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주
(Young-Ju Hong)
1†
오상훈
(Sang-Hoon Oh)
2
-
정회원,부산대학교 석사수료
-
정회원,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강구조 보-기둥 접합상세, 변형률집중지수, 모멘트전달효율, 용접비율, 취성파단
Key words
Steel structure beam-column connection detail, Strain concentration ratio, Moment transfer efficiency, Welding rate, Brittle fracture
1. 서 론
H형강 보-기둥 용접모멘트접합부란 기둥의 거동, 패널존의 거동, 보의 거동으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이며 다른 재료보다 높은 강도와 변형능력을 가짐을
증명한 자료들이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1994년 미국 노스리지 지진과 일본 효고현 남부 지진당시 철골구조 건축물의 보-기둥 접합부 부분에서 강구조의
재료적 특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취성파단이 발생하여 많은 피해가 일어났다. 취성파단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당해연도 연구진들은 각종 연구들[1][2][3]을 수행하였으며 원인은 건축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 역학적 측면, 재료적 측면(용접봉 혹은 모재불량)등이 복합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밝혔다.
그 중 역학적 측면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원인은 바닥슬래브가 있는 합성보의 중립축 상승으로 인한 하부플랜지의 응력집중, 각형강관의 면외 좌굴로 인한
취성파단, 스캘럽으로 인한 보 플랜지 응력집중 등으로 볼 수 있다. 스캘럽으로 인한 보 플랜지 응력집중현상은 국외의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으며 발생되는
보-기둥접합부의 취성파단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접합상세로서 논스캘럽공법[4] 등이 있다.
하지만 국내 강구조 건축물의 접합상세는 스캘럽(용접접근공)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국내 건축 실정 상 논스캘럽 접합상세를 현장에서 사용하기엔 용접접근공
접합상세보다 부수적인 작업이 증가되어 경제성과 시공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접합상세[5] 2가지(Weld access hole Connection, weld access hole connection- web bolt),와 권장상세[5](Weld access hole Connection-Web Bolt & Weld) 1가지를 선정하여 논스캘럽 접합상세와의 소성변형능력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웨브의 모멘트 전달효율
스캘럽이란 Fig. 1과 같은 형상으로 철골구조에서 기둥과 보 접합 시 용접의 시공성 향상과 용접구간의 겹침으로 인한 취약부분 발생을 방지하고자 부채꼴 모양으로 모따기를
한 것이다. 이처럼 스캘럽을 준 용접접근공 접합상세는 용접 작업 시에는 효율적이지만 건축물의 내진성능이 현저히 감소되는 주된 원인으로 밝혀졌다[1].
Fig. 2는 논스캘럽과 용접접근공의 응력분포를 나타내었다. 논스캘럽의 경우 보 웨브 부분의 단면손실이 존재하지 않아 응력의 분포가 비교적 일정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용접접근공의 경우 웨브의 단면 손실로 인해 상·하부 플랜지에 논스캘럽보다 응력이 집중된다. 따라서 플랜지부분의 변형률이 높아져 회전각의 증가에
따른 파단이 논스캘럽보다 조기에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용접접근공의 결손단면으로 인한 보-기둥 접합부의 구조성능을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오상훈 등은 모멘트전달효율과 변형률집중지수를 성능지표로 하여 접합부의
성능을 평가한 바 있으며 관련식은 아래와 같다.
해당 식은 보-기둥 접합부 실험을 기반으로 하여 식을 도출하였으며 여기서 식(1)의 경우 $M_{w p}$는 단면손실이 없는 웨브의 전소성모멘트 이며 $M_{w}$는 보-웨브부분이 소성화 되어 강성 기울기가 낮아지는 구간으로 선정한다.
보 웨브의 순단면이 받는 모멘트에 대한 단면 결손이 있는 보 웨브의 모멘트 비로 단면이 결손 될수록 전달효율값은 감소하며 보 플랜지가 모멘트를 부담하고
있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다.
식(2)의 경우 보의 회전각 당 플랜지 부분의 변형률을 나타낸 것으로 값이 클수록 플랜지에 응력이 집중된다. $\triangle_{\varepsilon
0}$는 논스캘럽 접합상세에서 플랜지 변형률 값을 나타내며 $\triangle_{\varepsilon}$는 각 실험체 별 플랜지의 변형률 값을 나타낸다.
Fig. 1 Scallop construction
Fig. 2 Stress distribution diagram for each joint detail
3. 반복가력실험
3.1 실험계획 및 방법
실험체 개요는 Table 1과 같이 나타냈다. 보-기둥 접합부형태로 제작하였으며 중간모멘트 골조의 접합상세 치수이다. 웨브 용접길이의 경우 NWC 566mm, WC 496mm,
WC-WC 및 WC-WBW 420mm로 제작되었으며 보의 전체 길이는 3.5m, 가력지점에서 기둥 끝단까지는 3.2m로 하였다. 기둥의 전체 길이는
2.9m, 양 단부의 힌지접합 중심거리는 2.1m로 하였다. 각 실험체의 기둥과 보 길이는 동일하며 접합상세에만 변수를 두었다(Fig. 3, Fig. 4 참조). 또한 보의 한계상태를 유도하기 위하여 실험체는 강기둥-약보로 설계하였다.
NWC의 제작과정은 보 상하부 플랜지에 30º로 개선작업 후 용접하였다. 개선방향은 윗플랜지와 아랫플랜지가 대칭이 되도록 제작하였으며, 보 웨브부분은
기둥 플랜지와 필릿용접 하였다. 개선 용접 시 뒷댐재는 제거한 후 부분모살용접으로 보강하였다(Fig. 4(a) 참고).
WC의 개선각은 NWC와 동일하며 개선방향은 윗플랜지와 아랫플랜지가 위쪽을 향한 동일한 방향으로 하였다. 뒷댐재는 제거하지 않았으며 용접접근공의 반지름은
35mm로 제작하였다(Fig. 4(b) 참고).
WC-WB 보 웨브는 전단접합으로 제작하였으며 개선방향은 NWC, 개선각은 WC와 동일하다(Fig. 4(c) 참고).
WC-WBW는 전단탭부분과 보 웨브 부분을 필렛용접 하였으며 그 외 치수는 WC-WB와 동일하다. 여기서 사용된 고장력 볼트의 규격은 M24, F10T이다(Fig. 4(d) 참고).
FEMA350에 제시되어 있는 가력절차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Fig. 5 참조). Fig. 6은 실험계획도이며 실험현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축물의 beam-column부분을 90°로 회전하여 기둥을 지면과 맞닿게 한 형상이다. 또한 보의
횡좌굴 방지를 위해 지그를 설치하였으며 실제 전경은 Fig. 7과 같이 나타냈다. 실험체 세팅은 기둥부분과 보의 가력부분을 핀접합으로 구현하였으며 1,000KN 용량의 Actuator를 설치하여 반복가력을 진행하였다.
Fig. 8은 계측장비의 설치위치를 나타낸다. 기둥과 패널존의 거동을 제하기 위해 기둥하부에 2곳, 패널존에 2곳 LVDT를 설치하였으며 변위 측정을 위해 보
가력부분 반대 위치에 LVDT를 설치하였다. 또한 게이지는 보의 상·하부 플랜지와 웨브의 한쪽면에 부착하였다. 보 플랜지 게이지는 기둥 플랜지에서
30mm 떨어진 곳에 40mm씩 등간격으로 부착하였다. 웨브는 WC, NWC의 경우 기둥 플랜지에서 30mm 떨어진 곳에 부착하였으며 WC-WB,
WC-WBW는 전단탭 끝지점에서 30mm 떨어진 곳에 100mm씩 등간격으로 부착하였다.
Fig. 3 Connection details
Fig. 4 Specimen construction
Fig. 5 Cyclic loading protocol (FEMA 350)
Table 1 Specimen list
Specimen
|
Connection Details
|
used part
|
NWC
|
No-weld access hole Connection
|
Beam 1EA, Column 1EA
|
WC
|
Weld access hole Connection
|
WC-WB
|
Weld access hole Connection - Web Bolt
|
Beam 1EA, Column 1EA
Tab 1EA, Bolt 3EA,
|
WC-WBW
|
Weld access hole Connection - Web Bolt & Weld
|
Table 2 Steel material characteristics
Specimen
|
Young’s Modulus E(MPa)
|
Yield Strength
$\sigma_{y}$(MPa)
|
Tensile
Strength$\sigma_{u}$(MPa)
|
Elongatin
(%)
|
Yield
Ratio
$\sigma_{y}/\sigma_{u}$
|
Web
|
No.1
|
1.98×10$^{5}$
|
310
|
477
|
29
|
0.65
|
No.2
|
1.97×10$^{5}$
|
306
|
477
|
28
|
0.64
|
No.3
|
1.93×10$^{5}$
|
322
|
479
|
29
|
0.67
|
Flange
|
No.4
|
2.21×10$^{5}$
|
324
|
478
|
30
|
0.68
|
No.5
|
2.09×10$^{5}$
|
318
|
480
|
30
|
0.66
|
No.6
|
2.21×10$^{5}$
|
315
|
479
|
30
|
0.66
|
Average
|
2.07×10$^{5}$
|
316
|
479
|
29
|
0.66
|
3.2 실험결과
3.2.1 재료물성치
실험체의 보 강종은 SS275이며 기둥 강종은 SM355로 하였다. 재료인장시편은 KS B 0801을 인용하여 보의 플랜지와 웨브에서 각각 1A호의
치수로 3개씩 시편을 채취하였다. 실험 결과는 시편의 평균값으로 산정하며 그 결과 항복강도는 316MPa, 인장강도는 479MPa, 탄성계수는 2.07×10$^{5}$MPa로
나타났다.
3.2.2 모멘트-회전각 관계
보에 설치한 LVDT로 기둥의 거동과 패널존의 거동을 제거 한 후 모멘트-회전각 관계를 Fig. 10에 나타냈다. x축과 평행한 점선은 보의 전소성모멘트 80%를 의미하며 WC-WB를 제외한 나머지 실험체는 0.04rad에서 전소성모멘트의 80%
이상의 내력으로 중간모멘트 이상의 요구성능을 만족하였다.
NWC의 최대내력은 +1177KN·m, -1204KN·m, 최대 변형각 +0.053rad, -0.054rad이 나왔으며 목표회전각인 6%rad 까지
가력 후 횡좌굴이 발생하였다.
WC의 최대내력은 +1318KN·m, -1264KN·m 최대변형각 +0.05rad, -0.05rad으로 6%rad 정방향 가력중 취성파단으로 실험이
종료되었다.
WC-WB의 최대내력은 +10$^{5}$7KN·m, -1128KN·m 최대변형각 0.02rad, -0.03rad으로 4%rad 정방향 가력 중 취성파단으로
실험이 종료되었다.
WC-WBW의 최대 내력 +1241KN·m, -1221KN·m, 최대변형각 +0.053rad , -0.053rad이 나왔으며 6%rad 부방향 가력
중 취성파단으로 실험이 종료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반복하중에 의한 이력곡선은 각 골격곡선부, 바우싱거부 및 탄성제하부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골격곡선부는 단조가력에 의한 하중-변형
곡선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골격곡선부의 항복모멘트와 항복모멘트 시 변형각의 경우 General Yield Point Method를 사용하여 Table 3으로 나타냈다(Fig. 9 참조).
NWC와 WC를 비교하였을 경우 최대변형각(Max Rotation angle)은 WC가 약 34%높게 나타났으며 최대모멘트(Max Moment)는
WC가 8%높게나왔다. NWC의 경우 실험진행 과정에서 횡좌굴이 발생되어 WC보다 높은 내력을 보이지 못하였지만 파괴상태를 보았을 경우 NWC를
제외한 모든 실험체는 취성파단으로 실험을 종료하여 이는 에너지 흡수율과 모멘트의 재분배가 잘 이뤄졌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NWC는 타 실험체들과
비교하여 취성파단이 발생될 가능성이 감소한다고 사료된다.
Fig. 9 General yield point method
Fig. 10 Moment-rotation angle graph
Table 3 Test result
Specimen
|
Loading direction
|
Initial
stiffness
(kN/mm)
|
Yield rotation
angle (rad)
|
Yield moment
(kN·m)
|
Max rotation
angle (rad)
|
Maximum
moment
(kN·m)
|
Maximum rotation angle
(rad)
|
Failure
mode
|
NWC
|
Postive(+)
|
11.25
|
0.006
|
797.9
|
0.047
|
1177.32
|
0.062
|
lateral buckling
|
Negative(-)
|
10.39
|
0.007
|
884.9
|
0.037
|
1204.68
|
0.054
|
WC
|
Postive(+)
|
10.35
|
0.007
|
808.2
|
0.066
|
1317.54
|
0.066
|
Brittle
Failure
|
Negative(-)
|
11.52
|
0.006
|
792.8
|
0.047
|
1264.02
|
0.068
|
WC-WB
|
Postive(+)
|
10.00
|
0.006
|
654.7
|
0.034
|
1056.78
|
0.036
|
Brittle
Failure
|
Negative(-)
|
12.98
|
0.004
|
613.8
|
0.041
|
1128.3
|
0.041
|
WC-WBW
|
Postive(+)
|
11.36
|
0.005
|
716.1
|
0.046
|
1241.17
|
0.066
|
Brittle
Failure
|
Negative(-)
|
10.03
|
0.006
|
767.3
|
0.038
|
1221.28
|
0.039
|
Table 4 Strain result
Rotation angle
|
NWC
|
WC
|
WC-WB
|
WC-WBW
|
0.01 rad
|
0.002
|
0.001
|
0.001
|
0.002
|
0.015 rad
|
0.008
|
0.011
|
0.007
|
0.015
|
0.02 rad
|
0.009
|
0.011
|
0.027
|
0.021
|
0.03 rad
|
0.015
|
0.017
|
0.034
|
0.031
|
0.04 rad
|
0.018
|
0.019
|
0.046
|
0.035
|
0.05 rad
|
0.017
|
0.026
|
-
|
-
|
0.06 rad
|
0.011
|
0.073
|
-
|
-
|
Max strain
|
0.018
|
0.073
|
0.046
|
0.035
|
fracture
|
lateral buckling
|
brittle fracture
|
brittle fracture
|
brittle fracture
|
3.2.3 보 플랜지의 변형률 분석
Fig. 11은 각 실험체별 보 플랜지 부분 변형률 그래프이다. 플랜지의 중심 부에 위치한 값을 사용하였으며 각 실험체 별 인장 측 보 플랜지의 변형률-누적 변형각으로
비교하였다.
NWC와 WC 비교시 탄성한계점인 5Step (0.01rad)에서 WC의 변형률이 NWC보다 58%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10Step (0.06rad)에서
WC가 NWC보다 56%높은 변형률을 보였다. 하지만 변형각 0.8rad 이상 지점부터 NWC의 변형률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지만 WC는 점진적인
변형률 증가현상을 보였다. 또한 WC의 변형률은 변형각 1.1rad 이후 급격한 증가를 보이며 취성파단이 일어났다. 따라서 NWC는 응력의 재분배로
인한 변형률이 감소되었지만 WC는 플랜지 상부 측에 높은 응력부담으로 취성파단이 일어난 것으로 사료된다(Fig. 12참조). NWC를 제외한 실험체는 점진적으로 변형률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WC-WB는 변형각 0.58rad에서 최대 변형률을 보였으며 파단은 0.7rad에서 일어났다. WC-WBW의 경우 0.61rad에서 최대 변형률을
보였으며 변형각이 증가 할수록 변형률이 감소함을 보였다. 이는 플랜지의 높은 응력집중으로 인한 균열 발생으로 센서탈락으로 발생된 현상이라고 판단된다.
Fig. 11 Ultimate conditions
4.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4.1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개요
본 장은 해석 모델링의 단조가력 그래프와 실대형 실험체의 skeleton 그래프(NWC, WC)를 비교하여 모델링의 신뢰성을 검증한다. 검증된 모델링으로
변수해석을 진행하여 웨브의 용접률에 따른 구조성능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상용 유한요소프로그램인 ABAQUS(ver.6.14) C3D8R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von Miess의 항복조건을 통해 소성변형까지 고려한 비선형 해석으로 진행하였다.
4.1.1 해석계획 및 방법
Fig. 13는 실대형 실험과 동일하게 Column-Tree로 NWC실험체와 WC실험체를 모델링 하였다. 기둥 양 단부의 경계조건은 X방향 회전만을 허용하고 나머지
자유도는 모두 구속하였다. 보 단부에 하향(Y방향)으로 192.5mm의 강제변위를 부여하였으며 횡좌굴 방지지그를 설치한 높이와 동일한 지점에 X축
변위를 0으로 하였다.
Mesh의 경우 해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보의 접합부부터 보 춤의 절반(300mm)까지와 기둥의 패널존의 경우 간격을 10mm으로 하였으며
그 외의 구간은 100mm으로 설정하였다.
Fig. 13 Modeling & boundary condition
4.1.2 비교결과
Fig. 14는 NWC와 WC의 실험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며 Table 5로 정리하였다. 실험도중에 발생된 변수를 해석에서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오차율 검증은 탄성구간 내에서 항복모멘트, 항복변형각, 강성으로 하였으며
실험체의 부방향, 정방향의 평균값과 비교하였다. 두 실험체 모두 항복내력과 변형각은 해석데이터가 높게 나왔으며 15% 내의 근소한 오차를 보여 해당
모델링으로 변수해석을 진행하였다.
Fig. 14 Comparison of test result and FEM result
Table 5 Comparison of test result and FEM result
Specimen
|
Initial Stiffness
(KN/mm)
|
Yield moment
(KN·m)
|
Yield rotation
angle(rad)
|
NWC
|
Exp
|
10.8
|
841.4
|
0.007
|
FEM
|
9.6
|
895.1
|
0.008
|
Error(%)
|
11.3
|
14.3
|
6.4
|
WC
|
Exp
|
10.9
|
800.5
|
0.007
|
FEM
|
9.5
|
849.1
|
0.008
|
Error(%)
|
13.1
|
6.1
|
6.4
|
4.2 해석 결과
해석변수는 $h_{w}/H_{w}$로 $h_{w}$는 웨브의 접합된 길이, $H_{w}$는 H형강의 순 웨브길이로 보 웨브의 접합된 길이를 10%씩
감소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Fig. 15은 실대형 실험체와의 비교를 위한 보플랜지부분 응력-변형각 그래프이다. X축과 평행한 직선은 SS275의 최대 인장내력 값이며 그 이상의 값이 나오는
모델링들은 취성파단으로 판단하였으며 보 웨브 용접면적이 60% 이하인 해석모델링부터 취성파단이 발생하였다.
각 모델링들의 항복모멘트, 항복변형각, 최대모멘트, 최대변형각과 순웨브로 용접된 모델링에 대한 각각의 구조성능을 Table 6으로 나타냈다.
구조성능은 웨브 용접비율이 감소할수록 비례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각각의 구조성능 100%와 0%를 비교하였을 경우 항복모멘트는 23%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항복변형각은 10.5%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최대모멘트는 약12%, 최대변형각은 55%의 차이를 보였다.
Fig. 15 Stress-rotation angle graph
Fig. 16 Moment-rotation angle graph
Table 6 FEM result
h/H(%)
|
$M_{y}$
|
$M_{\max}$
|
$\theta_{y}$
|
$\theta_{\max}$
|
$\delta_{p}$
|
strength increase rate
|
100
|
900.24
|
1172.92
|
0.0081
|
0.056
|
7
|
1.65
|
90
|
895.125
|
1172.43
|
0.0080
|
0.056
|
7
|
1.65
|
80
|
890.01
|
1170.56
|
0.0080
|
0.056
|
7
|
1.64
|
70
|
879.78
|
1167.44
|
0.0079
|
0.056
|
7
|
1.64
|
60
|
854.205
|
1153.71
|
0.0077
|
0.054
|
6.75
|
1.62
|
50
|
828.63
|
1100.55
|
0.0075
|
0.041
|
5.47
|
1.55
|
40
|
808.17
|
1064.28
|
0.0073
|
0.032
|
4.38
|
1.49
|
30
|
777.48
|
1030.57
|
0.0070
|
0.028
|
4
|
1.45
|
20
|
762.135
|
1008.72
|
0.0069
|
0.027
|
3.91
|
1.42
|
10
|
746.79
|
991.09
|
0.0068
|
0.026
|
3.82
|
1.39
|
0
|
700.755
|
923.50
|
0.0064
|
0.021
|
3.28
|
1.30
|
5. 실험결과 및 해석결과 비교분석
5.1 웨브의 모멘트 전달효율 $\gamma_{w}$ 비교
5.1.1 실험데이터 모멘트 전달효율
$\gamma_{w}$식을 적용하기 위해서 웨브에 대한 모멘트-회전각 그래프를 도출이 필요하다. 식(3)은 H형 단면이 전소성모멘트일 때 웨브가 부담하는 전소성모멘트 비율을 의미한다.
여기서 $M_{w p,\: anal}$는 각 실험체별 웨브단면의 전소성모멘트 값이며 $M_{p,\: anal}$는 H형 단면의 전소성 모멘트
값이다. 두 식 모두 전소성모멘트를 구할 때 사용된 $F_{y}Z_{x}$식으로 산정하였다.
식(3)을 사용하여 식(4)를 도출하였다. $M_{{Exp}}$는 실험을 통해 나온 모멘트 값이며 $M_{w,\: {Exp}}$는 실험값이 적용된 웨브의 모멘트 값이다. 식(4)를 통해 실험체들의 웨브의 모멘트-회전각을 Fig. 17에 나타냈다. 또한 모멘트 전달효율을 각 rad별로 구하였으며 전체적인 평균값으로 산정하여 Table 7에 나타냈다.
Fig. 17에서 X축과 평행한 파란 점선은 단면손실이 없는 웨브의 전소성 모멘트 값을 의미한다. WC-WB는 전소성모멘트 이상의 값이 나오지 않았으며 그
외의 실험체는 0.02rad에서 웨브의 전소성모멘트값 이상으로 나타난다.
모멘트 전달효율은 NWC가 130%로 가장 우수하게 나왔다. NWC와 WC는 30%, WC-WB는 93%, WC-WBW는 34%의 차이를 보였다.
모멘트 전달효율과 회전각이 비례하는 관계를 보인다. 또한 WC와 WC-WBW실험체 비교시 웨브가 접합된 부분의 길이 차이가 76mm이지만 모멘트 전달효율은
유사하게 나왔다. 이는 웨브의 소성단면계수값의 차이가 미소하여 나온 결과로 보인다.
Fig. 17 Moment-rotation angle skeleton graph (EXP)
Table 7 Moment transfer efficiency result
Specimen
|
NWC
|
WC
|
WC-WB
|
WC-WBW
|
$\gamma_{w}$(0.01rad)
|
118%
|
89%
|
32%
|
83%
|
$\gamma_{w}$(0.02rad)
|
132%
|
102%
|
38%
|
98%
|
$\gamma_{w}$(0.03rad)
|
141%
|
109%
|
41%
|
106%
|
Average$\gamma_{w}$
|
130%
|
100%
|
37%
|
96%
|
5.1.2 해석데이터 모멘트 전달효율
해석데이터의 용접접합부면에서 발생되는 응력의 평균값을 구하여 발생된 힘을 산정한 후 우력모멘트 식을 사용하여 웨브의 모멘트를 구하였다. 여기서 용접률이
0%인 경우 발생된 응력은 존재하지만 웨브의 용접과 무관한 요소로 발생되었다 판단하여 0으로 가정하였다. Fig. 18은 웨브면에 발생된 응력으로 산정한 모멘트-회전각 그래프이다. X축과 평행한 파선은 단면손실이 없는 웨브의 전소성모멘트이며 100%를 제외한 나머지
모델은 전소성모멘트 이하의 내력으로 나타났다. 웨브의 임의의 요소 응력이 410MPa 이상이 나오는 경우 취성파단으로 가정하여 발생된 모멘트는 해석결과에서
제외시켰다. 모멘트 전달효율은 보-웨브부분이 소성화 되어 강성 기울기가 낮아지는 구간인 회전각 0.02rad지점에서 구하였으며 Table 8로 나타냈다. 100%의 모멘트의 경우 1.02의 전달효율을 나타났으며 10% 모델과 비교 시 0.89의 차이가 보인다. 또한 실험과 동일하게 용접률과
모멘트전달효율의 비례적인 감소결과를 보인다.
Fig. 18 Moment-rotation angle skeleton graph (FEM)
Table 8 FEM Moment transfer efficiency result
Model Name
|
$M_{w}$(kN·m)
|
$\gamma_{w}$
|
100%
|
247.2
|
1.02
|
90%
|
220.7
|
0.91
|
80%
|
198.1
|
0.82
|
70%
|
180.1
|
0.74
|
60%
|
160.6
|
0.66
|
50%
|
135.9
|
0.56
|
40%
|
108.3
|
0.45
|
30%
|
81.9
|
0.34
|
20%
|
57.8
|
0.24
|
10%
|
32.2
|
0.13
|
0%
|
0
|
0
|
5.2 변형률 집중지수 $\gamma_{\epsilon}$비교
5.2.1 실험데이터 변형률 집중지수
Table 9는 0.01rad에서 0.04rad까지의 기울기(Fig. 19 참고), 식 $\gamma_{\epsilon}$을 사용한 변형률 집중지수를 나타낸다. 선행연구에 사용되었던 변형률 집중지수 식의 경우 단위 회전각
당 증분값을 사용했지만 본 논문의 경우 기울기의 범위 선정은 0.01rad부터 두 실험체(WC-WB, WC-WBW)의 센서탈락이 발생한 0.04rad
구간까지로 하였다. 먼저 분모인 $\triangle\epsilon_{0}$는 NWC의 회전각에 대한 변형률 증분값을 사용하며 분자 $\triangle\epsilon$는
각 실험체별 회전각에 대한 변형률 증분값을 사용하였다. NWC와 비교하여 변형률 지수가 WC는 0.08 높은값을 보였으며 WC-WBW와 1.12,
WC-WB와 2.06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웨브의 단면이 감소 할수록 변형률지수가 높아지는 결과로 판단된다.
Fig. 19 Maxium strain (EXP)
Table 9 Strain result
Specimen
|
NWC
|
WC
|
WC-WB
|
WC-WBW
|
Inclination
|
0.49
|
0.53
|
1.5
|
1.04
|
$\gamma_{\epsilon}$
|
1
|
1.08
|
3.06
|
2.12
|
5.2.2 해석데이터 변형률 집중지수
실험에서 변형률을 측정한 위치와 동일한 지점에서의 변형률-회전각 그래프를 Fig. 20로 나타냈다. 각 모델링의 기울기를 구할 때 범위를 0.01rad에서 0% 모델링이 취성파단이 발생한 0.02rad까지로 하여 Table 9로 나타냈다.
용접률 100%모델과 0%모델의 변형률집중지수 비교 시 2.43의 차를 보였으며 80%~70%, 60%~50%, 40%~20%는 동일한 값을 보였지만
전체적인 경향으로 보았을 경우 용접률이 감소할수록 변형률집중지수가 증가함을 보인다. 또한 변형률 집중지수가 높은 모델일수록 변형각이 줄어들었다.
Fig. 20 Strain-rotation angle skeleton graph (FEM)
Table 10 FEM Strain result
Model Name
|
Inclination
|
$\gamma_{\epsilon}$
|
100%
|
0.7
|
1
|
90%
|
0.8
|
1.14
|
80%
|
1.2
|
1.71
|
70%
|
1.2
|
1.71
|
60%
|
1.7
|
2.43
|
50%
|
1.7
|
2.43
|
40%
|
1.36
|
2.71
|
30%
|
1.60
|
2.71
|
20%
|
1.79
|
2.71
|
10%
|
2.03
|
3.00
|
0%
|
2.23
|
3.43
|
5.3 면적비에 따른 모멘트전달효율 비교
실험과 해석의 비교를 위해 보 웨브 용접면적비로 정리하여 Table 11, Table 12로 나타냈다. Table 11은 해석모델의 면적비이며 Table 12은 실험의 면적비이다. 웨브의 단면손실이 없어 NWC의 용접길이가 WC-WBW보다 길지만 면적으로 비교할 경우 전단탭 두께로 인해 WC-WBW가 높게
나온다.
Fig. 21는 변형률집중지수-모멘트전달효율 그래프로 실선은 해석모델링의 결과이며 실험값은 분산형으로 표기했다. 또한 붉은 파선은 실험값의 추세선으로 해석과 실험의
경향성 파악을 위해 기입했다. 해석모델과 실험체 모두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인다.
Fig. 21 True Stress-ture strain relationship
Table 11 Strain result
Modeling area ratio
|
Model Name
|
area ratio
|
100%
|
0.46
|
90%
|
0.42
|
80%
|
0.37
|
70%
|
0.32
|
60%
|
0.28
|
50%
|
0.23
|
40%
|
0.19
|
30%
|
0.14
|
20%
|
0.09
|
10%
|
0.05
|
0%
|
0
|
Table 12 Strain result
Specimen area ratio
|
Specimen
|
area ratio
|
NWC
|
0.46
|
WC
|
0.41
|
WC-WB
|
0.36
|
WC-WBW
|
0.47
|
6. 결 론
본 연구는 강구조 건축물 보-기둥 접합부 부분의 안정적인 거동을 위한 보 웨브의 용접률을 모멘트전달효율과 변형률집중지수를 통해 검토하였다. 실대형
실험과 FEM해석결과 데이터를 변형률 집중지수와 모멘트 전달효율을 사용하여 판단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실대형 실험을 통해 WC-WB를 제외한 실험체는 전소성모멘트의 80%이상 값을 유지하는 특수모멘트 접합부의 성능을 보인다. 최대모멘트값은 WC가
우수 하지만 소성변형능력은 내력과 변형각을 중점적으로 봐야 되므로 NWC와 유사한 변형각을 보인 WC-WBW이 WC보다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2) 변형률집중지수는 NWC가 WC-WB보다 2.06 낮은값을 보이며 모멘트 전달효율은 NWC가 WC-WB보다 34% 높은 결과값이 나왔다. 따라서
모멘트전달효율이 낮고 변형률집중지수가 높으면 취성파단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3) 용접면적을 비교하였을 경우 WC-WBW가 NWC보다 1% 높지만 변형률 집중지수 비교 시 NWC가 120% 낮은 결과로 나왔다. 따라서 용접면적의
영향보다 보 웨브 중립축에서 멀어진 곳의 단면손실이 소성변형능력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해석결과와 실험결과 비교 시 H형 보의 전체단면적에 대한 웨브의 용접면적 비가 60% 이하로 떨어질 경우와 플랜지 부근 웨브의 용접면적이 없을수록
취성파단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왔다. 추후 강구조물 보-기둥 접합부 설계시 웨브의 용접상세를 검토해볼 필요성이 있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2022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17750’).
References
Kim, Y.J., OH, S.H., and MOON, T.S. (2004), Analyt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oment transfer efficiency of a beam web and strain concentration at steel moment
connec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16(5), 695-703.
(in Korean).
Kim, Y.J., and OH, S.H. (2006), Evaluation of moment transfer efficiency of a beam
web at RHS column-to-beam connections,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EESK,
10(4), 67-76. (in Korean).
Kim, S.H, Kim, Y.J, OH, S.H., and MOON, T.S. (2004), Analytical study on relationship
of moment transfer efficiency and strain concentration of steel beam to column connection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1), 107-110. (in Korean).
KSSC. (2018), KS New grade steel structure design,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in Korean).
OH, S.H., Kim, Y.H., Kim, Y.J., Ryu, H.,S., and Park, H.Y. (2020), An analytical study
on the deep H-shaped beam-to-column connections with double slit damper type energy
absorp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32(1), 11-22.
(in Korean).
KSSC. (2022), 3rd revision of the detailed quidelines for standard joining of building
steel structures.
KATS, KSCI. (2018), KS D 3503 Rolled steels for general structure.
KATS, KSCI. (2017), KS D 0801 Test pieces for tensile test for metallic materials.
Korea Construction Standards Center. (2019), KDS 41.
OH, S.H., and Park, H.Y. (2014), A study on deformation capacity of high strength
steel beam-to-column connections according to welding detail at beam e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6(4), 335-348. (in Korean).
Korea Construction Standards Center. (2019), KDS41.
SIMULA, ABAQUS 6.11 abaqus/CAE User’s Maual Construction, 26(5), 229-239. (in Korean).
Park H.Y. (2017), Seismic Performance of Damage Controlled Structural System with
Energy Absorption Devices at Beam En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Pusan, Korea
(in Korean).
KATS, KSCI. (2019), KS B 1010 Set of high strength hexagon bolt, hexagon nut and plain
washers for friction grip j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