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단국대학교 건축학부 연구교수, 공학박사
  2. 정회원,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3. 정회원,단국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공학박사
  4. 정회원,㈜윈하이텍 기술연구소 과장
  5. 정회원,신한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 공학박사



장기처짐, 플랫 플레이트, 중공재, 실물실험, 안전성
Long-term deflection, Flat plate system, Hollow core slab, Mock-up test, Safety

1. 서 론

최근 들어 층고 감소,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 등의 장점으로 고층 건축물 및 공동주택에 플랫 플레이트 시스템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플랫 플레이트 시스템은 평면의 가변성 확보가 용이한 시스템으로 기존 공동주택의 평면 경계성에서 오는 사회적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장스팬 플랫 플레이트 의 경우 휨강성이 작기 때문에 큰 처짐 및 다수의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이다. 또한, 본 시스템이 공동주택에 적용될 경우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브 두께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건축물의 슬래브로부터 수직부재에 전달되는 하중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건축물 슬래브의 고정하중 증가는 슬래브의 장기 처짐 및 수직부재 크기의 비대화 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Hur et al., 2021; Lee et al., 2020,Lee et al., 2019; Park et al., 2019; Cho et al., 2018).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들어 플랫 플레이트 시스템에 중공슬래브를 적용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시스템에 중공재를 적용할 경우 동일한 단면에서 기존 슬래브에 비해 약 20% 내외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중공재를 적용한 슬래브의 경우,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에 중공재에 의하여 즉시 처짐의 양이 크게 발생할 우려가 있다. 중공재가 적용된 콘크리트 슬래브는 하중재하에 의하여 즉시 처짐이 발생하며 이는 자중 및 고정하중이나 활하중에 의하여 발생한다. 또한 재료적 특성에 따른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하여 장기 처짐이 발생하며, 이 두 가지 요소는 모두 구조물의 사용성에 문제를 초래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의 플랫 플레이트에 관한 연구 동향은 시공하중에 의한 장기 처짐 계측 및 해석, 시공하중에 대한 동바리 강성 계측 및 비교 등의 연구가 대부분이며, 중공재 적용된 플랫 플레이트의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Kim et al., 2019; Hwang et al., 2014; Chun et al., 2014; Choi et al., 2012; Hwang et al., 2010; Hwang et al., 2010; Kim et al.,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푸집 패널이 부착된 실물 스케일의 중공슬래브(Void Plywood Slab System, VPS) Mock-up을 제작하여 즉시 처짐 및 장기 처짐에 대한 플랫 플레이트 중공 슬래브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2. 현행 설계기준

Table 1은 ACI 318-19, KDS 41 17 00 및 Eurocode 2의 설계 기준에서 제시하는 2방향 슬래브의 최소 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ACI 318-19(2019)와 KDS 41 17 00은 슬래브 두께를 철근 항복강도 등급별에 따른 스팬 길이에 비례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고, Eurocode 2(2004)는 콘크리트 강도 및 철근비를 고려하고 있다. ACI 318-19와 KDS 41 17 00의 경우 2방향 슬래브의 최소 두께를 만족하면 별도의 처짐 계산은 필요하지 않으며, 최소두께 보다 작은 두께의 슬래브를 사용할 경우에는 장기 처짐 제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검토하도록 정하고 있다(Table 2 참조). 슬래브의 경우 선형탄성거동을 가정하여 사용하중에 대한 즉시 처짐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처짐 계수를 적용하여 장기 처짐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중공재가 적용된 중공슬래브 시스템의 경우 슬래브의 일정구간이 비어있어 슬래브 처짐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

Table 1 Minimum thickness of non-prestressed two-way slabs without interior beams[1]

ACI 318-19

$f_{y}$(MPa)[2]

Without drop panels[3]

With drop panels[3]

Exterior panels

Interior panels

Exterior panels

Interior panels

Without edge beams

With edge beams[4]

Without edge beams

With edge beams[4]

300

$l_{n}$/33

$l_{n}$/36

$l_{n}$/36

$l_{n}$/36

$l_{n}$/40

$l_{n}$/40

400

$l_{n}$/30

$l_{n}$/33

$l_{n}$/33

$l_{n}$/33

$l_{n}$/36

$l_{n}$/36

600

$l_{n}$/27

$l_{n}$/30

$l_{n}$/30

$l_{n}$/30

$l_{n}$/33

$l_{n}$/33

Eurocode2

re-bar ratio

slab without beams

ρ≤ρ$_{0}$

$\dfrac{L}{1.2\left[11+1.5\sqrt{f_{ck}}\dfrac{ρ_{0}}{ρ}+ 3.2\sqrt{f_{ck}}(\dfrac{ρ_{0}}{ρ}-1)^{1.5}\right]}$

ρ>ρ$_{0}$

$\dfrac{L}{1.2\left[11+1.5\sqrt{f_{ck}}\dfrac{ρ_{0}}{ρ-ρ'}+\dfrac{1}{12}\sqrt{f_{ck}}(\sqrt{\dfrac{ρ'}{ρ_{0}}}\right]}$

[1] $l_{n}$ is the clear span in the long direction, measured face-to-face of supports (in.).

[2] For fy between the values given in the table, minimum thickness shall be calculated by linear interpolation

[3] Drop panels as given in 8.2.4

[4] Slabs with beams between columns along exterior edges. Exterior panels shall be considered to be without edge beams if αf is less than 0.8 L = span, $l_{n}$= clear span, $ρ_{0 = 10}^{-3}\sqrt{f_{ck}}$, ρ=tension bar ratio, $ρ'$=compression bar ratio, $f_{ck}$=concrete strength

Table 2 Maximum permissible deflection

Element

deflection

Supports non-structural elements susceptible to damage by excessive deflection or roof and floor

$\dfrac{l}{480}$

Support structural elements susceptible to damage by excessive deflection or roof and floor

$\dfrac{l}{240}$

3. 실험 계획

3.1 실험체 계획

본 연구에서는 VPS시스템(Hur et al., 2021)이 적용된 1층 실물 스케일의 Mock-up 실험체를 계획하였다. 계획된 Mock-up 실험체에 사용하중 단계에 해당하는 하중을 재하하고 국내 처짐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시간경과에 따른 사용하중에 대한 처짐도 검토하고자 한다(Fig. 1 참조). Fig. 2는 Mock-up 실험체의 슬래브 배근도를 나타낸 것이고, 중공재는 기둥 주위에서 2d 이상 떨어뜨려 설치하였다(Hur et al, 2021). 또한, Mock-up 실험체의 적용된 중공재의 중공률은 24%로 적용하였다.

① 재하하중 : 바닥슬래브에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여 재하하고 그 하중에 의한 처짐을 관측

② 실험방법 : 실험은 스팬 8,600×8,600㎜에 각 방향으로 1.5m의 발코니를 둔 실구조물을 제작 한 후, 구조물 상부에 고정하중에 해당하는 중량을 콘크리트 블록으로 치환하여 재하. 재하 후 처짐을 계측하여 즉시~ 3개월간의 처짐 계측

③ 실험기간 : 3개월[장기 처짐은 콘크리트의 특성(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따른 처짐 계측]

Fig. 1 Concept for deflection review
../../Resources/ksm/jksmi.2021.25.6.185/fig1.png
Fig. 2 Mock-up shape
../../Resources/ksm/jksmi.2021.25.6.185/fig2.png

3.2 하중재하

Fig. 3은 하중 재하를 위한 실물크기 Mock-up 실험체 실별 활하중을 기준으로 구분한 그림이다. Mock-up 실험체는 거실 및 발코니로 구분하였고, Table 3에 해당 부분에 적용된 하중을 나타내었다.

하중은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50%(Dead load+0.5Live load)를 적용하였다. 하중은 400kg(Fig. 4참조)의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여 재하 하였고 가급적 균등하게 실험체에 상적하여 재하 하였다.

콘크리트 블록의 재하 순서는 중앙부 적재 → 중앙부 2단 적재 → 좌우측 적재 → 발코니 적재 → 좌우측 2단 적재 → 발코니 2단 적재 → 중앙부 3단 적재 → 발코니 3단 적재 순으로 재하 하였다(Fig. 5 참조).

Fig. 3 Section of the specimen for loading
../../Resources/ksm/jksmi.2021.25.6.185/fig3.png
Fig. 4 Concrete block layout
../../Resources/ksm/jksmi.2021.25.6.185/fig4.png
Fig. 5 Concrete block installation
../../Resources/ksm/jksmi.2021.25.6.185/fig5.png
Table 3 Building loads

Load type

Balcony part(①, ②)

Living room part③

Deadload

Mortar and finish(100㎜) : 2.0 kN/㎡

Ceiling and others : 0.2 kN/㎡

Mortar and finish : 1.0 kN/㎡

lightweight foam andcushioning material : 0.4 kN/㎡

Ceiling and other : 0.2 kN/㎡

Live load

3.0kN/㎡

2.0kN/㎡

Applied load

D + 0.5L = 370kg/㎡

① Balcony 1 : 370kg/㎡×2.25㎡×4ea = 3,330kg

② Balcony 2 : 370kg/㎡×12.9㎡×4ea = 19,092kg

- D + 0.5L = 260kg/㎡

③ Center : 260kg/㎡ x 74㎡ = 19,240kg

Block

(400kg)

① Balcony : 12ea

② Balcony : 48ea

③ Living room : 48ea

3.3 계측계획 및 일정

3.3.1 계측장비 배치

처짐의 측정은 다이얼 게이지(측정범위 : 0~10㎜, 최소표시 : 0.01㎜, 눈금사양 : 0~100, 축 직경 : 8㎜)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방법으로 계측하였다. 계측은 실험체를 X방향과 Y방향으로 구분하였으며 편의상 건축물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처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여 한쪽을 측정하고 반대쪽은 동일 값으로 가정하였다. 변형은 총 10곳에 다이얼 게이지를 설치하고 측정하였으며 Fig. 6에 측정 장비의 배치현황을 나타내었다.

Fig. 6 Dial gauge layout (unit:㎜)
../../Resources/ksm/jksmi.2021.25.6.185/fig6.png

3.3.2 처짐 계측 일정

처짐 계측은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이 지난 후 재하시점부터 계측을 시작하였으며 재하종료 시점부터 1주차 까지는 하루에 한번 씩 계측하였고, 1주차부터 3주차까지는 3일에 한번 계측하였다.

또한, 3주차부터 8주차 까지는 5일에 한번 계측하였고, 그 뒤 종료시점까지는 일주일에 1회 계측하도록 계획하였다.

3.4 실험체 제작

Fig. 7은 실험체 제작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Mock-up 실험체는 충청북도 음성군에 위치한 공장에서 제작하였다. Fig .6은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의 재하 나타낸 것이다.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실험 결과는 평균 35.2MPa을 나타내어 설계기준압축강도(fck)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7 Mock-up test specimen production
../../Resources/ksm/jksmi.2021.25.6.185/fig7.png

4. 결과 및 고찰

4.1 콘크리트 블록 재하 전 처짐 계측

Fig. 8은 동바리를 제거 후 콘크리트 자중에 의한 처짐을 측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 재하 전 바닥 슬래브를 1.0m 간격으로 나누어서 각 위치의 높이를 레이저 거리 측정기(측정범위 : 0.05~80m, 측정 정밀도 : 1.5㎜, 최소 측정 단위 : 0.1㎜)로 측정한 결과이다.

계측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81개소의 평균값은 1,998㎜로 슬래브 타설 전 높이 2,000㎜에서 2㎜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공 상 발생한 오차에 인한 것으로 콘크리트 자중에 의한 처짐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Fig. 8 Deflection measurement result before loading
../../Resources/ksm/jksmi.2021.25.6.185/fig8.png

4.2 재하 시 처짐 변화

Fig. 9는 처짐 발생을 측정하는 계측기의 위치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그림이다. X방향으로의 처짐은 D6, D7, D8, D2, D9를 통해서 알 수 있으며, Y방향으로의 처짐은 D5, D4, D3, D2, D1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재하가 시작되기 전 모든 계측기기의 영점을 맞추어놓고 재하를 시작하였다.

Table 4에 콘크리트 재하 시 계측된 처짐 양을 나타낸다. 콘크리트 블록을 1단 쌓을 때부터 중앙부의 처짐이 발생하였으며 No.2 점의 처짐은 0.5 ㎜로 나타났다. 슬래브 1단 쌓기가 종료될 때까지 처짐은 탄성적으로 진행되었으며 2단 쌓기가 진행된 6 step 부터는 처짐의 크게 증가하였다(Fig. 10 참조).

재하가 종료되었을 때까지의 현황을 살펴보면 Fig. 10과 같이 콘크리트 블록 재하 시 슬래브 중앙부(No.2, No.3, No.8)에서 처짐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중앙부에서 멀어질수록 처짐의 양도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슬래브 중앙부 No. 2의 처짐은 하중 재하 시 8.88㎜ 발생하였고 이는 즉시 처짐에 대한 기준 값(ln/240= 17.93㎜)에 비하여 안전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Fig. 9 Deflection measurement location
../../Resources/ksm/jksmi.2021.25.6.185/fig9.png
Fig. 10 Deflection measurement value(loading)
../../Resources/ksm/jksmi.2021.25.6.185/fig10.png
Table 4 Deflection measurement when loading concrete blocks (unit : ㎜)

No.

0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Step

6 Step

7 Step

8 Step

9 Step

10 Step

1

0.00

0.14

0.52

1.03

1.17

1.25

2.09

3.43

4.42

5.21

5.66

2

0.00

0.31

1.04

1.47

1.85

2.78

3.62

6.42

6.91

8.25

8.88

3

0.00

0.23

0.77

1.56

1.78

1.96

2.51

4.30

5.94

6.10

6.76

4

0.00

0.11

0.39

0.81

0.86

0.90

1.58

2.68

3.03

4.41

5.11

5

0.00

0.11

0.22

0.48

0.48

0.47

0.81

1.52

2.38

3.18

3.89

6

0.00

0.00

0.00

0.05

0.53

1.04

1.61

2.44

2.64

2.67

2.67

7

0.00

0.09

0.38

0.76

1.19

1.66

1.92

3.80

4.27

4.50

4.69

8

0.00

0.15

0.69

1.43

1.80

2.17

3.38

5.21

6.03

6.52

6.86

9

0.00

0.00

0.31

0.79

1.19

1.63

2.57

4.02

4.53

4.82

5.04

10

0.00

0.02

0.09

0.19

0.25

0.34

0.52

0.85

0.85

0.85

0.85

4.3 처짐 경향

Table 5는 콘크리트 블록 재하 후 3개월 간 계측한 처짐 값들이다. 슬래브 중앙부(No.2)의 3개월 계측 결과, 초기 처짐에서 6.792㎜ 더 추가되어 처짐이 발생하였지만, 이는 국내 구조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용하중에 의한 기준 값(ln/240= 17.93㎜)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11 참조).

Fig. 11에서 알 수 있듯이 다른 계측 점들은 중앙부 처짐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발생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Fig. 12는 각 방향별도 3개월 간 측정한 값들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 12에서 알 수 있듯이 X방향 및 Y방향 모두 초기 3주간은 처짐 량이 증가하다가 이후 6주가 지나고 나서는 처짐 량은 유사하게 나타나 처짐은 안정화되어 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하중의 분포 상 발코니부분의 처짐이 슬래브 처짐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슬래브 중앙부의 처짐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발코니의 하중이 슬래브 전체의 처짐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각 방향별로 처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으며 이는 콘크리트의 수화작용이 어느 정도 안정화 되어가며 처짐 원인이 외부 하중요인에서 콘크리트 내부에서 작용하는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의한 처짐으로 변경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Fig. 11 Deflection result after 3 months
../../Resources/ksm/jksmi.2021.25.6.185/fig11.png
Fig. 12 Maximum deflection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Resources/ksm/jksmi.2021.25.6.185/fig12.png
Table 5 Long-term deflection measurement results (unit : ㎜)

    Data

No.    

12.13

12.14

12.16

12.17

12.18

12.19

12.20

12.26

1.2

1.9

1.16

1.23

1.30

2.6

2.27

3.3

3.9

3.16

No.1

6.13

7.23

7.59

7.96

8.37

8.66

8.91

9.04

9.21

9.74

10.03

10.38

10.52

10.52

10.65

10.66

10.69

10.70

No.2

9.82

11.21

11.82

12.11

12.14

12.42

12.65

12.75

12.89

13.42

13.91

14.59

15.18

15.28

15.52

15.56

15.63

15.67

No.3

8.15

9.22

9.39

9.53

9.60

9.61

9.81

9.88

9.93

10.39

10.65

10.72

11.09

11.55

12.06

12.10

12.20

12.25

No.4

5.48

6.86

7.45

7.69

7.66

7.87

8.03

8.08

8.16

8.38

8.72

9.10

9.11

9.15

9.18

9.21

9.22

9.23

No.5

4.60

5.28

5.87

6.11

6.14

6.23

6.39

6.44

6.53

6.66

6.98

7.22

7.23

7.28

7.34

7.40

7.52

7.53

No.6

3.16

4.35

4.93

5.59

5.71

5.93

5.89

6.04

6.10

6.35

6.62

6.83

6.99

7.01

7.21

7.17

7.19

7.20

No.7

4.94

6.50

7.08

7.32

7.27

7.48

7.65

7.69

7.75

7.98

8.33

8.36

8.64

8.70

8.75

8.80

8.82

8.84

No.8

7.07

8.75

9.35

9.60

9.61

9.89

10.15

10.29

10.46

10.92

11.35

11.96

12.47

12.48

12.52

12.58

12.65

12.72

No.9

5.90

6.83

7.42

7.52

7.69

7.95

8.02

8.09

8.14

8.59

8.76

8.79

9.13

9.14

9.19

9.41

9.59

9.62

No.10

0.85

0.85

0.85

0.85

0.85

0.85

0.85

0.85

0.85

0.85

0.85

0.85

0.85

0.85

0.85

0.85

0.85

0.85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거푸집 패널이 부착된 중공슬래브 시스템을 적용한 플랫 플레이트의 사용 하중 하에서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물 크기의 Mock-up 실험체를 제작하고 이에 대한 처짐을 검토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하중 재하 단계에서는 슬래브 중앙부(No.2, No.3, No.8)에서 처짐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중앙부에서 멀어질수록 처짐의 양도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슬래브의 가장 중앙부의 처짐인 No2의 경우 재하 시 처짐이 8.88㎜ 발생하였으며 이는 즉시 처짐에 대한 기준 값(ln/240=17.93㎜)에 비하여 안전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2) 하중의 분포 상 발코니부분의 처짐이 슬래브 처짐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슬래브 중앙부의 처짐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발코니의 하중이 슬래브 전체의 처짐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3) 본 연구에서는 VPS시스템을 적용한 1층 건축물의 하중 재하에 따른 처짐을 계측하여 국내 처짐 기준을 만족하는지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3개월간의 장기 처짐을 계측한 결과 초기 처짐에서 6.792㎜ 더 추가되어 처짐이 발생하였지만 즉시 처짐 혀용 기준인 (ln/240) 17.93㎜ 이하의 처짐 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국내 구조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처짐 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과제번호: N20CTAP-C157477-01)에 의한 연구 결과이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Hur, M. W., Chae, K. H., Hwang, K. S., Yoon, S. H., Park, T. W. (2021), Structural Performance of One-way Void Plywood Slab System with form work Pane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5(1), 7-15.DOI
2 
Lee, Y. J., Kim, H. G., Kim, M. J., Kim, D. H., Kim, K. H. (2020), Evaluation of Flexural Performance for Prestressed Concrete Hollow Core Slab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2(2), 193-200.DOI
3 
Lee, Y. J., Kim, H. K., Kim, M. J., Lee, J. S., Kim, K. H. (2019),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for Prestressed Concrete Hollow Core Slab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1(5), 505-512.Google Search
4 
Park, M. K., Lee, D. H., Han, S. J., Kim, K. D. (2019), Web-shear Capacity of Thick Precast Prestressed Hollow-core Slabs Units Produced by Extrusion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13(7), 19-32.DOI
5 
Cho, G. Y., Park, Y. C., Choi, C. S. (2018),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One-way Shear Strength of Void Slabs with Automatic Prefabrication of Welded Wire Trus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0(3), 305-314.Google Search
6 
Kim, J. Y., Park, S. B. (2019), Analysis of Effects of Reshoring Works on Short and Long Term Deflections of Flat Plat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1(1), 40-48.DOI
7 
Hwang, H. J., Park, H. G., Hong, G. H., Kim, J. Y., Kim, Y. N. (2014), Measurement and Perdicion of Long-term Deflection of Flat Plate Affected by Construction Load,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6(5), 615-625.DOI
8 
Chun, S. C., Tak, S. Y., Lee, S. H., Sho, K. H., Ha, R. H. (2014), Evaluaion of Construction Loads of Slabs and Shores with Removing Shores and Placing Reshores, Journal of th Koera Concrete Institute, 26(3), 385-392.DOI
9 
Choi, S. M., Eom, T. S., Kim, J. Y. (2012), Parametric Study on Long-Term Deflections of Flat Plates Considering Effects of Construction Loads and Crack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6(1), 44-54.DOI
10 
Hwang, H. J., Park, H. G., Hong, G. H., Im, S. H., Kim, J. Y. (2010), Effects of Shore Stiffness and Concrete Cracking on Slab Construction LoadⅠ: Theory, Journal of th Koera Concrete Institute, 22(1), 41-50.DOI
11 
Hwang, H. J., Hong, G. H., Park, H. G., Kim, Y. N., Kim, J. Y. (2010), Effects of Shore Stiffness and Concrete Cracking on Slab Construction Load Ⅱ: Measurements and Comparisons, Journal of th Koera Concrete Institute, 22(1), 51-58.DOI
12 
Kim, J. Y., Im, J. H., Park, H. G. (2009), Calculations of Flat Plate Deflections Considering Effects of Construction Loads and Cracking,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1(6), 797-804.DOI
13 
Hur, M. W., Woo, H. S., Park, J. M., Kang, H. W., Park, T. W. (2021), Evaluation of Punching Shear Safety of a Two-Way Void Plywood Slab System with For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5(5), 1-8.Google Search
14 
ACI Committee 318., (2019),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nd CommentaryGoogle Search
15 
(2016), Korean Building and Commentary.,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Google Search
16 
BS EN., (2004), Eurocode 2 :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British Strandards, UK, 225Google Search
17 
Hur, M. W., Chae, K. H., Hwang, K. S., Yoon, S. H., Park, T. W. (2020), Structural Performance of One-way Void Plywood Slab System with form work Pane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5(1), 7-15.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