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공간안전연구센터 수석연구원
  2. 정회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3. 회원, ㈜스펙엔지니어링 대표이사
  4. 정회원, 한국해양대학교 건설공학과 교수
  5.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공간안전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중앙분리대, 현광방지, 충돌시험, LS-Dyna
Concrete Barrier, Median, Anti-Glare, Collision Test, LS-Dyna

1. 서 론

교통사고 발생 시 탑승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도로안전시설 중 중앙분리대용 방호울타리는 마주 달리는 차량과의 정면충돌을 예방하는 중요한 안전시설이다. 국내 방호울타리는 표준도 단면이 적용되어 왔으나 2000년 이후 성능평가를 통해 방호성능이 검증된 단면만이 설치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이에 고속국도(설계속도 100 km/h 이상 도로) 중앙분리대용 콘크리트 방호울타리는 지속적인 성능평가를 통해 방호성능이 검증된 단면으로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국도(설계속도 80km/h 이하 도로) 중앙분리대용 콘크리트 방호울타리는 최근까지 방호성능이 명확하게 검증되지 않은 표준도(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LIT), 2016)(1) 단면으로 시공되고 있다.

충분하게 중앙분리대의 폭이 넓지 않으면 야간에는 대향차로의 차량 전조등에 의한 눈부심으로 운전자들이 불편을 겪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중앙분리대용 방호울타리에는 현광방지시설이 추가로 설치된다. 그러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한 현광방지시설이 차량충돌로 인해 파손되어 2차 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KBS, 2019)(2). 최근 고속국도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용 콘크리트 방호울타리는 현광방지시설로 인한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단면 높이를 높여 방현기능을 자체적으로 갖도록 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Lee et al.(2001)(3)은 방현기능을 갖는 고속국도 중앙분리대용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단면을 개발하고 실물 충돌시험을 통해 그 단면의 방호성능을 검증하였다. 특히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차량의 전조등 높이와 곡선부 정지시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현광방지시설의 추가설치가 필요 없는 방호울타리 최소 높이를 1,270mm로 제안하였다. 그러나 탑승자보호 성능평가에 사용된 차량이「차량방호 안전시설 실물충돌시험 업무편람」(이하 업무편람)(MLIT, 2015)(4)의 승용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성능인증은 받지 못하였다. 이후 Oh et al. (2006)(5)은 앞서 개발된 단면에 대한 실물충돌시험을 업무편람에 따라 재실시하고 성능인증을 받았다. Lee et al.(2017)(6)은 고속국도 특수구간에 설치 가능한 중앙분리대용 콘크리트 방호울타리를 개발하고 실물충돌시험을 통해 성능인증을 받았다. 이 단면은 기존 단면에 비해 폭이 확대되었고 2단 보강철근 배치를 통해 방호성능이 향상되었다.

국외에서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방호성능이 검증된 기존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단면(NJ Shape, F Shape 등)을 설치한다. 높은 방호성능을 요구하는 특수한 환경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2,290mm(90인치) 높이의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단면(AASHTO, 2011)(7)도 개발된 경우가 있지만, 방현기능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방호울타리의 높이를 설정하고 등급별 방호성능을 검토한 국외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Keller et al.(2003)(8)는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부착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부착물이 있는 경우 반드시 실물충돌시험을 통해 성능을 확인하도록 제안하였다.

고속국도 콘크리트 방호울타리에 대한 연구는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지만 일반국도 콘크리트 방호울타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는 없었다. 그러나 통행량 증가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일반국도상 교통사고로부터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방현기능을 갖는 일반국도용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단면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방현기능을 갖는 일반국도 중앙분리대용 콘크리트 방호울타리(이하 CMB, Concrete Median Barriers) 단면을 개발하고 충돌해석과 실물 충돌시험을 통해 그 단면의 방호성능을 검증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2. 연구 방법 및 단면 설계

2.1 연구 방법

추가적인 현광방지시설 설치가 불필요한 일반국도 CMB 단면은 방현기능을 갖는 높이를 확보하고, 좁은 일반국도 중앙분리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단면폭은 가능한 한 좁게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단계별로 CMB 단면을 축소하면서 충돌해석 통해 방호성능을 검토하였다. 최종 설계 단면은 유한요소 충돌해석 및 실물 충돌시험을 통해 방호성능이 검증되었다. 유한요소 충돌해석은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인 Ansys의 LS-Dyna 버전 R713을 사용하였다.

2.2 성능평가방법

국토교통부는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이하 지침)(MLIT, 2014)(9)에서 Table 1과 같이 충격량에 따라 방호 성능등급을 구분하고 설계속도와 주변 환경에 따라 설치 가능한 최소 등급을 제시하고 있다. 설계속도 80 km/h인 일반국도 중앙분리대는 SB4 등급에 해당한다. Table 2는 지침에서 규정한 방호울타리 성능등급별 실물충돌시험 조건이다. 실물충돌시험을 통한 차량 방호성능 평가는 방호울타리의 강도성능 평가와 탑승자 보호성능 평가로 구분하여 각각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지침에 따르면 SB4 등급 강도성능 평가시험은 14톤 트럭을 65km/h의 속도와 15° 각도로 방호울타리에 충돌시키고, 탑승자 보호성능 평가시험은 1.3톤 승용차를 80km/h의 속도와 20° 각도로 충돌시켜 방호성능을 평가한다.

Table 1. Performance Class of Vehicle Safety Barrier in Korea (MLIT, 2014)

Class

Base impact Sererity (kJ)

Road Speed*

(km/h)

Road Environment**

SB1

60

Low

Normal

SB2

90

Medium

SB3

130

High

SB3-B

150

Very High

SB4

160

Medium

Caution

SB5

230

High

SB5-B

270

Very High

SB6

420

High

Special

SB7

600

Very High

* Low speed : under 60 km/h , Medium speed : 60 ~ 80 km/h

High speed : 90 ~ 100 km/h, Very High speed : over 110 km/h

** Caution areas : Median, Bridge, Side of cliff & river, etc.

Special areas : Near dangerous facilities, Water management area, etc.

Table 2. Real Impact Test Guideline for Road Safety Barrier in Korea (MLIT, 2014)

Class

Strength Performance

Passenger Protection Performance

Impact

Speed (km/h)

Vehicle Weight*

(kgf)

Impact Angle

Impact

Speed (km/h)

Vehicle Weight

(kgf)

Impact Angle

SB1

55

8,000

15

60

900

or

1,300

20

SB2

65

80

SB3

80

100

SB3-B

85

120

SB4

65

14,000

15

80

900

or

1,300

20

SB5

80

100

SB5-B

85

120

SB6

80

25,000

15

100

900

or

1,300

20

SB7

80

36,000

100

* Passenger Car : 900 kgf, 13,000 kgf

Heavy Vehicle : 8,000 kgf

Truck : 14,000 kgf, 25,000 kgf, 36,000 kgf

업무편람에서 강도성능은 차량이 방호울타리를 돌파하거나 방호울타리 구성 부재가 비산하여 탑승자나 제3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충돌차량은 전도되거나 급정거하지 않고 탈출박스(Exit Box)를 통해 원만히 진행해야 한다. Fig. 1에 탈출박스 개념도를 나타내었다. 탈출박스를 구성하는 A와 B 길이는 Table 3과 같이 시험에 사용된 차량의 폭과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Fig. 1. Exit Box for Longitudinal Barriers (AASHTO 2016)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1.png

Table 3. Distance for Exit Box Criterion (MLIT, 2014)

Vehicle Type

A (m)

B (m)

Equation

Value

Passesger Car

2.2 + Vw + 0.16VL*

4.75

10

Truck

4.4 + Vw + 0.16VL

8.76

20

* Vw : Vehicle Width

VL : Vehicle Length

탑승자 보호성능은 충돌로 인하여 탑승자의 머리가 차량내부 가상면에 부딪치는 충돌속도(이하 THIV, Theoretical Head Impact Velocity)와 이후 접촉을 유지하면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속도(이하 PHD, Post-impact Head Deceleration)가 각각 33km/h, 20g 이하가 되도록 지침에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충돌차량의 Roll, Pitch 최대회전각은 75°이하여야 하고 충돌차량은 전도되지 않고 탈출박스를 통해 원만히 진행하여야 한다. Fig. 2는 차량회전각 측정기준을 설명한 그림이다.

Fig. 2. Recommended Vehicle Coordinate System (AASHTO 2016)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2.png

2.3 단면 설계

도로 중앙분리대는 Table 4와 같이 설계속도에 따라 최소 1 ~ 3m 이상의 폭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MLIT, 2020)(11). 일반국도의 중앙분리대 최소 폭은 고속국도의 절반 수준이다. 따라서 일반국도의 좁은 중앙분리대 폭을 고려할 때 설계단면의 폭을 최대한 작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Fig. 3은 고속국도에 설치되는 CMB 단면 폭과 높이를 등급별로 나타낸 그림이다. 고속국도에 사용되는 CMB는 모두 방현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 방호성능에 따라 폭과 측면경사는 다르지만 높이는 모두 1,270mm로 일정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방호울타리의 높이는 방현기능을 갖도록 1,270mm로 설정하였다.

Table 4. Regulation for Minimum Width of Median (MLIT, 2020)

Road Design Speed

Minimum Width of Median (m)

Suburban Road

Urban Road

Road for Small Vehicle

Over 100 km/h

3.0

2.0

2.0

Under

100 km/h

1.5

1.0

1.0

Fig. 3. Concrete Median Barrier Sections in High Speed Condition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3.png

콘크리트 설계강도는 방호성능 향상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30MPa로 설정하였다. 또한 CMB 단면폭과 단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복적인 유한요소 충돌해석을 수행하여 Fig. 4와 같은 새로운 CMB 단면을 도출하였다. Table 5에 설계단계별 주요 설계사항을 정리하였다. 단면폭은 540mm로 기존 일반국도 표준도 단면보다 30mm 작고, 단면적은 Fig. 3(a)의 SB5 등급 CMB 단면의 88% 수준이다. 콘크리트 파손과 비산물을 제어하기 위해 단면중앙에 보강근을 배치하였다. 이후 연구는 개발단면이 SB4 등급의 강도성능과 탑승자 보호성능을 확보하고 있는지 해석적‧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Table 5. Material Model Used for Collision analysis

Design Section

Barrier Height (mm)

Base Max. Width (mm)

Slop Inflection Height (mm)

Main Feature

1st

1,270

570

300

- Keeping the Base Width (570mm) of Used CMB Section

- Increasing the Barrier Height to 1,270mm from 810mm

2nd

1,270

570

250

- Decreasing the Slop Inflection Height in 1st Section

- Decreasing the Cross-section Area

3rd

1,270

540

500

- Decreasing the Base Width to 540mm & Redesigning the Cross-section

- Increasing the Slop Inflection Height

4th

1,270

540

300

- Decreasing the Slop Inflection Height in 3rd Section

- Decreasing the Cross-section Area

Last

1,270

540

250

- Decreasing the Slop Inflection Height in 4th Section

- Decreasing the Cross-section Area (Minimum Cross-section Area)

* All Design Sections Satisfies Design Conditions of SB4 Class in Collision analysis

Fig. 4. Concrete Median Barrier Design Sections for SB4 Class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4.png

2.4 유한요소 충돌해석

2.4.1 재료 모델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발된 단면의 방호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유한요소 충돌해석은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인 Ansys의 LS- Dyna 모듈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충돌해석에 사용된 콘크리트 재료모델은 미국 교통부(U.S. Department of Transporttation) 산하 FHWA(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에서 차량과 콘크리트 구조물 충돌해석을 목적으로 개발한 Concrete Material Model 159 (Murray, 2007)(12)이 사용되었다. Fig. 5는 사용된 콘크리트 모델의 3차원 항복특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이 모델은 압축조건에서 Cap의 형태로 한계 항복면이 줄어들도록 하여 콘크리트 압축 거동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요소의 소성변형률이 소정의 값(Erode)에 도달하면 해당 요소를 제거하면서 해석을 수행할 수 있어 제거된 요소량을 계산하여 콘크리트의 파손량과 비산정도를 추정할 수 있는 재료모델이다(Lee et al., 2017)(13). 본 연구에서 적용한 재료모델과 계수 값은 Table 6과 같다. 콘크리트 모델 요소 크기는 36mm이며, 그리드 형태인 와이어매쉬(Wire Mesh)의 수직근과 수평근 용접효과는 접촉면 요소를 상호 공유하도록 모델링하여 구현하였다.

Fig. 5. General shape of the concrete model yield surface in three dimensions (Murray, 2007)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5.png

Table 6. Material Model Used for Collision analysis

Material

Model

Option

Coefficient

Concrete

Continuous Surface Cap Model

Erode

1.41)

Repow

1.02)

B

103)

D

0.13)

Element

Size

36 mm

Type

Reduced Integration

Steel

Piecewise Linear Plasticity

D

1.05e7 4)

p

8.34)

1) Thai et al. (2014)

2) Murray et al., (2007)

3) Lee et al.(2017)

4) Chung et. al., 2011

2.4.2 차량 모델

충돌해석에 사용된 차량모델은 George Washington University의 National Crash Analysis Center에서 공개한 900kgf 중량의 승용차 모델과 유럽 EN-1317 규격의 총 길이 10m, 총 중량 16tonf의 트럭 모델(Oldani et. al., 2005)(17)이다. 이 차량 모델은 타이어, 엔진, 유리창을 포함한 160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파트마다 재료의 두께나 항복 강도가 다르게 적용되어 있다. 특히 차량과 1차적으로 충돌이 발생하는 범퍼에는 두께 4mm 및 항복강도 350MPa의 강재가 사용되었으며, 차량 전면부는 두께 5.5mm 및 항복강도 450MPa의 강재가 사용되었다(Lee et al., 2017)(13). 본 연구에서는 이 차량 모델을 국내 트럭형상에 맞게 적재함의 폭을 기존의 2,486mm에서 차량 전면부의 폭과 동일하게 1,914mm로 축소하였고, 중량을 기존의 16 tonf에서 실물충돌시험 트럭 중량에 맞추어 14 tonf으로 수정하였다. Fig. 6은 사용된 차량모델의 모습이다.

2.4.3 충돌해석 결과

강도성능 및 탑승자 보호성능 평가를 위한 유한요소 충돌해석 결과를 Fig. 7Fig. 8에 나타내었다.

Fig. 6. Vehicle Model Used for Collision Analysis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6.png

Fig. 7. Damaged Area of Median Concrete Barrier by Truck Crash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7.png

Fig. 8. Collision Analysis Results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8-0.png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8.png

Fig. 9. Analysis Result for Occupant Risk Evaluation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9.png

Fig. 7은 트럭 충돌에 의한 콘크리트의 응력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차량 전면부 충돌 위치와 적재함 충돌 위치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발생 응력 크기가 작아 손상은 발생하지 않고 강도성능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Fig. 7에서 Impact Side는 차량 충돌면을, Back Side는 차량 충돌면의 배면을 의미하며, Fringe level은 손상지수로서 소성변형률을 나타낸다.

Fig. 8은 주요 충돌장면을 3단계로 구분하여 시간별로 나타낸 그림이다. Fig. 8(a)는 강도성능 평가를 위한 트럭 충돌장면으로 트럭 전면부가 충돌하는 1차 충돌, 이어서 적재함 전면 모서리가 충돌하는 2차 충돌, 그리고 적재함 측면이 충돌하는 3차 충돌로 구분할 수 있다. 방호울타리 높이가 적재함 높이보다 높은 경우 일반적으로 2차 충돌에 의해 방호울타리 손상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해석결과에서도 2차 충돌로 인한 방호울타리 변형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8(b)는 탑승자 보호성능 평가를 위한 승용차 충돌장면으로 차량 전면부가 충돌하는 1차 충돌, 차량 전륜이 방호울타리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충돌하는 2차 충돌, 회전에 의한 차량 후륜 충돌을 3차 충돌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2차 충돌에 의한 차량 상승량이 탑승자 보호성능에 가장 큰 영향인자이다. 충돌해석을 통해 예측된 THIV와 PHD 값은 각각 24.74 km/h, 12.82g이며 이는 SB4 등급 허용치의 각각 75% , 64%로 개발 단면은 탑승자 보호성능을 만족하는 해석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9에 승용차 충돌해석으로 산출된 시간과 Rolling, Pitching, Yawing 관계를 나타내었다. 충돌 후 차량의 회전운동량 Pitching, Rolling, Yawing은 각각 14.4°, 6.7°, 40°로 허용치 75°보다 작아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면은 충돌차량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3. 방호성능 검증

3.1 실물 충돌시험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CMB 단면의 강도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지침에 따라 14톤 트럭을 65km/h의 속도와 15° 각도로 방호울타리에 충돌시키고, 탑승자 보호성능 평가시험을 위해서는 1.3톤 승용차를 80km/h의 속도와 20° 각도로 방호울타리에 충돌시키면서도 방호성능을 확인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차량의 제원은 Table 7과 같다.

Table 7. Vehicle Specification Used for Test

Vehicle Type

Vehicle (m)

Exit Box (m)

Length

Width

A

B

Passenger Car

4.83

1.78

4.75

10

Truck

11.73

2,48

8.76

20

3.2 강도 성능평가 시험결과

트럭 충돌시험 결과는 Table 8과 같고 트럭 충돌 장면을 Fig. 10에 나타내었다. Fig. 10(a)는 적재함 전면이 충돌하는 2차 충돌 순간이며, Fig. 10(b)는 적재함 후면이 충돌하는 3차 충돌 순간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CMB는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강도성능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8. Test Result for Strength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Evaluation Standard

Test Result

Strength Performance

The vehicle should not penetrate

The truck did not penetrate

Fragment Fly Control Performance

Fragments over 2kg should not fly over 2m

Concrete Fragment of 0.22kg flew 2.04m

[Satisfying Standard]

Post-Impact Vehicular Trajectory

Vehicles should not tune over or stop suddenly

The Truck proceeded smoothly

Do not cross line B of exit box (A:8.76m, B:20m)

Do not cross line B of exit box

* Overall Evaluation Result : Satisfying Standards

Fig. 11은 충돌실험 종료 후 파손된 방호울타리의 모습이며 타이어 자국이 있는 위치가 1,2차 충돌이 발생한 충돌유도 지점이다. 방호울타리의 파손은 대부분 바닥면에서 약 1.1m 이상 높이에 발생하였다. 이는 트럭 적재함 높이에 해당하여 파손의 주원인이 적재함 충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시험에서는 충돌유도 지점으로부터 후방 약 4m 지점에 3차 충돌로 인한 추가적인 파손이 확인되었다. 이는 충돌 이후에 차량 진행방향이 변경되면서 차량이 회전하여 적재함 후면 모서리가 방호울타리와 충돌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시험 중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Fig. 10. Truck Crash Test Scenes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10.png

Fig. 11. Damaged Barrier after Truck Crash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11.png

Fig. 12는 2차 및 3차 충돌장면과 방호울타리 손상위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Fig. 10(b)에서 차량 회전에 의한 3차 충돌은 적재함이 위로 들리면서 방호울타리에 상향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방호울타리에 수평 하중이 주로 작용하는 1, 2차 충돌은 3차 충돌과 다른 손상 패턴을 보였다.

고성능 고속도로 중앙분리대 개발을 위해 SB6 등급 그리고 SB5-B 등급에서 충돌각도를 20도로 상향한 조건에서 수행되었던 실물충돌실험(Kim et al. 2019, Lee et al. 2019)(19,22)의 주요 손상은 2차 충돌에서만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3차충돌에 의해서도 주요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방현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방호울타리의 높이가 고속도로 중앙분리대 수준으로 상향되었으며 이러한 영향이 국내 트럭 적재함 높이에 방호울타리의 취약부가 위치하게 하여 국부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설계시 이에 고려가 필요하다.

Fig. 13는 충돌면 방호울타리 손상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1, 2차 충돌부의 파손 길이는 약 1.4m 이나 3차 충돌부 파손길이는 약 0.7m이었다. 이는 충돌하중 작용 방향에 따른 영향으로 지속적인 수평하중이 작용한 1, 2차 충돌부는 손상 길이가 길고, 상향력을 포함한 순간적인 충격하중이 작용한 3차 충돌부는 손상 길이가 짧게 나타났다. 손상 길이는 유효 보강근 수와 영향이 있어, 파손 길이가 긴 1, 2차 충돌부는 파손량은 크나 파편이 크게 이탈하지 않았다. 그러나 3차 충돌부는 파손량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파편이 크게 이동하였다.

Fig. 12. Damaged Locations after Truck Crash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12.png

Fig. 13. Barrier Damage due to 2nd and 3rd Impact (Impact Side View)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13.png

Fig. 14는 충돌단계별 최대 손상 단면의 파괴면을 나타낸 그림이다

1, 2차 충돌부의 파괴면을 나타낸 Fig. 14(a)를 통해 보강근의 전단제어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Fig. 14(b)의 3차 충돌부 파괴면에서는 보강근에 의한 전단제어를 확인하기 어렵다. 본 시험에서는 3차 충돌로 인하여 기준치 이하의 파손된 콘크리트 조각이 비산하였고, 파손 부위의 콘크리트 덩어리가 방호울타리에서 이탈할 위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시험을 통해 적재함 후면 모서리의 회전 충격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1m 이상의 높이가 높은 CMB 단면은 파손된 콘크리트의 비산제어를 위해 와이어매쉬와 같은 내부 보강재 설치가 필수적이며, 보강재는 가능한 단면 상단까지 배치하고, 배치 간격이 좁을수록 콘크리트 덩어리 이탈 및 비산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14. Crack Line at Damaged Section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14.png

본 연구에서 수행된 유한요소법을 활용한 충돌해석모델은 적재함 후면 모서리의 국부충돌에 의한 방호울타리 파손과 비산량 예측에 한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해석 차량모델과 시험 트럭의 구조적 차이(Kim, 2021)(20)와 이러한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량과 방호울타리 상호작용시 순간적 충돌조건의 불확실성 그리고 요소의 삭제(erode)를 통해서만 비산물의 모사가 가능한 유한요소 해석법의 한계로 판단된다. 국부적인 충돌이 강재량이 적은 중앙분리대 상부 콘크리트에 순간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므로 전체충돌 해석으로부터 명확한 국부충돌의 조건(충돌위치, 충돌속도)을 유추할 수 있어야 하며 국부충돌이 발생하는 위치의 상세한 모델 그리고 비산량 예측에 용이한 입자법(SPH 등)의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돌시 손상 형상 및 비산량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 다양한 해석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Kim et al. 2019, Kim et al. 2020)(21-22).

3.3 탑승자 보호성능 시험결과

Fig. 15는 탑승자 보호 성능평가를 위해 수행된 승용차 충돌시험 장면이고, Fig. 16은 차량충돌시험 이후의 방호울타리 모습이다. 탑승자 보호성능 평가시험 결과는 Table 9에 정리하였다.

승용차 충돌에 의한 방호울타리 손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충돌시험을 통해 계측된 THIV는 25km/h, PHD는 9g이며 각각 허용치의 76%, 45%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단면은 SB4 등급의 탑승자 보호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돌 후 차량은 양호하게 선회하였고 차량 회전량 Rolling과 Pitching은 각각 7.4°, 6.6°로 측정되었다.

Fig. 15. Passenger Car Crash Test Scenes (2nd Impact)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15.png

Fig. 16. Barrier after Passenger Car Crash

../../Resources/ksm/jksmi.2021.25.1.93/fig16.png

Table 9. Test Result for Passenger Protection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Evaluation Standard

Test Result

Passenger Protection Performance

THIV should be less than 33km/h

25 km/h

PHD should be less than 20 g

9 g

Post-Impact Vehicular Trajectory

Vehicles should not tune over or stop suddenly

The vehicle proceeded smoothly

Rotation angle of roll and pitch should be less than 75°

Roll: 7.42°

Pitch: 6.63°

Do not cross line B of exit box (A:8.76m, B:20m)

Do not cross line B of exit box

* Overall Evaluation Result : Satisfying Standards

Table 10. Safety Evaluation Comparison for Occupant Risk

Evaluation Factors

Vehicle Crash Test

Collision Analysis

Criteria

Maximum

Measured Value

Ratio to Analysis Value

Ratio to Criteria

THIV (km/h)

25

101 %

76 %

24.7

33

PHD (g)

9

78 %

45 %

12.8

20

* THIV : Theoretical Head Impact Velocity

PHD : Post-impact Head Deceleration

Table 10은 THIV와 PHD에 대한 시험치와 해석치를 비교한 표이다. THIV와 PHD의 해석치에 대한 실험치의 비는 각각 101%, 78%로 나타나 탑승자 보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충돌해석은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해석차량과 시험차량의 중량과 구조가 서로 다른 것을 고려할 때 시뮬레이션 충돌해석이 보수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본 연구는 방현기능을 갖는 일반국도 중앙분리대용 콘크리트 방호울타리를 개발하고 차량 충돌해석 및 실물충돌 시험을 방호성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개발한 중앙분리대용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단면은 540mm의 폭을 가지며 SB4 등급의 차량 방호성능을 보유하고 있음을 충돌해석 및 실물 충돌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2) 탑승자 보호 성능평가의 기준값인 THIV와 PHD의 해석치에 대한 실험치의 비는 각각 101%와 78%로 나타나 유한요소 충돌해석은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강도 성능평가를 위한 충돌해석에서는 방호울타리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실물 충돌시험에서는 충돌한 차량이 선회하면서 트럭 적재함 후면 모서리의 회전충돌이 발생하였다.

4)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단면은 파손에 따른 이탈 및 비산억제를 위해 와이어매쉬와 같은 보강재를 가능한 한 단면 상단까지 좁은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5) 향후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용 방호 울타리 충돌해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내 시판 차량에 대한 차량모델 개발과 지속적인 충돌해석 방법개선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MLIT, (2016), Design Practice Guidelines for National Highway Construc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Korea, 703-706.Google Search
2 
KBS, (2019), Road Glare Screen’ to Prevent Glare, Fear of Weapons causing Major Accidents, TV News, https://news.kbs.co. kr/news/view.do?ncd=4306132Google Search
3 
Lee, S. K., Jung, B. J., Joo, J. W., Kwon, B. K. (2001), A Study on the Monitoring and Optimization of the New Type of Concrete Median Barrier, Research Report,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kec)(korea), 9-18.Google Search
4 
MLIT, (2015), Manual for Assessing Vehicle Protection Safety Facility by Real Collision Tes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Korea, 27Google Search
5 
Oh, H. W., Joo, J. W., Jang, D. Y., Lee, J. S. (2006), A Study on the Evaluation & Improvement of Freeway Barriers,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KEC, korea, 47-109.Google Search
6 
Lee, I. K., Sim, J. W., Joo, J. W., Jang, T. S., Ryu, S. J., Kim, S. D. (2017),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ncrete Median Barrier,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KEC, korea(45-46,70), 106-224.Google Search
7 
AASHTO, (2011), Roadside Design Guide 4th Edition,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5-28.Google Search
8 
Keller, E. A., Sicking, D. L., Faller, R. K., Polivka, K. A., Rohde, J. R. (2003), Guidelines for Attachments to Bridge Rails & Median Barriers, Technical Report, nebraska department of roads(46)Google Search
9 
MLIT, (2014), Road Safety Facilities Installation & Management Guide (Part of the Safety Facilities for Vehicles Protec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Korea, 5-6(10-12)Google Search
10 
AASHTO, (2016), Manual for Assessing Safety Hardware 2nd Edition,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99-109.Google Search
11 
MLIT, (2020), Rules on Road Structure and Facility Standard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Korea, Aticle 11Google Search
12 
Murray, Y. D. (2007), User Manual for LS-DYNA Concrete Material Model 159,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 FHWA-HRT-05-062Google Search
13 
Lee, J. H., Lee, I. K., Jeong, Y. S., Kim, K. J., Kim, W. S. (2017), Evaluation of Impact Resistance for Concrete Median Barrier Depending on Vehicle Curb Weight, Concrete Cover Depth and Level of Deterioration,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COSEIK), COSEIK, 30(4), 297-300.DOI
14 
Thai, D. K., Kim, S. E., Lee, H. K. (2014), Effects of reinforcement ratio and arrangement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a nuclear building under aircraft impact,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276(232)DOI
15 
Murray, Y. D., Abu-Odeh, A., Bligh, R. (2007), Evaluation of LS-DYNA Concrete Material Model 159,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 FHWA-HRT-05-063Google Search
16 
Chung C.H Lee J. W Kim, S.Y., Lee, J. H. (2011), Influencing Factors on Numerical Simulation of Crash between RC Slab and Soft Projectile, Journal of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24(6), 591-600.Google Search
17 
Oldani, E., Castelletti, L., Anghileri, M., Mongiardini, M. (2005), Impact Analysis of 16t Truck against different Road Safety Restraint Systems, 5th European LS-DYNA User Conference, UK, 7b-24Google Search
18 
Kim, W., Lee, I., Kim, K., Jeong, Y., Lee, J. (2019), Evaluation of concrete barriers with novel shock absorbers subjected to impact loading, Archives of Civil and Mechanical Engineering, 19, 657-671.DOI
19 
Lee, J., Jeong, Y., Kim, K., Lee, I., Kim, W. (2019),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Deformable Concrete Median Barrier, Materials, 12(19)DOI
20 
Kim, Kyeongjin. (2021), Application of SPH and ANN for Prediction of the Amount of Concrete Fragmentation under Impact Loading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busan, Rep. of Korea)Google Search
21 
Kim, K., Kim, W., Jung, Y., Lee, J. (2020), Prediction of Damaged Area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nder Impact Loadings using FEM and SPH, Proceedings of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fall conference(kci), 171-172.Google Search
22 
Kim, K., Lee, J., Kim, W., Jung, Y. (2019), Deformed Shape of Concrete Structures using Lattice Discrete Particle Model, rediction of Damaged Area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nder Impact Loadings using FEM and SPH, proceedings of korea concrete institute (kci)(spring conference, KCI), 293-294.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