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 부산대학교, 건설융합학부 박사과정



강재보, 반복하중, 유공보, 강판보강
Steel-beam, Cyclic loading, Web-opening, Reinforcement of steel plates

1. 서 론

강구조 건축물에 사용되는 유공 강재보는 건축물의 고층화와 함께 공조설비의 발전으로 인하여, 층고 절감과 천정내 설비공간의 최소화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유공 강재보는 강재보의 웨브 부분에 개구부를 설치하는 것으로, 덕트 및 배관 등의 설비시설을 이 개구부에 관통시킴으로서 천정내 설비공간이 감소로 인한 층고 절감을 할 수 있게 된다. 건축구조적인 측면에서 기둥부재 길이의 감소로 인한 좌굴과 횡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이 향상되므로 기둥 규격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유공 강재보의 효과는 강구조 건축물의 건설비용 감소와 함께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유공 강재보는 웨브에 설치되는 개구부로 인하여 웨브의 단면 손실이 발생되어 휨과 전단내력, 강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국내외에서 강재 유공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1966년부터 Bower에 의해 직사

각형 개구부를 갖는 유공보 실험을 통한 극한강도에 대한 연구(Bower, 1968)(1) 등 유공보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직사각형 개구부를 갖는 유공보의 반복하중 작용시 피로 현상에 대한 연구(Frost, 1971)와 박판 웨브에 무보강 유공보에 대한 웨브포스트의 좌굴에 대한 연구(Redwood, 1978)(2) 및 유공보의 임계하중에 대한 연구(Redwood, 1979)(3)가 수행되었다. 1990년에는 기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Darwin이 Steel and Composite Beams with Web Openings (AISC, 1990)에서 유공보의 공칭 강도 산정 설계식이 제안하였고, 이후 2003년에 수정이 되었다(AISC, 2003)(5). 국내에서는 1978년부터 유공 웨브인 H형강보의 역학적인 거동에 관한 연구(김종락, 1978)를 시작으로 유공 H형강보의 강성에 관한 연구(김규석, 1980)(6), 상부 유공 합성보의 극한 내력(이승준, 1995)(7), 그리고 반복하중을 받는 유공 H-형강 캔틸레버 보의 소성거동(이원석, 2001) 및 반복하중을 받는 유공 강구조 부재의 국부좌굴 및 소성거동에 관한 연구(이은택, 2003)(8)가 수행되었다.

유공보에 대한 기존연구에서는 단순하중에 대한 연구와 함께 반복하중에 대한 연구가 일부 있지만, 최근 지진하중 및 풍하중의 중요성에 비하여 반복하중을 받는 유공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기존연구에서는 개구부의 위치가 강재보 지지점에서 보높이 이상의 이격하는 경우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설비시설의 덕트 및 배관의 유지관리 측면을 고려할 때, 개구부의 위치가 강재보 단면의 높이보다 가까운 이격 위치에 대한 유공보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강재보의 지지점에서 개구부 이격이 강재보 단면 높이의 절반(/2)인 유공 강재보는 개구부 이격이 강재보 단면 높이()인 경우보다 모멘트와 전단력이 큰 부분에 개구부가 위치함으로 강도확보에 불리한 조건이며, 지지점까지의 개구부 이격이 짧으므로 개구부에 대한 강판보강인 경우에 강판 내민길이의 제한과 강판 접합 공간 부족 등의 문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공 강재보, 강재보의 지지점에서 개구부 이격이 강재보 단면 높이의 절반(/2)인 무보강 유공 강재보와 여기에 강판보강한 실험체를 제작하여 각 실험체가 반복하중을 받을 때의 거동과 국부좌굴을 관찰하고, 최대내력, 내력저하 등 구조성능을 연구함으로써 유공 강재보 설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able 1 AISC Design guide

Parameter

Limit

Comment on Limit

Circular Opening

Rectangular Opening

Max depth of opening

≤0.8h

≤0.7h

Experience shows this to be a practical limit for economic design. This is consistent with the other geometrical limits below

Min depth of Tees

≥$t_{f}$ + 30mm

≥0.1h

Practical limit, based on draft Annex N of ENV 1993-1-1:1992.

Min depth of Top Tee

As above

As above and ≥0.1$l_{o}$ if unstiffend

To limit local deformation and stability of the top Tee during construction.

Max ratio of depth of Tees

Asymmetry of opening position can cause web-post moment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upward (positive) eccentricity of the opening in the web depth.

$h_{b}$/$h_{t}$

≤3

≤2

$h_{t}$/$h_{b}$

≥0.5

≥1

Max unstiffend opening length, $l_{o}$

-

≤1.5$h_{o}$ high shear

The limit of the aspect ratio, $l_{o}$/$h_{o}$, limits the deformation across the opening and also tension in the shear connectors. Stricter limis are required for openings in high shear regions.

-

≤2.5$h_{o}$ low shear

Max stiffend opening length, $l_{o}$

-

≤2.5$h_{o}$ high shear

-

≤4$h_{o}$ low shear

Min width of web-post

The design of the web-posts is subject to further checks. It is recommended that stricter limits are adopted for openings in high shear regions,

Low shear regions

≥0.3$h_{o}$

≥0.5$l_{o}$

High shear regions

≥0.4$h_{o}$

≥$l_{o}$

Corner radius of rectangular openings

-

$r_{o}$≥2$t_{w}$

Pre-drilled holes at the corners of the opening ensure no over- cutting and avoid a reduction in local plastic resistance of the Tee.

but $r_{o}$≥15mm

Min width of end-post,$s_{e}$

≥0.5$h_{o}$

≥$l_{o}$ and ≥$h_{o}$

The minimum width of web-post depends also on the type of end connection and the build-up of forces in the shear connectors.

Min horizontal distance to point load

The distance to the point load is measured from the nearer edge of the opening. A separate check is required on web buckling at point load positions.

No stiffeners

≥0.5h

≥h

With stiffeners

≥0.25$h_{o}$

≥0.5$h_{o}$

Fig. 1 Opening position restriction regulation

../../Resources/ksm/jksmi.2021.25.2.66/fig1.png

2. 실험계획 및 방법

2.1 유공 강재보 관련 기준

현재 국내기준에는 의 관련된 내용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대다수의 구조 설계자는 AISC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BS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등의 국외기준을 참고하고, 여기에 경험에 의존하여 강재 유공보의 구조계산 및 검토를 실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내에서 이용되는 국외기준인 Steel and Composite Beams with Web Openings (AISC, 1990)의 주요내용은 Table 1과 같이 강재 유공보 규격과 수평강판 보강에 대하여 기술되어있다. 여기에 Fig. 1과 같이 무보강 유공보인 경우에는 집중하중 재하지점과 개구부 가장자리의 이격이 최소 강재보 단면 높이의 절반(/2) 이상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지지점에서는 강재보 단면 높이() 이상 개구부를 이격하도록 되어있다. 강재 유공보에 강판보강한 경우는 지지점에서 강재보 단면 높이의 절반(/2) 이상 개구부를 이격을 하도록 기술되어있다.

강재 유공보와 관련 기존연구와 구조설계에서는 지지점과 개구부 가장자리의 이격이 강재보 단면 높이() 이상인 경우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격이 단면 높이의 절반(/2) 이상인 경우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한다.

Table 2 Specimen schedules

Name

Opening-Support

distance

[mm]

Reinforcement

method

Opening-Plate

distance

[mm]

CB00-N0

none

-

-

CB15-N1

150

none

-

CB15-V1

150

vertical plate

15

CB15-V0

150

vertical plate

0

CB15-H1

150

horizontal plate

15

CB15-H0

150

horizontal plate

0

../../Resources/ksm/jksmi.2021.25.2.66/tbl2.png

2.2 실험체 계획

Fig. 2 Specimen detail

../../Resources/ksm/jksmi.2021.25.2.66/fig2.png

본 연구에서의 실험체는 Fig. 2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275인 H-300×150×9/6.5을 사용하며, 실험체 지지점과 가력위치까지의 길이 1,395 mm에 여장길이를 포함한 총길이 1620 mm로 한다. 그리고 하중전달을 위하여 실험체의 가력위치에 스티프너(t = 9.0 mm, SS275)를 설치한다.

개구부는 2:1비율인 사각형인 300 mm × 150 mm이며, 강재보 단면 중앙에 위치하고, 지지점에서의 개구부 이격은 강재보 단면 높이 절반(/2)으로 한다. 또한 개구부의 천공은 모서리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Milling 작업을 하여 열융력에 의한 잔류응력이 최소화되도록 제작한다. 개구부 모서리는 응력집중을 완화하기 위하여 곡률(R = 16 mm)형태로 처리한다.

강판보강에 사용되는 강판은 SS275인 두께 9 mm로 하며, 수평 강판보강인 경우는 개구부의 가장자리에서 강판 내민길이를 개구부 폭의 1/4인 75 mm로 한다.

실험체의 가력위치에 설치하는 스티프너와 개구부 주변에 설치하는 보강 강판은 모살용접으로 실험체와 접합한다.

Fig. 3 Specimen schedules

../../Resources/ksm/jksmi.2021.25.2.66/fig3.png

본 연구에서의 실험체는 Table 2Fig. 3과 같이 총 6개로, 무공 강재보와 유공 강재보, 그리고 수직 강판보강 및 수평 강판보강에 대하여 개구부 가장자리와 보강강판 간격 15 mm인 경우와 간격 없는 강판보강 강재보 경우로 나누어 계획한다.

2.3 가력 계획

본 연구에서의 하중가력은 Fig. 4photo 1과 같이 실험체에 휨과 전단이 동시에 작용되도록 1점 집중재하 방식으로 하며 실험체 거치는 실험체를 캔틸레버 형태로 지지 프레임에 고력볼트로 접합한다. 가력장치는 500 kN 용량의 Actuator를 사용한다.

Table 3 Standard loading history

Step

Cycle

Radian

Displacement

[mm]

1

01~06

0.00375

5.23

2

07~10

0.00500

6.98

3

11~14

0.00750

10.46

4

15~18

0.01000

13.95

5

19~20

0.01500

20.93

6

21~22

0.20000

27.90

7

23~24

0.30000

41.85

8

25~26

0.40000

55.80

Fig. 4 Loading plan

../../Resources/ksm/jksmi.2021.25.2.66/fig4.png

Photo 1 Testing set-up of specimen

../../Resources/ksm/jksmi.2021.25.2.66/photo1.png

Fig. 5 Standard loading history

../../Resources/ksm/jksmi.2021.25.2.66/fig5.png

하중가력 방식은 Table 3Fig. 5와 같이 변위제어 방식으로 실험체 지지점과 가력위치까지의 길이 1,395 mm에 대한 각 Step의 Radian 기준에 따라 산정한 변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반복하중을 가력한다. 하중가력은 Seismic Provisions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AISC, 2016)를 참고하여, Step 1은 Cycle 6회, Step 2와 Step 3 및 Step 4에서는 Cycle 4회로 진행하며, Step 5 이후에는 전부 Cycle 2회로 계획한다.

본 실험에서는 하중 가력 시 실험체에 Crack 및 좌굴 발생으로 인한 내력저하가 심화되면 가력을 중지하고 실험을 중지한다.

Table 4 Material experiment results

Name

$F_{y}$

[MPa]

$F_{u}$

[MPa]

$F_{y}/ F_{u}$

$\epsilon$

[%]

$E$

[MPa]

6.5T-1

339.34

463.02

0.733

0.1677

202,349

6.5T-2

349.01

461.36

0.756

0.1645

212,164

6.5T average

344.18

462.19

0.745

0.1661

207,257

9.0T-1

330.51

457.49

0.722

0.1646

200,796

9.0T-2

360.71

468.72

0.770

0.1704

211,684

9.0T average

345.61

463.11

0.746

0.1661

206,240

3. 실험 결과 및 분석

3.1 사용재료의 역학적 성질

본 연구의 재료실험은 실험에 사용된 SS275인 H-300 × 150×9/6.5 강재에서 웨브(6.5 mm)와 플랜지(9.0 mm)에서 2개씩 시험편을 채취하여 KSB0801인 금속재료 인장시험 규정에 따라 제작, 실험을 실시하였다. 재료실험의 결과는 Table 4에 나타내었으며, 이 결과는 추후 실험체의 내력분석 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3.2 실험체의 파괴 및 국부좌굴 양상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험의 실험체별 파괴 및 국부좌굴 양상은 Table 5에 정리하여 나타냈으며, 실험후 각 실험체의 형상은 Photo 2와 같다.

Photo 2 Failure shape of the test specimen

../../Resources/ksm/jksmi.2021.25.2.66/photo2.png

무공 강재보인 CB00-N0 실험체는 step 5에서 지지점 주변 플랜지에서 도장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step 6에서는 지지점 주변 웨브에서 도장 균열이 발생되었다. 이후 step 7에서 베이스플레이트의 국부좌굴이 발생되었다.

유공 강재보인 CB15-N1 실험체에서는 step 2에서 개구부 주변 웨브에서 도장 균열이 발생된 후, step 3에서는 개구부 주변 웨브의 국부좌굴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step 6에서 개구부 주변 플랜지에서 도장 균열과 국부좌굴이 발생되었다. 이는 응력이 개구부 주변 웨브에 먼저 집중된 이후 플랜지에 집중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Table 5 Failure shape of the test specimen

Name

Step

Crack

Local Bucking

CB00-N0

4

Flage

End

5

Web

End

8

Base Plate

CB15-N1

3

Web

Opening

4

Web

Opening

7

Flage

Opening

Flage

Opening

CB15-V1

5

Web

Opening

6

Web

Opening

8

Flage

Opening

Flage

End

CB15-V0

5

Web

Opening

6

Web

Opening

8

Flage

Opening

Flage

End

CB15-H1

4

Web

Opening

6

Flage

Opening

Flage

End

8

Web

Opening

CB15-H0

4

Web

Opening

6

Flage

Opening

Flage

End

8

Web

Opening

수직 강판보강 유공 강재보 실험체(CB15-V1, CB15-V0)는 step 4에서 개구부 주변 웨브에서 도장 균열이 발생된 후, step 5에서는 개구부 주변 웨브의 국부좌굴이 발생되었다. 이후 step 7에서 개구부 주변 웨브의 도장 균열과 지지점 주변의 플랜지의 국부좌굴이 발생되었다.

수평 강판보강 유공 강재보 실험체(CB15-H1, CB15-H0)는 step 3에서 개구부 주변 웨브에서 도장 균열이 발생되었으며, 이후, step 5에서는 개구부 주변 플랜지에서 도장 균열과 지지점 주변의 국부좌굴이 발생되었다. 이후 step 7에서는 개구부 주변 웨브에서 국부좌굴이 발생되었다.

수직 강판보강 유공 강재보 실험체(CB15-V1, CB15-V0)는 국부좌굴이 개구부 주변 웨브에서 발생된 이후 지지점 주변의 플랜지에서 발생되었으나, 수평 강판보강 유공 강재보 실험체(CB15-H1, CB15-H0)에서는 국부좌굴이 지지점 주변의 플랜지에서 발생된 후에 개구부 주변 웨브에서 발생되었다. 이는 강판보강의 위치에 따라 응력집중 부분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3.3 실험체의 실험결과

3.3.1 기본 모델

본 연구의 각 실험체에 대한 실험결과는 반복이력과 단조이력에 대한 하중-변위 곡선으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단조가력 실험을 수행하지 않았으므로 단조이력에 대한 하중-변위 곡선은 반복이력 결과에서 정방향(+)을 기준으로 각 step의 결과에서 최대 하중점을 연결하여 포락선을 만드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항복하중점은 초기강성의 직선과 초기강성구배의 1/3되는 직선을 평행이동 시킨 후 교차점을 구하고 이를 항복점으로 하였다.

Table 6 CB00-N0, CB15-N1 Load and Displacement

Name

Yield load point

Target displacement

step 5

: 20.93 mm

step 7

: 41.85 mm

$\delta_{y}$ [mm]

$P_{y}$ [kN]

Load [kN]

Load [kN]

CB00-N0

21.659

139.326

108.437

148.308

(0.905)

(1.383)

(1.367)

(1.356)

CB15-N1

23.927

100.777

79.318

109.383

(1.000)

(1.000)

(1.000)

(1.000)

※ ( ) : ratio to result of CB15-N1

Table 7 CB00-N0, CB15-N1 Comparison of theory and test results

Name

$M$ : theory [kN·m]

$M$ : test [kN·m]

CB00-N0

127.4

(1.072)

128.9

(1.383)

CB15-N1

118.8

(1.000)

93.2

(1.000)

※ ( ) : ratio to result of CB15-N1

Fig. 6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 1

../../Resources/ksm/jksmi.2021.25.2.66/fig6.png

무공 강재보인 CB00-N0 실험체와 유공 강재보인 CB15 -N1 실험체에 대한 실험결과는 Fig. 6Table 6에 나타냈다.

유공 강재보인 CB15-N1 실험체의 항복하중은 Step 5에서 79.318 kN, 최대하중은 Step 7에서 109.383 kN으로 측정되었다. CB15-N1 실험체에 비하여 CB00-N0 실험체의 하중비는 Step 5에서 1.367이며, Step 7에서는 1.356으로 평가되었다.

Fig. 7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 2

../../Resources/ksm/jksmi.2021.25.2.66/fig7.png

유공 강재보인 CB15-N1 실험체의 Step 5와 Step 7 결과와 다른 실험체들의 Step 5와 Step 7 결과를 비교하였다.

Table 8 CB15-N1, CB15-V1, CB15-V0 Load and Displacement

Name

Yield load point

Target displacement

step 5

: 20.93 mm

step 7

: 41.85 mm

$\delta_{y}$ [mm]

$P_{y}$ [kN]

Load [kN]

Load [kN]

CB15-N1

23.927

100.777

79.318

109.383

(1.000)

(1.000)

(1.000)

(1.000)

CB15-V1

16.536

97.938

87.669

110.741

(0.691)

(0.972)

(1.105)

(1.012)

CB15-V0

23.003

100.285

79.201

108.299

(0.961)

(0.995)

(0.999)

(0.990)

※ ( ) : ratio to result of CB15-N1

무공 강재보인 CB00-N0 실험체와 유공 강재보인 CB15 -N1 실험체에 대하여 이론에 의한 단면의 최대모멘트내력과 실험결과를 이용한 항복점에서의 모멘트 내력을 비교한 것을 Table 7에 나타냈다. 내력비가 이론에서는 약 7% 차이가 나지만 실험에서는 약 38%로 내력감소가 컸다.

3.3.2 수직 강판보강 모델의 실험결과

수직 강판보강 강재보인 CB15-V1 실험체와 CB15-V0 실험체에 대한 실험결과는 Fig. 7Table 8에 나타냈다.

Table 9 CB15-N1, CB15-H1, CB15-H0 Load and Displacement

Name

Yield load point

Target displacement

step 5

: 20.93 mm

step 7

: 41.85 mm

$\delta_{y}$

[mm]

$P_{y}$

[kN]

Load

[kN]

Load

[kN]

CB15-N1

23.927

100.777

79.318

109.383

(1.000)

(1.000)

(1.000)

(1.000)

CB15-H1

22.253

116.244

98.812

125.374

(0.930)

(1.153)

(1.246)

(1.146)

CB15-H0

21.986

124.243

96.703

130.608

(0.919)

(1.233)

(1.219)

(1.194)

※ ( ) : ratio to result of CB15-N1

Table 10 Energy absorption capacity and residual displacement at step 8

Name

Energy absorption capacity

[kN·m]

Residual Displacement

- Displacement with zero load -

[mm]

-

+

Total

CB00-N0

6.962

(0.712)

-24.909

22.112

47.021

(0.778)

CB15-N1

9.780

(1.000)

-29.639

30.815

60.454

(1.000)

CB15-V1

9.815

(1.004)

-29.458

28.588

58.046

(0.960)

CB15-V0

10.151

(1.038)

-29.912

29.243

59.155

(0.979)

CB15-H1

9.480

(0.969)

-26.676

27.065

53.741

(0.889)

CB15-H0

8.568

(0.876)

-25.271

24.868

50.139

(0.829)

※ ( ) : ratio to result of CB15-N1

CB15-N1 실험체에 비하여 CB15-V1 실험체와 CB15-V0 실험체의 하중비가 Step 5에서 1.105와 0.999이며, Step 7에서는 1.012와 0.990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하중 측면에서는 수직 강판보강은 보강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3.3.3 수평보강 모델의 실험결과

수평 강판보강 강재보인 CB15-H1 실험체와 CB15-H0 실험체에 대한 실험결과는 Fig. 8Table 9에 나타냈다.

Fig. 8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 1

../../Resources/ksm/jksmi.2021.25.2.66/fig8.png

CB15-N1 실험체에 비하여 CB15-H1 실험체와 CB15-H0 실험체의 하중비가 Step 5에서 1.246와 1.219이며, Step 7에서는 1.146와 1.194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하중 측면에서 무공 강재보인 CB15-N1 실험체보다는 부족하지만 보강효과는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Step 5 이후 CB15-H0 실험체가 CB15 -H1 실험체보다 하중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는 보강강판과 개구부 가장자리의 간격 없이 강판보강한 효과로 판단된다.

3.3.4 에너지 흡수능력과 잔류변형의 비교

각 실험체의 실험결과에서 반복하중에 대한 하중-변위의 그래프 내의 면적을 산정하여 에너지 흡수능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에너지 흡수능력과 함께 하중이 Zero일 때의 변위인 잔류변형과 비교하여 Fig. 9Table 10에 나타내었다.

Fig. 9 Energy absorption capacity and residual displacement at step 8

../../Resources/ksm/jksmi.2021.25.2.66/fig9.png

유공 강재보인 CB15-N1 실험체에 대한 Step 8의 결과와 비교한 에너지 흡수능력비는 수직 강판보강 강재보인 CB15- V1, CB15-V0 실험체가 1.004, 1.038로 약간이지만 증가되었으며, 수평 강판보강 강재보인 CB15-H1, CB15-H0 실험체는 0.969, 0.876으로 에너지 흡수능력 비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잔류변형비는 유공 강재보인 CB15-N1 실험체보다 다른 실험체들이 작게 평가되었다. 무공 강재보인 CB00-N0 실험체에서는 에너지 흡수능력비보다 잔류변형비가 크게 평가되지만 강판보강 실험체는 잔류변형비가 에너지 흡수능력비보다 작게 평가되었다.

4. 결 론

본 연구는 지지점과 개구부의 이격이 강재보 높이보다 가까운 유공 강재보와 여기에 강판보강한 실험체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무공, 유공 강재보 실험체의 실험결과의 동일 Step에서 하중비의 차이가 약 35%정도 유공 강재보가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이론에 의한 단면의 최대모멘트내력과 실험결과의 항복점의 모멘트내력을 비교해보면, 내력비의 차이가 이론에서는 약 7%이지만, 실험에서는 약 38%로 내력감소가 컸다. 이는 개구부로 인한 웨브의 단면 손실로 인한 모멘트내력의 저하 정도가 개구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개구부에 대한 수직 강판보강은 보강강판과 개구부 가장자리의 간격의 유무와 관계없이 내력에 대한 보강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수평 강판보강은 최대 24% 하중비가 증가되어 내력에 대한 보강효과가 있었고, 항복 이후에는 보강강판과 개구부 가장자리의 간격의 없는 것이 있는 것보다 하중비가 크므로, 수평 강판보강의 보강강판과 개구부 가장자리의 간격의 유무는 보강효과 증대의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4) 에너지 흡수능력은 수직 강판보강한 강재보가 유공 강재보보다 0.4~3.8%정도로 유사하였으며 잔류변형도 –2.1 ~ -4%정도로 유사하게 평가되었다. 내력에 대한 보강효과가 있는 수평 강판보강한 강재보는 유공 강재보보다 에너지 흡수능력이 –12.4 ~ -3.1%정도 작았으며, 잔류변형도 –17.1 ~ -11.1%정도로 작게 평가되었다.

5) 각 실험체의 반복이력에 대한 하중-변위 곡선에서 가력하중 방향이 변경되는 구간에서 강성이 감소되었는데,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좌굴과 고정 볼트의 슬립 등이 원인으로 사료된다. 이로 인하여 수평 강판보강 강재보가 무보강 유공 강재보보다 에너지 흡수량이 작았다.

지지점과 개구부 가장자리의 이격이 강재보 높이보다 가까운 위치일 경우의 유공 강재보는 내력보강과 에너지 흡수능력(소성변형 능력)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0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

(No. NRF-2018R1D1A1B07049559)

References

1 
Bower, J. E. (1968), Ultimate Strength of Beams with Rectangular Holes, ASCE, 94(ST6), 1315-1337.DOI
2 
Redwood, R. G. (1978), Ultimate Strength of Beams with Rectangular Holes, ASCE, 94(ST6), 1315-1337.Google Search
3 
Redwood, R. G. (1979), Critical Loads for Webs with Holes, ASCE, 105(ST10), 2053-2067.DOI
4 
Darwin, (1990), Steel and Composite Beams with Web Openings, Report, University of Kansas CenterGoogle Search
5 
AISC, (2003), Steel and Composite Beams with Web Openings, AISC, Inc.Google Search
6 
Kim, K. S. (1980), A Study on the Structural Rigidity of H-Shape Steel Beam with Hole in Web,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1), 57-60.Google Search
7 
Lee, S. J. (1995), Ultimate Load Capacity of Composite Beams with Upper Web Opening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6), 137-143.Google Search
8 
Lee, E. T. (2003), Local Buckling and Plastic Behavior of Perforated Steel Members under Cyclic Loading,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11), 23-32.Google Search
9 
AISC, (2016), Seismic Provisions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AISC, Inc.Google Search
10 
Han, D. H., Yoon, S. K. (2020),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Openings at End Steel Beams,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4(6), 138-145.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