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석
(Ji-Seok Seo)
1
김효정
(Hyo-Jung Kim)
2
김윤용
(Yun-Yong Kim)
3†
-
정회원,(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
정회원,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
정회원,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3D 프린터, ME 방식, 인공어초, 다성분계 결합재
Key words
3D printer, ME type, Artificial reef, Multi-component binder
1. 서 론
인공어초는 어류, 패류, 조류와 같은 유용한 수중생물을 정착시킬 목적으로 해중에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대상이 되는 생물의 생활환경을 인공적으로 구현하여
보호 및 배양을 통해 수산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인공어초는 어류, 패조류, 해중림, 강제침선 용도로 구분하여 한
가지 이상의 용도를 적용하고 있으며 재질은 콘크리트, 강재와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하거나 기타 재질을 사용한 복합재질로 구분하고 있다. 현재까지 상용하고
있는 인공어초는 등록취소된 2건을 제외하고 총 89종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이들 중 41종은 철근콘크리트, 3종은 콘크리트, 20종은 강재, 25종은
복합소재 재질의 인공어초로 등록되어 있어 절반가량이 콘크리트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2021).
콘크리트 어초는 강재 어초에 비해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단가가 낮아 인공어초의 주재료로 활용하고 있으나 콘크리트가 지니고 있는 pH 12 ~
13의 강알칼리 용출 문제로 해조류의 조기 부착효율이 낮고, 해양환경에서 강도감소 영향 및 해수에 의한 침식 등으로 내구성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Ko and Kim, 2018).
인공어초시설사업집행 및 관리규정에서는 인공어초 제작에 사용하는 재료가 해양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소재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재질의 인공어초를 개발하고 있으나 성과가 미진한 실정이다.
한편, 인공어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형상설계 방법은 일정 수준의 구조적 복잡성을 만족할 경우 환경자원을 활용하는 많은 틈새공간과 서식방법을 제공하고
종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가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Hamm et al., 2017; Kim et al., 2019).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인공어초일수록 이러한 설계성향을 반영하여 기존 인공어초보다 구조적 복잡성이 증대되고 대형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에 따라 인공어초의
개별 제작단가도 크게 증가하고 있어 해중림 환경조성에 난관으로 작용하고 있다(Na, 2021).
따라서, 기존의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 인공어초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적 대안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인공어초 제조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Mohammed et al., 2016; Ly et al., 2021; Boukhelf et al., 2022; Lee et al., 2022). 시멘트 복합체를 이용한 3D 프린팅 제조기술은 거푸집을 이용한 타설, 성형, 탈형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목적한 형상을 바로 출력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거푸집으로 구현이 어려운 비선형 구조의 제조에 적합하며 다양한 해양생물의 생체형상을 모방하거나 구조적 복잡성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소모품이 추가적으로
들지 않아 경제적인 제조기술이다. 시멘트 복합체인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3D 프린팅 할 경우 혼합수와 혼입한 후부터 서서히 경화되어 완전
자립하기 전까지 일정시간이 필요한 재료특성을 고려하여 ME(Material Extrusion) 방식의 3D 프린터를 사용한다. ME 방식 3D 프린팅
제조에 사용하는 재료는 출력이 가능한 정도의 출력성을 가지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나 출력 후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적층성을 만족해야 한다.
출력성과 적층성은 서로 상반된 작용을 하는 유변학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어느 한 특성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 고도의 배합기술이 필요하다(Seo et al., 2019; Seo et al., 2020; Seo et al., 2022).
이 연구에서는 포틀랜드시멘트를 포함한 다양한 결합재를 혼합하여 고강도 저알칼리형 인공어초를 제조하기 위한 시멘트 복합체 배합을 설계하고, ME 방식
3D 프린팅 제조가 가능하도록 배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2. 사용재료 및 배합설계
2.1 사용재료
2.1.1 결합재
시멘트를 결합재로 사용한 복합체인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는 수화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수산화칼슘과 시멘트에 포함되어 있는 알칼리토금속 등에 의해 강알칼리성을
띄게 된다.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철근은 이러한 알칼리성에 의해 부동태피막을 생성하여 부식으로부터 보호하여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3D
프린팅 인공어초에 적용하는 시멘트 복합체에는 철근이 구조적으로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강알칼리성을 유지할 필요가 없으며 해양환경의 교란과
조류의 부착저하 문제로 알칼리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인공어초 적용에 유리하다.
저알칼리 결합재를 제조하기 위해 최소한의 강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보통포틀랜드시멘트(OPC)와 수화과정에서 알칼리를 소모하는 포졸란 및 잠재수경성
재료인 플라이애시(FA), 실리카퓸(SF), 고로슬래그 미분말(GGBFS), 수소이온농도가 중성에 가까운 알파형반수석고(α-CSH)를 혼합한 5성분계
결합재를 사용하였으며 결합재 전경 및 특성은 Fig. 2와 Table 1에 나타냈다.
Table 1 Properties of binders for artificial reef produced by 3D printer
Item
|
Density
[g/㎤]
|
Specific surface area [㎠/g]
|
chemical composition [%]
|
SiO$_{2}$
|
Al$_{2}$O$_{3}$
|
Fe$_{2}$O$_{3}$
|
CaO
|
MgO
|
K$_{2}$O
|
Na$_{2}$O
|
SO$_{3}$
|
Ig. loss
|
OPC
|
3.15
|
3,459
|
21.1
|
6.7
|
2.9
|
61.7
|
3.1
|
2.0
|
0.17
|
0.84
|
1.5
|
FA
|
2.34
|
3,680
|
52.3
|
21.8
|
8.3
|
6.9
|
1.9
|
1.0
|
1.5
|
0.6
|
3.36
|
SF
|
2.22
|
262,000
|
92.10
|
1.79
|
2.62
|
0.62
|
-
|
-
|
-
|
-
|
0.34
|
GGBFS
|
2.91
|
4,059
|
28.21
|
15.80
|
1.08
|
46.01
|
4.11
|
-
|
-
|
2.09
|
0.33
|
α-CSH
|
2.71
|
1,400
|
2.57
|
0.88
|
1.69
|
0.31
|
1.03
|
-
|
-
|
0.15
|
0.22
|
Fig. 1 Various Type of Artificial Reef (Artificial Reef Information Book 2021)
Fig. 2 Binders employed for artificial reef produced by 3D printer
2.1.2 골재
3D 프린팅 인공어초에 적용하는 시멘트 복합체의 원재료 골재는 출력 노즐의 크기를 고려하여 잔골재를 사용하였다. 시멘트 계열 결합재, 혼합수, 잔골재의
복합체인 모르타르는 건설용 3D 프린팅용 재료로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Pand et al., 2019; Ma et al., 2019) 잔골재는 출력 표면의 조도 및 강도발현 특성을 고려하여 규사 5~7호(SS)를 사용하였으며 잔골재 전경 및 특성은 Fig. 3과 Table 2에 나타냈다.
Fig. 3 View of fine aggregates
Table 2 Properties of fine aggregates
Item
|
Average Particle Size [㎜]
|
Density [g/㎤]
|
SS No. 5
|
0.60~0.85
|
2.65
|
SS No. 6
|
0.25~0.60
|
SS No. 7
|
0.18~0.25
|
2.1.3 혼화제
3D 프린팅 인공어초에 적용하는 시멘트 복합체의 굳지않은 상태에서의 유동특성 및 응결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혼화제를 사용하였다. 혼화제는 증점제(Th),
감수제(HWRA), 응결조절제(SCA)를 사용하였다. 혼화제의 사용은 적은 양으로도 굳지 않은 상태의 시멘트 복합체 물성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어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3D 프린팅용 시멘트 복합체는 출력성, 적층성과 같은 특성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혼화제 사용이 필연적이나 사용하는
혼화제의 종류가 증가할수록 그 효과가 서로 상보적 관계이거나 중복관계에 있을 수 있으므로 혼화제 선택 및 사용에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혼화제 전경
및 특성은 Fig. 4와 Table 3에 나타냈다.
Fig. 4 View of Admixtures
Table 3 Properties of admixtures
Item
|
Properties
|
Thickener
|
Methyl cellulose, Type : Powder, Average particle size : ~ 600 ㎛, pH : 7(Neutral)
|
HWRA
|
Polycarboxylate, Solid content : 30%, Density : 1.07 g/㎤, pH :6.8
|
SCA
|
Nitrate, Density : 1.24 g/㎤, pH : 7.6
|
2.2 배합설계
3D 프린터로 출력이 가능한 시멘트 복합체의 배합설계 기본 요건은 출력과 적층 가능한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출력이 용이할수록 적층성 품질은
저하되는 서로 상반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출력성이 허용한 한 낮은 물-결합재비(W/B)로 배합하여 적층성을 확보해야 한다(Rehman and Kim, 2021; Wang, 2020). 배합요인 중 원재료에 대한 물-결합재비(W/B)는 출력성과 적층성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규사-결합재비(SS/B)는 주로 적층성에 영향을 미친다.
3D 프린터로 적정한 품질의 출력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출력실험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사전시험을 통해 3D 프린팅이 용이한 유동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한 결과 흐름값이 130 mm 이상일 때 원활한 출력 및 적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만족할 것으로 판단되는 배합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배합을 고도화하여 출력성과 적층성을 만족할 수 있는 3D 프린팅용 시험체의 제조가 가능한 배합을
도출하기 위해 다음 Table 4와 같이 배합을 설계하였다. MT-1는 주요 배합요인의 초기값을 설정하기 위해, MT-2는 규사 종류에 따른 출력품질 영향성을 평가하기 위해, MT-3는
가사성 확보를 위해 혼화제 사용에 따른 가사시간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한 배합이다.
Table 4 Test mixing design of cement composites for artificial reef produced by 3D printer
Series
|
W/B
[wt. %]
|
SS/B
[wt. %]
|
Ad/B [wt. %]
|
Binder [wt. %]
|
SS type
|
Th
|
HWRA
|
SCA
|
OPC
|
FA
|
SF
|
GGBFS
|
α-CSH
|
MT-1
|
25
|
80
|
0.4~0.9
|
1.0~4.0
|
-
|
20~25
|
15~35
|
0~15
|
10~25
|
25~40
|
No. 6
|
MT-2
|
30~35
|
120
|
-
|
No. 5. 7
|
MT-3
|
35
|
120
|
0.3~0.6
|
No. 5. 7
|
3. 시험방법 및 장비
3.1 시험방법
3D 프린팅용 인공어초 제작을 위한 시멘트 복합체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굳지 않은 상태에서의 평가와 굳은 상태에서의 시험을 나누어 진행하였다. 굳지
않은 상태에서는 3D 프린터 적용 시 적층성 및 출력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유동성을 측정하는 모르타르 흐름시험 및 가사시간 실험과 적층 시
자립하기 전까지 각 층에서 부담하는 자중을 측정하기 위한 밀도 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배합을 직접 출력하여 출력실험체의 외관상을 평가하였다. 굳은
상태에서는 3D 프린터로 출력한 배합의 강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모르타르 시험체를 제작하여 휨강도와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3.1.1 흐름시험 및 가사시간 실험
3D 프린팅 인공어초 제작을 위한 시멘트 복합체의 흐름시험은 KS L 5105를 준용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자, 시험환경에 따른 결과값의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합 절차와 시간을 고정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특히, 서로 다른 결합재의 양호한 분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비빔 시간을 충분히 하였다. 증점제는
분말형 혼화제로서 물과 혼합할 경우 점질이 있는 고형분으로 변화하여 서로 응집하기 때문에 배합수를 혼입하기 전에 첨가하여 모르타르 내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적용배합이 표준 배합과 재료가 다르기 때문에 습비빔 시 진행 중인 반죽 움직임을 확인하며 혼합시간을 적용하였다. 흐름값은 흐름
몰드에 다져넣은 시험체를 흐름 테이블을 이용하여 12.7 mm 높이에서 15초간 25회의 속도로 낙하한 후 서로 다른 방향의 직경을 4회 측정하였다.
가사시간 실험은 앞선 흐름시험의 시험방법을 준용하되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흐름성을 측정하여 그 경감정도로서 가사성 평가하였다. 시간 간격은 배합직후부터
15분 간격으로 최대 60분 후의 시점까지의 흐름값을 측정하였다.
3.1.2 밀도
3D 프린팅 인공어초 제작을 위한 시멘트 복합체의 밀도시험은 KS F 2518을 준용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체를 상대습도 90%로 28일간 양생한 후
건조질량, 침수 후 표면건조포화 질량, 수중질량을 측정하여 밀도를 산출하였다. 건조무게는 통기장치가 된 건조기 속에서 105 ± 5 ℃의 온도로 24시간
건조 후 측정하였으며 침수 후 표면건조포화 질량은 건조 후 시험체를 상온 온도가 될 때까지 냉각시킨 후 온도 20 ± 5℃ 증류수 속에 48시간 동안
침수 하여 표면을 젖은 헝겊으로 닦아낸 후 측정하였다. 수중무게는 표면건조 질량을 측정한 시험체에 대하여 시험체를 온도 20 ± 5℃의 증류수 안에
매달아 측정하였다. 밀도 산출식은 식(1)과 같다.
여기서, $\rho_{c}$ 는 밀도(g/㎤), $A$는 시험체의 건조질량(g), $B$는 시험체의 침수 후 표면건조포화 질량(g), $C$는 시험체의
수중질량(g), $\rho_{w}$는 물의 밀도(g/㎤) 이다.
3.1.3 휨강도 및 압축강도 시험
3D 프린팅 인공어초 제작을 위한 시멘트 복합체의 휨 및 압축강도 시험은 KS L ISO 679를 준용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체는 40×40×160
㎣의 몰드에 층당 16회씩 총 32회 다짐하여 각주형 시험체로 제작하였다. 3D 프린팅용 시멘트 복합체는 점도가 높아 다짐이 충분하지 못하면 공극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충분히 다짐해야 한다.
휨강도 시험은 3점 굽힘시험의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시험체 중앙점에 50±10 N/sec의 속도로 재하하여 휨 하중 측정 후 강도를 산출하였다. 휨강도의
산출식은 다음 식 (2)와 같다.
여기서, $R_{f}$ 는 휨강도(MPa), $F_{f}$는 휨 하중(N), $l$은 지간거리(mm), $b$는 파단 후 절개면의 변 길이(mm)
이다.
압축강도 시험은 휨강도 시험에 의해 파단된 시험체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가압판에 ± 0.5 mm 이내에 정치하여 파괴에 이를 때까지 2,400 ±
200 N/sec의 속도로 재하여 압축 하중 측정 후 강도를 산출하였다. 압축강도 산출식은 다음 식 (3)과 같다.
여기서, $R_{c}$ 는 압축강도(MPa), $F_{c}$는 압축 하중(N), $A$는 가압판의 면적(㎟) 이다.
3.2 3D 프린터 장비
3D 프린팅용 인공어초 배합의 출력성 및 적층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한 3D 프린터는 ME(Material Extrusion) 방식 3D 프린터는
각 축을 통해 입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압출기(Extruder)를 가진 형태이다. 출력을 위해 압출기가 이동하는 속도는 20~25 mm/sec 이며
압출기의 압출 속도는 130~170 e-step/mm 이다. 시험에 사용한 3D 프린터의 제원은 Table 5에 나타냈다.
Table 5 Specification of ME type 3D printer
Printing method
|
Printing
scale
|
Maximum printing speed
|
Positioning
accuracy
|
Material
Extrusion
|
500×500×500 mm
|
150 ㎜/sec
|
X : 40 micron
Y : 40 micron
Z : 12 micron
|
4. 시험결과 및 고찰
4.1 흐름시험과 밀도시험 및 시험체 출력 결과
3D 프린팅용 인공어초 제작을 위한 시멘트 복합체의 흐름값 및 밀도시험결과를 Table 6에 나타냈다. 사전 시험에서 출력이 가능한 정도의 흐름값이 130 mm 정도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만족하면서 출력성과 적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합요인을 변경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MT-1 배합의 경우 증점제 및 감수제의 첨가량과 결합재 구성 중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의 비율을 조절하였다.
증점제 첨가량을 증가한 배합의 경우 흐름값이 감소하였으며 증점제가 증가한 상태에서 플라이애시의 첨가량을 증가한 배합의 경우 흐름성이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MT-1 배합의 밀도와 흡수율은 대체로 반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고로슬래그 미분말에 비해 플라이애시의 함유량이 높은 경우 밀도가
감소하였다.
MT-1 배합을 이용하여 출력한 시험체의 전경은 Fig. 5에 나타냈다. Fig.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태를 유지하는 성능인 적층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혼화제와 결합재 구성 비율을 조절한 결과 Fig. 5(b)와 같이 적층성을 만족하였다. 그러나, 표면이 거칠고 기포가 발생하는 등의 표면 품질의 저하가 나타났다.
MT-2 배합의 경우 MT-1 배합의 출력에서 발생한 표면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물-결합재비 및 규사-결합재비와 규사의 호수, 결합재 구성 중
알파형 반수석고의 비율을 조절하였다. 알파형 반수석고는 급결효과가 있으나 포틀랜드시멘트의 감소로 응결시간의 감소를 보완하고 알칼리도를 낮추기 위해
결합재 구성비율을 증가시켰다. 물-결합재비가 증가한 배합의 경우 흐름값이 증가하였으며 3D 프린터로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과다한 흐름성을 나타낸
경우 규사-결합재비 또한 증가시켜 적용했다. 그러나, 규사-결합재비 만으로 흐름성을 조절하는 경우 출력이 가능하더라도 점성과 같은 유변학적 특성이
빈약하여 건전한 상태의 출력성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증점제의 양을 증가시켜 점성이 있는 건전한 상태의 흐름값을 유지하도록
했다. MT-2 배합 중 규사 호수의 변경은 흐름성이 가장 크게 변화하는 요인이었으며 규사 호수가 감소하면 규사의 입경이 증가하기 때문에 미분이
흡수하는 배합수의 감소, 입경 사이를 결합재 페이스트가 채워넣는 효과로 인해 흐름값이 증가한다. MT-2 배합의 밀도와 흡수율은 MT-1 배합과 마찬가지로
대체로 반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물-결합재비가 감소할수록 밀도가 높아졌다.
MT-2 배합을 이용하여 출력한 시험체의 전경은 Fig. 6에 나타냈다. Fig. 6(a)는 규사 7호를 사용한 배합에서 가장 양호한 출력성을 나타낸 시험체이며 Fig. 6(b)는 규사 5호를 사용한 배합에서 가장 양호한 출력성을 나타낸 시험체이다. 두 시험체 모두 적층성과 출력성을 만족하나 표면 품질에서 차이가 났으며
규사 7호를 사용한 경우 표면이 거칠어 표면 품질이 저하되는 반면 규사 5호를 사용한 경우 표면이 비교적 매끈하여 우수한 표면 품질을 나타냈다.
MT-3 배합의 경우 MT-2 배합에 응결조절제의 비율을 조절하였다. ME 방식 3D 프린터는 출력 공정 상 굳지않은 상태의 출력용 시멘트 복합체가
일정시간 체류하는 구간이 포함된다. 알파형 반수석고를 포함하는 배합의 경우 급결특성에 의해 짧은 시간동안 응결이 얼어나기 때문에 출력 도중 노즐이나
공급장치 내부에서 응결하여 출력성을 저해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응결조절제를 통해 응결시간을 제어해야 한다. 물-결합재비와 규사-결합재비,
증점제 첨가량이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응결조절제 첨가량을 순차적으로 증가시켰을 때 초기 흐름값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결지연제의 효과는 흐름값의
경시변화를 평가해야 하므로 가사시간 실험결과를 통해 판단해야 한다. MT-3 배합의 밀도와 흡수율은 MT-2 배합 중 하나와 동일한 배합에서 응결조절제의
첨가량만 다르기 때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측정하지 않았다.
MT-3 배합을 이용하여 출력한 시험체의 전경은 Fig. 7에 나타냈으며 Fig. 7(a)~(d)는 순차적으로 응결조절제의 첨가량을 증가시켰을 때 출력실험체 이다. 응결조절제가 첨가될수록 유동성이 부족했을 때 나타나는 출력성 저하 현상인
출력 시험체 표면이 거칠고 기포가 발생하는 현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첨가량이 과다할 경우 적층성을 만족하지 못해 출력 시험체
현상이 다소 변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5 View of3D printer output (MT-1 series)
Fig. 6 View of 3D printer output (MT-2 series)
Fig. 7 View of 3D printer output (MT-3 series)
Table 6 Test results of flow, density and absorption
Series
|
Flow [mm]
|
Density [g/㎤]
|
Absorption [%]
|
1st
|
2nd
|
avg.
|
1st
|
2nd
|
3rd
|
avg.
|
1st
|
2nd
|
3rd
|
avg.
|
MT-1
|
138
|
138
|
138
|
1.52
|
1.54
|
1.56
|
1.54
|
7.85
|
8.23
|
8.65
|
8.24
|
127
|
126
|
127
|
1.53
|
1.51
|
1.53
|
1.52
|
8.02
|
7.81
|
7.96
|
7.93
|
130
|
129
|
130
|
1.48
|
1.49
|
1.52
|
1.50
|
8.12
|
8.05
|
7.97
|
8.05
|
MT-2
|
125
|
123
|
124
|
1.38
|
1.40
|
1.39
|
1.39
|
8.21
|
7.83
|
7.85
|
7.96
|
112
|
113
|
112
|
1.39
|
1.38
|
1.41
|
1.39
|
7.53
|
7.89
|
8.04
|
7.82
|
141
|
140
|
141
|
1.45
|
1.49
|
1.47
|
1.47
|
6.76
|
6.94
|
6.95
|
6.88
|
135
|
135
|
135
|
1.51
|
1.54
|
1.52
|
1.52
|
6.23
|
6.30
|
6.28
|
6.27
|
130
|
133
|
132
|
1.53
|
1.55
|
1.52
|
1.53
|
6.02
|
6.28
|
6.31
|
6.20
|
MT-3
|
128
|
131
|
129
|
-
|
-
|
-
|
-
|
-
|
-
|
-
|
-
|
133
|
139
|
136
|
-
|
-
|
-
|
-
|
-
|
-
|
-
|
-
|
139
|
141
|
140
|
-
|
-
|
-
|
-
|
-
|
-
|
-
|
-
|
143
|
141
|
142
|
-
|
-
|
-
|
-
|
-
|
-
|
-
|
-
|
4.2 가사시간 실험결과
3D 프린팅용 인공어초 제작을 위한 시멘트 복합체의 흐름값의 경시변화는 Fig. 8에 나타냈다. 흐름시험 결과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응결조절제의 첨가만으로도 초기 흐름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D 프린터로 출력이 가능한 시멘트
복합체의 최소한의 흐름값인 130 mm를 기준으로 가사시간을 산정했을 경우 결합재 중량 대비 응결조절제의 첨가량이 0.6 %일 때는 60분을 상회하였으며
0.5 % 일 때는 약 60분, 0.4 %일 때는 약 45분 었으며 0.3 % 배합에서는 초기 흐름값이 이미 129.54 mm로 출력 가능 기준 값과
유사하여 시간이 지남과 동시에 출력성을 상실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 흐름값을 기준으로 60분 경과 흐름값의 감소율은 다음 식(4)과 같이 산출하였다.
여기서,$R$은 흐름값 감소율, $F_{t0}$ 는 배합 직후의 흐름값(mm), $F_{t60}$ 는 배합 직후의 60분 경과시점의 흐름값(mm)이다.
결합재 첨가량이 적은 결합재 중량대비 0.3 %, 0.4 %, 0.5 %, 0.6 % 순으로 각각 20.1 %, 7.8 %, 8.1 %, 3.0 %로
나타났으며 결합재 중량대비 0.4 % 첨가했을 때부터 경시변화에 따른 유동성 변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8 Flow over time after mixing (MT-3 series)
4.3 휨강도 및 압축강도 시험결과
3D 프린팅용 인공어초 제작을 위한 시멘트 복합체의 강도시험결과 및 시험체 강도값 간 표준편차를 Fig. 9에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서로 비례하는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T-1은 경우 물-결합재비가 동일하며 강도에 영향을
주는 혼화제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결합재 구성 중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함량을 조절한 배합이다. 보통포틀랜드시멘트의 비율을 고정했을 때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비율이 동일했을 때의 강도가 가장 우수했으며 고로슬래그 미분말보다 플라이애시의 비율을 증가시켰을 때 강도가 소폭 상승하는 것을
확인했다. MT-2는 물-결합재비 및 규사-결합재비와 규사의 호수, 결합재 구성 중 알파형 반수석고의 비율을 조절한 배합이다. 물-결합재비를 감소했을
때, 규사 7호에서 5호를 사용했을 때 강도가 증가했다. MT-3는 응결조절제를 첨가량을 조절한 배합이다. 응결조절제의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강도가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Fig. 9 Compressive strength and bending strength (MT-1 series, MT-2 series and MT-3 series)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시멘트를 베이스로 한 다양한 결합재를 혼합하여 고강도 저알칼리형 인공어초를 제조하기 위한 시멘트 복합체 배합을 설계하고 ME 방식 3D
프린터로 출력이 가능하도록 고도화하여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T-1 배합에 대한 흐름시험과 밀도 및 흡수율 시험을 수행한 결과, 동일한 물-결합재비 및 규사-결합재비에서 증점제의 첨가량을 증가시킨 경우
흐름값이 감소하였으며 결합재 구성 중 플라이애시 비율을 증가시킨 경우 흐름값이 소폭 증가하였다. 밀도와 흡수율은 고로슬래그 미분말에 비해 플라이애시의
함유량이 높은 경우 밀도가 감소하고 흡수율이 증가하였다. MT-1 배합의 3D 프린터 출력실험 결과 출력과 적층이 가능하였으며 플라이애시 비율을 증가시키고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비율을 감소시킨 배합으로 출력한 결과 출력이 적층성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출력 표면이 거칠고 기포가 발생하는 등 품질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2) MT-2 배합에 대한 흐름시험과 밀도 및 흡수율 시험을 수행한 결과, 동일한 결합재 구성비율 및 규사-결합재비에서 물-결합재비를 감소시킨 경우
흐름값이 감소하였다. MT-1에 비해 높은 흐름값은 증점제에 첨가량을 증가시켜 적정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규사 입경이 커질 경우
미분이 흡수하는 배합수의 감소, 결합재 페이스트의 채움 효과로 흐름값이 증가하여 물-결합재비 및 증점제와 같은 배합요인 외에 사용한 규사의 입경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도와 흡수율은 물-결합재비가 클수록, 규사 입경이 작을수록 밀도가 증가하고 흡수율이 감소하였다. MT-2 배합의
3D 프린터 출력실험 결과 사용한 규사의 입경차에 의해 출력 시험체의 표면품질에서 차이가 났다. 규사 입경이 클 수록 표면이 매끄럽고 기포가 덜 발생하는
등 양호한 품질을 나타냈다.
(3) 급결효과가 있는 알파형 반수석고를 포함하는 MT-3 배합에 대한 흐름시험과 수행한 결과, 응결조절제의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초기 흐름값이 감소하였으며
경시변화에 의한 흐름성의 유지시간은 결합재 대비 0.4 ~ 0.5 wt. % 일 때 3D 프린터로 출력이 가능한 정도의 흐름값을 1시간까지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T-3 배합의 3D 프린터 출력실험 결과 출력과 적층성 및 출력표면에 대한 품질 모두 양호하였으나 응결조절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험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배합에서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모든 재령에서 같은 경향성을 나타냈다. 각 배합의 배합요인을 종합했을 때물-결합재비율이 작을 때, 고로슬래그보다
플라이애시의 비율이 높을 때, 규사의 입경이 클 때, 응결조절제의 양이 증가했을 때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의
비율에 따른 강도발현은 주변 알칼리도와 수화물 생성 환경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다성분계 배합에서는 그 구성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다양한 포졸란 및 잠재수경성 결합재를 사용하여 3D 프린팅이 가능한 인공어초 배합을 설계하기 위해 시험을 진행한 결과 3D 프린터의 출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동성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물-결합재비, 규사-결합재비, 규사의 종류, 증점제의 사용량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흐름값에
의한 유동특성을 확인하면서 출력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증점제 및 지연제의 첨가량을 검토하여 출력표면 품질을 유지해야하며 출력이 가능한 유동성을 만족시킨
후 강도에 대한 조절이 후행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다양한 결합재를 사용하여 저알칼리형 인공어초용 3D 프린팅 배합을 설계하고 출력성 및 적층성을
확인하였으나 알칼리 저감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추후 시험을 진행해야 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2년도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210077, 해양복원을 위한 탄소저감형 고강도 저알칼리
3D 프린팅 인공어초 개발 및 사업화).
References
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2021), Artificial reef information book 2021(FIRA-IR-21-002).
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In Korean).
Ko, H. B., and Kim, H. D. (2018), Development of hybrid artificial reef and basic
structural performance tes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9), 341-347. (In Korean).
Hamm, M., and Drossel, B. (2017), Habitat heterogeneity hypothesis and edge effects
in model metacommunities.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426, 40-48.
Kim, D., Jung, S., Kim, J., & Na, W. B. (2019), Efficiency and unit propagation indices
to characterize wake volumes of marine forest artificial reefs established by flatly
distributed placement models, Ocean Engineering, 175, 138-148. (In Korean).
Na, W. B. (2021), Structural Complexity of Artificial Reefs.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34(3), 19-26. (In Korean)
Mohammed, J. S. (2016), Applications of 3D printing technologies in oceanography.
Methods in Oceanography, 17, 97-117.
Ly, O., Yoris-Nobile, A. I., Sebaibi, N., Blanco-Fernandez, E., Boutouil, M., Castro-Fresno,
E. Hall, A., Herbert, R. J.H., Deboucha, W., Reis, B., Franco, J. N., Borges, M. T.,
Sousa-Pinto, I., van der Linden, P. and Stafford, R. (2021), Optimisation of 3D printed
concrete for artificial reefs: Biofouling and mechanical analysi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72, 121649.
Boukhelf, F., Sebaibi, N., Boutouil, M., Yoris-Nobile, A. I., Blanco-Fernandez, E.,
Castro-Fresno, D., Real-Gutierrez, C., Reis, B., Franco, JN., Borges, MT., Sousa-Pinto,
I., van der Linden, P., Gómez, OB., Meyer, HS., Almada, E., Stafford, R., Danet, V.,
Lobo-Arteaga, J., Tuaty-Guerra, M., and E. Hall, A. (2022), On the Properties Evolution
of Eco-Material Dedicated to Manufacturing Artificial Reef via 3D Printing: Long-Term
Interactions of Cementitious Materials in the Marine Environment. Sustainability,
14(15), 9353.
Lee, B. J., Kim, B. K., and Kim, Y. Y. (2022), Strength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Low-alkali Mortar for Artificial Reefs Produced by 3D Print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6(1), 67-72.
Seo, J. S., Lee, B. C., and Kim, Y. Y. (2019), The Effects of Void Ratio on Extrudability
and Buildability of Cement-based Composites Produced by 3D Print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7), 104-112. (In Korean).
Seo, J. S., Lee, B. C., and Kim, Y. Y. (2020),Uniformity and Accuracy of Mortar Layer
Thickness for the Quality Evaluation of 3D Printer Outpu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2(4), 371-377.
Seo, J. S. and Kim, Y. Y. (2022),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Mixing
Design Factors of the Cementitious Composite for 3D Printer on the Printing Qual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6(1), 89-96.
(In Korean).
Panda, B., Ruan, S., Unluer, C., and Tan, M. J. (2019), Improving the 3D printability
of high volume fly ash mixtures via the use of nano attapulgite clay,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165, 75-83.
Ma, G., Li, Z., Wang, L., Wang, F., and Sanjayan, J. (2019), Mechanical anisotropy
of aligned fiber reinforced composite for extrusion-based 3D printing,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 770-783.
Rehman, A. U., and Kim, J. H. (2021), 3D concrete printing: A systematic review of
rheology, mix designs, mechanical, microstructural,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Materials, 14(14), 3800.
Wang, K. (2020), Feasibility Study of 3D Printing of Concrete for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