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석사과정
  2. 정회원,공주대학교 사회환경공학과 교수
  3. 정회원,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4. 정회원,디에스글로벌이씨엠 연구원
  5. 정회원,공주대학교 사회환경공학과 교수 교신저자



외부 강선, 휨 성능, PSC I 보, 정적 하중 재하실험, 강선 응력증가량
External tendon, Flexural ability, Prestressed Concrete I Beam, Static loading test, Tendon stress increase

1. 서 론

근래 외부 긴장재를 사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 이하 PSC)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외부 강선 보강 공법은 구조물에 장기적인 사용 하중으로 인한 성능 저하의 보강용으로 적용되고 있다.

외부 긴장재를 사용하는 방법은 외부 긴장재가 정착된 부재의 신설이나 과거에 건설된 노후 구조물의 성능개선에 사용된다. 외부 긴장재 보강공법은 콘크리트 거더교, 슬래브교, 라멘교 등에 주로 사용되며, 신설 시에는 구조물의 성능 향상을 위해 외부 긴장재를 사용한다.

PSC의 강선은 제한된 콘크리트 단면적으로 인해 사용량이 한정적이다. 그러나 외부 긴장재를 사용하는 PSC 부재는 사용 하중에 의한 부재의 보강에 유리하고, PSC 단면적에 자유롭게 긴장재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긴장재의 도심과 콘크리트 부재 단면의 도심과의 편심거리(e)의 증가로 인해 같은 편심거리를 갖는 다른 부재 대비 단면적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편심거리의 증가량은 단면의 단면 2차 모멘트(I)를 증가시키므로 성능을 높일 수 있다(Choi, 2021).

국·내외로 외부 강선을 사용한 구조물의 보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고, 연구의 동향은 다음과 같다.

Back(2016)은 V자형으로 외부 강선을 배치한 PSC I 거더교의 보강 효과에 관해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여 외부 강선의 보강으로 인한 성능을 입증하였다(Back et al., 2016). Chin(2018)은 PSC 박스 거더교 외부 강선을 교체한 후의 강연선 변화를 확인하고 긴장력을 측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고, 온도에 따른 긴장력의 변화를 확인하였다(Chin et al., 2018). Kim(2021)은 콘크리트의 노후도를 가정하여 재료의 강도를 가정한 외부 긴장 공법의 보강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보강 효과를 검증하였다. Mohamed(2022)는 여러 가지 외부 긴장재의 배치에 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외부 긴장재의 보강에 대한 성능을 입증하였다(Mohamed at al., 2022). Park(2022)는 콘크리트 단면 외부에 프리스트레싱 강판으로 보강한 부재의 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성능을 입증하였다(Park et al., 2022). I형 강재 하부에 일정 편심 거리를 가지는 PBCP(Pre–stressed steel Beams with the PCP)는 하부 플랜지 아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PCP(Pre- stress ing Cover Plate)를 배치하여 기존의 I형 강재보다 성능이 높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Kim et al., 2021).

연구 동향을 보면 외부 강선의 사용으로 인하여 부재의 성능이 향상된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RC와 PSC에 비해 콘크리트와 외부 긴장재의 복합 거동으로 인하여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한 거동 예측이 쉽지 않다. 외부 긴장재를 사용한 부재의 경우 비부착 포스트텐션의 방식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와 긴장재 사이의 일체 거동을 고려하여 긴장재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내부 부착 긴장재의 경우와 다르게 긴장재의 인장력이 정착구에 집중되며 부착식과 비교하면 긴장재가 콘크리트에 전달하는 응력이 적다.

대형크레인이 설치된 잔교와 같은 경우 장지간으로 대형 하중을 받아야 한다. RC에 비해 작은 보 깊이로 대형 하중을 받을 수 있는 PSC보의 경우 안정적 구조 거동이 검증된 표준 단면이 제시되어 있다(PCI bridge design manual 2014). 그러나 표준 PSC 단면의 최대강도를 초과하는 하중이 작용할 경우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기존의 검증된 PSC 단면의 최대강도를 초과하는 만큼 외부에 추가적인 긴장 강선을 배치한다면 안정적 구조 거동이 검증되어 있으며 외부 긴장강선의 보강으로 강도와 강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강선의 편심거리를 증가시키면 편심에 따른 강도 증가로 단면의 휨 강도를 증진 시키며, 필요한 외부 강선의 총량을 줄일 수 있는 경제성이 있다. 또한, PSC 단면에 위험 단면 구간 또는 강도 증진이 필요한 구간에 적응형 단면 보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SC 단면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이 필요한 구간을 선정하여 적응형 단면 보강과 단면의 하단부로부터 1/4길이 만큼 이격시킨 단면 보강용 외부 긴장 강선을 부착한 단면의 성능 향상을 입증하고자 한다. 또한, 외부 긴장 강선의 응력증가량을 고려한 설계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실험체는 KDS 14 20 60 : 202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에 준하여 설계를 진행하였다. 실험체의 제작에 있어 내·외부 강선의 유효 프리스트레스를 최대한 동일하게 적용하기 위하여 내·외부 강선모두 비부착 강선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SPS-F KOCED 0011 -xxxx:2020의 실험 규정에 따라 휨 압축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로 외부 강선의 배치에 따른 성능 향상을 입증하며, 내·외부 강선의 유효 긴장력을 산정하고 외부 강선의 응력증가량 제안식을 활용하여 단면의 강도를 추정하여 실험 결과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안식의 타당성 검증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실 험

2.1 개요

단면 보강용 외부 긴장 강선으로 보강한 PSC I 보 실험체의 성능을 검증하고자 Fig. 1, Table 1과 같이 SC-1과 SC-2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Fig. 1과 같이 SC-2 실험체는 외부에 강선을 배치한 실험체이며, 실험 결과의 비교를 위해 SC-1 실험체는 SC-2 실험체와 동일한 조건으로 제작하였다. 실험은 동일 조건에서 제작된 두 시험체 중 SC-2 실험체의 외부 강선 보강으로 인한 실험체 성능 향상을 목표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는 외부 강선 정착장치 부근의 지압 응력과 전단응력을 견디고 정착장치의 크기 감소를 위해 60MPa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함에 따라 철근 또한 콘크리트의 강도에 맞게 고강도 철근을 사용하였다. 단면에 배근 된 각 철근은 동일 강도인 SD400 이형철근을 사용하여 Fig. 2와 같이 인장철근, 압축철근, 전단철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험체의 제작을 위해 강재 거푸집을 제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강도 측정을 위해 Fig. 3과 같이 공시체를 3개씩 5조로 나누어 강도를 측정하여 목표 강도까지 양생하였다.

Fig. 1 Test member (a) SC-1, (b) SC-2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1.png
Fig. 2 Bar and tendon arrangement of test member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2.png
Fig. 3 Test piece for compressive cylinder strength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3.png
Table 1 Identification of test member

Type

Area (㎟)

I(moment of inertia)

(mm⁴)

E(eccentricity)

(mm)

Tendon

(a) SC-1

39600.00

4×10$^{8}$

0

Internal

(b) SC-2

39611.78

4.3×10$^{8}$

50

Internal

External

2.2 재료

콘크리트는 압축강도 60MPa인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을 사용하였다. 콘크리트 종류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였고 상세한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는 Table 2와 같다. 실험 부재는 야외에서 타설 하였으며, 콘크리트의 다짐은 타설 후 다짐봉을 사용하여 다짐하였다. 최초 24시간 고압 증기 양생 후 대기 양생을 진행하고 타설 48시간 경과 후 Fig. 4와 같이 거푸집을 탈형 하여 양생하였다. 목표 강도인 60MPa 강도 측정을 위해 Fig. 3과 같이 강도 측정용 공시체를 3개씩 5조로 나누어 일정한 간격으로 강도 측정을 진행하였고, 각 조별 측정 날짜와 측정된 강도는 Table 3과 같다. 표의 결과 4조의 공시체에서 목표 강도 60MPa을 달성하였고, 실험체의 2차 공정을 진행하였다.

실험체에 사용한 철근은 Fig. 2와 같이 인장철근 D-22, 압축 철근과 전단 철근은 D-10 철근을 사용하였다. 각 실험체의 내부 강선은 피복된 15.2mm 비부착 강연선을 사용하여 Fig. 5와 같이 배근을 진행하였다. 압축 및 인장철근은 외부 강선의 긴장력을 고려하여 배근하였고, 전단 철근의 경우 전단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배근하였다. 사용된 철근은 SD400 철근을 사용하였으며 항복강도는 392MPa로 나타났다.

실험체에 사용한 PSC 강연선은 15.2mm 7연선(SWPC7 BL)을 Fig. 2와 같이 상부에 1개, 하부에 1개 배치하였으며 외부에 2개 배치하였다. 인장강도의 평균값은 1815MPa로 나타났다.

Fig. 4 Test specimen removal of form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4.png
Fig. 5 Tendon and reinforced cross section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5.png
Table 2 Mix design proportion of concrete

W/C

(%)

S/a

(%)

W (kgf/㎥)

C (kgf/㎥)

S

(kgf/㎥)

G

(kgf/㎥)

AD (kgf/㎥)

27.5

44.4

174

633

714

912

8.86

Table 3 Test results for compressive cylinder strength

Type

Age

(day)

Compressive strength (MPa)

A

B

C

Avg

1 set

7

53.6

50.8

51.7

52.0

2 set

12

55.8

56.1

55.3

55.7

3 set

13

57.3

60.4

59.8

59.2

4 set

14

62.2

63.6

61.3

62.4

5 set

15

63.7

62.9

64.0

63.5

2.3 외부 긴장 강선과 장착

재령 14일에 목표 강도에 도달하여 양생을 마친 실험체의 내부 강선 긴장과 외부 강선의 정착 및 긴장을 위한 2차 공정을 타설 22일 후 진행하였다.

SC-2 실험체의 경우 내부 강선의 긴장력 도입 후 외부 강선의 긴장력을 도입하였다. 외부 강선 정착을 위해 Fig. 6과 같이 정착구를 부착하였다. 정착구의 지지는 앵커볼트를 사용하였고, 헤머드릴을 사용하여 앵커홀을 천공 하였다. 정착구의 부착이 완료된 후 SC-1, SC-2 실험체의 내·외부 강선을 인장기를 사용하여 긴장하였다. 정착구의 상세한 설치방법은 Table 4에 정리하였으며, 강선의 긴장력은 Table 5와 같으며 내부는 14MPa, 외부는 7.5MPa의 압력으로 강선을 긴장하였다.

Fig. 6 Anchorage shape and anchor hole drawing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6.png
Table 4 Step of external tendon anchorage

Step 1

Drilling the anchor hole in the section

Step 2

Installation of anchor and insert anchor bolt

Step 3

Epoxy injection between anchor and anchor hole

Step 4

Nuts tightening after epoxy hardening

Step 5

After installation of anchor set up the tendon

Step 6

Anchoring shim and transfer of prestress using tensioning machine

Table 5 Prestressing force of tendon

Type

Internal

(MPa)

Internal

(kN)

External

(MPa)

External

(kN)

SC-1

14

20.5

-

-

SC-2

14

20.5

7.5

11.0

2.4 하중 재하와 계측

하중 재하 장치는 2000kN급 UTM 장비를 시용한 4점 재하 방식으로 하중 재하도는 Fig. 7과 같다. 본 실험에서는 재하 방식은 안전을 위해 변위 제어로 수행하며 1.5 mm/min의 가력 속도로 진행하였다.

계측 센서는 콘크리트용 스트레인 게이지, 강재용 스트레인 게이지, LVDT, Load cell을 사용하여 단면의 변형률과 처짐량 등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Fig. 8과 같이 계측기를 부착하였다.

단순보 중앙의 상단과 하단부 각각 2개씩 4개, 중앙의 양쪽 면에 3개씩 6개, 지점에서 1/4, 3/4 떨어진 위치 양면에 두 개씩 8개, 하중 재하 지점에 2개 총 20개의 콘크리트용 스트레인 게이지를 각각의 실험체에 부착하였다.

정착판 및 정착구의 경우 정착판의 중앙 양면에 두 개씩 총 4개의 강재용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LVDT의 경우 부재의 비틀림을 고려하여 부재의 중앙부, 1/4지점, 3/4지점 하단부에 아크릴을 사용하여 실험체에서 50mm 떨어진 위치 양쪽에 총 6개의 LVDT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Load cell의 경우 실험체의 지점이 되는 부근에 총 4개의 Load cell을 설치하여 가력된 하중을 정확하게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체에 하중이 가해지면 실험체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 모든 실험체 길이 방향으로 상부 플랜지로부터 150mm 떨어진 거리에, 세로 방향으로는 200mm 간격으로 격자를 그렸다.

Fig. 7 Schematic representation of load test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7.png
Fig. 8 Location of gauge and LVDT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8.png

3. 실험 결과

3.1 변위

휨 압축 실험에서 LVDT를 사용하여 계측한 처짐과 Load cell에서 확인한 하중 간의 관계를 Fig. 9와 같이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의 순서는 외부 강선을 보강한 SC-2 실험체의 실험을 진행하고 비교를 위한 SC-1 실험체를 실험하였다. 실험은 안전을 위해 최대 하중점에 도달하였을 때 실험을 종료하였다. 동일 변위 30mm에서 SC-1 실험체는 200kN의 하중을 나타냈고, SC-2 실험체는 240kN의 하중을 나타냈다. 최대 점의 하중은 SC-1은 206kN, SC-2는 254kN으로 나타났다. 변위 대비 외부 강선의 배치로 인하여 40kN의 하중 능력이 향상하였다. 최대 점에서 비교한 결과 약 50kN의 하중 능력이 향상, 즉 외부 강선의 배치로 약 20%의 하중 성능증가를 볼 수 있었다.

내부 우력에 대한 평형방정식 C=T를 사용하여 구한 공칭 휨 강도 값과 실험을 통해 얻은 최대 모멘트의 값을 Table 6에 정리하였다.

공칭 휨 강도의 계산에서 강선의 프리스트레스 손실에 대한 유효 프리스트레스 응력은 PSCI 실험체의 경우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f_{pe}=0.582f_{pu}$를 사용하였다. PSCE 실험체의 경우 시간적 손실인 크리프와 건조수축을 제외한 릴렉세이션만을 고려하여 $f_{pe}=0.673f_{pu}$를 적용하여 유효 프리스트레스를 산정하였다. 따라서 PSCI의 경우 1056MPa, PSCE의 경우 1222MPa의 유효 프리스트레스 응력을 산정하여 휨 강도를 계산하였다.

실험의 결과와 계산식의 결과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4장에서 제안하는 공식을 사용하여 외부 강선으로 보강한 PSC I 보의 휨 강도 계산식을 입증하였다.

Fig. 9 Load-mid displacement curve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9.png
Table 6 Test results

Specimens

Experimental

Predicted

displacement

δ (mm)

moment Mns (kN·m)

Nominal Strength

Mn (kN·m)

Mns / Mn

SC-1

30.9

206.4

197.3

1.046

SC-2

37.4

253.9

247.6

1.025

3.2 콘크리트 변형률

실험체의 휨 압축 실험에서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한 콘크리트용 게이지를 확인한 콘크리트의 변형률을 Fig. 10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두 개의 실험체 모두 실험체 측면 중앙부에 부착된 콘크리트용 스트레인 게이지 CF2를 통해 얻은 변형률 값으로 두 실험체를 비교하였다.

CF2 게이지에서 계측된 변형률 데이터를 확인한 결과 중립축 부근에 부착되어 SC-1의 경우 하중 100kN까지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다가 중립축이 점차 상향됨에 따라 인장 변형률이 증가하였다.

SC-1과 SC-2 실험체 모두 CF2 게이지 결과값에서 처음은 압축을 나타내고 하중이 재하됨에 따라 0에 수렴한 뒤 인장값을 나타냈다. 이는 PSC의 전형적인 하중-변위 그래프와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SC-1 실험체의 경우 변위 1.7mm, 하중 18kN 지점에서 변형률 값이 0이 되었고, SC-2 실험체의 경우 변위 2.7mm, 하중 34kN 지점에서 변형률 값이 0이 되었다.

Fig. 10 Load-concrete strain curve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10.png

3.3 정착구 거동

SC-2 실험체의 외부 강선 정착을 위하여 횡 방향으로 150mm의 정착판을 정착구에 정착하였고, 정착판의 중앙부 측면에 강재용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여 정착판의 거동을 확인하였다. 왼쪽 정착구에 부착된 변형률계는 초기에 외부 강선이 고정되어 있었던 지점 이고, 오른쪽 정착구에 부착된 변형률계는 인장기를 활용하여 강선의 긴장을 진행했던 지점이다. Fig. 11는 하중의 증가에 따른 정착판의 변위를 확인했다. 실험 부재는 하중에 따라 변형률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200kN~250kN 부재의 최대 하중 점 부근부터는 하중의 증가에 비해 정착판의 변형률이 초기 변형률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이후 실험 종료까지 강선이 완전히 항복함에 따라 정착판에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다. 이는 하중 재하에 따라 강선과 부재 사이의 편심거리가 줄어들었고, 강선과 부재 사이의 새들(saddle)이 존재하지 않아 강도를 더 받지 못하였다고 판단하였다.

Fig. 11 Load-steel strain curve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11.png

3.4 균열

실험체의 휨 압축 실험 결과에서 얻은 콘크리트의 외부균열형상을 Fig. 12에 나타내었다. 실험 부재들의 균열현황을 확인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 강선이 정착된 SC-2 실험체의 균열이 SC-1 실험체의 균열보다 적게 나타났다. 이는 외부 강선의 배치로 인한 결과로 예측하였다. 둘째, SC-2 실험체에 외부 강선을 지지하는 정착구를 정착판을 사용함으로써 정착구의 응력집중으로 인한 정착구 주변 균열이 일어나지 않았다. 정착구 하단에 긴장력과 하중의 증가로 인한 강선의 2차 효과로 정착구 하단에 집중되는 응력을 정착판을 사용함으로써 부재 전체에 강선의 응력이 전달되었다.

Fig. 12 Shape of crack distribution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12.png

4. 공칭강도 검토

실험체의 실험에서 검증하고자 했던 실험체의 공칭 휨 모멘트 강도는 내부우력에 대한 평형방정식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계산과 동일한 방법에서 외부 강선의 정착을 고려한 제안식은 다음과 같다.

(4-1)
$M_{ns}=C_{s}'(d_{s}-d_{s}')+C(d_{s}-\dfrac{a}{2})+T_{m}(d_{et}-d_{s})\\ +T_{1}(d_{t}-d_{t}')-T_{2}(d_{s}-d_{t}) $

여기서 $C_{s}'$은 철근의 압축력, C는 콘크리트의 합력 작용점, Tm은 외부 강선에 의한 긴장력의 합, T1과 T2는 각각 상·하단의 강선 인장력이다.

외부 강선에 의한 긴장력 Tm에서 기존의 PSC의 경우 극한상태에서의 PC 강선의 응력 fps를 사용한다.

KCI 기준에서는 비부착 긴장재를 가진 부재에 대한 fps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1) 깊이에 대한 경간의 비가 35 이하인 경우

(4-2)
$f_{ps}= f_{pe}+ 70 +\dfrac{f_{ck}}{100\rho_{p}}$

2) 깊이에 대한 경간의 비가 35보다 큰 경우

(4-3)
$f_{ps}=f_{pe}+70+\dfrac{f_{ck}}{300\rho_{p}}$

위 규정에 명시되어 있는 규정의 fps를 사용하여 외부 강선의 극한 응력을 산정할 시 강선의 응력 증가량을 고려하지 못한다. 따라서 아래의 식을 사용하여 응력증가량 $\triangle f$을 고려한 fps를 사용하여 휨 강도를 계산한다.

(4-4)
$f_{ps}=f_{pe}+\triangle f$

$\triangle f$를 계산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Choi(2021)이 제안한 식 4-5의 응력증가량 공식을 활용하여 응력증가량을 계산하였다. 응력증가량은 자중에 의한 신장량, 하중에 의한 신장량을 더하여 계산하였다.

제안식은 기본 구조물에 변위 일치 방법을 적용하여 식을 제안하였다. 제시된 $\Delta T$는 힘의 단위로 외부 강선의 총량을 나누어 계산한 후 응력증가량을 산정한다.

(4-5)
$\triangle T=\dfrac{\dfrac{e}{E_{c}I_{c}}\int_{L_{u}}^{L_{u}+L_{t}}M dx}{L_{c}(\dfrac{e^{2}}{E_{c}I_{c}}+\dfrac{1}{E_{c}A_{c}}+\dfrac{1}{E_{s}A_{ps}})}$

여기서, (Fig. 13 길이 참조)

L$_{c}$ = 콘크리트 단면의 압축력을 받는 부재의 길이

$\int_{L_{u}}^{L_{u}+L_{t}}M dx$ = 자중 또는 하중에 의해 압축력을 받는 휨 모멘트 도의 면적

L$_{u}$ = 지점의 중심에서 정착구 끝단까지의 거리

L$_{t}$ = 정착된 강선의 길이

4-4를 사용하여 자중에 의한 응력증가량과 하중에 의한 응력증가량을 계산할 수 있다. Table 5에 계산한 공칭 휨 강도는 응력증가량을 고려한 fps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실험값과 대조한 식4-1의 결과값은 거의 동일한 값이 계산되었고, 실험값에서 긴장재의 손실을 100% 정확하게 고려하지 못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식을 활용한다면 공칭 휨 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Fig. 13 Length of Lu , Lc , Lt
../../Resources/ksm/jksmi.2022.26.6.222/fig13.png

5. 결 론

본 연구는 외부 강선을 배치한 PSC I 보의 휨 강도 식을 제안하고, 그 식을 활용하여 계산한 값과 실험적 값을 비교하였고, 외부 강선의 유·무에 따른 실험체의 휨 거동을 분석하였다.

1) 실험체의 정적 하중 재하 실험 결과 SC-1 실험체의 극한하중은 206kN, SC-2 실험체는 254kN의 극한하중을 견뎌 외부 강선의 배치로 인하여 약 20%의 강도 증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체의 변위에 따라 강선이 같은 곡률을 유지하도록 하는 새들(saddle)을 설치한다면 더 좋은 연구결과가 있었을 것으로 예상한다.

2) 식 4-1과 식 4-4에서 제안한 식을 활용하여 계산한 휨 강도 값과 실험을 통해 얻은 휨 강도 값을 비교하였을 때 SC-1과 SC-2가 각각 1.046, 1.025로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강선의 배치로 인하여 증가하는 휨 강도를 확인하였고, 제안하는 응력증가량 식을 활용하여 휨 강도를 계산한 결과 실험값과 거의 일치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외부 강선을 배치하는 부재의 휨 강도 산정에 관한 연구는 현재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외부 강선을 배치한 부재의 강도선정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기후변화 적응형 다목적 국토확장 기술 개발(과제번호: 21CTAPC164018-01)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Min, C. S.(2015),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Goomibook, p. 310-369.URL
2 
Back, S. C., Song, J. H., Kim, H. B., and Kim, S. S. (2016), Reinforcement Effects using V Type External Strands on PSC I Girder Bridg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0(3), 49-57.DOI
3 
Choi, Y. G. (2021), Characteristics of Strength Limit State of Members with a Web-Free Section(WFS), Thesis of doctor of engineering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21, 8, 21-24,URL
4 
Chin, W. J., Kim, Y. J., Kim, S. T., Park, Y. H., and Jeong, H. W. (2018), Measurement of Tension Force of External Tendon in PSC Box Girder Bridge using Smart Strand,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0(2), 163-164.URL
5 
Kim, K. D., Ahn, H. I., Han, K. J., and Kim, D. S. (2021), Design of Prestressed W-Shape Beams with a separated Prestressing Cover Plate, International Journal of Steel Structures(2021), 21(2), 4, 488, 492, 502DOI
6 
Kim, S. H., Jung, W. T., Kang, J. Y., Park, H. B., and Park, J. Y. (2021).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ening Effect of External Prestressing Method Considering Deterior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J. Korea Inst. Struct. Mai, 25(1), 1-6.DOI
7 
KS F2408. (2016),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strength of concret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p.1-3.URL
8 
KDS 14 20 60. (2022),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design criteri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5-7.URL
9 
Mohamed, G. A., Eisa, A. S., Purcz, P., Ručinský, R., and El-Feky, M. H. (2022), Effect of External Tendon Profile on Improving Structural Performance of RC Beams, Buildings, 2022, 12(6), 789, 1-4, 14-15DOI
10 
PCI (Precast/Prestressed Concrete Institute). (2014), PCI bridge design manual, Chicago, IL, 2014, Appendix B 3-18URL
11 
Park, C. S., Kong, B. J., and Kim, D. K. (2022). Analyzes the Design and Behavior of RC-PCP(Reinforced Concrete with Pre-Stressed Cover Plate) Girder,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4(1), 281-282.URL
12 
Ribeiro P de O, Gidrão G de MS, Vareda LV, Carrazedo R, and Malite M. (2020),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concrete I-beam subjected to bending test with cyclic load, Latin American Journal of Solids and Structures, (2020) 17(3), 5-6.URL
13 
SPS-F KOCED 0011-xxxx. (2020),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performance of beam or girder member, Korea Construction Engineering Development, p.1-4URL
14 
S. Seręga., and D. H. Faustmann. (2022). Flexural strengthen 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external tendons, Engineering Structures, 252, 1-3, 16.DOI