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건양대학교 해외건설플랜트학과 교수
  2. 정회원,건양대학교 공공안전연구소 연구교수, 교신저자
  3. 학생회원,건양대학교 재난안전공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4. 정회원,전주비전대학교 지적토목학과 겸임교수



강섬유, 탄소섬유,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모르타르, 휨성능, 주사전자현미경(SEM)
Steel fiber, Carbon fiber, Hybrid fiber-reinforced mortar, Flexural performanc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1. 서 론

시멘트 기반 복합재료는 우수한 압축강도로 인해 지금까지 건축물 및 토목구조물에 주요 건설재료로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왔다(Kwon et al., 2017; Belie et al., 2018). 그러나 시멘트 기반 복합재료는 휨·인장강도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변형성능이 낮다는 잘 알려진 2가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불연속적이고 단상인 섬유 소재를 시멘트 복합재료 속에 불규칙하게 분산시켜 넣은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s, FRCC)에 관한 연구 및 검토가 지속되고 있다(ACI Committe 544, 1999; Naaman, 2002; Brandt, 2008). 아울러, 보강 섬유는 크기(길이와 직경)에 따라 마이크로 및 매크로 섬유로 구분된다. 마이크로 섬유는 길이 5∼10 mm, 직경 7∼30 μm 크기를 가지며 재질에 따라 탄소섬유, 유리섬유 및 현무암섬유 등이 있으며, 반면에 매크로 섬유는 길이 25∼60 mm, 직경 0.2∼0.8 mm 크기로 강섬유 및 합성섬유 등으로 구분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는 단일 섬유에 국한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재료특성이 다른 2가지 종류 이상의 섬유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사용한 단일 섬유가 발휘할 수 없는 효과를 극대화하는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 왔다(Banthia and Soleimani., 2005; Pakravan et al., 2017; Son et al., 2017). 재료특성이 다른 하이브리드 섬유보강의 경우 단일 섬유 보강만으로 얻을 수 없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균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와 휨인성을 동시에 증가시켜 역학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섬유와 매크로 섬유를 하이브리드화 시켜 보강하는 가장 큰 이유는 마이크로 섬유에 의한 강도증진과 매크로 섬유에 의한 인성증진 효과를 동시에 얻기 위함이다.

최근, 고강도ㆍ고탄성 보강섬유 재료개발에 따른 다른 2가지 이상의 섬유를 혼합사용한 고성능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모르타르(fiber-reinforced mortar, FRM)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섬유혼입률이 부피에 의한 2.0% 이상의 섬유보강 고인성 시멘트 복합재료 개발에 집중되어 왔다(Choi et al., 2015; Fantilli et al., 2018). 강 및 탄소 섬유를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는 FRM의 강도와 휨인성 향상 측면에서 효과적이지만, 이들 섬유들의 적절한 혼합비율에 대한 정보는 아직도 제한적이다. 오늘날 시장이 요구하는 다양한 기능성 시멘트 복합재료의 개발을 위해서는 하이브리드화한 FRM의 강도와 휨인성 향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일 FRM만으로 얻을 수 없는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해, 다른 재료특성을 갖는 강 및 탄소 섬유를 혼합사용한 강도와 휨인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하이브리드 FRM의 혼합비율을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 또는 탄소 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와 강 및 탄소 섬유를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의 압축 및 휨성능(휨강도와 인성)을 플레인 모르타르와 비교, 검토하였다. 게다가 강도 시험 후 파단된 단일 FRM 시편과 하이브리드 FRM 시편의 SEM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2. 실험개요 및 방법

2.1 실험계획

본 연구에서는 강 또는 탄소 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와 강 및 탄소 섬유를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의 압축 및 휨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계획을 수립하였다. 모르타르 시편은 총 섬유혼입률 1.0%에서 부피에 의한 강섬유와 탄소섬유가 1+0%, 0.75+0.25%, 0.5+0.5%, 0.25+0.75% 및 0+1%의 비율로 각각 혼합사용한 5가지 수준과 섬유가 없는 플레인 모르타르로 구분하였다. 모르타르 제작을 위하여 압축강도 시험용 40×40×160 mm 크기의 각주형 공시체 3개씩과 휨성능 시험용 100×100×400 mm 크기의 보 시편 3개씩 제작하였다. 실험사항으로 재령 28일에서 압축강도를 측정토록 계획하였으며, 휨성능 시험을 통해 하중-처짐 관계 곡선으로부터 휨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경화된 단일 FRM와 하이브리드 FRM의 파단면을 관찰하기 위해 SEM 촬영을 계획하였다.

2.2 사용재료

본 실험에 사용한 시멘트는 S사 제품의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비중은 3.13이고 분말도는 3,860 ㎠/g이다. 잔골재는 균질한 모르타르를 만들기 위해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에서 생산된 주문진산 표준사를 사용하였다. 표면건조포화상태 잔골재의 비중은 2.65이었다. 혼화제는 국내 D사 제품의 폴리카르복실산계로써, 액상이고 비중이 1.04, pH 5.0±1.5인 연황색의 고성능 AE감수제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강섬유는 지름이 0.5 mm, 길이 30 mm이고, 인장강도는 1,100 MPa이다. 강섬유는 국내 K사의 제품으로 양단이 갈고리 형태인 양단 후크형(hooked-end type)을 사용하였고, 재료투입이 용이하도록 여러 가닥을 서로 부착하여 만든 bundle type을 이용하였다. 한편, 탄소섬유는 지름이 0.007 mm, 길이 6 mm이고, 인장강도와 탄성계수는 각각 4,900 MPa와 230 GPa이다. 아크릴계나이트(polyacrylonni-trile, PAN)를 원료로 하여 만든 일본의 T사에서 제조한 것이다. 탄소섬유의 경우 강섬유에 비해 인장강도가 상당히 높고, 섬유 길이는 짧지만 형상비는 큰 특징이 있다. 본 실험에 사용된 강섬유와 탄소섬유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1과 같으며, Fig. 1은 본 연구에 사용된 섬유의 모습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 1 Appearance of fibers used in this study
../../Resources/ksm/jksmi.2021.25.5.48/fig1.png
Table 1 Properties of steel and carbon fibers

Characteristics

Steel fiber

Carbon fiber

Shape

Hooked-end

Straight

Length, 𝑙(mm)

30

6

Diameter, d(mm)

0.5

0.007

Aspect ratio(𝑙/d)

60

857

Density(kg/㎥)

7,850

1,800

Tensile strength(MPa)

1,100

4,900

Elastic modulus(GPa)

> 210

230

Elongation(%)

> 3.5

2.1

2.3 배합설계 및 시편제작

단일 섬유, 하이브리드 섬유 및 플레인 모르타르의 배합 및 시편명칭은 Table 2와 같다. 물-시멘트비(W/C)는 0.46로 설정하였으며, 모르타르의 배합은 시멘트:표준사:배합수=1:2:0.46의 비율로 하였다. 이때, 굵은 골재는 사용하지 않았다. 혼화제의 첨가량은 탄소섬유의 분산성 향상과 작업성을 고려한 폴리카르복실산계 고성능 감수제(superplasticizer, SP)를 시멘트 질량의 1.5%로 사용하였으며, 플레인 모르타르 및 강섬유의 경우 별도의 혼화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강 또는 탄소 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 시편의 명칭은 SF1CF0-(1,2,3)∼SF0CF1-(1,2,3)로 표시하였으며, 섬유가 없는 플레인 모르타르 시편의 명칭은 PM-(1,2,3)로 표시하였다. 또한, 강 및 탄소 섬유를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의 경우 시편의 명칭은 SF0.75CF0.25-(1,2,3), SF0.5CF0.5-(1,2,3) 및 SF0.25CF0.75-(1,2,3)로 표시하였으며, 강섬유와 탄소섬유의 혼합비율이 각각 0.75+0.25%, 0.5+0.5% 및 0.25+0.75% 경우이다. 모르타르의 혼합은 먼저 시멘트와 잔골재를 투입하고, 저속으로 30초 동안 실시하였다. 섬유의 분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섬유를 투입하여 건비빔으로 90초 동안 추가 혼합하였다. 이후 배합수와 혼화제를 투입하고 즉시 90초 동안 혼합하였다. 30초간 정지 후 붙은 모르타르를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다시 믹서기를 작동시켜 고속으로 60초 동안 혼합하였다. 총 혼합 시간은 5분 정도 소요되었다. 균일한 모르타르를 만들기 위해 표층을 평평하게 고르고 난 후 몰드 옆면을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약 25회 정도 타격하여 표면의 요철이 없이 평평하게 될 때까지 충분히 다졌다. 또한, 몰드 제작 후 모든 시편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 시트로 덮고 48시간 이내에 몰드를 탈형하여 양생온도 20±2oC에서 28일 동안 수중양생을 실시하였다.

Table 2 Mix proportions and specimen designations of mortar

Designations of

specimen

Mixture type

Total volume fraction(%)

Fiber mix proportion

by volume (%)

W/C

C/S

ratio

Unit weight (kg/㎥)

SP

(C×%)

Steel fiber

Carbon fiber

W

C

S

SF1CF0-(1,2,3)

Single fiber(steel)

1.0

1

0

0.46

1:2

297

645

1,290

-

SF0.75CF0.25-(1,2,3)

Hybrid fiber

(steel+carbon)

0.75

0.25

1.5

SF0.5CF0.5-(1,2,3)

0.5

0.5

SF0.25CF0.75-(1,2,3)

0.25

0.75

SF0CF1-(1,2,3)

Single fiber(carbon)

0

1

PM-(1,2,3)

Plain

-

-

-

-

* W/C : Water to cement ratio, C/S : Cement to fine aggregate ratio, SP : Superplasticizer

2.4 실험방법

2.4.1 휨성능 시험

휨성능 시험은 ASTM C 1609(2012) 및 국내규정인 KS F 2566(2014)에서 제시한 100×100×400 mm 크기의 보 시편을 제작하여 모두 재령 28일에서 휨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Fig. 2(a)은 하중과 변위조절이 가능한 본 실험에 사용된 2500 kN 용량의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UTM)이며, Fig. 2(b)은 데이터 계측시스템의 설치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휨성능 시험은 3등분점으로 가력하였으며, 처짐과 파괴하중은 시편의 양쪽 측면 중앙부에 설치된 2개의 변위계(linear variable displacement transducer, LVDT)를 이용하여 처짐량과 파괴하중을 측정하였다. 처짐속도는 분당 지간 길이의 1/1,500에서 시편이 파괴될 때까지 0.2 mm/min의 일정한 속도에서 변위제어로 하중을 재하하였으며, 하중은 850 kN 용량의 로드셀을 통하여 측정되었다. 휨강도는 최대하중에서 식(1)과 같이 구하였다.

(1)
$f_{r}=\dfrac{PL}{bh^{2}}$

여기서, fr는 휨강도(MPa), P는 최대하중(N), L은 지간 길이(mm), b는 파괴 단면의 평균 폭(mm), h는 파괴 단면의 평균 높이(mm)이다.

휨인성(에너지 흡수능력)은 ASTM C 1609(2012) 및 국내규정인 KS F 2566(2014)에서 제시하는 처짐이 지간 길이의 1/150되기까지 하중-처짐 곡선 아래 면적의 총합을 누적하여 산정한다. 휨인성으로 측정된 하중-처짐 곡선 아래의 면적은 식(2)으로 계산하여 등가휨강도를 평가하고 있다. 등가휨강도는 하중-처짐 곡선에서 주어진 처짐(지간 길이의 1/150)에서의 평균 휨강도로 나타내는 것으로, 최대휨강도 이후의 변형-연화(strain-softening) 또는 변형-경화(strain-hardening) 거동 현상에 의한 하중유지능력인 휨인성을 평가하는데 지표로 사용된다. 3등분점 휨성능 시험에서의 등가휨강도는 식(2)와 같이 계산되어지며, Fig. 3은 등가휨강도의 산출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2)
$f'_{r}=\dfrac{A_{b}}{\delta_{tb}}\times\dfrac{L}{bh^{2}}$

여기서, f'$_{r}$ 은 등가휨강도(MPa), δtb는 지간 길이의 1/150의 처짐(mm), L은 지간 길이(mm), b는 파괴 단면의 평균 폭(mm), h는 파괴 단면의 평균 높이(mm), Ab는 하중-처짐 곡선에서 δtb까지의 면적(J, kNㆍmm)이다.

Fig. 2 Set-up for compressive and flexural performance test
../../Resources/ksm/jksmi.2021.25.5.48/fig2.png
Fig. 3 Calculation concept of equivalent flexural strength
../../Resources/ksm/jksmi.2021.25.5.48/fig3.png

2.4.2 보 시편의 휨성능 평가방법

Fig. 4ASTM C 1609(2012) 및 국내규정인 KS F 2566(2014)에서 제시된 그래프이며, 보 시편의 휨성능을 얻기 위한 하중-처짐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Fig.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휨인성은 처짐이 지간 길이의 1/600 및 1/150일 때까지 하중-처짐 곡선의 아래 면적의 총합을 누적하여 하중유지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간 길이의 1/600 및 1/150에 해당하는 처짐 값에 대해 하중-처짐 곡선으로부터 각각의 하중 값 P$_{600}$과 P$_{150}$을 읽고, 그 값을 휨강도 산정식 (1)에 대입하여 f$_{600}$과 f$_{150}$을 구한다. 처짐이 지간 길이의 1/600(0.5 mm)에서 측정한 휨인성 T$_{600}$이며, 지간 길이의 1/150인 기준처짐(δtb=2 mm)에서 측정한 휨인성 T$_{150}$이다.

Fig. 4 Load-deflection curve for flexural performance test
../../Resources/ksm/jksmi.2021.25.5.48/fig4.png

2.4.3 압축 시험

압축강도 시험은 KS L ISO 679(2016).의 시험방법에 따라 몰드를 제작하여 재령 28일에서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양생이 완료된 40×40×160 mm 크기의 각주형 시편은 100 kN 용량의 만능재료시험기(MTDI Co., Ltd, Korea, UT-100F)를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재하속도는 2400 N/s의 조건에서 일정한 속도로 가력하였다. Fig. 2(c)은 압축강도의 측정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2.4.4 SEM 관찰

본 연구에서는 단일 FRM와 하이브리드 FRM의 섬유와 매트릭스 사이의 미세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SEM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장비는 TESCAN사의 MIRA LMH 고분해능 SEM 모델명을 사용하였다. 강도시험 후 경화된 시편을 분쇄하여 획득한 섬유를 건조하여 진공상태에서 백금으로 코팅한 후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3. 실험결과 및 분석

3.1 강도 및 휨인성

3.1.1 압축강도

Table 3Fig. 5는 각 시편의 단일 FRM와 하이브리드 FRM의 압축강도 시험결과를 플레인 모르타르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Table 3Fig.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령 28일에서 플레인 모르타르의 평균 압축강도는 45.9 MPa이었고, 강 또는 탄소 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의 평균 압축강도는 각각 45.3 MPa, 35.6 MPa로 측정되었다. 하지만 강섬유 0.75% + 탄소섬유 0.25%로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의 경우 평균 압축강도가 46.9 MPa로 측정되어 본 실험에서 미소하게 가장 큰 압축강도를 얻었으며, 또한 플레인 모르타르에 비해 동등 이상의 압축강도를 발현하였다. 이와 같이 탄소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압축강도가 증가 되는 이유는 매크로 강섬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와 직경이 작은 마이크로 탄소섬유로 보강하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강섬유 0.75% + 탄소섬유 0.25%로 혼합사용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종류는 플레인 모르타르에 비해 압축강도가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탄소섬유가 증가할수록 강도가 상당히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탄소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의 평균 압축강도는 35.6 MPa 정도로 나타내, 결과적으로 플레인 모르타르에 비해 약 22.4% 정도 상당히 감소하였다. 이는 탄소섬유는 섬유표면의 비 친수성 물질 때문에 경화 후의 모르타르 내에서 섬유와 매트릭스 사이이 계면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강도가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 연구에서도 보고되었으며(Dehghani and Aslani, 2020; Heo et al., 2020), 다량의 섬유 사용 시 섬유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더욱더 섬유뭉침(fiber balling)이나 덩어리(clumping)가 발생하여 압축강도 저하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최대 압축강도 얻기 위한 최적의 혼합비율은 강섬유 0.75% + 탄소섬유 0.25%이다. 결과적으로 강섬유 0.75% + 탄소섬유 0.25%로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가 압축강도 확보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혼합비율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Table 3 Test results of compressive strength

Designations

of specimen

Mixture

type

Total volume fraction

(%)

Fiber mix proportion by volume(%)

Compre-

ssive

strength

(MPa)

Ave.

(MPa)

Steel

fiber

Carbon

fiber

SF1CF0-1

Single

fiber

(steel)

1.0

1

0

45.0

45.3

SF1CF0-2

46.4

SF1CF0-3

44.4

SF0.75CF0.25-1

Hybrid

fiber

(steel+

carbon)

0.75

0.25

46.1

46.9

SF0.75CF0.25-2

47.6

SF0.75CF0.25-3

47.1

SF0.5CF0.5-1

0.5

0.5

43.0

45.7

SF0.5CF0.5-2

47.5

SF0.5CF0.5-3

46.5

SF0.25CF0.75-1

0.25

0.75

38.6

40.2

SF0.25CF0.75-2

Single

fiber

(carbon)

41.4

SF0.25CF0.75-3

40.7

SF0CF1-1

0

1

37.6

35.6

SF0CF1-2

33.8

SF0CF1-3

35.5

PM-1

Plain

-

-

-

46.8

45.9

PM-2

45.0

PM-3

45.8

Fig. 5 Vari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test results of each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1.25.5.48/fig5.png

3.1.2 휨성능

각 시편의 단일 FRM와 하이브리드 FRM의 휨강도 및 인성 시험결과를 플레인 모르타르와 비교, 정리하면 Table 4와 같으며, Fig. 6은 각 시편의 휨강도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4Fig. 6에서 알 수 있듯이 재령 28일에서 플레인 모르타르의 평균 휨강도는 3.09 MPa 이었고, 강 또는 탄소 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의 평균 휨강도는 각각 5.85 MPa과 4.96 MPa로 측정되었다. 강섬유 0.75% + 탄소섬유 0.25%로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의 경우 평균 휨강도가 7.68 MPa로 가장 높았으며, 플레인 모르타르에 비해 약 248% 향상된 높은 휨강도를 보여주었다. 아울러, 강섬유 0.75% + 탄소섬유 0.25%와 강섬유 0.5% + 탄소섬유 0.5%로 혼합사용한 평균 휨강도는 강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의 평균 휨강도에 비해 각각 약 31.3% 및 28.2% 정도 증가하였다. 한편 강섬유 0.25% + 탄소섬유 0.75%로 혼합사용한 평균 휨강도는 5.88 MPa로 강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와 거의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탄소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의 휨강도는 다소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 연구에서도 보고되었으며(Dehghani and Aslani, 2020; Heo et al., 2020), 보강섬유는 브리징(bridging) 작용에 의해 균열의 진전을 막아주고 응력의 재분배를 통한 휨강도를 향상시켰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길이와 직경이 큰 매크로 강섬유와 길이와 직경이 작은 마이크로 탄소섬유의 혼합사용을 통해 섬유혼입률이 적더라도 적절한 비율로 혼합 사용하면 휨강도 증가로 섬유보강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최대휨강도 얻기 위한 최적의 혼합비율은 강섬유 0.75% + 탄소섬유 0.25%이다. 결과적으로 강섬유 0.75% + 탄소섬유 0.25%로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가 휨강도 확보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혼합비율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Fig. 7은 각 시편의 휨인성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령 28일에서 플레인 모르타르 시편의 경우 최대하중 이후 취성적인 파괴거동으로 인해 평균 휨인성은 1.2 J이었고, 강섬유 또는 탄소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의 평균 휨인성은 각각 27.7 J와 8.12 J로 측정되었다. 강섬유 0.5% + 탄소섬유 0.5%로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의 경우 평균 휨인성은 32.7 J로 가장 높았으며, 플레인 모르타르와 탄소섬유 또는 강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에 비해 각각 약 27.2배, 3.99배 및 1.18배 높게 나타났다. 플레인 모르타르에 비해, 모든 FRM는 상당히 높은 에너지 흡수능력을 보였다. 하지만 강섬유 0.75% + 탄소섬유 0.25%로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의 경우 휨강도는 가장 높지만, 균열 후 하중유지능력 저하로 휨인성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섬유 0.5% + 탄소섬유 0.5%로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의 경우 휨강도는 약간 낮지만, 균열 후 휨인성이 크게 향상되어 하중유지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최대 휨인성을 얻기 위한 최적의 혼합비율은 강섬유 0.5% + 탄소섬유 0.5%이다. 결과적으로 강섬유 0.5% + 탄소섬유0.5%로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가 강도와 휨인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혼합비율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이 높은 변형능력을 지닌 하이브리드 FRM는 지진, 충격 또는 폭발하중, 풍하중 등과 같은 동적하중이 요구되는 구조물에 적절히 보강한다면 더욱더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Fig. 6 ariation of flexural strength test results of each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1.25.5.48/fig6.png
Fig. 7 Variation of flexural toughness measurement results of each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1.25.5.48/fig7.png
Table 4 Test results of flexural strength and toughness

Designations of specimen

Mixture

type

Total volume fraction(%)

Fiber mix proportion by volume(%)

Maximum

load

(kN)

Maximum flexural strength

(MPa)

Average flexural strength

(MPa)

Flexural toughness

(J)

Average flexural

toughness

(J)

Steel fiber

Carbon fiber

SF1CF0-1

Single fiber

(steel)

1.0

1

0

19.3

5.79

5.85

26.5

27.7

SF1CF0-2

19.9

5.97

29.4

SF1CF0-3

19.3

5.79

27.2

SF0.75CF0.25-1

Hybrid fiber

(steel+

carbon)

0.75

0.25

27.2

8.16

7.68

31.7

30.4

SF0.75CF0.25-2

24.0

7.20

29.3

SF0.75CF0.25-3

25.6

7.68

30.1

SF0.5CF0.5-1

0.5

0.5

25.0

7.50

7.50

29.4

32.7

SF0.5CF0.5-2

24.8

7.44

35.7

SF0.5CF0.5-3

25.2

7.56

33.0

SF0.25CF0.75-1

0.25

0.75

21.4

6.42

5.88

19.5

17.8

SF0.25CF0.75-2

17.8

5.34

15.5

SF0.25CF0.75-3

19.6

5.88

18.4

SF0CF1-1

Single fiber

(carbon)

0

1

16.1

4.83

4.96

(8.5)

(8.2)

SF0CF1-2

17.0

5.10

(7.9)

SF0CF1-3

16.5

4.95

(8.2)

PM-1

Plain

-

-

-

9.8

2.94

3.09

(1.4)

(1.2)

PM-2

10.8

3.24

(1.0)

PM-3

10.3

3.09

(1.2)

* ( ) : Indicates the value destroyed when the span did not reach 1/150(2 mm)

3.1.3 등가휨강도/ 비와 잔류휨강도/ 비

등가휨강도는 전체 휨응력과 처짐 곡선의 아래 면적을 평균 내어 나타낸 값으로써 전체적인 휨성능을 파악하는데 사용되어지는 그래프이다. 등가휨강도는 하중-처짐 곡선에서 지간 길이의 1/150인 잔류휨강도까지의 응력변화를 평균하여 등가의 휨강도로 변환한 것을 의미한다. 등가휨강도 비라는 것은 등가휨강도를 최대휨강도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이러한 등가휨강도 비를 통해 시편에 처음 응력이 발생했을 때부터 잔류휨강도까지의 평균 강도 값을 판정하여 처짐이 발생하는 동안의 평균 강도 값과 최대강도와의 비를 파악하여 하중유지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 잔류휨강도는 균열이 발생한 이후 시편의 단면이 견딜 수 있는 휨강도이며, 하중-처짐 곡선에서 지간 길이의 1/150에서 측정한 응력을 처짐에 대한 잔류휨강도라 한다. 잔류휨강도 비라는 것은 하중-처짐 곡선에 의해 구한 기준처짐(δtb)에서의 잔류하중으로부터 잔류휨강도 값을 산정하여 최대휨강도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이러한 잔류휨강도 비를 통해 시편의 처짐이 진행됨에 따라 얼마나 강도가 감소하게 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국내의 터널설계기준 및 한국도로공사 품질기준에 규정된 휨인성을 나타내는 재령 28일에서의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의 등가휨강도는 3.0MPa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등가휨강도 및 잔류휨강도를 얻기 위해 ASTM C 1609(2012) 및 국내규정인 KS F 2566(2014)에서 제시된 산정식을 토대로 계산하였다. 식(1)을 이용하여 최대휨강도 및 잔류휨강도를 각각 구하고, 식(2)을 통해 기준처짐(δtb=2 mm)까지의 평균 강도인 등가휨강도와 잔류휨강도를 각각 구하였다. 이들로부터 최대휨강도와 잔류휨강도에 대한 등가휨강도 비와 잔류휨강도 비를 구하여 비교, 정리하면 Table 5와 같으며, Fig. 8은 각 시편의 등가휨강도와 잔류휨강도 산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5Fig. 8에서 알 수 있듯이 플레인 모르타르와 탄소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의 경우 취성적인 파괴거동으로 인해 기준처짐(δtb=2 mm)에 도달하지 못하고 파괴되었으며, 반면에 강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와 하이브리드 FRM의 경우 연성 거동으로 인해 기준처짐(δtb=2 mm) 이상에서 파괴되었다. 특히, 강섬유 0.5% + 탄소섬유 0.5%로 혼합사용한 SF0.5CF0.5-2 시편의 경우 가장 높은 등가휨강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초기 균열발생 시 탄소섬유가 강섬유와 같이 응력을 부담하며, 균열 후에는 강섬유가 응력을 부담하게 되어 강섬유가 부담하는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더 높은 등가휨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플레인 모르타르와 탄소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의 잔류휨강도는 얻을 수 없었으며, 강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와 강섬유 0.75% + 탄소섬유 0.25% 및 강섬유 0.5% + 탄소섬유 0.5%로 혼합사용한 경우 높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편 파괴 시 탄소섬유에 비해 강섬유가 균열 억제 효과와 변형능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일 FRM와 하이브리드 FRM를 플레인 모르타르와 비교하였을 때, 최대휨강도, 등가휨강도 및 잔류휨강도 모두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섬유 0.5% + 탄소섬유 0.5%로 혼합사용한 SF0.5CF0.5-2 시편의 등가휨강도는 25.5∼35.7배 정도 증가하였다.

Fig. 8 Variation of calculation results of equivalent flexural strength and residual flexural strength
../../Resources/ksm/jksmi.2021.25.5.48/fig8.png
Table 5 Calculation results of equivalent flexural strength and residual flexural strength

Designations of specimen

Mixture

type

Total volume fraction(%)

Fiber mix proportion

by volume(%)

f$_{r}$

(MPa)

(1)

f'$_{r}$

(MPa)

(2)

f'$_{r}$/f$_{r}$

(2)/(1)

R$_{r}$

(MPa)

(3)

R$_{r}$/f$_{r}$

(3)/(1)

Steel fiber

Carbon fiber

SF1CF0-1

Single fiber

(steel)

1.0

1

0

5.79

3.97

0.69

2.88

0.50

SF1CF0-2

5.97

4.41

0.74

3.30

0.55

SF1CF0-3

5.79

4.08

0.70

2.94

0.51

SF0.75CF0.25-1

Hybrid fiber

(steel+carbon)

0.75

0.25

8.16

4.76

0.58

3.12

0.38

SF0.75CF0.25-2

7.20

4.40

0.61

2.88

0.40

SF0.75CF0.25-3

7.68

4.51

0.59

3.09

0.40

SF0.5CF0.5-1

0.5

0.5

7.50

4.41

0.59

2.96

0.40

SF0.5CF0.5-2

7.44

5.36

0.72

3.51

0.47

SF0.5CF0.5-3

7.56

4.95

0.65

3.45

0.46

SF0.25CF0.75-1

0.25

0.75

6.42

2.93

0.46

1.44

0.22

SF0.25CF0.75-2

5.34

2.33

0.44

1.32

0.25

SF0.25CF0.75-3

5.88

2.76

0.47

1.26

0.21

SF0CF1-1

Single fiber

(carbon)

0

1

4.83

(1.28)

(0.26)

-

-

SF0CF1-2

5.10

(1.19)

(0.23)

-

-

SF0CF1-3

4.95

(1.23)

(0.25)

PM-1

Plain

-

-

-

2.94

(0.21)

(0.07)

-

-

PM-2

3.24

(0.15)

(0.05)

-

-

PM-3

3.09

(0.18)

(0.06)

-

-

* f$_{r}$ : Maximun flexural strength, R$_{r}$ : Residual flexural strength, f'$_{r}$ /f$_{r}$ : Equivalent flexural strength ratio, R$_{r}$/f$_{r}$ : Residual flexural strength ratio, ( ) : Indicates the value destroyed when the span did not reach 1/150(2 mm)

3.2 보 시편의 휨성능 평가

보 시편의 휨성능을 얻기 위해 몇 가지 평가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며, 다양한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여 왔다(ASTM C 1018, ASTM C 1609, ASTM C 1399, KS F 2566, JSCE-SF4 등). 본 연구에서는 보 시편의 휨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ASTM C 1609(2012) 및 국내규정인 KS F 2566(2014)에서 제시된 시험방법에 따라 3등분점 휨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 시편의 매개변수(P$_{600}$, P$_{150}$, f$_{600}$, f$_{150}$, T$_{600}$ 및 T$_{150}$)로 하여 휨성능 시험결과 데이터를 정리하면 Table 6과 같다. Table 6에서 알 수 있듯이 플레인 모르타르 시편의 경우 초기균열 이후 급격한 취성적인 파괴거동으로 상대 비교가 어려웠으며, 처짐이 지간 길이의 1/600(0.5 mm)와 1/150(2 mm)에 도달하지 못하고 파괴되었다. 게다가 탄소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 역시 기준처짐(δtb=2 mm)에 도달하지 못하고 파괴되었다. 하지만 강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와 하이브리드 FRM의 경우 기준처짐(δtb=2 mm) 이상에서 파괴되었다. 따라서 탄소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의 경우 T$_{150}$에서의 휨인성을 측정할 수 없었으며, T$_{600}$에서의 평균 휨인성은 4.57 J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강섬유 0.5% + 탄소섬유 0.5%로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의 경우 T$_{600}$ 및 T$_{150}$에서의 평균 휨인성은 각각 8.1 J 및 32.7 J로 가장 높았으며, 균열 후 휨인성이 크게 향상되어 하중유지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의 경우 T$_{600}$ 및 T$_{150}$에서의 평균 휨인성은 각각 5.5 J 및 27.7 J로 다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Test results of flexural performance indices using ASTM C 1609 and KS F 2566

Designations of specimen

Mixture

type

Total volume fraction(%)

Fiber mix proportion

by volume(%)

P$_{600}$

(kN)

P$_{150}$

(kN)

f$_{600}$

(MPa)

f$_{150}$

(MPa)

T$_{600}$

(J)

T$_{150}$

(J)

Steel fiber

Carbon fiber

SF1CF0-1

Single fiber

(steel)

1.0

1

0

18.4

9.60

5.52

2.88

5.01

26.5

SF1CF0-2

18.5

10.8

5.55

3.24

5.99

29.4

SF1CF0-3

18.9

9.80

5.67

2.94

5.50

27.2

SF0.75CF0.25-1

Hybrid fiber

(steel+carbon)

0.75

0.25

25.3

10.5

7.59

3.15

5.05

31.7

SF0.75CF0.25-2

21.9

9.91

6.57

2.97

4.95

29.3

SF0.75CF0.25-3

22.9

10.2

6.87

3.06

4.99

30.1

SF0.5CF0.5-1

0.5

0.5

24.3

9.79

7.29

2.93

7.71

29.4

SF0.5CF0.5-2

23.6

11.7

7.08

3.51

8.50

35.7

SF0.5CF0.5-3

24.0

11.5

7.20

3.45

8.11

33.0

SF0.25CF0.75-1

0.25

0.75

18.2

4.80

5.46

1.44

4.75

19.5

SF0.25CF0.75-2

12.4

4.30

3.72

1.29

4.15

15.5

SF0.25CF0.75-3

15.9

4.20

4.77

1.26

4.60

18.4

SF0CF1-1

Single fiber

(carbon)

0

1

15.2

-

4.56

-

4.59

-

SF0CF1-2

15.3

-

4.59

-

4.44

-

SF0CF1-3

15.2

-

4.56

-

4.50

-

PM-1

Plain

-

-

-

-

-

-

-

-

-

PM-2

-

-

-

-

-

-

PM-3

-

-

-

-

-

-

3.3 하중-처짐 곡선

Fig. 9는 3등분점 휨성능 시험에서 얻은 각 시편의 휨하중-처짐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Fig.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레인 모르타르 시편의 경우 최대하중 이후 휨균열 발생과 동시에 급격한 취성파괴를 보여 최대하중 이후 처짐이 거의 없었다. 탄소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 시편은 최대하중 이후 응력이 일정 수준까지 저하하다가 기준처짐(δtb=2 mm)에 도달하지 못하고 파괴되었으며, 반면에 강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 시편과 하이브리드 FRM 시편의 경우 연성 거동으로 인해 기준처짐(δtb=2 mm) 이상에서 파괴되었다. 강섬유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준처짐(δtb=2 mm)가 지나서도 많은 양의 휨인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강섬유가 균열들 사이의 가교작용을 하고 매트릭스와 섬유계면 사이의 부착력을 통해 섬유의 뽐힘(pull-out)에 우수한 작용을 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이것은 휨하중-처짐 곡선에서 구한 면적이 응력이 받을수록 넓어져 휨인성이 상당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 시편과 하이브리드 FRM 시편을 제외한 시편의 경우 초기균열이 최대하중점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플레인 모르타르 시편은 초기균열이 발생하기 이전 약 9.8∼10.8 kN에서 최대하중까지는 선형거동을 보이다가 최대하중에 도달한 후 휨 균열 발생과 함께 급격히 파괴되었으며, 최대하중 이후 처짐은 거의 없었다. 반면 탄소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 시편의 경우 약 16.2∼17.2 kN에서 최대하중까지는 선형거동을 보이다가 최대하중 시 처짐이 약 0.25 mm일 때 발생하였으며, 최대하중 이후에 탄소섬유는 균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급격한 균열진전을 억제하였지만, 처짐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강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 시편과 하이브리드 FRM 시편의 경우 최대하중 시 처짐이 약 0.3∼0.55 mm 전ㆍ후일 때 발생하였으며, 최대하중 이후에 마이크로 균열과 매크로 균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균열진전을 억제하며, 처짐은 급속한 감소 없이 서서히 떨어지면서 상당히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균열 후 연성거동으로 강섬유의 뽐힘(pull-out)작용에 의해 강섬유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플레인 모르타르 시편의 경우 초기 균열발생과 함께 시편이 취성적으로 파괴되었으며, 단일 FRM 시편과 하이브리드 FRM 시편은 균열의 진전을 억제시켜 초기 균열강도가 상당히 증가하였고, 균열 후 연성적인 파괴거동을 보였다.

Fig. 9 Flexural load-deflection curves of all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1.25.5.48/fig9.png

3.4 SEM 이미지 분석

Fig. 10(a)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강섬유의 150배율로 확대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며, Fig.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섬유의 직경이 약 0.56 mm으로 표면조직은 어느 정도 거칠어 시멘트 매트릭스에 부착이 유리한 조직을 형성하고 있다. 반면 Fig. 10(b)는 탄소섬유의 10,000배율로 확대 촬영한 표면조직을 나타낸 것이며, Fig.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소섬유의 직경이 약 7.03μm으로 표면조직은 부착이 상당히 매끄럽게 나타내, 시멘트 매트릭스와의 접착이 매우 불량한 표면조직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와 시멘트 매트릭스 계면 사이의 두께가 약 10∼50 ㎛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계면의 두께가 모르타르의 강도 및 내구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Betterman et al., 1995; Karan et al. 2004). Fig. 11은 강도시험 후 단일 FRM 시편과 하이브리드 FRM 시편의 이미지분석을 위해 SEM 관찰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 11(a)1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섬유의 타원형 형태로 크고 작은 시멘트 수화물의 결정 형성으로 강섬유의 표면적을 거의 완전히 덮혀 있으며, 시멘트 매트릭스 내에서 수화생성물인 칼슘실리게이트(calcium silicate hydrte, C-S-H)가 관찰되었다. 이는 시멘트 수화물의 결정 형성 및 증가로 인해 섬유와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결합력이 상당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Fig. 11(c)11(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소섬유의 둥근 원형 형태로 섬유표면의 형상이 아주 깨끗하고 상당히 매끄러운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탄소섬유가 시멘트 수화물은 결정화하기 어렵고 친화력이 적어 섬유와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결합력이 낮기 때문에 섬유의 뭉침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보인다. 이때 시멘트 매트릭스 내부에서는 매크로 균열과 섬유를 가로지르는 횡단균열 및 미세한 공극 등이 관찰되며, 부분적으로 섬유와 매트릭스 사이의 파괴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되었다. 하지만, Fig. 11(e)11(f)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FRM 시편의 경우 탄소섬유가 바늘처럼 가느다란 형태로 강섬유 주위에 서로 엉켜 덩어리를 이루고 있으며, 강섬유의 형상이 약간 곡선 형태로 휘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강 또는 탄소 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 시편에 비해 섬유와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결합력 증진에 따른 강도와 휨인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강 및 탄소 섬유를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의 경우 생성된 C-S-H 성분의 함량이 강 또는 탄소 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에 비해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FRM의 경우 강섬유의 표면에 시멘트 수화물의 결정이 다수 형성되었고, 촘촘하고 조밀하게 분산되어 있는 탄소섬유와 강섬유가 서로 얽혀 있는 상태로 불규칙적으로 다르게 관찰되어 치밀한 내부 조직임을 보인다. 이는 섬유와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 균열의 발생을 섬유가 억제하는 동시에 마이크로 균열의 진전을 섬유의 가교효과를 통하여 균열을 가로질러 인장응력을 섬유가 전달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마이크로 균열의 발생과 진전을 억제하는 작용 때문이다. 이때 시멘트 매트릭스 내부에서는 매크로 균열이나 섬유를 가로지르는 횡단균열 및 미세한 공극 등이 관찰되지 않았다. 파단된 FRM 시편은 섬유의 파단이라기 보다는 주로 섬유의 뽐힘이나 디본딩 현상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Fig. 10 SEM images of steel and carbon fibers
../../Resources/ksm/jksmi.2021.25.5.48/fig10.png
Fig. 11 SEM images of FRM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1.25.5.48/fig11.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총 섬유혼입률이 1.0%에서 부피에 의한 5가지 수준으로 설정하여, 단일 FRM와 하이브리드 FRM의 압축·휨성능을 플레인 모르타르와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강섬유 0.75% + 탄소섬유 0.25%의 경우 플레인 모르타르에 비해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각각 103%와 264% 정도 얻었으며, 압축강도는 별다른 증진효과를 얻지 못한 반면 휨강도는 높은 강도 증진을 보였다.

2. 강섬유 0.5% + 탄소섬유 0.5%의 휨강도는 강섬유 0.75% + 탄소섬유 0.25%에 비해 약간 낮지만 가장 높은 휨인성을 얻었으며, 강섬유와 탄소섬유의 하이브리드화에 의한 휨성능이 향상되는 시너지 보강효과가 확인되었다.

3. 플레인 모르타르에 비해, 강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와 하이브리드 FRM는 모두 휨강도, 휨인성, 등가휨강도, 잔류휨강도 및 변형능력 등의 휨성능이 크게 향상된 반면 탄소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의 휨성능 보강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탄소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의 경우 기준처짐(δtb=2 mm)에도 도달하지 못하여 등가휨강도와 잔류휨강도를 얻을 수 없었고, 플레인 모르타르의 결과 값과 비교해서 약간 증가하였지만 거의 유사하거나 큰 차이가 없어 휨성능의 향상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4. SEM 관찰을 통해 강 및 탄소 섬유를 혼합사용한 하이브리드 FRM의 경우 탄소섬유가 강섬유 주위에 촘촘하고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미세한 공극 및 매크로 균열이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탄소섬유만을 사용한 단일 FRM는 미세한 공극 및 매크로 균열이 관찰되며, 섬유와 시멘트 매트릭스 사이의 취약한 부분에서 일어난 파괴 때문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파단된 FRM 시편은 섬유의 파단이라기 보다는 주로 섬유의 뽐힘이나 디본딩 현상이 관찰되었다.

향후 연구는 하이브리드 섬유로 보강된 시멘트 복합재료의 특성에 대한 탄소섬유의 화학적 처리 효과를 추가적으로 조사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8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입니다(Grant No. NRF-2018R1A6A1A03025542). 또한, 산업체공동 연구과제 지원사업으로 무왕건설의 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CI Committee 544, (1999), Measurement of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2 
ASTM C 1018, (2006),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Toughness and First Crack Strength of Fiber-Reinforced Concrete (Using Beam with Third-Point Loading),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Google Search
3 
ASTM C 1609, (2012),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Performance of Fiber-Reinforced Concrete (Using Beam with Third-Point Loading),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Google Search
4 
Banthia, N., Soleimani, SM. (2005), Flexural Response of Hybrid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ACI Materials Journal, 102(6), 382-389.URL
5 
Belie, N.D., Soutsos, M., Gruyaert, E. (2018), Properties of Fresh and Hardened Concrete Containing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Springer, Berlin, Germany.Google Search
6 
Betterman, LR., Ouyang, C., Shap, SP. (1995), Fiber-Matrix Interaction in Microfiber-Reinforced Mortar, Advanced Cement Based Materials, 1995(2), 53-61.DOI
7 
Brandt, A.M. (2008), Fibre Reinforced Cement-Based(FRC) Composites after over 40 Years of Development in Building and Civil Engineering, Composites Structures, 86, 3-9.DOI
8 
Choi, J.I., Koh, K.T., Lee, B.Y. (2015), Tensile Behavior of Ultra-High Performance According to Combination of Fib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of Maintenance and Inspection, 19(4), 49-56.DOI
9 
Dehghani, A., Aslani, F. (2020), The Effect of Shape Memory Alloy, Steel, and Carbon Fibres on Fresh,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ementitious Composite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112(2020), 1-16.DOI
10 
Fantilli, A.P., Kwon, S., Mihashi, H., Nishiwaki, T. (2018), Synergy Assessment in Hybrid Ultra-High 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UHP-FRC,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86(2018), 19-29.DOI
11 
Heo, G.H., Song, K.C., Park, J.G., Han, Y.J., Lim, C.Y. (2019), Mechanical Properties and Impact Resistance Review of Carbon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with Different Fiber Contents and Fiber Length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4), 86-95.DOI
12 
JSCE-SF4, (1984), Method of Tests for Flexural Strength and Flexural Toughnes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JSCE), 58-61.Google Search
13 
Scrivener, Karen L., Crumbie, Alison K., L., Peter (2004), The Interfacial Transition Zone (ITZ) Between Cement Paste and Aggregate in Concrete, Interface Science, 12, 411-421.DOI
14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2016), Methods of Testing Cements-Determination of Strength (KS L ISO 679),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1-16.Google Search
15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2014),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Performance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KS F 2566,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1-10.Google Search
16 
Kwon, S.O., Bae, S.H., Kim, J.O., Lee, H.J., Kim, S.W. (2017), Direct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Performance of Lathe Scrap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9(6), 555-562.Google Search
17 
Naaman, A. E. (2002), Toughness, Ductility, Surface Energy and Deflection-hardening FRC Composites, In JCI International Workshop on Ductile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 (DFRCC)-Application and Evaluation (DFRCC-2002), Takayama 21-22 October 2002. Tokyo, Japan., 33-57.Google Search
18 
Pakravan, H.R., Latifi, M., Jamshidi, M. (2017), Hybrid Short Fiber Reinforcement System in Concrete: A Review,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42(2017), 280-294.DOI
19 
Son, M.J., Kim, G.Y., Lee, S.K., Kim, H.S., Nam, Y.S. (2017), Tensile Behavior of Hybrid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According to the Hooked Steel Fiber and Polyvinyl Alcohol Fiber Blending Ratio and Strain and Strain Ra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of Maintenance and Inspection, 21(6), 98-105.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