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건양대학교 해외건설플랜트학과 교수
  2. 정회원,충남도립대학교 건설정보학과 교수
  3. 정회원,건양대학교 해외건설플랜트학과 연구교수
  4. 정회원,충남도립대학교 건설정보학과 초빙교수
  5. 학생회원,건양대학교 재난안전공학과 석사과정



CTMD, 진동제어, 강제진동, 단순보, 공진
CTMD, Vibration control, Forced load, Simple beam, Resonance

1. 서 론

현대의 건설기술은 빠른 발전과 재료적 특성의 향상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많은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이로 인해 교량은 더욱 유연해지고 경량화되면서 장대화와 주탑의 고층화가 진행되었고, 이로 인해 여러 종류의 대형 교량들이 건설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강주아오 대교(중국, 2018), 루스키 대교(러시아, 2012), 이순신대교(한국, 2012) 등이 있다. 이러한 대형 구조물은 자연재해와 같은 외력(풍하중, 충격하중, 지진하중 등)에 쉽게 노출되며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 이것이 붕괴사고로 이어진다면 막대한 인, 물적 피해를 보게 된다. 또한, 교량을 사용하는 운송수단의 고속화와 정체로 인하여 유해 진동이 발생하고 처짐이 발생하는 등 교량의 안전을 위협하여 사용자의 불안감을 전해준다. 이는 사용성을 감소시킬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량에 발생하는 유해 진동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교량 상부를 평탄화 작업하여 일부 진동을 제어하거나 단면을 증가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법 그리고 진동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진동을 제어하는 방법 등이 있다(Housner et al., 1997; Lim Q et al., 2010; Banerji et al., 2011). 이 중 경제성과 유지관리 그리고 기존에 건설하였던 교량 및 신축 교량 등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진동제어장치를 많이 사용한다. 진동제어장치는 수동형, 능동형, 준능동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 수동형은 구조물에 진동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구조물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장치이며, 대표적으로 동조질량감쇠기 TMD(Tuned Mass Damper)가 있다. TMD는 고층 빌딩, 장대교량 등에 많이 사용되는 진동제어 장치로 경제성이 좋고 원리가 간단하며 우수한 제어성능을 보여준다(Kwon et al., 2003). 또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시공과 유지관리가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Robert et all., 1977). TMD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많은 구조물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됐다(Kang et al., 2010). 권호철(1996) 등과 Debnath(2016) 등은 동조질량감쇠기를 이용한 교량의 진동제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한 개의 TMD로 교량의 휨 거동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Kwon et al., 1996; Debnath et al., 2016; Min et al, 1995). 본 연구에서는 외력으로 인하여 교량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 휨 거동을 제어하기 위해 각각의 거더에 장착할 수 있으면서 기존의 TMD와 유사한 구조에 Mass의 질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한 CTMD(Combine Tuned Mass Damper)를 개발하고 질량비를 이용하여 개발한 CTMD의 질량비에 따른 제어효과를 확인한다.

2. 모형 교량 설계 및 제작

2.1 모형 교량 설계 및 제작

CTMD의 제어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용 모형 교량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모형 교량은 장대교량의 유연한 특성을 모사하기 위하여 경간을 가능한 한 길게 설계하였으며 CTMD의 제어성능을 쉽게 관찰하고 실험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변수들을 줄이기 위하여 단순보 형태로 설계하였다. 상판의 경우 H형강 두 개를 사용하여 거더교 형태를 모사하였으며 상판 양단은 각각 힌지와 롤러로 구성되어있다. 교량의 크기는 총 길이 10 m, 폭 0.6 m이며 바닥에서부터 교량 상판까지의 높이는 0.74 m이다. 더 상세한 모형 교량의 치수는 Fig. 1의 치수도에 나타내었으며 그 외의 모형 교량의 재료는 Steel을 사용하였으며 탄성계수 210×103 MPa로 그 외 제원은 Table 1에 표기하였다. 제작한 모형 교량은 Fig. 1의 치수도와 동일하게 제작되었다.

Fig. 1 Measurement of the model bridge
../../Resources/ksm/jksmi.2021.25.6.12/fig1.png
Table 1 Specification of model bridge

Material

Steel

Elastic modulus

210×10$^{3}$ MPa

Shear modulus

79.5×10$^{3}$ MPa

Poisson’s ratio

0.30

Specific weight

77kN/m$^{3}$

Yield strength

3.92×10$^{3}$ MPa

2.2 단순보의 FE 모델링 및 모달테스트

2.2.1 단순보의 FE 모델링

CTMD를 이용한 제어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작된 단순보의 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해석용 상용프로그램인 NX를 사용하여 모델해석을 진행하였다. 모델 해석을 위한 모델링 방법은 3D 사면체로 Mesh 하였으며, Mesh 유형은 CTETRA(10) CTETRA : 4-10 그리드 포인트를 가진 4면 솔리드 (사면체) 요소를 적용하였고 Mesh 크기는 28.9mm로 하였다. 모델링 시 기본 단순보 구조물 외 가진기 및 CTMD 자체 질량은 Lumped mass 기능을 활용하여 적용하였다.

2.2.2 단순보의 모달테스트

앞서 해석한 단순보의 FE 모델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동적 모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모달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하여 단순보의 전반적인 거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가속도 센서를 각각의 거더마다 2.5 m씩 등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모형 교량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의 상세한 위치를 Fig. 2에 그림으로 나타내었으며 가속도 센서의 제원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Fig. 2 Acceleration sensors of the attachment position
../../Resources/ksm/jksmi.2021.25.6.12/fig2.png
Table 2 Equipment configuration of modal test

Instrumentation Sensor

Dytran-3134D

Measuring instrument

IOtech 652U

Analysis S/W

ME'scope

2.2.3 FE 모델링 및 모달테스트 결과분석

단순보의 FE 모델링 결과 및 모달테스트 결과는 Fig. 3Table 3에 나타내었다.

FE 해석 진행결과 1차 휨 모드는 3.11034 Hz, 1차 비틀림 모드는 4.40928 Hz로 나왔고, 2차 휨 모드는 12.4699 Hz, 2차 비틀림 모드는 14.3906 Hz로 나왔다.

모달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모형 교량의 1차 휨 모드는 3.19 Hz, 1차 비틀림 모드는 4.44 Hz에서 발생하였고, 2차 휨 모드는 12.4 Hz, 2차 비틀림 모드는 13.9 Hz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설계 과정에서 진행하였던 모델링 결과와 실제 모달 테스트의 결과를 비교해 볼 때 약간의 오차를 보이지만 대체로 유사한 값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세한 오차율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Fig. 3 FE Modeling results and modal test results
../../Resources/ksm/jksmi.2021.25.6.12/fig3.png
Table 3 Error rates of the modeling and modal test

Mode

Modelling

value(Hz)

Modal Test

value(Hz)

Erro rate(%)

Primary bending

3.11034

3.19

-2.561

Primary torsion

4.40928

4.40

0.210

Secondary bending

12.4699

12.40

0.561

Secondary torsion

14.3906

13.90

3.409

3. CTMD 설계 및 제작

기존의 TMD는 설치할 대상 구조물의 고유진동수를 확인하여 TMD의 강성 및 질량을 대상 구조물에 맞춰 조율하여야 한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구조물의 노후화 및 추가적인 외부하중 등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고유진동수가 변하게 되면 TMD의 제어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 TMD에 질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물의 노후화로 인하여 구조물의 고유진동수 변화에 대응하여 제어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CTMD를 설계·제작하였다.

3.1 개발한 CTMD 설계

CTMD는 구조물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가적인 질량을 구조물에 설치하는 댐퍼로써 구조물의 응답을 고려하여 질량을 계산하여야 한다(Den Hartog, 1956). 본 연구에서는 CTMD의 질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구조물 정보 기반의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교량은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교량으로 감쇠를 고려하지 않은 CTMD가 설치된 교량은 다음의 Fig. 4와 같이 단순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Fig. 4의 CTMD가 설치된 구조 모델에서 $m$, $k$는 각각 질량, 강성을 나타내며, 아래첨자 $b$, $t$는 각각 교량과 CTMD를 나타낸다. 그리고 $x$는 변위를 나타내며, $f_{b}$ ($=P_{0}\sin\omega t$)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거더에 독립적인 CTMD를 설치하였으나, 외력으로 인한 교량 휨 거동의 제어를 목표로 하였기에 독립적인 CTMD는 동일하게 작동한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Fig.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CTMD가 설치된 구조 모델은 2자유도계 시스템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력은 구조물에 작용하므로 다음의 식 (1) 과 같이 CTMD가 설치된 구조물의 운동방정식을 표현할 수 있다.

(1)
$ \begin{array}{l} \left[\begin{matrix}m_{b} 0\\0 m_{t}\end{matrix}\right]\left[\begin{matrix}\ddot{x_{b}}\\\ddot{x_{t}}\end{matrix}\right]+\left[\begin{matrix}c_{b}+c_{t} -c_{t}\\-c_{t} c_{t}\end{matrix}\right]\left[\begin{aligned}\dot{x_{b}}\\\dot{x_{t}}\end{aligned}\right]\\ +\left[\begin{matrix}k_{b}+k_{t} -k_{t}\\-k_{t} k_{t}\end{matrix}\right]\left[\begin{aligned}x_{b}\\x_{t}\end{aligned}\right]=\left[\begin{aligned}f_{b}\\0\end{aligned}\right] \end{array} $

여기서, $\ddot{x_{b}}$, $\dot{x_{b}}$, $x_{b}$는 교량의 가속도, 속도, 변위이고 $\ddot{x_{t}}$, $\dot{x_{t}}$, $x_{t}$는 CTMD의 가속도, 속도, 상대변위, $f_{b}$는 외부하중이다.

(1)을 정리하여 구조물과 TMD의 동적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행렬식 (1)을 다음과 같이 풀이할 수 있다.

(2)
$ \begin{array}{l} m_{b}\ddot{x_{b}}+c_{b}\dot{x_{b}}+c_{t}\dot{x_{b}}-c_{t}\dot{x_{t}}+k_{b}x_{b}+k_{t}u_{b}-k_{t}u_{t}=f_{b}\\ m_{t}\ddot{x_{t}}-c_{t}\dot{u_{b}}+c_{t}\dot{x_{t}}-k_{t}x_{b}+k_{t}x_{t}=0 \end{array} $

(2)를 구조물의 질량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
$ \begin{array}{l} \ddot{x_{b}}+2\xi_{b}\omega_{b}\dot{x_{b}}+2\mu\xi_{t}\omega_{t}\dot{x_{b}}-2\mu\xi_{d}\omega_{t}\dot{x_{t}}+\omega_{b}^{2}x_{b}+\mu\omega_{t}^{2}x_{b}\\ -\mu\omega_{d}^{2}x_{t}=\dfrac{f_{b}}{m_{b}}\\ \\\mu\omega_{d}^{2}\ddot{x_{t}}-2\mu\xi_{t}\omega_{t}\dot{x_{b}}+2\mu\xi_{t}\omega_{t}\dot{x_{t}}-\mu\omega_{t}^{2}x_{b}+\mu\omega_{d}^{2}x_{t}=0 \end{array} $

여기서, $\mu$는 구조물과 TMD의 질량비이고 $\xi_{b}$, $\xi_{t}$는 구조물과 CTMD의 감쇠비 그리고 $\omega_{b}$, $\omega_{t}$는 구조물과 CTMD의 고유진동수이다.

이와 같은 식을 이용하여 대상구조물 및 CTMD를 설계하였다.

Fig. 4 Structural Model with CTMD
../../Resources/ksm/jksmi.2021.25.6.12/fig4.png

3.2 개발한 CTMD 제작

CTMD 설계를 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CTMD의 질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구조물과 질량에 대하여 최적의 비율이 되도록 한다. 설계에 사용되는 수식은 다음 식 (9)와 같다.

(9)
$ \mu =\dfrac{m_{t}}{m_{b}} $

여기서, $\mu$는 CTMD 질량과 구조물의 질량비고, $m_{t}$는 CTMD 질량이며, $m_{b}$는 구조물 질량이다.

앞선 수식들을 사용하여 설계한 CTMD의 설계도 및 제작된 CTMD의 모습은 Fig. 5에 나타내었다. CTMD는 단순보 중앙에 설치하였으며, CTMD의 Mass slot에 적재 가능한 Mass의 수량은 최대 10개의 Mass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CTMD에 사용된 스프링은 20.79 N의 최대하중을 나타낼 수 있는 외경 ∅5에 스프링 정수 1.03 N/mm인 스프링을 활용하였다. CTMD 지그의 질량은 약 19 kg이며, Mass Slot의 질량은 2.6 kg, Mass block의 개별 중량은 약 760 g이다.

Fig. 5 Product and Drawing for CTMD
../../Resources/ksm/jksmi.2021.25.6.12/fig5.png

4. CTMD의 제어성능평가

4.1 실험장비 구성 및 실험

모형 교량의 보다 정확한 진동응답특성을 알아내기 위하여 앞서 진행한 모달테스트의 결과값을 바탕으로 구조물의 동하중 실험을 진행하였다. 동하중 실험에 사용된 장비는 Fig. 6과 같이 단순보에 강제 가진을 위한 가진 장치로 JIN 업체의 EMAI(M)으로 관성형 가진기를 이용하였으며, 관성형 가진기의 작동 원리는 가진기 내부에 장착되어있는 9.5 kg의 질량을 갖는 Moving mass의 연속적인 상하 운동을 일으키며 진동을 증폭시켜 구조물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가진기의 외형은 228×300×513 mm로 구성되어있으며, 상하 운동의 Max Strike은 100 mm로 최대 힘 500 N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가용 가능 주파수 범위는 0~500 Hz이다. 가진 조건은 CTMD를 설치하고 휨 거동 변위가 최대로 발생하는 주파수인 3.0 Hz 조건으로 가진을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단순보에 발생하는 변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계측기는 Tokyo sokki kenkyujo사의 DRA-30A를 활용하였다.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는 Tokyo sokki kenkyujo사의 LVDT를 이용하였다.

실험 방법은 CTMD의 지그가 설치된 단순보를 관성형 가진기를 사용하여 3.0Hz로 가진하고 단순보 중앙의 변위를 측정한 뒤, Mass slot에 Mass block을 하나씩 추가하여 질량비를 증가시켜 Mass block의 수량에 따른 CTMD의 변위감쇠 효과를 테스트 하였다. Mass slot과 Mass block의 중량 및 구조물에 대한 CTMD의 질량비는 Table 4에 나타내었다. 이때, LVDT를 이용하여 각 실험 조건에 따른 모형 교량의 중앙 부분의 최대변위를 측정하였다.

Fig. 6 Equipment configuration for control performance evaluation with CTMD
../../Resources/ksm/jksmi.2021.25.6.12/fig6.png
Table 4 Control performance evaluation cases for CTMD

Case

Mass ratio

Mass slot(kg)

Mass slot block(kg)

Structure

0

0

0

1

0.9

2.6

0

2

1.2

0.76

3

1.5

1.52

4

1.8

2.28

5

2.1

3.04

6

2.4

3.8

7

2.7

4.56

8

3.0

5.32

4.2 CTMD 제어성능평가 결과

CTMD의 질량비에 따른 구조물의 변위 감쇠 효과는 Fig. 7의 그래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험 결과값을 수치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able 5에 실험 Case별 단순보 중앙의 최대변위와 질량비에 따른 단순보 중앙부의 변위 감쇠율을 나타내었다.

구조물을 CTMD의 지그만을 설치한 상태로 관성형 가진기를 통하여 가진한 결과 구조물의 각 Case 별로 Mass slot을 고정하여 CTMD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 즉. 휨변위에 대한 제어를 하지 않은 상태와 Mass slot의 고정을 풀어 CTMD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의 변위값을 비교하여 Table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 결과값을 수치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Table 5에 최대변위와 감쇠율을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Fig. 7과 같이 CTMD의 Mass slot을 고정하여 CTMD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휨거동 최대변위는 약 8.68 mm로 확인되었다. 이 상태의 변위를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Mass block을 증가시키며 CTMD를 가동시켰을 때의 휨거동 최대변위값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Mass slot의 질량만을 이용하여 CTMD가 가동되었을 때 기준이 되었던 휨거동 최대변위보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Mass block을 1개 추가하였을 때부터 Mass block이 점차 증가하면서 변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Mass block이 4개일 때 기준변위와 비교하였을 때 변위가 2.50 mm로 나타내며, 우수한 제어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적재된 Mass block이 5개를 넘어서면서 점차적으로 변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에 변위는 질량비가 2.1일 때 변위가 2.50mm로 CTMD를 설치하기 전에 교량에서 발생한 변위 9.08mm보다 약 71.2% 감쇠시키는 성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다 자세히 확인하기 위하여 Fig. 7Table 6에 그래프와 표로 나타내었다. Fig. 8의 그래프를 보면 Mass가 증가하면서 점차 변위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Mass block 4개를 기점으로 변위가 소폭 상승하는 확인할 수 있다. 질량비에 따른 감쇠율의 변화를 살펴보면 질량비가 2.1인 Case 5의 실험 결과 71.2 % 최대 감쇠율을 보이며 가장 우수한 제어력을 확인할 수 있다.

Fig. 7 Results of the experiment for bending displacement control performance according to mass ratio of CTMD
../../Resources/ksm/jksmi.2021.25.6.12/fig7.png
Fig. 8 Change in damping rate by cases of control performance evaluation with CTMD
../../Resources/ksm/jksmi.2021.25.6.12/fig8.png
Table 5 Result of control performance evaluation experiment with CTMD

Case

Mass ratio

Displacement(mm)

Structure

0

8.68

1

0.9

9.08

2

1.2

6.90

3

1.5

3.81

4

1.8

2.86

5

2.1

2.50

6

2.4

2.60

7

2.7

2.80

8

3.0

2.90

Table 6 Examples for mass ratio and Damping rate of control performance evaluation experiment with CTMD

Case

Mass ratio

Displacement of center

(mm)

Damping rate

(%)

Structure

0

9.08

-

1

0.9

9.08

-4.6

2

1.2

6.90

20.5

3

1.5

3.81

56.0

4

1.8

2.86

67.0

5

2.1

2.50

71.2

6

2.4

2.60

70.0

7

2.7

2.80

68.0

8

3.0

2.90

67.0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강제진동으로 인해 교량에 발생하는 휨거동 변위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고자 CTMD 개발하여 CTMD의 질량비에 따른 제어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단순보의 휨거동 제어성능평가는 CTMD의 Mass slot에 Mass block을 넣지 않은 기본 구조물 상태와 Mass를 점차 증가하였을 때의 각각의 질량비에 대한 제어효과를 평가하였다.

(1) Case 1인 질량비 0.9에서는 기본구조물 대비 4.6 %의 휨변위 증가율을 확인하였다. 이는 단순보의 휨거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부착된 CTMD의 질량이 너무 낮아 구조물의 휨거동 제어에 영향을 주기 보다는 공진을 추가 유발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Case 1을 시작으로 질량비를 점차 증가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한 결과 단순보의 휨거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변위의 감쇠율은 상승하였으나, Case 5를 기점으로 질량비가 증가됨에 따라 감쇠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본 실험에 사용된 단순보의 경우 질량비가 2.1인 CTMD를 적용하였을 때 기본구조물에서 발생한 최대변위 8.68 mm에서 2.50 mm까지 감소시키면서 71.2 %의 감쇠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4) 이와 같은 결과는 구조물 대비 질량비 1 이하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CTMD가 감쇠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질량비 2.1 이상의 경우 효율적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8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사업(NRF-2018R1A 6A1A03025542, NRF-2018R1D1A1B07050590)임. 본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 준 한국연구재단에 대단히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Housner, G. W., Bergman, L. A., Caughey, T. K., Chassiakos, A. G., Claus, R. O., Masri, S. F., Skelton, R. E., Soong, T. T., Spencer, B. H., Yao, T. P. (1997), Structural control : Past,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ASCE, 123(9), 897-971.DOI
2 
Lim, Q., Fan, J., Nie, J., Li, Q., Chen, Y. (2010), Crowd-induced random vibration of footbridge and vibration control using multiple tuned mass damper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329(19), 4068-4092.DOI
3 
Banerji, P., Samanta, A. (2011), Earthquake vibration control of structures using hybrid mass liquid damper, Engineering Structures, 33(4), 1291-1301.DOI
4 
Kwon, Y. R., Choi, K. K. (2003), Study on the Vibration Control of Footbridge by Using Tuned Mass Damper(TMD,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7(6), 9-15.DOI
5 
Robert J. McNamara, (1977), Tuned Mass Dampers for Buildings, Journal of Structural Division, ASCE, 103(9), 1785-1798.DOI
6 
Kang, J. W., Kim, G. C., Kim, H. S. (2010), Seismic Control of Arch Structures using Semi-active TM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10(1), 103-110.URL
7 
Kwon, H. C., Kim, M. C., Lee, J. H., Lee, I. W. (1996), Vibration Control of Bridges under Moving Loads, , 16(1-3), 271-281.DOI
8 
Debnath, N., Deb, S. K., Dutta, A. (2016), Multi-modal vibration control of truss bridges with tuned mass dampers under general loading, Journal of Vibration and Control, 22(20), 4121-4140.DOI
9 
Min, K. W., Lee, Y. U. (1995), Free Vibration of Torsionally- coupled Buildings with Tuned Mass Damp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utute of Korea, 11(12), 245-251.Google Search
10 
Den Hartog, J. P. (1956), Mechanical Vibrations, McGraw-Hill, New York., -.URL
11 
Kim, H. J., Choi, S. Y., Jo, S. W., Hwang, J. S., Yu, E. J. (2011), Wind Response Monitoring of a Building with TM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27(12), 83-90.Google Search
12 
Park, K. S., Koh, H. M., Park, W. S., Ok, S. Y. (2002), Optimal Design of Multiple Tuned Mass Damper Considering Model Uncertainly of Structural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2(3a), 533-543.Google Search
13 
Abe., M., Fujino, Y. (1994), Dynamic characterization of multiple tuned mass dampers and some design formulas,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23(8), 813-835.DOI
14 
Kareem, A., vKline, S. (1995), Performance of Multiple Mass Dampers under Random Loading”,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21(2), 349-361.DOI
15 
Hayashikawa, T., Watanabe, N. (1981), Dynamic Behavior of Continuous Beams with Moving Loads,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Division, 107(1), 229-246.DOI
16 
Gu, M., Chen, S. R., Chang , CC. (2001), Parametric study on multiple tuend mass dampers for buffeting control of Yangpu Bridge, Journal of Wind Engineering and Industrial Aerodynamics, 89(11-12), 987-1000.DOI
17 
Nishitani, A., Inoue, Y. (2001), Overview of application of active/semiactive control to building structures in japan,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30(11), 1565-1574.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