 중공재를 길이방향(FPS) 실험체의 d =230 ㎜ 이고, 직각방향(FNS) 실험체의 d=215㎜이다.

(1)
$M_{n}= A_{s}f_{y}(d-β_{1}c /2)$

(2)
$P_{n}= 2×M_{n}/ l_{a}$

여기서, $M_{n}$ : 설계 휨 강도, $P_{n}$ : 설계 휨 하중, $l_{a}$ : 지점 거리

3.5.1 길이방향 휨 실험체의 설계 내력

주방향 실험체의 등가응력블록의 깊이는 12.21㎜이고, 등가응력블록 깊이로 설계 휨 강도를 계산하면 70.8 kN으로 산정된다. 여기서 실험체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 값인 38.9 kN을 제외하면 실제 실험체의 $M_{n}$은 32.0 kN․m이다. 식(2)를 활용하여 설계 휨 하중($P_{n}$)을 산정하면 26.1 kN으로 산정된다.

- $a =\dfrac{635 × 498.2}{0.85 × 25.4 × 1200}$=12.21㎜

- $M_{n}= 635 × 498.2 ×(230 -\dfrac{12.21}{2})$ = 70.8kN․m

- $P_{n}= 32.0 × 2 / 2.45$=26.1kN

3.5.2 직각방향 휨 실험체의 설계 내력

주방향 실험체의 등가응력블록의 깊이는 12.21㎜이고, 등가응력블록 깊이로 설계 휨 강도를 계산하면 66.2 kN으로 산정된다. 여기서 실험체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 값인 38.9 kN을 제외하면 실제 실험체의 $M_{n}$은 27.2 kN․m이다. 식(2)를 활용하여 설계 휨 하중($P_{n}$)을 산정하면 22.2 kN으로 산정된다.

- $M_{n}= 635 × 498.2 ×(215 -\dfrac{12.21}{2})$ = 66.2kN․m

- $P_{n}= 27.2 × 2 / 2.45$=22.2kN

3.5.3 전단실험체의 설계 내력

전단실험체의 $V_{n}=V_{c}+V_{s}$ 로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험체의 경우 $V_{s}$가 없어 $V_{n}$은 $V_{c}$로 구할 수 있다. $V_{c}$는 238.9 kN으로 산정되었다.

(3)
- $V_{c}=\dfrac{1}{6}× λ ×\sqrt{f_{ck}}× b_{w}× d$

4. VPS의 휨 및 전단성능 실험결과

4.1 균열 및 파괴상황

FPS-00 실험체는 하중 9.8 kN(변위 4.07㎜)에서 실험체 중앙부에서 초기 균열이 발생하였고, 항복하중 30.3 kN(변위 32.5㎜)까지 균열의 수 및 폭이 증가하였다. 이후 최대하중 43.6 kN(변위 346.7㎜)에서 하중 감소가 발생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FPS-01-1 실험체는 하중 8.5 kN(변위 3.84㎜)에서 중앙부에 초기 균열이 발생하였고, 항복하중 28.5 kN(변위 36.7㎜)까지 기존 균열의 수 및 폭이 증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최대하중 35.3 kN(변위 345.8㎜)에 도달 후 하중감소가 발생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FPS-01-2 실험체는 FPS-01-1 실험체와 유사하게 하중 6.4 kN(변위 6.36㎜)에서 초기 균열이 중앙부에 발생하였고, 균열 폭이 더욱 확장되며 하중 30.6 kN(변위 49.5㎜)에서 항복하였다. 이후 실험이 진행될수록 균열의 수 및 폭만 증가하였고, 최대하중 36.1 kN(변위 437.8㎜)에서 실험을 종료하였다.

Fig. 8. Crack of flexural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1.25.1.7/fig8.png

Fig. 9. Crack of shear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1.25.1.7/fig9.png

FNS-00의 실험체는 하중 9.4 kN(변위 2.75㎜)에서 초기 균열이 발생하였고, 하중 26.0 kN(변위 30㎜)에서 항복하였다. 이후, 최대하중 42.3 kN(변위 346㎜)에서 하중 감소가 발생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FNS-01-1 실험체는 하중 4.7 kN(변위 2.17㎜)에서 실험체 중앙부에 휨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후 실험이 진행될수록 기존 균열의 폭 및 수가 증가하였고, 하중 25.9 kN(변위 33.7㎜)에서 항복하였다. 이후 실험체 중앙부의 균열의 폭이 크게 확장되었고, 최대하중 32.1 kN(변위 331.3㎜) 도달 후 실험을 종료하였다. FNS-01-2 실험체는 하중 11.3 kN(변위 6.27㎜)에서 실험체 중앙부에서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후 추가적으로 불규칙한 균열이 다수 발생하였으며 하중 25.8 kN(변위 30.4㎜)에서 항복하였다. 실험체의 균열 양상을 확인하였을 때, 중공재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 각관(레일)의 형상을 따라 균열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대하중 32.8 kN(변위 339.8㎜) 도달 후 실험을 종료하였다. FNS-02-1 실험체는 하중 6.0 kN(변위 3.12㎜)에서 실험체 중앙부에서 균열이 발생하였다. 하중 25.4kN(변위 35㎜)에서 항복하였고, 이후 실험이 진행될수록 하중-변위 곡선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최대하중 36.4 kN(변위 343.7㎜)까지 도달하였고, 기존 균열 확장 및 추가 균열 발생 없이 실험을 종료하였다. FNS-02-2의 실험체는 하중 7.8 kN(변위 6.14㎜)에서 초기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후 하중 24.1 kN(변위 35.1㎜)에서 항복하였고, 최대하중 36.1 kN(변위 338.8㎜) 이후 하중감소가 발생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SS-00의 실험체는 160.8 kN(변위 1.36㎜)에서 실험체 좌측 가력 롤러 부근에서 초기 균열이 발생하였고, 실험이 진행될수록 실험체 중심으로 휨 균열이 확장되었다. 하중 291.4 kN(변위 7.43㎜) 항복하였고 이후 기존 균열의 수 및 폭이 확장되었다. 최대하중 370.3 kN(변위 62.55㎜)에서 우측 가력 롤러 부근에서 휨-전단균열이 발생하였고, 하중 324.1 kN(변위 94.88㎜)에서 실험을 종료하였다.

SPS-01 실험체는 112.0 kN(변위 0.96㎜)에서 좌측 가력 롤러 부근에서 초기균열이 발생하였고, 실험체 중앙부 및 단부 쪽으로 균열이 확장되었다. 이후 좌측 가력 롤러에서 콘크리트 압괴가 발생하였다. 하중 269.3 kN(변위 7.44㎜)에서 항복하였고 최대하중 336.3 kN(변위 55.88㎜)에서 실험체 좌측 가력 롤러 부근에서 휨-전단균열이 확장되었고, 최종적으로 전단파괴가 발생하면서 실험을 종료하였다.

SNS-02 실험체는 101.17 kN(변위 0.774㎜)에서 실험체 우측 가력 롤러 부근에서 초기균열이 발생하였고, 실험이 진행될수록 균열이 수가 증가하였다. 하중 265.63 kN(변위 9.99㎜)에서 항복하였고 최대하중 306.2 kN(변위 53.24㎜)에서 휨 파괴가 발생하면서 실험을 종료하였다. SNS-02 실험체는 106.63 kN(변위 0.91㎜)에서 실험체 우측 가력 롤러 부근에서 초기 균열이 발생하면서 이후 실험체 중심으로 확장되었다. 이후, 하중 265.1 kN(변위 5.37㎜)에서 항복하였고 최대하중 318.9 kN(변위 59.73㎜) 이전까지 기존 균열 확장 및 우측 가력 롤러의 전단균열이 실험체 단부까지 확장되면서 최종적으로 전단 파괴가 발생하며 실험을 종료하였다.

4.2 하중-변위 관계

Table 5Fig. 10은 VPS의 휨 성능 실험결과와 하중-변위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VPS 휨 성능 실험결과, FPS-01-1 및 FPS-01-2 실험체의 경우 항복하중 값은 FPS-00 실험체에 비하여 약 94~101%로 나타나 평균 97.5%를 나타내고 있어 항복하중 값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대하중을 비교해보면 FPS-00 실험체 대비 약 82%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최대하중 측면에서는 중공재를 포함한 VPS의 성능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FNS-01-1 및 FNS-01-2 실험체는 FNS-00 실험체 대비 항복하중은 약 99.4%를 나타내었고, FNS-02-1 및 FNS-02-2 실험체는 FNS-00 실험체 대비 약 95.2%를 나타내어 휨 성능에는 중공재에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Test results of flexural specimens

Model

Yield load

Maximum Displacement

(㎜)

Ductility

Load

(kN)

Relative Ratio (%)

FPS-00

30.3

-

346.7

10.7

FPS-01-1

28.5

94.1

345.8

9.4

FPS-01-2

30.6

101.0

437.8

8.8

FNS-00

26.0

-

346

11.5

FNS-01-1

25.9

99.6

331.3

9.8

FNS-01-2

25.8

99.2

339.8

11.2

FNS-02-1

25.4

97.7

343.7

9.8

FNS-02-2

24.1

92.7

338.8

9.7

다만, 최대하중을 비교해 보면 FPS 실험체 및 FNS 실험체 모두 기준 실험체에 비하여 최대내력이 20~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Fig. 1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중공재가 배치되지 않은 기준 실험체는 휨 항복이 발생한 후에도 재료의 초과하중에 의하여 슬래브가 2차 강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내력이 증가하는 반면, 중공재가 배치된 실험체의 경우, 2차 강성이 1차 강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아 내력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공재가 배치된 실험체군도 2차 강성이 존재하고 연성도 충분히 확보되고 있어 휨 구조체의 성능이 충분히 발현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10.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flexural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1.25.1.7/fig10.png

중공재를 배치한 두 실험체 군을 비교하면 미세하지만 FPS계열 실험체가 약 4.0kN정도의 강도가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중공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레일이 휨 성능을 보완해 주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그 차이는 미세하며 두 실험체군의 강성차이는 0.8kN/㎜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6Fig. 11은 VPS의 전단 성능 실험결과와 하중-변위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VPS 전단 성능 실험 결과 SPS-01 실험체의 경우, 항복하중 값이 SS-00 실험체 대비 약 92.4%로 나타나 SS-00 실험체에 비하여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공재에 의하여 콘크리트 단면이 삭제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최대하중의 경우에도 SS-00 실험체 대비 약 91%수준을 나타내고 있어 최대하중 측면에서도 중공재를 포함한 VPS 시스템의 성능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Test results of shear specimens

Model

Yield load

Maximum load

Load

(kN)

Relative Ratio (%)

Load

(kN)

Relative Ratio (%)

SS-00

291.4

370.3

SPS-01

269.3

92

336.3

91

SNS-01

265.7

91

306.2

83

SNS-02

265.1

91

319.0

86

Fig. 11.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shear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1.25.1.7/fig11.png

SNS-01 및 SNS-02 실험체의 경우 SS-00 실험체 대비 약 91% 나타나 SPS계열 실험체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콘크리트의 단면이 삭제되어 전단력에 저항하는 능력이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최대하중을 비교해 보면 두 실험체 모두 SS-00 실험체에 비하여 최대내력이약 20~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공재가 배치되지 않은 기준 실험체는 주철 근의 휨 항복이 발생한 후에도 재료의 초과하중에 의하여 슬래브가 2차 강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내력이 증가하는 반면, 중공재가 배치된 실험체의 경우, 2차 강성이 0에 가까워 내력의 증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기존 중공재의 형상을 개선한 거푸집용 중공슬래브(VPS)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VPS를 활용하여 휨 및 전단실험을 수행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VPS 시스템의 휨 실험 결과, FPS 계열 실험체의 경우 항복 하중 값은 FPS-00 실험체 대비 약 97.5%를 나타내고 있어 항복하중 값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NS계열 실험체도 FPS-00 실험체 대비 약 97%를 나타내어 휨 성능에는 중공재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슬래브 시스템을 VPS로 슬래브 설계에 적용할 때 건축구조기준의 설계 식으로 적용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2) VPS 전단 실험 결과, SPS-01 실험체의 경우, 항복하중 값이 SS-00 실험체 대비 약 92.4%로 나타나 기준 실험체에 비하여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01 및 SNS-02 실험체도 SPS-01실험체와 유사하게 SS-00 실험체 대비 약 91%의 항복하중을 나타내었다. 이는 중공재에 의하여 콘크리트 단면이 삭제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과제번호: NRF-2018 R1A6A1A 07025819, 2019R1F1A1062595)에 의한 연구 결과이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Jung, M. G., Choi, C. S. (201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Capacity of a On-way Void Slab with Removable Deck Pla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9(5), 437-445.Google Search
2 
Lee, Y. J., Kim, H. G., Kim, M. J., Kim, D. H., Kim, K. H. (2020), Evaluation of Flexural Performance for Prestressed Concrete Hollow Core Slab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2(2), 193-200.Google Search
3 
Lee, Y. J., Kim, H. K., Kim, M. J., Lee, J. S., Kim, K. H. (2019),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for Prestressed Concrete Hollow Core Slab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1, 5(), 505-512.Google Search
4 
Park, M. K., Lee, D. H., Han, S. J., Kim, K. D. (2019), Web-shear Capacity of Thick Precast Prestressed Hollow-core Slabs Units Produced by Extrusion Method, International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13, 13(7), 19-32.DOI
5 
Cho, G. Y., Park, Y. C., Choi, C. S. (2018),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One-way Shear Strength of Void Slabs with Automatic Prefabrication of Welded Wire Trus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0(3), 305-314.Google Search
6 
Son, H. S., Cho, S. H., Roh, Y. S., Yoon, S. H. (2018), Evaluation on Flexural Performance of Void Slabs with Application of Buoyancy Protection Equipment for Void Foame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0(4), 403-410.Google Search
7 
Jung, M. G., Choi, C. S. (201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Capacity of a One-way Void Slab with removable Deck Pla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9(5), 437-445.Google Search
8 
Choi, H. M., Park, T. W., Paik, I. K., Kim, J. S., Han, J. Y. (2015), Shear Performance of Board-type Two-way Voided Slab,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7, 27(6), 651-659.DOI
9 
National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Commission, (2016), 25 Years of History in Environmental Dispute Conciliation(Based on 25 Instances), National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Commission, Se-jong.Google Search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Standard floor finishing and structures for interlayer noise prevention (p. 319), Governing Cit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Google Search
11 
Aldejohann, M., Schnellenbach-Held, M. (2003), Investigations on the Shear Capacity of Biaxial Hollow Slabs-Test Results and Evaluation, Darmstadt Concrete, 18, 1-11.Google Search
12 
Aldejohann, M., Schnellenbach-Held, M. (2005), Biaxial hollow slabs theory and tests, Betonwerk Fertigteil-Technik, 71(10), 50-59.Google Search
13 
Kim, S. M., Jang, T. Y., Kin, S. S. (2009), Structural Performance Tests of Two-Way Void Slabs, Journal of the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25(8), 35-42.Google Search
14 
Yoon, S. H. (2014), Structural Performance and Serviceability of Void Slabs with Deck Plate and Polystyrene Form Ph D,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16-20.Google Search
15 
Yoon, S. H. (2013), Hollow Slab Structure Using Multifunctional Rai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of Korea, 10-1318721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