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원
(Ki-Won Lee)
1
오상훈
(Sang-Hoon Oh)
2†
-
정회원,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공학석사
-
정회원,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하중속도, 접합상세, 취성파괴, 소성변형능력, 내진성능
Key words
Load velocity, Connection detail, Brittle fracture, Plastic deformation performance, Seismic performance
1. 서 론
일반적으로 강구조는 조적구조 및 철근콘크리트구조 등과 비교하였을 때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로 평가된다. 이는 강구조재는 연성재료이며, 탄성변형 이후의
소성변형능력이 우수하여 파괴에 이르기까지 연성변형을 지속하는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노스리지 지진(1994)과 고베 지진(1995)의 사례에
따르면 강구조물에 강진이 작용하는 경우 취성거동을 통한 취성파괴가 발생하고, 특히 일본에서는 지진피해로 인해 수백동의 중·저층 강구조물의 보-기둥
접합부에 취성파괴가 발생한 사례가 존재한다. 취성파괴가 발생하는 경우 강구조재가 충분히 소성변형하기 이전에 파괴가 발생함에 따라 내진성능이 저하되고,
이와 같은 접합부의 파괴는 건축물 전체골조의 붕괴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접합부의 취성파괴는 구조물에 매우 치명적인 구조손상으로 작용하며,
이에 따라 미국과 일본 등 지진피해 국가들을 중심으로 취성파괴에 대한 문제점 및 접합부 내진설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SAC Joint Venture, 2000).
취성파괴는 구조물의 파괴거동 중 하나로서 구조재료의 소성변형능력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친다. 취성파괴 발생의 주요 원인은 재료의 문제, 국부적인 응력집중,
온도의 영향 등 다양하며, 높은 하중속도 역시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건축, 기계, 재료 등 공학의 여러 분야에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높은 하중속도가 가해지는 경우 재료의 연성이 저하되고, 최대 변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omel, 1999; Yu et al., 2009; 2006; Kim et al., 2008). 하지만 현재 국내·외 접합부 내진성능평가의 대부분은 정적실험을 통해 수행되고 있으며, 실험방법으로는 FEMA 350(SAC Joint Venture,
2000)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반복재하절차는 목표회전각에 대하여 정해진 속도로 일정하게 반복하중을 가하는 방식이며, 약 0.5~
1.0mm/s의 낮은 하중속도를 가진다. 이는 지진 시 발생하는 높은 하중속도와 불규칙성을 가지는 동적하중과 다른 성질을 가진다. 이에 따라 기존
내진성능평가는 높은 하중속도에 의한 재료 연성 저하 및 최대변형률 감소 등의 요소에 따른 취성파괴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실험방법에 따른 낮은 하중속도에서의 정적실험과 진동대를 이용한 높은 하중속도에서의 동적실험을 각각 실시한다. 각 실험결과에
따른 파괴형상 및 구조성능 등을 비교·분석하고 최종적으로 하중속도의 크기가 접합부의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2. 실험체 개요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접합상세를 대상 접합부로 선정한다. 따라서 실험체에 적용하는 접합상세는
건축강구조 표준접합상세지침(KSSC, 2018)에 따라 전용접 모멘트 접합부(Welded Flange-Welded Web)와 웨브볼트 플랜지용접 접합부(Welded Flange-Bolted Web)를
대상 접합부로 선정하여, 각 실험체의 접합상세에 따라 WF-WW와 WF-BW로 명명한다. 정적·동적실험에 따른 내진성능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각
실험에 사용되는 실험체는 동일한 접합상세를 적용하여 제작하며, 정적실험체의 경우 S(Static)를 동적실험체의 경우 D(Dynamic)를 이용하여
실험체 명을 구분한다. WF-WW와 WF-BW 접합상세를 적용한 정적실험체의 형상을 Fig. 1에 동적실험체의 형상을 Fig. 2에 각각 나타낸다. Table 3에 실험체 개요를 정리하여 나타낸다. WF-BW 실험체의 경우 F10T M24 고장력 볼트 3개를 사용한 1면 전단 마찰접합이며, 토크 렌치를 사용하여
20kN·mm의 토크 값을 부여한다. 정적·동적실험체의 보 길이 오차는 실험체 세팅상황을 고려한 수치로서 보 길이 차이를 반영한 결과를 분석을 필요로
한다.
Fig. 1 Test subject diagram (static test)
Fig. 2 Test subject diagram (dynamic test)
Table 1 Summary of test subject
Test method
|
Static
|
Dynamic
|
Test subject name
|
WF-WW-S
|
WF-BW-S
|
WF-WW-D
|
WF-BW-D
|
Beam
|
Section
|
H-600×200×11×17
|
H-600×200×11×17
|
H-600×200×11×17
|
H-600×200×11×17
|
Steel type
|
SS275
|
SS275
|
SS275
|
SS275
|
Length
|
3,210mm
|
3,210mm
|
3,190mm
|
3,190mm
|
Column
|
Section
|
H-400×408×21×21
|
H-400×408×21×21
|
H-400×408×21×21
|
H-400×408×21×21
|
Steel type
|
SM355
|
SM355
|
SM355
|
SM355
|
Length
|
2,100mm
|
2,100mm
|
2,100mm
|
2,100mm
|
Beam-Column Yield strength ratio
|
0.57
|
0.57
|
0.57
|
0.57
|
Column plate
|
Section
|
800×600×20
|
800×600×20
|
800×600×20
|
800×600×20
|
Steel type
|
SS275
|
SS275
|
SS275
|
SS275
|
Shear tab
|
Section
|
-
|
420×110×15
|
-
|
420×110×15
|
Steel type
|
-
|
SS275
|
-
|
SS275
|
3. 정적실험
본 연구에서는 실험 결과데이터의 신뢰성을 위해 접합부 실대형 정적실험을 수행한다. 보의 거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둥을 완전강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강기둥-약보의 보 붕괴형 메커니즘을 가지도록 설계한다. 정적실험 내에서의 주요 실험변수는 보-기둥 접합상세이다.
3.1 실험 개요
3.1.1 실험 방법 및 세팅
보 가력부에 3축 회전을 허용하는 1,000kN 용량의 액추에이터를 설치한다. 액추에이터의 변위제어에 따라 보-기둥 접합부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측정할
수 있다. 실험 시 보 부재의 횡방향 좌굴 방지를 위하여 기둥 플랜지로부터 소성한계비지지길이(약 1,700mm) 이하가 되는 지점에 횡좌굴 방지지그를
설치하고, 횡좌굴 방지지그 상부부터 보 자유단까지의 면외방향 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 액추에이터에 근접하게 횡좌굴 방지지그를 추가적으로 설치한다.
정적실험의 실험체 세팅도는 Fig. 3과 같다.
Fig. 3 Test subject setting diagram (static test)
3.1.2 가력 패턴
기존 접합부 정적실험방법과 동일한 가력 패턴을 이용하여 정적실험을 계획한다. 접합부 반복재하절차는 Fig. 4와 같으며, 이에 따른 실험단계별 가력패턴은 Table 2와 같다.
Fig. 4 Load pattern (static test)
Table 2 Summary of load pattern (static test)
Step
|
Cycle
|
Displacement
[mm]
|
Time
period
[sec]
|
Loading velocity
[mm/s]
|
Angle of
rotation
[rad]
|
1
|
6
|
12.8
|
10.2
|
30
|
0.00375
|
2
|
6
|
17.1
|
13.6
|
30
|
0.005
|
3
|
6
|
25.6
|
20.5
|
30
|
0.0075
|
4
|
4
|
34.1
|
10.9
|
50
|
0.01
|
5
|
2
|
51.2
|
8.2
|
50
|
0.015
|
6
|
2
|
68.2
|
10.9
|
50
|
0.02
|
7
|
2
|
102.3
|
13.6
|
60
|
0.03
|
8
|
2
|
136.4
|
18.2
|
60
|
0.04
|
9
|
2
|
170.5
|
22.7
|
60
|
0.05
|
10
|
2
|
204.6
|
27.3
|
60
|
0.06
|
3.1.3 측정 계획
보-기둥 접합부 실험에 따른 하중-변위 이력곡선은 패널존의 전단변형, 기둥의 휨변형 및 보의 휨변형이 모두 포함된 형태이다. 따라서 접합부에서 보의
휨변형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기둥 패널존의 전단변형 및 기둥의 휨변형을 고려하여야 한다.
정적실험의 경우 전체 수직변형 측정을 위한 보 자유단 1개소, 기둥 패널존의 전단변형을 측정하기 위한 기둥 패널존의 대각방향 2개소 및 기둥의 휨변형
측정을 위한 기둥 패널존 보강 스티프너 뒤편 2개소를 포함 총 5개의 변위계(LVDT)를 설치한다. 또한 변형률 게이지를 설치하여 각 실험체의 보
플랜지와 보 웨브의 항복시점 및 소성변형률 등을 측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두 실험체의 보 상·하부 플랜지 및 웨브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에 등간격으로 각각 5개의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하고, WF-BW-S의 경우 전단탭을 고려하여 위치를 조정하여 부착한다. 실험체별 계측장치
설치도는 Fig. 5와 같다.
Fig. 5 Measuring device installation diagram (static test)
3.2 실험 결과
3.2.1 재료인장시험
실험체 제작에 사용된 강재의 구조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재료인장시험을 실시한다. 기둥은 완전강체로 가정하므로 보에 사용된 SS275 강재를 대상으로
재료인장시험을 실시한다. 재료인장시험결과에 따른 SS275 강재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Fig. 6과 같다.
Fig. 6 Result of material tensile test
3.2.2 접합부 변형 요소 검토
강구조 접합부 요소 중 보의 구조성능을 명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보의 순수 휨변형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중-변위 전체 이력곡선에서 패널존의
전단변형 및 기둥의 휨변형을 제하여 보의 순수 휨변형을 도출하였다. 접합부 변형 요소별 하중-변위 관계는 Figs. 7과 8과 같다. Figs. 7(b)와 8(b)의 경우 기준점에서 ±10mm 이내의 미세한 변형이 발생하였다. 기둥 휨변형에 의한 수직변형에 포함되는 값임을 고려하였을 때, 전체 변형
중 보의 휨변형에 미치는 패널존의 전단변형에 의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s. 7(c)와 8(c)의 경우 ±20kN 구간에서의 수평이동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 탄성영역에 머무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제한 보의 휨변형 곡선을
Figs. 7(d)와 8(d)에 나타냈다. 접합부 변형 요소를 검토한 결과 두 실험체 모두 극한한계상태에서 기둥은 항복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의 휨변형에
대한 하중-변위 관계를 명확하게 도출한 것으로 보아 계측신뢰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동적실험 수행시 패널존의 전단변형 측정은 생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g. 7 Displacement element of steel connection (WF-WW-S)
Fig. 8 Displacement element of steel connection (WF-BW-S)
3.2.3 보 요소의 모멘트-회전각 이력곡선 및 파괴형상
실험의 결과데이터를 통해 도출한 보 요소의 모멘트-회전각 이력곡선은 Figs. 9와 10과 같으며, 그래프상의 수평파선은 보 부재의 전소성모멘트의 80% 지점을 의미한다. WF-WW-S의 경우 정방향 최대모멘트 1,240.3kN·m,
부방향 최대모멘트 1,189.9kN·m로 보의 전소성모멘트 이론값(896.1kN·m)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은 10step 1cycle(0.06rad)
정방향 가력단계에서 접합부측 보 단부 상부플랜지에서 취성파괴가 발생하며 종료되었다. WF-BW-S의 경우 정방향 최대모멘트 986.7kN·m, 부방향
최대모멘트 1,062.1kN·m로 보의 전소성모멘트 이론값(896.1kN·m)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도중 마찰접합에 대한 볼트 풀림 등의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실험은 8step 1cycle(0.04rad) 정방향 가력단계에서 접합부측 보 단부 상부플랜지에서 취성파괴가 발생하며 종료되었다.
실험체별 파괴형상은 Figs. 11과 12와 같다. WF-WW-S의 경우 보 상부플랜지에서 취성파괴가 발생하였으나, 보 파괴단면에 존재하는 연성파괴거동의 흔적을 통해 충분한 소성변형을
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전용접 모멘트 접합부의 접합형태에 따라 보 상부플랜지와 함께 보 웨브도 약 200mm 파괴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빠른
균열속도 하에서의 취성파괴거동을 보였다. WF-BW-S의 보 파괴단면에서는 WF-WW -S에 비해 더 큰 취성파괴거동이 발생한 것으로 사료되며, 보
웨브 볼트접합부의 모재는 연단부의 변형을 제외한 다른 손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용접된 보 플랜지에 응력이 집중되어 순간적으로 취성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9 Moment-rotation curve (WF-WW-S)
Fig. 10 Moment-rotation curve (WF-BW-S)
Fig. 11 Fracture of steel connection (WF-WW-S)
Fig. 12 Fracture of steel connection (WF-BW-S)
3.2.4 골격곡선 분석
실험의 결과데이터를 통해 도출한 모멘트-회전각 관계는 반복이력곡선의 형태를 띠고 있으므로, 실험체별 구조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일방향 단조가력곡선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때 이력곡선 분해를 통해 도출하는 골격곡선은 접합부 단조가력 실험결과에 따른 이력곡선과 거의 일치함은 기존 연구를 통해 증명된
바 있다(Kato, 1973). 실험체별 골격곡선은 Figs. 13과 14와 같으며, 실험체별 주요 구조성능은 Table 3과 같다.
항복내력비는 실험 결과데이터를 통해 얻은 항복모멘트에 보의 항복모멘트 이론값을 나눈 무차원의 값이다. WF-WW-S의 항복내력비는 0.97로 이론상의
보 항복모멘트 값과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WF-BW-S는 0.79로 비교적 작은 결과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보 웨브를 용접하지 않고
볼트접합만을 채용했을 경우 접합부의 내진신뢰성이 저하된다는 기존 연구결과에 따라 항복내력비가 작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Lee et al., 2002). WF-WW-S의 항복변형각은 0.0074 rad, WF-BW-S의 항복변형각은 0.0063rad으로 항복내력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보 웨브에
볼트접합만을 채용한 것에 대해 동일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WF-WW-S의 초기강성은 10.68kN/mm, WF-BW-S의 초기강성은 10.69kN/mm로 접합상세와 관계없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내력비는 실험 결과데이터를 통해 얻은 최대모멘트에 보의 전소성모멘트 이론값을 나눈 무차원의 값이다. WF-WW-S의 최대내력비는 1.36,
WF-BW-S의 최대내력비는 1.14로 두 실험체 모두 보 전소성모멘트 이론값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구조 보-기둥 접합부의 최대내력
실험치가 일반적으로 전소성모멘트의 약 1.2~1.3배 크게 나타나는 여러 선행실험 연구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신뢰할 수 있는 실험조건으로 진행되었다고
판단된다.
WF-WW-S의 최대변형각은 0.0678rad, WF-BW-S의 최대변형각은 0.0415rad으로 WF-WW-S의 결과값이 WF-BW-S의 결과값을
약 1.6배 이상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요 구조성능 중 접합상세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요소로서 보 웨브의 접합상세가 취성파괴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좋은 지표라고 사료된다. 내력상승률은 실험 결과데이터를 통해 언은 최대모멘트에 항복모멘트를 나눈 무차원의 값으로서
항복이후 최대모멘트에 도달하기 까지 상승하는 내력의 비를 나타낸다. WF-WW-S의 내력상승률은 1.62, WF-BW-S의 내력상승률은 1.67로
접합상세와 관계없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13 Skeleton curve (WF-WW-S)
Fig. 14 Skeleton curve (WF-BW-S)
Table 3 Main structural performance (static test)
Test subject
|
Yield strength
[kN·m]
|
Yield rotation angle
[rad]
|
Initial stiffness
[kN/mm]
|
Yield strength ratio
|
Tensile strength
[kN·m]
|
Maximum rotation angle
[rad]
|
Tensile strength ratio
|
Strength increase rate
|
WF-WW-S
|
751.9
|
0.0074
|
10.68
|
0.97
|
1,251.1
|
0.0678
|
1.36
|
1.62
|
WF-BW-S
|
615.7
|
0.0063
|
10.69
|
0.79
|
1,024.4
|
0.0415
|
1.14
|
1.67
|
4.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동적실험
본 연구에서는 실험 결과데이터의 신뢰성을 위해 접합부 실대형 동적실험을 수행한다. 보의 거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둥을 완전강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강기둥-약보의 보 붕괴형 메커니즘을 가지도록 설계한다. 정적실험 내에서의 주요 실험변수는 보-기둥 접합상세이다.
4.1 실험 개요
4.1.1 실험 방법 및 세팅
실험은 Fig. 15와 같이 적층고무 면진장치를 이용한 질량체의 1축 거동에 따라 실험체의 보 단부에 높은 하중속도를 가지는 동적하중이 가해지는 방식으로 설계한다(Oh, 1998). 동적실험에서는 진동대 실험의 공간적 제약에 따라 두 개의 진동대를 사용하며, 실험체가 설치되는 측 진동대를 “진동대A”, 질량체가 설치되는 측
진동대를 “진동대B”로 정의한다. 실험체는 정적실험과 동일하게 실험체 기둥 양단에 1축 회전을 허용하는 지그를 이용하여 진동대A 바닥에 볼트로 고정하며,
진동대B 바닥과 동적가력을 위한 질량체 사이에는 적층고무를 이용하여 제작한 면진장치 및 1축 방향으로의 거동을 보조하기 위한 LM 가이드를 각각 $4$개씩
볼트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이 때 질량체의 질량은 약 30ton이며, 면진장치의 수평강성은 260N/mm이다. “$1$축 회전지그–로드셀–$1$축
회전지그”로 구성된 “연결체” 설치를 위하여, 진동대A에 설치된 실험체와 진동대B에 설치된 질량체 사이를 볼트로 접합한다. 실험체에 대한 경계조건은
정적실험과 동일하게 기둥 양단과 보 자유단은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는 핀접합으로 가정할 수 있으며, 입력지진파에 대한 질량체의 면진거동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력을 연결체를 통해 실험체에 전달함에 따라 보-기둥 접합부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측정할 수 있다. 실험시 보의 횡좌굴 방지를 위하여 기둥 플랜지에
횡좌굴 방지지그를 설치하는 것이 권장되나, 계측 및 설치과정에서의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연결체에 대한 횡변형 방지지그를 설치하는 것으로 대체한다.
Fig. 15 Test subject setting diagram (dynamic test)
4.1.2 가진 패턴
동적실험을 위한 입력지진파는 진동대의 성능한계를 고려하여 해석 등에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진파들 중 하나인 El Centro NS 지진파를 선정한다(Fig. 16). 실험시 가진단계별 원파에 대한 가속도 스케일 비율을 조절하여 가진하며, 실험단계별 가진패턴은 Table 4와 같다.
Fig. 16 Seismic load pattern (dynamic test)
Table 4 Summary of seismic load pattern (dynamic test)
Step
|
Seismic Wave
|
Acceleration scale ratio for Real Wave
[%]
|
Maximum ground acceleration
[g]
|
1
|
El Centro NS
|
5
|
0.0174
|
2
|
El Centro NS
|
10
|
0.0348
|
3
|
El Centro NS
|
20
|
0.0697
|
4
|
El Centro NS
|
30
|
0.1045
|
5
|
El Centro NS
|
50
|
0.1742
|
6
|
El Centro NS
|
70
|
0.2439
|
7
|
El Centro NS
|
100
|
0.3485
|
8
|
El Centro NS
|
130
|
0.4530
|
9
|
El Centro NS
|
150
|
0.5227
|
10
|
El Centro NS
|
170
|
0.5924
|
11
|
El Centro NS
|
200
|
0.6969
|
12
|
El Centro NS
|
230
|
0.8015
|
13
|
El Centro NS
|
250
|
0.8712
|
4.1.3 측정 계획
3.1.3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보-기둥 접합부 실험에 따른 하중-변위 이력곡선은 패널존의 전단변형, 기둥의 휨변형 및 보의 휨변형이 모두 포함된
형태이다. 따라서 접합부에서 보의 휨변형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기둥 패널존의 전단변형 및 기둥의 휨변형을 고려하여야 한다.
동적실험의 경우 실험체를 포함한 모든 가진 시스템에 변위가 발생하므로 보 접합부측 단부와 보 자유단의 발생 변위 차이를 통해 변형을 측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보 자유단 1개소, 보 접합부측 단부 1개소 및 기둥 패널존 보강 스티프너 뒤편 2개소를 포함 총 4개의 변위계를 설치한다. 이 때 패널존
전단변형 측정의 경우 진동대 실험시 발생하는 충격을 고려하여 설치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3.2.2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패널존의 전단변형은
접합부 변형요소별 수직하중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측정 계획에서 생략한다. 정적실험과 동일하게 변형률 게이지를 설치하여 각 실험체의
보 플랜지와 보 웨브의 항복시점 및 소성변형률을 측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두 실험체의 보 상·하부 플랜지 및 웨브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에 등간격으로 각각 5개의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하며, WF-BW-D의 경우에만 전단탭을 고려하여 위치를 조정하여 부착한다. 실험체별 계측장치
설치도는 Fig. 17과 같다.
Fig. 17 Measuring device installation diagram (dynamic test)
4.2 동적실험 결과
4.2.1 재료인장시험
동적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정적실험과 동일하며, 동적실험에 사용된 재료인장시험결과 값은 3.2.1절의 Fig. 6과 동일한 값을 사용한다.
4.2.2 접합부 변형 요소 검토
동적실험결과에 따른 이력곡선의 각 변형 요소별 수직변형 산정은 3.2.2절과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가진단계별 접합부 변형 요소를 검토하였다.
접합부 변형 요소별 하중-변위 관계는 Figs. 18과 19와 같다. Figs. 18(b)와 19(b)의 경우 ±20kN 구간에서의 수평이동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 탄성영역에 머무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제한 보의 휨변형 곡선을
Figs. 18(c)와 19(c)에 나타냈다. Figs. 18(a)와 19(a)의 전체 변형에 대해 Figs. 18(b)와 19(b)의 기둥 휨변형을 제할시 ±20kN 구간에서의 수평이동이 제거되었다. 접합부 변형 요소를 검토한 결과 두 실험체 모두 극한한계상태에서
기둥은 항복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동적실험에서의 보의 휨변형을 검토한 결과 정적실험에 비해 수평이동의 정도가 현저히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높은 하중속도의 실험환경에서는 힌지의 이격이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사료되며, 보의 휨변형에 대한 하중-변위 관계에 대한 계측신뢰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Fig. 18 Displacement element of steel connection (WF-WW-D)
Fig. 19 Displacement element of steel connection (WF-BW-D)
4.2.3 보 요소의 모멘트-회전각 이력곡선 및 파괴형상
실험의 결과데이터를 통해 도출한 보 요소의 모멘트-회전각 이력곡선은 Figs. 20과 21과 같으며, 그래프상의 수평파선은 보 부재의 전소성모멘트의 80% 지점을 의미한다. Figs. 20과 21의 경우 항복을 시작한 가진단계, 실험종료단계, 실험종료 전 단계 및 가속도 스케일 배율 50%의 배수가 되는 단계를 주요 가진단계로 선정하여
나타낸다. 실험체별 주요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WF-WW-D의 경우 정방향 최대모멘트 1,018.4kN·m, 부방향 최대모멘트 1,023.7kN·m로 보의 전소성모멘트 이론값(896.1kN·m)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은 가진패턴의 마지막 단계인 13step(250%) 가진단계에서 파괴가 발생하지 않아 동일한 가진패턴으로 재가진을 실시하였으며,
14step (250%) 가진단계에서 보 단부(접합부측) 하부플랜지에서 취성파괴가 발생하며 종료되었다. WF-BW-D의 경우 정방향 최대모멘트 937.9kN·m,
부방향 최대모멘트 939.1kN·m로 보의 전소성모멘트 이론값(896.1kN·m)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도중 마찰접합에 대한 볼트 풀림
등의 현상은 따로 발생하지 않았으며, 실험은 11step(200%) 가진단계에서 보 단부(접합부측) 상부플랜지에서 취성파괴가 발생하며 종료되었다.
실험체별 파괴형상은 Figs. 22와 23과 같다. WF-WW-D의 경우 보 상부플랜지에서 취성파괴가 발생하였으며, 보 파괴단면을 통해 취성파괴가 지배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용접
모멘트접합부의 접합형태에 따라 보 상부플랜지와 함께 보 웨브도 약 250mm 파괴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빠른 균열속도 하에서의 취성파괴거동을
보였다. WF-BW-D의 보 파괴단면에서는 WF-WW-D에 비해 더 큰 취성파괴거동이 발생한 것으로 사료되며, 보 웨브 볼트접합부의 모재는 연단부의
변형을 제외한 다른 손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용접된 보 플랜지에 응력이 집중되어 순간적으로 취성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20 Moment-rotation curve (WF-WW-D)
Fig. 21 Moment-rotation curve (WF-BW-D)
Fig. 22 Fracture of steel connection (WF-WW-D)
Fig. 23 Fracture of steel connection (WF-BW-D)
4.2.4 골격곡선 분석
실험의 결과데이터를 통해 도출한 모멘트-회전각 관계는 반복이력곡선의 형태를 띠고 있으므로, 실험체별 구조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일방향 단조가력곡선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골격곡선 분해 및 분석는 3.2.4절에서 사용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한다. 실험체별 골격곡선은 Figs. 24와 25와 같으며, 실험체별 주요 구조성능은 Table 5와 같다.
항복내력비는 실험 결과데이터를 통해 얻은 항복모멘트에 보의 항복모멘트 이론값을 나눈 무차원의 값이다. WF-WW -D의 항복내력비는 1.04, WF-BW-D의
항복내력비는 1.02로 두 실험체 모두 이론상의 보 항복모멘트 값과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접합상세와 관계없이 두 실험체의 결과데이터에서
유사한 값을 보였다. WF-WW-D의 항복변형각은 0.0090rad, WF-BW-D의 항복변형각은 0.0083rad으로 보 웨브의 접합상세에 따라
볼트접합만을 채용했을 경우 항복변형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WF-WW-D의 초기강성은 9.71kN/mm, WF-BW-D의 초기강성은 9.52kN/mm로 접합상세와 관계없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내력비는
실험 결과데이터를 통해 얻은 최대모멘트에 보의 전소성모멘트 이론값을 나눈 무차원의 값이다. WF-WW-D의 최대내력비는 1.14, WF-BW-D의
최대내력비는 1.05로 두 실험체 모두 보 전소성모멘트 이론값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F-WW-D의 최대변형각은 0.029rad, WF-BW-D의 최대변형각은 0.0232rad으로 WF-WW-D의 결과값이 WF-BW-S의 결과값을
약 1.2배 이상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요 구조성능 중 접합상세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요소로서 보 웨브의 접합상세가 취성파괴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좋은 지표라고 사료된다. 내력상승률은 실험 결과데이터를 통해 언은 최대모멘트에 항복모멘트를 나눈 무차원의 값으로서
항복이후 최대모멘트에 도달하기 까지 상승하는 내력의 비를 나타낸다. WF-WW-D의 내력상승률은 1.26, WF-BW-S의 내력상승률은 1.18로
접합상세와 관계없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24 Skeleton curve (WF-WW-D)
Fig. 25 Skeleton curve (WF-BW-D)
Table 5 Main structural performance (dynamic test)
Test subject
|
Yield
strength
[kN·m]
|
Yield
rotation angle
[rad]
|
Initial
stiffness
[kN/mm]
|
Yield strength ratio
|
Tensile strength
[kN·m]
|
Maximum rotation angle
[rad]
|
Tensile strength ratio
|
Strength increase rate
|
WF-WW-D
|
812.4
|
0.0090
|
9.71
|
1.04
|
1,021.1
|
0.0290
|
1.14
|
1.26
|
WF-BW-D
|
793.3
|
0.0083
|
9.52
|
1.02
|
938.5
|
0.0232
|
1.05
|
1.18
|
5. 정적·동적실험 결과 비교·분석
본 장에서는 제 3장과 4장의 정적·동적실험 결과 비교를 통해 접합상세별 이력특성 변화 및 하중속도에 따른 접합부 내진성능 비교·분석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5.1 실험결과 비교의 적합성 검토
결과 분석에 앞서 다른 조건에서의 정적·동적실험의 결과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이 적합한지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정적·동적실험의 하중속도의 크기를
비교한다. 이는 본 연구의 핵심 변수가 실험에 명확하게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요소로 작용한다.
정적·동적실험에서 핵심 변수로 작용하는 하중속도의 반영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Fig. 26과 같이 각 실험체의 파단 발생 단계에서의 하중속도를 비교한다. 그 결과 WF-WW-S는 약 1mm/s, WF-WW-D는 가장 큰 변위가 발생하였을
때 약 690.3mm/s의 하중속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약 690배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WF-BW-S는 약 1mm/s, WF-BW-D는 가장
큰 변위가 발생하였을 때 약 564.8mm/s의 하중속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약 564배의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각 실험에 따른 하중속도의
차이가 명확하게 반영된 것을 확인하였다. Fig. 26에서 그래프는 각 실험시 사용된 가력 및 가진패턴을 시간-변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며, 이때 그래프의 기울기는 하중속도를 의미한다.
Fig. 27 Moment-rotation curve comparison
5.2 정적·동적실험 주요 구조성능 및 파괴형상 비교
정적 및 동적실험 결과에 따라 Fig. 27에 실험체별 모멘트-회전각 관계 비교, Fig. 28에 실험체별 골격곡선 비교를 각각 나타낸다. Fig. 27에 나타낸 실험체별 모멘트-회전각은 정적실험의 경우 전체 이력곡선을 사용하며, 동적실험의 경우 파단발생 단계의 이력곡선을 사용한다. Table 6에는 실험체별 주요 구조성능 비교하여 나타낸다.
실험체별 이력특성을 비교한 결과 각 실험에서 모든 실험체는 취성파괴거동으로 종국상황을 맞이하였으며, Fig. 28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동적실험에서 항복 이후의 변형이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적·동적 실험의 결과값의 비로 각 실험체별 이력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항복내력비의 경우 WF-WW에서는 0.93, WF-BW에서는 0.78,
항복변형각의 경우 WF- WW에서는 0.82, WF-BW에서는 0.76으로 동적실험의 결과값이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강성, 최대모멘트
및 최대내력비의 경우 결과값의 비가 약 1.1~1.2로 두 실험에서 비슷한 결과값을 보였다. 하지만 최대모멘트시 변형각과 최대변형각의 경우 정적실험의
결과값이 동적실험의 결과값을 약 2배 이상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실험의 결과값을 비교하였을 때, 큰 하중속도가 주어지는 경우에 접합부의 변형능력이
저하되는 이력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체별 파괴형상을 비교한 결과 Fig. 11의 WF-WW-S는 Fig. 22의 WF-WW-D 보다 연성파괴의 면적이 크게 발생하였다. 이는 동적실험에서 높은 하중속도가 작용함에 따라 접합부의 응력집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12의 WF-BW -S와 Fig. 23의 WF-BW-D의 파괴형상은 크게 차이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WF-BW의 접합상세는 웨브 볼트 마찰접합이며, WF-WW의 접합상세는 전용접
모멘트 접합이다. 따라서 WF-BW는 웨브의 접합방법에 따른 응력 분배가 적어 WF -WW보다 응력집중이 많이 발생하는 접합상세이므로, 정적·동적실험의
파괴형상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26 Load velocity comparison
Fig. 28 Skeleton curve comparison
Table 6 Main structural performance comparison (static and dynamic test)
Test
subject
|
Section
|
Yield
strength
[kN·m]
|
Yield
rotation angle
[rad]
|
Initial
stiffness
[kN/mm]
|
Yield strength ratio
|
Tensile strength
[kN·m]
|
Maximum rotation angle
[rad]
|
Tensile strength ratio
|
Strength increase rate
|
WF-WW
|
Static
|
751.9
|
0.0074
|
10.68
|
0.97
|
1,251.1
|
0.0678
|
1.36
|
1.62
|
Dynamic
|
812.4
|
0.0090
|
9.71
|
1.04
|
1,021.1
|
0.0290
|
1.14
|
1.26
|
S/D ratio
|
0.93
|
0.82
|
1.10
|
0.93
|
1.19
|
2.34
|
1.19
|
1.29
|
WF-BW
|
Static
|
615.7
|
0.0063
|
10.69
|
0.79
|
1,024.4
|
0.0415
|
1.14
|
1.67
|
Dynamic
|
793.3
|
0.0083
|
9.52
|
1.02
|
938.5
|
0.0232
|
1.05
|
1.18
|
S/D ratio
|
0.78
|
0.76
|
1.12
|
0.77
|
1.09
|
1.79
|
1.09
|
1.42
|
6.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강구조 보-기둥 접합부를 대상으로 하는 정적·동적실험을 통해 하중속도가 이력특성 및 소성변형능력 등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및 분석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적실험을 통한 WF-WW-S와 WF-BW-S 실험체의 구조성능은 WF-WW-S가 WF-BW-S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최대변형각의 경우 약 1.6배 이상 상회하는 결과값을 보였다.
(2) 동적실험을 통한 WF-WW-D와 WF-BW-D 실험체의 구조성능은 구조성능은 WF- WW-D가 WF-BW-D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최대변형각의 경우 약 1.25배 이상 상회하는 결과값을 보였다.
(3) 항복내력비와 항복변형각의 경우 동적실험 결과값이 약 10% 이상 더 크게 나타났으며, 초기강성과 최대내력비의 경우 결과값의 비가 약 1.1~1.2로
두 실험에서 비슷한 결과값을 보였다. 하지만 최대변형각의 경우 동적실험 결과값이 2배 이상 작게 나타나며, 동적실험에서 접합부의 소성변형능력이 저하되는
이력특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하중속도는 단일 접합부의 최대변형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주요 구조성능 비교에 따라 정적실험 결과값에 대한 동적실험 결과값이 크게는 2배 이상 작게는 1.2배 정도 작은 결과값을 보이며, 기존 연구결과에
따른 내진성능평가에 대해 하중속도가 미치는 영향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접합부 내진성능에 대한 하중속도의 영향을
고려한다면 더욱 보수적인 설계가 필요할 수 있으며, 기존 내진성능평가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과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2022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17750’).
References
Lee, K. W. (2022),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steel connection and moment frame
considering load velocity, master dissertation, Master dissertation,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
SAC Joint Venture (2000), Recommended Seismic Design Criteria for New Steel Moment-Frame
Buildings, FEMA-350, Chapter 3 Connection Qualification.
Bomel, L. (1999), The behaviour of carbon steels at high strain rates and strain limits,
Offshore Technology Report – OTO 1999018, Health and Safety Executive.
Yu, H., Guo, Y., and Lai, X. (2009), Rate-dependent behavior and constitutive model
of DP600 steel at strain rate from 10-4 to 103 s-1, Materials and Design, 30(7), 2501-25
Kim, K. H , Lim, J. H., and Lim, Y. M. (2008), Study on rate dependent fracture behavior
of structures; application to brittle using molecular dynam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ume, 28(4A), 529-536
Korea Construction Standards Center. (2019), Building Structure Standards KDS 41.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018), KS New Steel Structure Design, Gumi
Library (written).
Oh, S. H (1998) 柔剛混合形式接合部から成るエネルギ-分散型多層骨組の耐震設計, Ph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Tokyo University.
Kato, B., Akiyama, H., and Yamanouchi, Y. (1973), Predictable properties of material
under incremental cyclic loading, IABSE, Preliminary Publication Lisbon, pp.119-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