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충남도립대학교, 건설안전방재학과 초빙교수
  2. 정회원,건양대학교, 해외건설플랜트학과 교수
  3. 정회원,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4. 정회원,한국스마트구조시스템연구원, 연구원
  5. 정회원,한국스마트구조시스템연구원, 연구원



진동제어, TMD, ETMD
Vibration control, Off-tunning, ETMD

1. 서 론

산업혁명 이후 지역 간의 인적⋅물적 교류가 증가하고 건설재료와 시공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부재의 단면 감소, 허용응력과 강도의 증가가 가능해지면서 구조물의 장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장대형 구조물은 풍하중, 지진하중과 같은 외부하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해 진동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이러한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진동제어장치로는 Tuned Mass Damper(TMD)가 있다. TMD는 다른 진동제어장치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며 교량에 발생하는 정형화된 형태의 변위에서 우수한 제어성능을 보인다. TMD를 설계할 때에는 주변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외부하중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대상 구조물의 거동특성 및 고유진동수를 고려하여 TMD의 제어용량과 제어범위 등을 선정하게 된다. 이러한 TMD는 고유 주기를 갖는 진동에는 매우 우수한 제어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진동 제어범위가 좁아 예상치 못한 외부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대해서는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TMD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TMD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Zuo and Nayfeh(2006)는 하나의 질량에 두 개의 개별 TMD를 설치한 형태의 2자유도 TMD가 단일모드에서 적용되는 TMD와 같은 질량수의 자유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모드를 제거하는 다자유도 다중 TMD인 MTMD (Multiple TMD)를 제안하였으며, Li and Qu(2006)는 다중 TMD를 이용하여 비대칭 구조물의 비틀림 감소에 대한 성능을 입증하였다. Kim and Kwak(2006)은 TMD에 MR Damper를 적용한 STMD(Semi-active TMD)를 이용하여 바닥 판 구조물의 질량 변화 상태에서 TMD와 STMD의 진동제어성능을 비교하였다. Lee(2011)는 TMD와 능동제어기인 슬라이딩 모드제어기(Sliding Mode Control, SMC)를 결합하여 지진동에 대한 제어성능을 검증하였으며, Ko et al.(2014)은 Mass에 서로 다른 두 개의 선형 스프링을 설치하여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바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비대칭 동조질량 감쇠기(ATMD)를 제안하고 진동제어 성능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앞서 제안된 TMD들의 경우 단순히 기존의 TMD를 다중으로 결합한 형태로 기존 TMD보다 약간 향상된 제어범위를 갖을 뿐 다양한 외부하중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Electromagnetic Tuned Mass Damper(ETMD)는 Mass와 강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기존의 TMD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단, 개발된 ETMD의 Mass는 기존 TMD와 다르게 전자석으로 구성하여 전류를 공급하였을 때 자기장이 형성됨과 동시에 구조물과 부착된 마찰판의 전자석 간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Mass의 거동을 순간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준능동형 제어시스템이 적용된 ETMD는 특정 주파수뿐 아니라 모든 주파수 조건에서 평균적으로 우수한 제어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개발된 ETMD의 수직변위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어성능평가 실험을 통해 제어력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 ETMD의 설계 및 제작

2.1 대상 구조물 선정

ETMD를 설계하기에 앞서 제어용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적용 대상구조물을 먼저 선정하였으며, 외부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Steel재질의 H형강 거더 2개로 제작한 모형 단순보 교량을 대상구조물로 선정하였다. 모형 단순보 교량은 상판 질량 293kg, 폭 0.6m, 길이 10m, 높이 0.74m 이다. 모형 단순보 교량의 제원 및 지점조건 등은 Fig. 1Fig. 2, Table 1에 각각 나타내었다.

Fig. 1 Condition of supporting point for simple beam bridge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1.png
Fig. 2 Measurement of simple beam bridge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2.png
Table 1 Specifications of simple beam bridge

Material

Steel

Shear Modulus

7.94×10$^{4}$ MPa

Unit Weight

7.70×10$^{4}$ kN/mm$^{3}$

Poisson’s Ratio

0.30

Modulus of Elasticity

2.11×10$^{5}$ MPa

Yield Strength

3.92×10$^{2}$ MPa

2.2 ETMD 설계

일반적인 TMD의 질량은 대상 구조물 질량의 1% 내외에서 가장 우수한 제어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ngelis et al, 2012). 대상구조물로 선정한 모형 단순보 교량의 상판 질량이 293kg이므로 질량비를 사용하여 ETMD의 질량을 산정하였다. 질량비는 식 (1)과 같다.

(1)
$\mu_{et}=\dfrac{m_{et}}{m_{sb}}$

여기서, $\mu_{et}$는 ETMD와 모형 단순보 교량의 질량비이며, $m_{et}$는 ETMD의 질량, $m_{sb}$는 모형 단순보 교량의 질량이다.

질량비를 이용하여 ETMD의 질량을 산정한 결과 ETMD의 질량은 4kg으로 설계하였으며, 이때, 모형 단순보 교량과 ETMD의 질량비는 1.36% 이다.

ETMD는 설치될 구조물의 조건을 고려하여야 하며, 구조물의 설계 당시의 조건과 정적하중을 바탕으로 운동방정식을 유도한 후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여 거동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풍하중 및 지진하중 등과 같은 동적하중은 시간에 따라 하중의 크기가 변하므로 상태공간방정식을 이용하여 구조물과 하중조건에 적합한 운동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제어장치가 설치된 구조물의 운동방정식은 식 (2)와 같다.

(2)
$\begin{array}{r} {\left[\begin{array}{cc} m_{s b} & 0 \\ 0 & m_{e t}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ddot{x}_{s b} \\ \ddot{x}_{e t}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 c_{s b}+c_{e t}-c_{e t} \\ -c_{e t} & c_{e t}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dot{x}_{s b} \\ \dot{x}_{e t} \end{array}\right]} \\ +\left[\begin{array}{cc} k_{s b}+k_{e t}-k_{e t} \\ -k_{e t} & k_{e t}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x_{s b} \\ x_{e t}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F_{s b} \\ F_{e t} \end{array}\right] \end{array}$

여기서, $m_{sb}$는 교량의 질량, $c_{sb}$은 교량의 감쇠, $k_{sb}$는 교량의 강성을 나타내고 $x_{sb}$, $\dot{x}_{sb}$, $\ddot{x}_{sb}$는 각각 지반에 대한 교량의 변위, 속도, 가속도를 나타내며, $P_{sb}$와 $P_{et}$는 교량과 ETMD의 외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운동방정식을 바탕으로 ETMD를 설계하였다.

2.2.1 동조 질량 감쇠력

ETMD의 동조 질량 감쇠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질량, 감쇠, 강성을 결정하여야 하며, 이는 식 (3), (4), (5)를 이용하여 각각 구할 수 있다.

(3)
$m_{et}=\mu_{et}m_{sb}$
(4)
$c_{et}=2\xi_{et}\sqrt{m_{et}k_{et}}$
(5)
$k_{et}=f_{et}^{2}\omega_{et}^{2}m_{et}$

여기서, $\mu_{et}$는 ETMD와 구조물의 질량비, $f_{et}$은 동조 진동수비, $\omega_{et}$는 모형 단순보 교량의 고유 각 진동수, $\xi_{et}$은 ETMD의 감쇠비이다. ETMD의 경우, 진동수비와 감쇠비는 변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ETMD의 강성과 감쇠도 고정값을 가진다. 하지만 ETMD의 최적 설계변수의 값은 ETMD의 질량비와 감쇠비, 가진 하중의 종류와 주파수 특성, 목적함수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Yalla, 2001).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의 감쇠가 존재하는 경우를 목적으로 ETMD를 설계하였기 때문에 Sadek et al.(1997)이 제안한 진동수비($\omega_{et}$)와 감쇠비($\xi_{et}$)를 고려하여 ETMD를 설계하였다. 감쇠비와 진동비는 각각 식 (6), (7)과 같다.

(6)
$\omega_{et}=\dfrac{1}{1_{\mu_{et}}}\left[1-\xi_{sb}\sqrt{\dfrac{\mu_{et}}{1_{\mu_{et}}}}\right]$
(7)
$\xi_{a}=\dfrac{\xi_{sb}}{1+\mu_{et}}$

여기서, $\mu_{et}$는 대상구조물과 ETMD의 질량비, $\xi_{sb}$는 원 구조물의 감쇠비를 나타내며, 구조물의 질량비와 감쇠비가 증가하면서 최적진동수비는 감소하고 최적감쇠비는 증가한다.

2.2.2 전자기 마찰 감쇠력

전자기 마찰 감쇠력은 ETMD 의 전자석의 Gap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자석과 마찰판의 상대운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을 제어력으로 산정할 수 있다.

자기력 마찰을 이용한 댐퍼의 제어력은 식 (8)과 같이 표현된다.

(8)
$F=F_{f}+F_{etm}(H)$

여기서, $F$는 ETMD의 전체 제어력, $F_{f}$는 마찰에 의한 제어력, $F_{etm}(H)$은 전자석에 형성되는 자기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제어력이다. 여기서 마찰에 의한 제어력 $F_{f}$는 다음 식 (9)와 같이 표현된다.

(9)
$F_{f}=\mu_{f}N$

여기서, $F_{f}$는 마찰력, $\mu_{f}$와 $N$는 각각 마찰계수와 수직력이며, 마찰력은 접촉표면에 작용하는 수직력에 비례하다.

전자석의 자기력으로 발생하는 제어력 $F_{etm}(H)$는 다음 식 (10)과 같다.

(10)
$F_{etm}(H)=B\times A$

여기서, $B$는 자속밀도, $A$는 자기장의 작용면적, $H$는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의 세기이다. 자기력의 세기 $H$는 식(11)를 이용하여 산정된다.

(11)
$H=\dfrac{n_{c}I}{g}$

여기서, $n_{c}$는 전자석에 감은 코일의 권선 횟수이다. 또한 $I$는 ETMD 내부에 있는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이며, $g$는 전자석의 간격이다.

ETMD의 전체 제어력은 식 (9), (10), (11)을 사용하여 식 (12)와 같이 정리하여 나타낼 수 있다.

(12)
$F=F_{f}+F_{etm}(H)=\mu_{f}N+B\times A$

2.2.3 ETMD의 준능동 제어로직

전자기 마찰 감쇠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ETMD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류를 공급되어야 한다. ETMD의 일정한 간격으로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요크와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Mass에 동력이 공급되면서 전자석 Gap의 자기장이 형성되어 전자석과 마찰판이 서로 붙어 마찰력을 상승시키도록 하였다. 이때, 제어력은 공급받는 외부 동력의 크기와 설계한 제어 로직에 따라 제어력을 조절할 수 있다.

ETMD의 제어 로직은 Fig. 3과 같이 구성하였으며, 일정한 주기로 동력이 on-off 되도록 설정하여 어떠한 진동에서도 교량에 발생하는 진동이 일정 진폭 이상으로 증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다.

Fig. 3 ETMD control logic diagram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3.png

2.3 ETMD 제작

ETMD는 산정한 제어력을 바탕으로 Fig. 4와 같이 구상하였다. ETMD는 일반적인 TMD와 마찬가지로 Mass와 Spring 강성을 사용하는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Mass는 동조 질량 감쇠력과 전자기 마찰 감쇠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요크과 전자석으로 구성하였다.

Fig. 4 Example design of ETMD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4.png

ETMD는 모형 단순보 교량의 거더에 설치할 수 있도록 Fig. 5와 같이 지그를 설계하였으며, 전자기 마찰 감쇠력을 발휘하는 전자석과 마찰판은 Fig. 6, Fig. 7과 같이 설계하였다. 이때, 마찰판은 준능동제어 시 형성되는 자기장이 즉각적으로 형성 및 소산이 용이하도록 1mm 두께로 설계하였다.

Fig. 5 Design drawing of ETMD(Jig)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5.png
Fig. 6 Design drawing of ETMD(Electromagnet)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6.png
Fig. 7 Design drawing of ETMD(Wear Plate)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7.png

설계 도면을 바탕으로 제작한 ETMD는 Fig. 8과 같다. ETMD의 전자석과 마찰판은 자기장이 원활하게 형성과 소산이 될 수 있도록 연철을 사용하였으며, 전자석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작한 지그는 자기장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을 사용하였다. 샤프트는 스테인리스강의 시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스프링의 경우 샤프트의 크기에 맞춰 내경 $\phi$10, 외경 $\phi$13, 길이 60mm의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하였다. 스프링과 ETMD의 제원과 재질은 Table 2Table 3에 각각 정리하였다.

Fig. 8 Manufactured for ETMD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8.png
Table 2 Specifications of spring

Maximum Load

35.3N

Spring Constrant

1N/mm

Outer Diameter

$\phi$13

Minor Diameter

$\phi$10

Length

60mm

Material

Stainless

Table 3 Specifications of ETMD

number of active coil

630

Electromagnet Material

SS400

Mass Ratio

1.3%

Shaft Material

SUS403

Mass’s Reciprocating Displacement

100mm

Jig Material

AL6061

Wear Plate Material

SS400

3. ETMD의 제어성능평가실험

3.1 실험 조건 선정

본 실험은 모형 단순보 교량에 강제 가진을 주어 최대 휨거동이 발생되는 중앙 경간의 변위를 측정하여 ETMD의 설치 여부에 따른 제어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이다.

모형 단순보 교량에 강제 가진을 주기 위하여 Fig. 9와 같이 JINN 사에서 제작한 EMAL(M) 모델의 관성형 가진기를 사용하여 가진을 하였다. 관성형 가진기는 교량의 좌측에서 1.25m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였다. 가진기의 상세한 제원은 Table 4에 표기하였다.

Fig. 9 Forced excitation using ineria type shaker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9.png

모형 단순보 교량의 중앙부 최대 수직변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Fig. 10과 같이 모형 단순보 교량 중앙부에 변위계를 설치하였다. 변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LVDT 변위계는 Tokyo Sokki Kenkyujo사의 CDP-50을 사용하였다. 변위계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는 Tokyo Sokki Kenkyujo사의 데이터 로거인 DRA-30A를 통하여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모형 단순보 교량에 설치한 실험장비의 제원 및 설치 위치는 Fig. 11과 같으며 장비의 제원은 Table 4, Table 5와 같다.

Fig. 10 Measurement experiment of center displacement for model simple beam bridge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10.png
Fig. 11 Installation location of experimental equipment for measuring bending behavior of model simple beam bridge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11.png

모형 단순보 교량의 중앙부 수직변위를 측정한 결과는 Fig. 12와 같이 3.02Hz에서 중앙부 최대 수직변위가 발생하였으며, 이때 중앙부 최대 수직변위는 14.45mm인 것을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제작한 ETMD의 제어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모형 단순보 교량의 중앙부 최대 수직변위가 발생한 3.02Hz에서 ETMD와 TMD의 휨변위 감쇠율을 비교하였다.

Table 4 Specifications of ineria type shaker

Size

228×300×513mm

Moving Mass

9.5kg

Frequency Range

0~500Hz

Mass

44kg

Maximum Force

500N

Mass stroke

100mm

Table 5 Specifications of Experimental Equipment

Displacement meter

Tokyo Sokki Kenkyujo CDP-50

Displacement Data Logger

Tokyo Sokki Kenkyujo DRA-30A

Fig. 12 Maximum bending displacement by frequency of model simple beam bridge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12.png

3.2 TMD의 휨거동 제어성능 평가

TMD는 Fig. 13과 같이 ETMD에서 마찰판을 분리하여 전류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모형 단순보 교량의 거더 중앙에 각각 1대씩 설치하였다. TMD를 비롯한 LVDT와 관성형 가진기는 Fig. 14와 같이 설치하였으며, 관성형 가진기를 이용하여 가진하였다. 가진주파수에 따른 모형 단순보 교량의 중앙부 최대 수직변위를 측정한 결과 Fig. 15와 같이 3.02Hz에서 중앙부 최대 수직변위가 14.45mm에서 6.84mm로 감소하여 약 52.66%에 감쇠 효과를 보였다.

Fig. 13 Bending behavior control performance evaluation experiment of TMD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13.png
Fig. 14 Installation location of experimental equipment for bending behavior control experiment of TMD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14.png
Fig. 15 Maximum bending displacement by frequency of model simple beam bridge after installation of TMD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15.png

3.3 ETMD의 휨거동 제어성능 평가

ETMD의 제어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TMD의 휨거동 제어성능 평가 실험을 위해 분리한 마찰판을 Fig. 16과 같이 결합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장비 및 ETMD는 Fig. 17과 같이 TMD의 제어성능실험과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ETMD의 준능동 제어는 실시간으로 인가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I/O보드는 dSPACE 사의 CP1103을 사용하였으며 Fig. 18(a)와 같이 약 0.027A에 전류를 2초 동안 10초 간격으로 인가하도록 하였다. 인가전류에 따른 제어력은 Fig. 18(b)(c)에 그래프와 같이 최대 0.3kgf 범위 내에서 발생하도록 하였다.

ETMD를 설치한 후 가진한 결과, 가진주파수별 모형 단순보 교량의 중앙부 수직변위는 Fig. 19와 같으며, 3.02Hz에서 중앙부 최대 수직변위가 14.45mm에서 6.14mm로 감소하여 약 57.51% 감쇠 효과를 보였다. 모형 단순보 교량에서 TMD와 ETMD의 휨거동 제어성능을 비교한 결과 Fig. 20(a), (b), (c), (d)와 같이 ETMD가 TMD보다 4.85% 더 우수한 감쇠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16 Bending behavior control performance evaluation experiment of ETMD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16.png
Fig. 17 Installation location of experimental equipment for bending behavior control experiment of ETMD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17.png
Fig. 18 Impression current and control force range of ETMD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18.png
Fig. 19 Maximum bending displacement by frequency of model simple beam bridge after installation of ETMD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19.png
Fig. 20 Bending displacemnet graph of TMD and ETMD at 3.02Hz
../../Resources/ksm/jksmi.2022.26.3.21/fig20.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교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면서 교량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많이 적용되고 있는 TMD의 고질적인 문제인 좁은 제어범위를 보완하고자 ETMD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ETMD의 제어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모형 단순보 교량에 관성형 가진기를 설치하여 휨거동 제어성능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휨거동 제어성능평가 실험을 통하여 모형 단순보 교량 중앙에서 최대 휨변위가 발생하는 진동수를 확인하고 TMD와 ETMD의 중앙부 수직변위 감쇠율을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휨거동 제어성능평가 실험을 통하여 모형 단순보 교량의 중앙부 최대 수직변위가 발생하는 가진주파수는 3.02Hz로 확인하였으며, ETMD를 모형 단순보 교량의 설치한 후 진동 제어실험을 진행한 결과 모형 단순보 교량의 중앙부 최대 수직변위는 14.45mm에서 6.84mm로 감소하면서 약 57.51%의 감쇠 성능을 보였다. 이는 약 52.66%.의 진동 감쇠 성능을 보인 TMD보다 약 4.85% 더 높은 제어성능을 보였다.

2) ETMD와 TMD를 이용한 주파수별 단순보의 중앙부 수직변위의 제어효과를 비교한 결과 총 주파수 조건 중 최대 수직변위가 발생하는 3.02Hz를 기준으로 낮은 주파수에서는 ETMD의 제어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3.02Hz보다 높은 주파수 영역에서는 TMD의 제어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든 주파수 조건에서의 제어율을 평균하였을 때 ETMD의 평균 제어효과가 약 4.35%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에 따라 개발한 ETMD는 교량에서 발생하는 중앙부 최대 수직변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뿐만 아니라 그 외에 진동주기에서도 안정적인 제어성능을 보이면서 특정 진동주기에서 불안정한 제어를 보이는 TMD와는 다르게 준능동 제어 로직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제어를 함으로써 진동제어장치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8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사업(과제번호: NRF-2018R1A6A1A03025542)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Angelis, M. D., Perno, S., Reggio, A. (2012), Dynamic response and optimal design of structures with large mass ratio TMD,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41(1), 41-60.DOI
2 
Kim, G. C., Kwak, C. S. (2006), Application of MR Damper for Vibration Control of Floor Slab,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6(3), 61-69.URL
3 
Ko, A. R., Lee, C. H., Kim, S. Y. (2014), Enhancing Robustness of Floor Vibration Control by Using Asymmetric Tuned Mass Damp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6(3), 177-189.DOI
4 
Lee, J. H. (2011), Seismic Control of Tuned Mass Damper System with MDOF Sliding Mode Control Accounting for the Uncertainies, KSMI, 15(1), 235-242.DOI
5 
Li, C., Qu, W. (2006), Optimum Properties of Multiple Tuned Mass Dampers for Reduction of Translational and Torsional Response of Structures Subject to Ground Acceleration, Engineering Structures, ELevier, 28(4), 472-494.DOI
6 
Sadek, F., Mohraz, B., Taylor, A. W., Chung, R. M. (1997), A Method of Estimating the Parameters of Tuned Mass Dampers for Seismic ap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26(6), 617-635.DOI
7 
Setareh, M. (2001), Application of Semi-Acitve Tuned Mass Dampers to Base-Excited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30(3), 449-462.DOI
8 
Setareh, M., Ritchey, J. K., Baxter, A. J., Murray, T.M. (2006), Pendulum Tuned Mass Dampers For Floor Vibration Control, Journ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ed Facilities,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 64-73.DOI
9 
Zuo, L., Nayfeth, S. A. (2006), The Two-Degree-of-Freedom Tuned- Mass Damper for Suppression of Single-Mode Vibration Under Random and Harmonic Excitation, Journal of Vibration and Acoustics,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128(1), 56-65.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