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유디엔에스 CTO, 공학박사
  2. 정회원,㈜유디엔에스 연구소장, 교신저자



비탈면, 콘관입시험(CPT), 소형동적콘관입시험(DCPT), 지반정보, 복합센서, 함수비센서
Slope inspection, Cone penetration test, Soil information, Portable multi-function sensor, Volumetric water content sensor

1. 서 론

비탈면의 점검은 일반적으로 육안점검에 의존하는데 한국시설안전관리공단(現 국토안전관리원)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해설서(절토사면)’에 따르면, 비탈면 관리에 있어서 현장조사(점검과 진단)는 정기점검, 정밀점검 그리고 정밀안전진단의 3가지로 분류된다.1) 육안검사와 간단한 측정기구(줄자, 슈미트해머, 토양경도계 등)를 통해서 조사하는 현장점검에서는 비탈면의 손상여부 또는 토질 조건 등의 일반적인 지반상태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고는 있지만, 흙의 강도나 풍화도 그리고 지하수 상태 등은 정확하게 검토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2)

흙의 전단 강도는 역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핵심 매개변수인데, 이를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이면서 확실한 방법은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SPT)을 실시하는 것이다. 표준관입시험의 N치를 활용하여 토양의 전단강도를 추정할 수 있거나, 샘플러를 통해서 채취한 시료의 직접전단시험(Direct Shear Test) 또는 3축압축시험을 실시하여 정확한 전단강도값 측정도 가능하다. 하지만, 비탈면에서의 표준관입시험은 100kg 이상인 장비의 무게 때문에 이동 및 설치가 쉽지 않으며, 시추장비까지 같이 이동할 경우 과도한 산림훼손과 많은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상적인 점검에서는 실시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표준관입시험 이외에 흙의 전단강도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는 평판재하시험, 베인전단시험, 콘관입시험(CPT)과 동적콘관입시험(DCPT)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장시험 방식은 실내시험과 비교하여 정확도도 떨어질 뿐 아니라 대부분 시험자의 경험적 모델을 기반으로 추정한다.3)

동적콘관입시험(Dynamic Cone Penetration Test)은 해머로 콘이나 샘플러가 부착된 롯드를 타입하는 충격식이며, 일정한 길이의 타입에 타격을 요하는 타격횟수를 측정하여 지반의 관입저항 지수를 측정한다(Bowles, 1997).

소형동적콘관입시험은 질량 5kg 해머를 50c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키고 원위치 흙의 관입저항을 간이로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국가별 기준 또는 장비별 특성에 따라 추의 무게와 낙하 높이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탈면의 안전점검에서 지반정수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콘 형태의 복합센서를 개발하였다. 이 센서는 두 가지 타입으로 개발되었는데 하나는 사람의 힘으로 토양에 관입할 수 있는 가볍고 작게 고안되었고 나머지 하나는 CPT 또는 DCPT시험을 통해 토양에 관입 시 선단 및 슬리브의 저항력을 동시에 측정하며 깊이별 함수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실내시험에서는 토양의 종류와 혼합비율 및 다짐도에 따른 측정을 통해 상관성을 분석하고, 현장시험을 통해서 적용성을 검증하여 표준관입시험 N치와 센서추정값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2. 휴대형 복합센서 개발

2.1 휴대용 DCPT 장비

본 연구에 사용된 휴대용 동적콘관입시험 장비는 유압모터 작동구, 동적콘관입시험 낙하추, 자동타격장치, 변위센서 등의 모듈로 구성되어있다. 30kg의 추를 20cm 높이에서 낙하하여 10cm 관 입시 낙하횟수(N)을 측정하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표준관입시험(SPT)과 원리는 동일하나 낙하 높이 및 낙하 추의 무게가 다른 차이점이 있다.

동적콘관입시험과 표준관입시험의 상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관입에너지(Q)를 산정하여야 하며, 관입에너지(Q)는 다음과 같은 식 (1)로 정의된다.

(1)
$Q=\dfrac{M H}{A\delta}(kg/cm^{2})$

여기서, M은 질량(Mass, kg), H는 낙하 높이(Falling Height, cm ), A는 단면적(Base Area, cm2), δ는 관입 깊이(Penetration Length, cm)이다.

(1)에 의거하여 동적관입시험(DCPT)의 제원과 표준관입시험(SPT)의 제원을 이용하여 각각의 관입에너지(Q)를 산정하면, QSPT = 7.87kg/㎠, QDCPT = 6.0 kg/㎠ 으로 나타났다. 이 값을 이용하여 SPT와 DCPT의 관입에너지를 비교하여 다음 식 (2) ~ (3)과 같은 관계를 도출하여 시험데이터 분석에 적용하였다.

(2)
$N_{SPT}=\dfrac{6}{7.87}N_{DCPT}= 0.76 N_{DCPT}$
(3)
$N_{DCPT}= 1.3N_{SPT}$
Fig. 1 Portable drilling machine with DCPT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1.png

2.2 휴대용 시추기 장착 복합센서 개발

휴대가 간편한 비탈면 안전점검용 센서개발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비탈면 취약도 평가에 필요한 지층 및 지반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을 포함하며, 비탈면 안전성 평가에 필요한 조사데이터(토양경도, N치 등)를 자동 추출하고, 상부 자연사면 토사붕괴 징후파악을 위해 깊이별 함수비 측정도 가능하도록 복합센서로 설계하였다.

복합센서의 선단을 구성하는 소형 전자식 콘 프로브는 휴대용 시추기에 장착하여 동적콘관입시험의 콘 기능을 하며 동시에 전자식 콘 기능(콘관입력과 슬리브마찰력 측정)을 할 수 있으며, 그 후단에는 시추공 관입 후 깊이별 함수비 측정이 가능한 FDR2 함수비 센서를 복수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무게추의 타격시 동적콘관입시험의 관입 깊이는 Wired Displacement Transducer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측정하였다.

2.2.1 소형 전자식 콘프로브 개발

지반정보 복합센서의 선단을 구성하는 소형 전자식 콘 프로브는 CPT 및 DCPT를 수행하기 위해 개발하였으며, 직경 30mm 콘과 길이 250mm Friction Sleeve를 기본 스펙으로 콘관입력과 마찰력을 손실 없이 로드셀로 전달하기 위한 로드와 어댑터, 로드셀 모듈로 설계하였다.

로드셀 모듈부는 콘관입력과 마찰력을 각각 2개의 로드셀로 손실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2개 ㄷ형 지지부를 가공하여 교차하여 끼워지도록 설계하였다.

로드셀 모듈의 실내 정확도 검증시험은 다음과 같이 검교정용 실하중 측정장비(100kg)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공인 중량추 25kg 3개 및 10kg 1개, 5kg 1개를 이용하여 0, 5, 15, 40, 65, 90kg 단계에서 출력값을 계측하여 분석하였다. 실내시험 결과, 소형 전자식 콘프로브 로드셀 모듈의 측정오차는 Table 1과 같이 시험구간 0 ~ 90 kg 범위에서 평균 0.32% 오차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1 Result of feasibility test (DCPT cone)

Certified Weights (kg)

Measured Weights (kg)

Error

(%)

1st

2nd

3rd

Avg.

0

0.0

0.0

0.0

0.0

-

5

4.9

5.0

4.9

4.93

1.4

15

14.9

15.0

15.0

14.97

0.2

40

39.9

39.9

40.0

39.93

0.2

65

64.9

64.9

65.0

64.93

0.1

90

90.0

90.0

90.0

90.00

-

Average Rate of Error : 0.32 % of SPAN
Fig. 2 Concept of multi-function sensor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2.png
Fig. 3 Drawing of electronic cone (Front Part)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3.png
Fig. 4 Prototype of electronic cone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4.png
Fig. 5 Feasibility test of electronic cone loadcell module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5.png

2.2.2 멀티레이어 함수비 센서 프로브 개발

복합센서 후단의 함수비 센서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FDR2방식의 센싱 기술을 적용하여 1초당 한 번씩 센싱 코어 주변부의 함수비를 측정하여 CAN 2.0B 통신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함수비 센서모듈은 상용 함수비센서와의 실내 비교실험을 통해서 기본 성능을 검증하였다.

화강풍화토(미립,소립,중립,대립), 점토, 모래 (주문진규사)를 혼합비율에 따라 섞은 후 오븐에서 가열하여 VWC 0%를 설정하였다. 부피 비율에 따라 수분을 추가하여 VWC 10%, 20%, 30%, 40%, 50% 단계별로 각 센서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비교에 사용한 상용 함수비센서는 Sentek사 Enviroscan과 Spectrum사의 Waterscout이다. 개발한 함수비 센서의 측정오차는 Table 2와 같이 함수비 0 ~ 40 % 범위에서 평균 3.7% 오차이다. 이 값은 상용 함수비센서가 갖는 오차와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판단되어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Table 2 Result of feasibility test (water content sensor)

VWC

(%)

Reference Sensor

PrototypeSensor

Enviroscan

VWC (%)

Error

(%)

SMEC300

VWC (%)

Error

(%)

VWC

(%)

Error

(%)

10

9.8

2.0

10.6

6.0

9.5

5.0

20

18.9

5.5

21.5

7.5

19.6

2.0

30

28.7

4.3

32.1

7.0

31.2

4.0

40

39.5

1.2

42.2

5.5

41.5

3.8

AVG

3.25

6.50

3.70

Average Rate of Error : 3.7 % of SPAN
Fig. 6 Concept of multi-layered water content sensor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6.png
Fig. 7 Prototype of multi-layered water content sensor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7.png
Fig. 8 Feasibility test of water content sensor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8.png

2.3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 개발

복합센서의 로드셀 부분를 응용하여, 다음 Fig. 9와 같이 토양경도계 형태로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CPT처럼 표토층의 콘관입력과 슬리브 마찰력을 동시에 측정가능한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 (Portable Tester)를 개발하였다.

Fig. 9 Portable tester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9.png

콘관입력과 슬리브마찰력의 관계에 따른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 측정값의 데이터베이스가 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활용을 위해 다양한 시료에 대한 실내실험을 통해서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개발 완료된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는 비탈면 일상점검에 이용하여 기본적인 토양정보를 계측하는데 사용하며, 좀 더 정밀한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 휴대용 DCPT 장비와 복합센서 프로브를 사용하여 N치를 추정하는 방식을 활용할 계획이다.

3. 실내외 지반시험

3.1 실내시험

3.1.1 시험조건

본 연구에서는 비탈면의 다양한 지반특성을 모사하기 위해서 SPT시험이 완료된 시험지역의 풍화토를 채취하여 자갈을 제거한 시료와 이 시료에 모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준비하고 다짐도를 다르게 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이 시료에 소형 전자식콘 프로브의 유압식 CPT 시험기와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Portable Tester)를 동일한 조건에서 가력하여 선단저항을 측정하였다. 시험과정과 시험시편의 모식도는 아래의 Fig. 10~11과 같다.

시험 변수는 모래 및 풍화토, 모래와 풍화토를 혼합한 토양까지 3가지 종류의 시료를 각각 다짐 횟수를 5, 10, 그리고 15회, 3가지로 변화시켜 아래의 Table 3과 같이 9개로 구성하였고 측정 결과의 반복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료에 5~6회씩 반복하여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자동 데이터 로거에 저장되도록 하였다.

시료(풍화토, 모래, 혼합토)를 2.5kg 넣고 다지는 방식으로 4번을 담았으며, 총 10kg을 다짐몰드에 담아서 다짐을 실시하였다. 또한, 혼합토의 경우는 모래와 풍화토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다짐방법은 흙의 다짐 시험 (KS F 2312)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각 층별로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수동다짐기(래머)를 사용하여 다짐을 실시하였다.

Table 3 Test cases

                  Compaction Count

Specimens                  

5

10

15

Soil (S)

S_05

S_10

S_15

Mixed Soil (W+S, 1:1)

M_05

M_10

M_15

Weathered Soil (W)

WS_05

WS_10

WS_15

Fig. 10 Test procedure of CPT cone and portable tester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10.png
Fig. 11 Test photos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11.png

3.1.2 휴대형 복합센서의 선단저항 측정

Fig. 12는 시험 변수별 반복 시험으로 얻어진 선단저항 측정 결과 중 소형 전자식 콘프로브를 이용한 CPT 시험기와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Portable Tester)의 대표적인 그래프이다.

각 그래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소형 전자식 콘프로브 CPT 시험에서는 복합센서가 일정한 속도와 압력으로 가력되기 때문에 비교적 일정한 측정값이 얻어지는 반면, 인력식인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 경우에는 측정시 조사자의 동작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요인이 있으며, 슬리브 직경이 작기 때문에 주변마찰력 측정이 상대적으로 부정확한 것으로 보인다.

Fig. 12 Test results example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12.png

3.1.3 소형 전자식 콘프로브 CPT 시험 결과

모래, 혼합토, 풍화토의 각 다짐 횟수별 시료에 대한 소형 전자식 콘프로브 적용 CPT 시험 결과는 다음 Table 4와 같다. 콘관입력 및 슬리브 마찰력, Friction Ratio 등 각 측정 항목별로 결과를 분석한 결과, Fig. 13과 같이 다짐 횟수 및 토질 특성에 따른 콘관입력의 증가 경향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3 Test results (Multi-Function Sensor CPT)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13.png
Table 4 Test results (Multi-function sensor CPT)

Soil

Compaction Counts

5

10

15

Qc

(kPa)

Fs

(kPa)

Rf

Qc

(kPa)

Fs

(kPa)

Rf

Qc

(kPa)

Fs

(kPa)

Rf

No.1

267.7

0.7

0.0026

308.3

0.72

0.0023

334.8

0.97

0.0029

No.2

272.7

0.7

0.0026

321.9

0.94

0.0029

326.3

0.9

0.0028

No.3

244.1

0.54

0.0022

311.9

0.76

0.0024

328.5

0.85

0.0026

No.4

223.2

0.55

0.0025

314.1

0.87

0.0028

343.8

0.94

0.0027

No.5

232.5

0.58

0.0025

309.3

0.76

0.0025

343.7

1.04

0.003

Average

248

0.61

0.0025

312.7

0.8

0.0026

335.4

0.94

0.0028

Mixed Soil

No.1

267.7

0.59

0.0022

318.2

0.75

0.0024

No.2

288.1

0.52

0.0018

317.4

0.64

0.002

No.3

264.9

0.49

0.0019

323.8

0.66

0.0021

No.4

281.5

0.51

0.0018

331.2

0.71

0.0021

No.5

297.1

0.62

0.0021

336.7

0.74

0.0022

Average

279.8

0.54

0.0019

325.5

0.7

0.0022

Weathered Soil

No.1

271.1

0.45

0.0016

278.5

0.45

0.0016

331.4

0.95

0.0029

No.2

287.6

0.51

0.0018

323.7

0.64

0.002

334.8

1.03

0.0031

No.3

296.1

0.47

0.0016

332.5

0.63

0.0019

326.9

0.52

0.0016

No.4

307.3

0.6

0.002

334.4

0.76

0.0023

340.3

0.8

0.0023

No.5

296.3

0.54

0.0018

337.1

0.72

0.0021

332.9

0.59

0.0018

Average

291.7

0.51

0.0018

324.2

0.62

0.0019

333.3

0.78

0.0023

* Qc : Cone Resistance

Fs : Sleeve Friction

Rf : Friction Ratio (Fs/Qc)

3.1.4 소형 전자식 콘프로브 CPT 및 인력식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의 상관성

비탈면의 점검 시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만을 사용할 경우,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 결과를 유압식 복합센서 CPT 시험 결과로 변환할 수 있다면 유용한 토질 정보를 얻을 수 있다.이를 위해 실내 반복시험을 통해서 그 상관성을 확인해 보았다. Fig. 14는 각 시험 케이스 별 소형 전자식 콘 프로브 CPT 및 인력식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의 콘관입력 측정 ADC값을 그래프로 그린 것이이며, Fig. 15는 각 토질별 소형 전자식콘 프로브 CPT 및 인력식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의 콘관입력을 센서의 ADC 신호 레벨에서 상관성을 표현한 그래프이다.

시험결과, 모래에서의 R2값은 0.85, 풍화토는 0.83, 혼합토는 0.98로 분석되었다. 측정데이터 중 일부에서는 최대치에 근접한 부분에서는 더 이상 관입되지 않을 때까지 값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수평으로 흐르는 현상이 나타나 상관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사자가 일관된 힘으로 관입하거나 추가적인 장치에 의해 일관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Fig. 14 Test results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14.png
Fig. 15 Correlation of CPT cone and portable tester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15.png

3.2 현장시험

3.2.1 시험조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형 전자식 콘프로브 복합센서와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 두 곳의 비탈면 현장에서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시험에서는 표준관입시험(SPT)을 통해서 정확한 N치를 측정하고 이를 센서 정보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샘플링한 시료의 실내 시험을 통해서 얻은 지반정보(전단강도, 함수비 등)와 비교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음 Table 6Fig. 16은 샘플링 및 SPT 시험 등을 통해서 얻은 Site-1, Site-2의 기준 데이터이다.

Fig. 16 Standard test results of soil samples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16.png
Table 5 Test sites

Site-1

Date

2021. 10. 13

../../Resources/ksm/jksmi.2022.26.1.49/tb5-1.png

Location

138, Woram-dong, Uiwang-si, Gyeonggi-do

Note

Colluvial Soil, Weathered Granite and Soil

Site-2

Date

2021. 10. 14.

../../Resources/ksm/jksmi.2022.26.1.49/tb5-2.png

Location

296, Jubuk-ri, Yangji-myeon, Cheoin-gu, Yongin-si, Gyeonggi-do,

Note

Weathered Granite and Soil

Table 6 Soil test results

 No.

M/C

ρs

Direct-shear Test

U.S.C.S.

N

(SPT)

C

Ø

%

g/㎤

kPa

deg

Site-1

24.6

2.659

16.9

34.1

SM

3/30∼50/20

Site-2

13.3

2.647

14.6

36.3

SM

11/30∼29/30

3.2.2 DCPT결과와 SPT값

소형 전자식 콘프로브 복합센서를 사용한 DCPT 시험을 Fig. 17~18과 같이 실시하여, NDCPT를 측정하고 표준관입시험 N치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Fig. 21~22와 같이 관입깊이에 따른 소형 전자식 콘프로브 복합센서의 콘저항력을 측정하였으며, NDCPT 측정을 위해 30 cm 관입시 타격회수를 카운트하여 N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Site-1의 DCPT 시험에서는 30 cm씩 3회에 걸쳐 진행하여 총 90 cm 관입 데이트를 취득하였으며, Site-2에서는 30 cm 관입 1회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콘 저항력 측정 값을 분석해보면, 타격시 낙하에너지에 따른 충격의 형태가 신호로 측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NDCPT와 N치의 관계는 다음 Table 7과 같이 확인되었다.

Fig. 17 Site-1 field test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17.png
Fig. 18 Site-2 field test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18.png
Fig. 19 Site-1 DCPT result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19.png
Fig. 20 Site-2 DCPT result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20.png
Fig. 21 Site-1 portable tester qc result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21.png
Fig. 22 Site-2 portable tester qc result
../../Resources/ksm/jksmi.2022.26.1.49/fig22.png
Table 7 DCPT results vs SPT N values

 No.

N (SPT)

NDCPT

Nmeasured

(1.3×NDCPT)

Rate of Error

(Avg.)

Site-1

11/30

27/30

12/30

12/30

13/30

15/30

15.6/30

16.9/30

19.5/30

+3.9%

Site-2

Average 20/30

(11/30∼29/30)

15/30

19.5/30

-2.5%

3.2.3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 적용성 분석

본 연구에서 개발한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DCPT시험을 실시한 현장시험 장소에서근접한 위치에서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를 사용하여 복수로 측정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앞서 실내시험에서 도출한 휴대용지반정보 계측기에서 측정되는 콘저항력과 CPT 콘저항력과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CPT 콘저항값을 추정하였으며, CPT 결과로부터 표준관입시험의 N치를 추정하는 Imai and Tonouchi(1982)가 제안한 기존의 수식 (4)를 이용하여 N치를 추정하여 앞서 측정한 NDCPT 및 N추정치(Nmeasured)와도 추가 비교를 실시하였다.

(4)
$N = q_{c}/4.5$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로 측정한 콘저항력을 이용한 N치 추정결과는 Table 8과 같으며, 계측기가 관입되는 범위에서 선형구간에서의 측정값은 N치 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용범위가 표층에 머무를 수밖에 없으며 인력에 의한 관입에서 도출되는 오차가 크기 때문에 데이터활용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슬리브 저항력을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측정 정확도를 높일수 있게 센서 개선을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able 8 Portable tester results vs SPT N values

 No.

Cone Resistance (q$_{c}$, MPa)

Nportable

(q$_{c}$,/4.5)

Nmeasured

(1.3×NDCPT)

N

(SPT)

Site-1

No.1

61

14

15.6/30

16.9/30

19.5/30

3/30

50/20

No.2

59

13

No.3

68

15

Site-2

No.1

71

16

19.5/30

11/30

29/30

No.2

64

14

No.3

57

13

3.2.4 함수비 센서 적용성 분석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멀티레이어 함수비센서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을 위해 각 현장시험 장소에서 3회 이상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샘플링한 시료의 공인기관 시험을 통해서 정확한 함수비를 확인하여 센서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함수비센서는 현장시험에서도 Table 9와 같이 오차율 –2.1 ~ -1.73 %로 비교적 정확한 측정 결과를 나타냈다.

Table 9 VWC results

No.

VWC (%)

Rate of Error

(Avg.)

Standard Test Result

Water Content Sensor Result

Site-1

24.6

No.1

23.29

-2.10%

No.2

23.12

No.3

25.84

Avg

24.08

Site-2

13.3

No.1

12.95

-1.73%

No.2

12.58

No.3

13.68

Avg

13.07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비탈면유지관리 관련지침 및 장비기술 등을 검토하여 안정성 평가에 필요한 강도정수 및 함수비 등을 측정하기 위해 휴대용 시추기 및 조사장비의 개발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현장 조사자를 위해 소형화 한 콘관입프로브 및 함수비센서가 융합된 새로운 지반정보 복합계측센서를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소형 전자식 콘프로브 CPT 시험결과를 통해서, 토질 종류에 따른 콘관입력과 슬리브마찰력의 관계를 통해서 일부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복합센서의 CPT 시험 결과를 Soil Behavior Type (Robertson, 2010)에 적용하여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료에 대한 추가 시험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소형 전자식 콘프로브 복합센서를 사용한 DCPT 시험결과를 표준관입시험의 N치와 비교분석한 결과, -2.5 ~ +3.9%의 오차를 보였으며, 휴대용 지반정보계측기와 함수비센서 역시 현장적용이 가능한 정도의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복합계측센서의 N치 추정값과 함수비의 상관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며,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함수비센서의 현장 검증을 통해서 향후 연구에서의 적용근거를 확보할 수 있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건설기술연구사업(비탈면 대상 조사·점검 개선 및 보강시설 노후화 대응 기술 개발. 21SCIP-C151408-03)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References

1 
한국시설안전관리공단(現 국토안전관리원), (2012),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해설서(절토사면), 12(3), 12-13.Google Search
2 
국민안전처, (2017),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기준, 재해위험도 평가항목 업무해설서, 19-38.Google Search
3 
Khalid, A. A., Ayman, M. O., Bashar, A., Zhongjie, Z. (2011), Reliability Analysis of CPT Measurements for Calculating Undrained Shear Strength, Geotechnical Testing Journal, 34(6), 1-8.Google Search
4 
Tarawneh, Bashar (2017), Prediction standard penetration test N-value from cone penetration test dat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Geoscience Frontiers 8, 199-204.DOI
5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2013),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isasters Occurring on the Steep Slopes in Korea, 1529-1538.Google Search
6 
Imai, T., Tonouchi, K. (1982), Correlation of N value with s-wave velocity and shear modulus, Proceedings of the Second European Symposium on Penetration Testing(ESOPT), 24-27.URL
7 
Robertson, P.K., Campanella, R.G. (1983), Interpretation of cone penetration testa, PartⅠ:sand,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20(4), 718-733.DOI
8 
김, 홍택, 한, 정훈, 김, 건호, 한, 연진 (2010), CPT와 SPT의 지반조사를 통한 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2212-2215.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