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연구본부 전임연구원
  2. 정회원,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3. 정회원,경기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부 건축공학전공 교수
  4. 정회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연구본부 수석연구원



3D 프린팅, 적층공법, 압축강도, 수축, 출력공정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Compressive strength, Shrinkage, Printing process

1. 서 론

3D 프린팅 기술은 구조물의 3차원 설계와 적층 공법을 적용하여 복잡한 형상을 제조할 수 있는 강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건설 산업에서는 2010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건설용 3D 프린팅 기술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건설용 3D 프린팅 기술은 2층 이하의 건물과 보도교 등의 건설에 이용되고 있다(Buswell et al., 2020). 특히, 국내에서는 2020년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관의 연구단이 높이 3m의 단층건축물(면적 100 m㎡)을 시공한 사례가 있다(Lee et al., 2021). 일반적으로 건설용 3D 프린팅 기술은 콘크리트 복합재료를 압출하여 적층하면서 구조물을 출력하는 AM(Additive Manufacturing)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건설용 3D 프린팅 공법은 비정형 구조물을 거푸집 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출력된 콘크리트 복합재료는 거푸집 없이 외부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품질과 내구성이 현저히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Lee et al, 2019a).

콘크리트의 수축은 내구성 저하의 대표적인 요인이며, 구조물의 변형과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콘크리트의 수축은 발생시기와 기간에 따라 소성수축과 자기수축 및 건조수축, 탄화수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성수축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표면의 블리딩 수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며, 건조수축은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증발됨에 따라 장기간에 발생한다. 자기수축은 고강도 콘크리트와 같이 물-결합재비(W/B)가 낮은 경우 지속적인 미수화 시멘트의 수화로 인한 내부수분 손실됨에 따라 발생한다. 탄화수축은 콘크리트의 탄산화로 인해 생성된 탄산칼슘이 침전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Kwon et al., 2016).

3D 프린팅으로 출력된 콘크리트 복합재료는 거푸집으로 보양이 되는 일반 콘크리트와 달리 출력직후부터 외기환경에 노출되어 급격한 콘크리트의 내· 외부 수분증발에 따라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Jo et al., 2020). 또한 일반적으로 3D 프린팅용 복합재료는 출력물 자체가 거푸집 역할 또는 구조체로 활용되어 40 MPa 이상의 고강도의 재료가 사용되기 때문에 미수화 시멘트의 수화로 인한 자기 수축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Kwon et al., 2016). 이에 따라 외기환경에서 적층된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수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외의 기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결합재를 개선하는 방식을 비롯하여 수축저감제와 점도조절제 및 섬유 혼입을 통하여 수축량을 저감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Chen et al., 2022; Lee et al., 2020; Park et al., 2015).

건설용 3D 프린팅 콘크리트는 거푸집 타설 콘크리트와 동등 이상의 콘크리트 품질 및 내구성능 확보를 위하여 외기 노출조건에 따른 자기수축과 건조수축에 대한 평가와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Lee et al,, 2019b; Federowicz et al., 2020).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결합재 3종과 수축저감을 위한 재료(수축저감제, 점도조절제)를 혼입한 3D 프린팅용 복합재료의 양생조건에 따른 수축특성과 타설 초기 시험체의 수화온도가 수축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2.1 사용재료

결합재는 기존 3D 프린팅 연구에서 사용한 배합으로부터 결합재의 구성 및 사용량을 참고하였다(Lee et al., 2020). 기존연구에서 3D 프린팅에 사용된 배합의 결합재는 1종 보통시멘트(Ordinary Portalnd cement, OPC), 플라이애시(Fly ash, FA), 실리카흄(Silica fume, SF)이 혼합된 3성분계를 사용했으며, 화학혼화제는 고성능 감수제(High-range water-reducing agent, HRWRA), 점도조절제(Viscosity modifying-agent, VMA), 수축저감제(Shrinkage-reducing agent, SRA) 3종이 사용되었다.

시멘트는 KS L 5110 및 KS L 5201에 따라 분석한 결과, 비중 3.13g/㎤, 비표면적 3542㎤/g, 오토클레이브 팽창도 0.09%, 초기 응결 시간 260분, 최종 응결 시간 360분의 Type 1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재료의 이송과정에서 유동성능 확보를 위해 결합재의 20%를 플라이애시로 치환하였다. 실리카흄은 시멘트 입자 사이의 공극을 메움으로써 고강도 및 내구성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결합재의 10%를 대체하였다. 사용한 플라이애시를 KS F 5405에 따라 시험한 결과, SiO$_{2}$ 함량은 55.0%, 비중 2.25 g/㎤, 강열감량 2.9%, 비표면적 3,232 ㎠/g, 활성도지수 재령 28일에 81%, 재령 91일에 99%로 나타났다. 실리카흄을 KS F 2567에 따라 시험한 결과, SiO$_{2}$ 함량은 91.3%, 강열감량은 3.4%, 45μm 잔류물은 4.4%, 비표면적은 193,000 ㎠/g이었다. 입도 제어를 위해 95.5%의 SiO$_{2}$ 함량을 갖는 규사를 잔골재로 사용하였다. 0.17~0.25 mm 크기의 규사 7호사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모르타르 3DCP(3-Dimensional Construction Printing) 장비에 적용 시 원활한 압출 및 출력을 위해 고성능 감수제를 바인더 함량 대비 0.8% 적용하였다. HRWRA는 밀도 1.07±0.1 g/㎤, 고형분 30.1±2.0%의 밝은 갈색 액상 폴리카르복실산계 제품을 사용하였다. 3D 프린팅용 모르타르 배합에 사용되고 있는 혼화제의 수축거동 특성 분석을 위해 화학혼화제 2종을 선정하였다. 3D 프린팅 후 모르타르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레이어의 형상유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 D사에서 생산한 셀룰로오스계 VMA를 결합재 중량 대비 0.1%로 사용하였다. 또한 수축저감 효과 분석을 위해 식물성 유지류 기반의 SRA를 결합재 중량 대비 1%로 적용하였다.

2.2 적용배합

이 연구에 사용한 배합은 기존연구(Lee et al., 2020)에서 3D 프린팅용으로 사용한 배합을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3D 프린팅용 복합재료의 배합설계는 3종의 결합재(OPC, FA, SF)를 중량비로 OPC:FA:SF = 70:20:10%의 비율로 혼합하여 3성분계로 사용하였다. 배합설계는 Table 1에 나타내었으며, 배합명의 선정과 양생조건에 따른 표기법은 Table 1의 미주에 표기하였다.

Table 1 Mix proportion

Mix

W/B

(%)

Unit weight (kg/㎥)

Water

OPC

FA

SF

Sand

HRWRA

VMA

SRA

OPC 100

28

239

852

0

0

1177

17.64

0

0

F20 S10

28

239

596

171

85

1177

17.04

0

0

F20 S10-V

28

239

596

171

85

1177

17.04

0.85

8.52

F20 S10-VS

28

239

596

171

85

1177

17.04

0.85

8.52

../../Resources/ksm/jksmi.2022.26.2.76/tb1.png

2.3 수축측정용 시험체 제작방법

모르타르의 건조수축 시험방법은 ASTM C 596-18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길이변화를 측정방법은 ASTM C 490-18과 KS F 2424에서 시험법을 규정하고 있다.

ASTM C 490-18에서는 모르타르 시험체의 크기를 폭 25 mm, 높이 25 mm, 길이 285 mm로 규정하고 있다. KS F 2424에서는 모르타르의 경우 폭 40 mm, 높이 40 mm, 길이 160 mm 로 제작하고, 콘크리트의 경우, 폭 100 mm, 높이 100 mm, 길이 400 mm(또는 500 mm)로 제작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출력구조물의 크기효과를 고려하여 100 × 100 × 400 mm 크기의 시험체를 이용하여 수축거동을 분석하였다.

수축측정용 시험체 제작 시 모르타르와 몰드간의 구속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몰드 내부에 윤활유를 도포하고 폭방향과 길이방향 2중으로 1 mm 두께의 테프론시트(Teflon sheet)를 위치시켰다. 양생조건에 따른 시험체의 수축변형률 측정하기 위하여 모든 시험체는 동일한 매립형 스트레인게이지와 데이터로거로 측정하였다(Fig. 1).

측정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 배합별로 노출조건(Exposure curing, EC) 수축변형률과 밀봉조건(Sealed curing, SC) 수축변형률 시험체를 조건별로 2개씩 제작하였다. 수축변형률 결과는 각 변수별로 2개 시험체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OPC100 배합과 F20S10-V 배합의 SC시험체와 EC시험체 각 1개씩에 온도측정이 가능한 스트레인게이지를 매립하여 시험체 내부에서의 온도변화를 측정했다. 시험체는 타설 1시간 후 항온항습실로 이동하여 온도 22 ± 2 ℃, 상대습도(RH: Related Humidity) 80RH%의 조건으로 양생하였다. 밀봉조건 수축평가용 시험체는 타설 후 폴리에스테르 필름(Polyester film)으로 모든 시험체 표면을 덮어 외기의 접촉을 막아 시료표면에서의 수분증발 및 흡수를 방지하였다.

Fig. 1 Test method for shrinkage measurement
../../Resources/ksm/jksmi.2022.26.2.76/fig1.png

시험체는 타설 24시간 이후 몰드를 탈형하여 구속을 제거하였다. 노출조건 수축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체는 출력 이후의 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갖도록 타설 초기부터 표면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덮지 않고 표면을 노출 시켰으며, 타설 24시간 후 몰드 탈형하고 표면의 필름을 모두 제거하여 시험체의 모든 면을 노출시켰다.

2.4 압축강도 측정

3D 프린팅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압축강도는 ASTM C 39 – 20에 따라 배합별로 원주형 공시체(Ø100×200 mm)를 제작하여, 수축 측정용 시험체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생하였다. 압축강도는 재령 1, 3, 7, 28일에 재령 당 3개의 시험체에 대하여 0.3 MPa/sec의 하중재하속도로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및 분석

3.1 밀봉양생 및 노출양생 시험체의 수축거동

OPC100 배합을 포함한 4종 배합에 대하여 재령 100일 이상 수축 측정 결과를 Fig. 2에 나타내었다. 실선은 밀봉조건 수축거동 측정결과이며, 점선은 노출조건 수축거동 측정결과를 나타냈다. 재령초기 수화에 의한 팽창을 모두 포함하여 측정결과를 정리하였다. OPC100 배합은 재령 12시간에 SC 325 ㎛/m, EC는 202 ㎛/m 로 나타나 배합 초기부터 외기에 노출시킨 조건에서도 일시적인 팽창이 나타났다. 재령 1일에는 SC 183 ㎛/m, EC 85 ㎛/m 로 나타나 12시간과 비교하여 약간의 수축이 발생했다. 재령 3일에는 EC가 – 85 ㎛/m로 초기 제작 시험체와 비교해 수축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C의 경우 재령 28일에 – 41 ㎛/m로 나타나서 초기 팽창으로 인해 수축의 효과가 상당부분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Fig. 2(a)).

F20S10 OPC100재령 12시간에 SC 370 ㎛/m, EC – 77 ㎛/m 로 나타나 OPC100 배합과 비교하여 SC 시험체는 길이변화율의 증가가 나타나 상대적인 팽창이 발생했으며, 반면 EC 시험체는 약 270 ㎛/m 수준의 길이변화율 감소가 나타나 상대적으로 수축이 더 크게 발생했다. 재령 1일에는 SC – 195 ㎛/m, EC – 629 ㎛/m 로 나타나 EC는 12시간 총 수축결과와 비교하여 약 – 550 ㎛/m의 길이변화가 발생했다(Fig. 2(b)).

F20S10-V 배합은 12시간에 SC 135 ㎛/m, EC 352 ㎛/m 로 나타나 4종의 배합 중 유일하게 12시간 측정결과에서 EC 시험체가 SC 시험체 대비 팽창이 더 크게 발생한 배합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일차에서는 SC 7 ㎛/m, EC – 13 ㎛/m 로 나타나 양생초기 일시적인 현상으로 나타났다(Fig. 2(c)).

F20S10-VS 배합은 재령 12시간에 SC 376 ㎛/m, EC 211 ㎛/m 로 나타났다. EC 시험체는 재령 7일에 – 29 ㎛/m로 나타나

팽창효과가 약 7일간 지속됐으며, SC 시험체는 최종 길이변화율이 47 ㎛/m로 재령 100일 이상의 측정기간 동안 수축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Fig. 2(d)). 수축발생 방지 효과는 VMA와 SRA를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상당히 높아진 결과가 나타났으며, SRA 사용으로 모르타르의 미세공극을 충전해주는 효과로 인해 자기수축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Lee et al, 2019a).

Fig. 2 Shrinkage test results
../../Resources/ksm/jksmi.2022.26.2.76/fig2.png

3.2 배합별 수축거동 비교

4종의 배합을 양생조건별로 정리하여 Fig. 3에 표현했다. 밀봉양생한 시험체의 측정결과는 Fig. 3(a)에 나타냈으며, 타설 직후부터 표면을 노출시켜 양생한 시험체의 길이변화율은 Fig. 3(b)에 나타냈다. 주요 재령에서의 수축량을 Table 2에 정리하였다.

재령 91일에서의 밀봉시험체의 수축량은 F20S10 배합이 가장 크고 F20S10-VS 배합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Fig. 3(a)). 동일배합에서 VMA를 사용한 경우, 재령 91일에서 수축량은 214 ㎛/m 저감됐다. F20S10-VS배합은 F20S10-V 배합과 비교하여 수축량 저감이 재령 91일에서 약 542 ㎛/m 작게 나타났다. 재령 91일에서 F20S10배합의 수축량이 – 709 ㎛/m 로 나타난 결과를 고려할 때, SRA를 사용 시 수축저감 효과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노출시험체의 재령 91일의 수축량은 F20S10 배합이 가장 크고 F20S10-VS 배합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Fig. 3(b)). 다만, F20S10-V배합과 OPC100배합은 거의 유사한 수축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F20S10-V배합이 초기 재령 0.5일에서 352 ㎛/m 수준으로 팽창이 발현됐던 결과를 제외하고는 재령 3일부터는 거의 유사한 거동을 보였다.

Fig. 3 Shrinkage results
../../Resources/ksm/jksmi.2022.26.2.76/fig3.png

F20S10 배합의 재령91일 수축량은 – 1388 ㎛/m로 OPC100 배합과 F20S10-V 배합 대비 약 1.9배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F20S10-VS 배합과 비교하면 약 3.4배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VMA와 SRA가 밀봉된 환경 뿐 아니라 노출된 환경에서도 수축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종 배합의 외기에 의한 길이변화율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Table 2의 양생조건별 측정값의 차를 Fig. 4에 나타내었다. 재령 91일의 길이변화율의 크기는 양생 초기부터 F20S10, OPC100, F20S10-VS, F20S10-V의 순서로 나타났다. 측정결과 이 연구에서 사용한 유지계 SRA는 밀봉양생 시 자기수축 저감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F20S10 배합은 양생조건과 관계없이 4종의 배합 중에서는 가장 수축률이 크게 나타났으나, 두 값의 차이를 통해 노출에 의한 수축량은 OPC100 배합과 비교하여 약 – 90 ㎛/m 차이가 발생하였다(Fig. 4).

Fig. 4 Shrinkage (EC-SC)
../../Resources/ksm/jksmi.2022.26.2.76/fig4.png

결과적으로 OPC100 배합은 외기에 노출될 경우 OPC100 배합이 가진 화학수축, 자기수축 등에 의한 길이변화보다 외기 노출 시 수분증발 등에 길이변화가 더 크게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F20S10-V 배합은 F20S10 배합과 비교하여 밀봉양생조건에서 길이변화율이 더 작게 나타났으며, 자기수축 및 화학수축을 감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2 Shrinkage result (unit: ㎛/m)

Days

SC

EC

OPC100

F20S10

F20S10-V

F20S10-VS

OPC100

F20S10

F20S10-V

F20S10-VS

0.5

325

370

135

376

202

-77

352

211

1

183

-195

7

440

85

-629

-13

216

3

138

-214

2

437

-85

-744

-81

159

7

71

-335

-62

328

-285

-1009

-266

-29

14

10

-461

-190

162

-421

-1156

-464

-214

28

-41

-577

-350

62

-549

-1254

-599

-307

56

-90

-661

-452

64

-663

-1334

-680

-355

91

-139

-709

-495

47

-727

-1388

-722

-403

3.3 온도변화와 초기재령에서의 수축

OPC100 배합과 F20S10-V 배합 양생조건별 SC와 EC 시험체에서 측정한 시험체 내부 온도 및 양생실 온도를 측정한 온도데이터를 Fig. 5에 나타냈다.

모든 재령에서 양생실 온도는 약 20∼23℃ 범위로 나타나 설정온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체 내부의 온도는 타설 초기 약 30 ℃ 수준에서 재령 0.4일 20 ℃ 수준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재령 0.4일 온도 변곡점이 나타난 후 약 12∼15 ℃ 까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재령 0.8일 구간에서 시험체의 온도는 하한 값을 타나내고 상승하여 양생실 온도까지 점차적으로 상승했다.

타설 직후부터 재령 3일까지의 온도측정결과를 수축측정결과와 함께 Fig. 6에 표현하였다. 그래프를 통해 온도데이터의 변곡점과 수축거동과 연관성을 시각적으로 검토하였다.

시험체 내부온도는 타설 약 0.4일까지 온도변화와 함께 OPC100, F20S10, F20S10-V 배합의 수축거동은 지속적으로 팽창하다가 변형률이 감소세로 전환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그 경향은 특히 F20S10 배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Fig. 6(a)). 타설 0.4 – 0.8일 사이의 시험체 온도 저하와 함께 길이변화율은 급격하게 수축한 후 재령 0.8일을 기준으로 수축률이 완만하게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5 Temperature measurement results
../../Resources/ksm/jksmi.2022.26.2.76/fig5.png
Fig. 6 Early age shrinkage results
../../Resources/ksm/jksmi.2022.26.2.76/fig6.png

EC와 SC 시험체는 거의 동일한 시점에서 시험체 온도 변곡점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EC조건에서는 F20S10-V 배합에서만 온도 변화와 수축거동의 변화지점이 유사하게 발현되었다(Fig. 6(b)). 재령 0.4일까지 수화반응 시 발생하는 반응열에 의한 팽창거동이 발생된 후 재령 0.8일까지 자기수축과 화학수축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OPC의 미소수화열 측정을 통해 분석한 수화반응 단계는 initial, induction, acceleration, deceleration, diffusion의 총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Shi and Day, 1995). 이 중 acceleration과 deceleration 사이의 peak가 나타나는 시간대는 결합재의 종류와 치환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FA와 SF로 OPC를 치환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배합 후 약 8-10시간 사이에 peak가 나타난다. 또한 deceleration과 diffusion의 구분은 배합 후 약 18-22시간 사이에 나타난다(Langan et al., 2002). 이를 통해 Fig. 6에서 측정된 재료의 온도곡선은 이 시간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어, 수화열에 의해 온도변화가 발생했음을 예상할 수 있다.

기존연구(Kim et al., 2016; Park et al., 2015)에 따르면 타설 후 재령 6시간까지 화학수축시험체는 부피변화율이 수축방향으로 약 2% 가량 급격하게 증가하지만, 자기수축시험체는 재령 6시간까지 부피가 팽창하다가 재령 6시간부터 부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령 0.4일까지의 길이변화에서 팽창이 발생한 것은 초기 시멘트 수화반응에 의한 반응열의 발생 및 자기수축의 영향으로 예상된다. EC조건에서는 F20S10-V 배합이 온도의 변곡점과 길이변화율의 변곡점이 유사하게 발현되어 상관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그 외 배합에서는 외기노출로 인한 수분증발 등으로 인한 길이변화 영향이 더 크기 때문에 온도변화와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3.4 압축강도 변화

압축강도는 각 재령별로 3개의 시험체를 측정 후 그 평균값을 사용했으며, 측정결과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오차막대로 표현하였다(Fig. 7). 재령 1일차 OPC100 배합은 약 18 MPa로 다른 3종의 배합이 10∼12 MPa 수준으로 발현되는 것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는 플라이애시 사용으로 인한 초기강도 발현이 늦어지기 때문으로 보이나, 재령 3일 차에는 모든 배합이 거의 유사하게 약 25 MPa 수준으로 발현되었다. 재령 7일에는 F20S10배합과 F20S10-V 배합은 약 30 MPa, OPC100 배합과 F20S10-VS 배합은 약 27 MPa로 나타났다.

Fig. 7 Compressive strength
../../Resources/ksm/jksmi.2022.26.2.76/fig7.png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F20S10, F20S10-VS 배합 61 MPa, F20S10-VS 배합 58 MPa, OPC100 배합 49 MPa 순서로 나타났다. 플라이애시와 실리카흄을 사용한 배합이 OPC100 배합 대비 약 10 MPa 강도가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4. 결 론

이 연구는 건설용 적층 공법에 사용되는 모르타르 배합을 이용하여 시험체의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밀봉양생 방식과 타설 초기부터 시험체 표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양생 방식 시험체의 길이변화율을 측정함으로써 수축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험체 내부의 길이변화율의 측정과 함께 온도를 측정하여 타설 초기 시험체의 수화온도가 수축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표면 밀봉양생 시 3개 배합에서 재령 1일 이내의 초기 팽창률이 상대적으로 약 94 - 224 ㎛/m 더 증가했다. 91일 길이변화율 대비 약 13 – 54%에 해당하는 수치에 해당한다. 적층 시공 시 수축거동 제어를 위해 초기 1일 이내의 수분증발 방지 양생기법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플라이애시 20% 실리카흄 10%를 치환한 경우, OPC100 배합과 비교하여 밀봉양생 시 110%, 노출양생 시 60% 이상 높은 수축률을 나타냈다. 플라이애시 치환 시 발생하는 수축저감 효과는 실리카흄으로 인해 상쇄되어 OPC100 배합 대비 수축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3) 점도조절제를 사용한 배합은 91일 측정결과, 수축량이 18 – 42% 저감됐으며, 점도도절제와 수축저감제를 사용한 배합은 53-70% 저감됐다. 점도조절제와 수축저감제를 동시에 배합은 밀봉양생 시, 재령 91일 길이변화율이 증가하는 독특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 배합을 적층공법에 적용 시 수축저감효과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4) 초기재령 길이변화는 타설 직후부터 재령 0.4일 까지 팽창 후 0.8일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재령 0.8일 시험체의 온도는 약 12∼15℃까지 감소 후 증가하여 시험체 길이변화율의 경향은 시험체의 온도 증감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KS 시험법에 따라 규격화된 시험체를 제작하여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재료의 기초적인 수축특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통해 평가한 재료의 수축거동을 이용하여 향후 3D 프린팅 기술을 통해 제작한 시험체의 수축거동을 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후속연구에서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출력재료, 출력조건, 시험체 제작방법에 따른 수축평가를 통해 3D 프린팅으로 출력되는 구조물의 수축거동 예측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2년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명: 수중 적층 타설용 콘크리트 복합재료 개발, 과제번호: 20200555).

References

1 
ASTM C39, (2020),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ylindrical Concrete SpecimensGoogle Search
2 
ASTM C490/C490M-21, (2021), Standard Practice for Use of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Length Change of Hardened Cement Paste, Mortar, and ConcreteGoogle Search
3 
ASTM C596-18, (2018), Standard Test Method for Drying Shrinkage of Mortar Containing Hydraulic CementGoogle Search
4 
Buswell, R. A., Kinnell, P., Wu, j., Hack, N. (2020), Inspection Methods for 3D Concrete Printing, RILEM Bookseries, 790-803.DOI
5 
Chen, H., Chen, Q., Xu, Y., Lawi, A. S. (2022), Effects of silica fume and Fly ash on properties of mortar reinforced with recycled-polypropylen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316(125887)DOI
6 
Federowicz, K., Kaszyńska, M., Zieliński, A., Hoffmann, M. (2020), Effect of Curing Methods on Shrinkage Development in 3D-Printed Concrete, Materials, 13(11), 2590DOI
7 
Jo, J. H., Jo, B. W., Cho, W., Kim, J. H. (2020), Development of a 3D Printer for Concrete Structures: Laboratory Testing of Cementitious Mate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14(13)DOI
8 
Kim, J. H., Park, B. S., Jung, S. H., Choi, Y. C. (2016), Effect of Properties of Fly-as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Fly-ash Mortars,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4(4), 439-445.DOI
9 
Kwon, S. H., Kim, J. K. (2016), Understanding of Drying Shrinkage and Autogeneous Shrinkage in Concret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8(6), 22-26.URL
10 
Langan, B.W., Weng, K., Ward, M.A. (2002), Effect of silica fume and flyahs on heat of hydration of Portland c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2(7), 1045-1051.DOI
11 
Lee, D. G., Yoo, B. H., Son, H. J. (2019a), Development of Shrinkage Reducing Agent for 3D Printing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 37-43.DOI
12 
Lee, H. J., Kim, K. H., Yoo, B. H., Kim, W. W., Moon, J. H. (2019b), Shrinkage Characteristic of Cementitious Composite Materials for Additive Manufactur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6), 99-104.DOI
13 
Lee, H. J., Kim, J. H., Moon, J. H., Kim, W. W., Seo, E. A. (2020), Effect of Shrinkage Characteristics of Cement-Based Composites by Extrusion and Lamination Process of Construction 3D Print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4(6), 113-118.DOI
14 
Lee, H., Seo, E. A., Kim, W. W., Moon, J. H. (2021), Experimental Study on Time-Depend_ent Changes in Rheological Properties and Flow Rate of 3D Concrete Printing Materials, Materials, 14(21), 6278DOI
15 
Park, J. P., Jung, Y. W. (2015), Fundamental Properties on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Shrinkage Reducing Agent for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6), 4298-4307.DOI
16 
Shi, C., Day, R.L. (1995), A calorimetric study of early hydration of alkali-slag cement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5(6), 1333-1346.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